KR100852913B1 -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913B1
KR100852913B1 KR1020070012954A KR20070012954A KR100852913B1 KR 100852913 B1 KR100852913 B1 KR 100852913B1 KR 1020070012954 A KR1020070012954 A KR 1020070012954A KR 20070012954 A KR20070012954 A KR 20070012954A KR 100852913 B1 KR100852913 B1 KR 10085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ata
control signal
brightn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994A (ko
Inventor
정형중
Original Assignee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매크로웨이 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1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9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37A piston or plunger advanced by direct pushing along the side of 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taining only one dose of substance, e.g. single-use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건설사마다 상이한 통신 방식의 LED조명 제어신호를 모두 해석하여 통합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다양한 리모컨 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알맞은 LED조명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과; 홈넷 월 패드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와; 통합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여,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홈네트워크, 통합 컨트롤러, 통신 방식 인식, 조명 제어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light in a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홈네트워크에서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에서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통합 컨트롤러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통합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홈네트워크에서 조명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홈네트워크에서 조명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홈넷 월 패드
140… 조명 제어부
200… 통합 컨트롤러
211… 월 패드 신호 변환부
213, 224… 마이크로 프로세서
214, 225… 데이터베이스
215, 226… 제어신호 생성부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서 엘이디(LED) 조명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건설사마다 상이한 통신 방식의 LED조명 제어신호를 모두 해석하여 통합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다양한 리모컨 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알맞은 LED조명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PC의 발달로 인하여 가정에서 PC를 2대 이상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하였으며, 또한 PC가 1대라도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치가 PC가 아닌 다른 장치들(PDA, 웹패드, IPTV셋탑박스, IP캠, 독립형 인터넷라디오, 기타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아울러 집안에도 LAN(Local Area Network)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집안의 LAN을 홈네트워크라고 통칭해서 부르고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는 데이터 통신망을 위한 홈네트워크가 아닌 자동 및 원격제어(Home Automation) 즉, 제어를 위한 홈네트워크와 디지털 가전기기 특히 그중에서도 미디어(사진/음악/동영상)나 조명 제어를 위한 홈네트워크가 추가되어, 집 에서도 더욱 대중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도모해준다.
도 1은 종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일 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외부에서 핸드폰으로 집 조명(LED 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10)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30)과, 상기 홈넷 월 패드(10)나 리모컨(30)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조명의 온/오프나 밝기 및 색 온도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핸드폰이나 기타 통신망을 통해 가정 내의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면 홈넷 월 패드(10)에서 이를 수신하여 해당 건설사에 의해 설정된 통신 방식(제로텐 통신, 485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조명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조명 제어부(20)는 해당 조명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조명의 온/오프나 밝기 조정, 색온도 등의 제어는 일반적인 조명 제어 방식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조명 제어부(20)는 해당 건설사가 설치한 조명에 대응하는 통신 방식의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만 이를 인식하고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통신 방식이 상이한 제어신호가 전달될 경우에는 신호 인식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댁내에서 리모컨(30)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면, 조명 제어부(20)는 이를 인식하고,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조명 제어부(20)는 건설사에서 미리 정해놓은 리모컨 신호만을 인식하며, 방식이 다른 리모컨의 신호는 인식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건설사마다 통신 방식을 다르게 사용하므로, 홈넷 월 패드와 연동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이 아닌 다른 조명 시스템으로 대치하게 되면 신호 인식이 불가능하여 조명 제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명 제어시스템의 개발시에도 각각의 건설사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맞게 따로따로 개발 및 생산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홈넷 월 패드에서 리모컨 신호의 처리가 불가능하므로, 조명 제어부에 별도의 리모컨 수신 장치를 부가하게 되어 조명 제어부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건설사마다 상이한 통신 방식의 LED조명 제어신호를 모두 해석하여 통합 제어가 가능토록 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컨 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알맞은 LED조명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외부에서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과;
상기 홈넷 월 패드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홈넷 월 패드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분석부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홈넷 월 패드에서 발생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변환부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방법"은,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1단계와;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방법"은,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인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2단계와;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참조부호 110은 외부에서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또는, 조작 스위치)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20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200은 상기 홈넷 월 패드(110) 및/또는 리모컨(120)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40은 상기 통합 컨트롤러(200)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제어 시스템은, 홈넷 월 패드(110)에서 송출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통신 방식(제로텐 통신, 485통신)을 인식하는 방식과 홈네트워크 시스템 설치자에 의해 세팅되는 것에 의해 통신 방식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크게 대별된다.
먼저, 홈넷 월 패드에서 송출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통신 방식을 인식하는 방식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홈넷 월 패드(110)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조명 제어를 위해 전송한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 컨트롤러(200)에 제공한다. 이때 조명 제어 데이터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설치사인 건설사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가 통합 컨트롤러(200)에 제공된다.
또한, 통합 컨트롤러(200)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리모컨(120)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조명 온/오프, 밝기 조정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이를 수신하게 된다.
통합 컨트롤러(200)는 홈넷 월 패드(110)의 신호 및/또는 리모컨(120)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따라 조명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조명 제어부(140)에 제공하여 실질적인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컨트롤러(200)는, 상기 홈넷 월 패드(110)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211)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분석부(212)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14)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데이터 베이스(214)와 연동하여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211)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212)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15)를 구비하고,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월 패드 신호 변환부(211)는 데이터 통신 방식 분석부(211a)를 통해 상기 홈넷 월 패드(110)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여 제로텐 통신 방식인지 아니면 485통신 방식인지를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 방식을 분석하는 이유는 단일의 통합 컨트롤러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건설사의 모든 조명 제어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함이다. 데이터 통신 방식의 분석이 완료되면 데이터 변환부(211b)에서 상기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홈넷 월 패드(110)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에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리모컨 신호 분석부(212)도 리모컨(120)으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면 그 신호를 수신하고, 코드 분석을 통해 어느 건설사인지를 탐색하여 리모컨 신호를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게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건설사마다 리모컨의 코드 데이터가 전부 상이하므로, 어느 건설사의 리모컨 신호인지를 코드를 통해 분석하여 리모컨 코드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된 다수의 건설사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 데이터의 검색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에 제공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는 통상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마이컴으로 구현되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214)와 연동하여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211)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212)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통신 방식 등을 인식하게 되므로 그 통신 방식에 맞는 제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4)로부터 추출하여 제어신호 생성부(215)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에서 제공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실질적인 조명 제어를 위한 아날로그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조명 제어부(140)에 제공하게 되고, 조명 제어부(140)는 기존과 동일하게 제공되는 조명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또는 밝기(조도)를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 설치자에 의해 세팅되는 것에 의해 통신 방식 을 인식하는 방식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한 바와 같이, 홈넷 월 패드(110)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통해 조명 제어를 위해 전송한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합 컨트롤러(200)에 제공한다. 이때 조명 제어 데이터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설치사인 건설사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가 통합 컨트롤러(200)에 제공된다.
또한, 통합 컨트롤러(200)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리모컨(120)을 이용하여 조명 제어 신호(조명 온/오프, 밝기 조정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이를 수신하게 된다.
통합 컨트롤러(200)는 홈넷 월 패드(110)의 신호 및/또는 리모컨(120)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따라 조명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조명 제어부(140)에 제공하여 실질적인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컨트롤러(200)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21)와; 상기 홈넷 월 패드(110)에서 발생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24)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222)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변환부(223)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25)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225)와 연동하고, 상기 입력부(221)를 통해 입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222) 및 리모컨 신호 변환부(223)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2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홈 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건설사)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 후 입력부(221)를 통해 해당 조명 시스템의 통신 방식을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조명 시스템의 통신 방식 입력 방법은, 데이터 베이스(225)에 미리 저장된 건설사 명을 선택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제로텐 통신 방식 또는 485 방식을 별도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입력하게 된다.
입력부(221)를 통해 통신 방식이 설정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225)는 현재 홈넷 월 패드(110)와의 통신 방식 및 리모컨(120)의 코드 방식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월 패드 신호 변환부(222)는 상기 홈넷 월 패드(11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리모컨 신호 변환부(223)도 리모컨(120)으로부터 신호가 발생하면 그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24)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을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 제공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24)는 조명 제어 데이터가 인가되면 데이터베이스(225)와 연동하여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222) 및 리모컨 신호 변환부(223)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통신 방식 등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그 통신 방식에 맞는 제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25)로부터 추출하여 제어신호 생성부(226)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신호 생성부(2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24)에서 제공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실질적인 조명 제어를 위한 아날로그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조명 제어부(140)에 제공하게 되고, 조명 제어부(140)는 기존과 동일하게 제공되는 조명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또는 밝기(조도)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방법"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1단계(S101 ~ S107)와;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S111, S113, S107)와;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단계(S109)와; 상기 조명 제어 데 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4단계(S1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단계 S101에서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데이터가 송출되면, 단계 S103에서 그 송출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이 제로텐 방식인지 485 방식인지를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단계 S105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게 된다.
이후 단계 S107에서 상기 변환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단계 S109에서는 조명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S111, S113 및 S107에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리모컨 코드 방식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리모컨 코드 방식에 따라 조명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5에서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 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는 제1단계(S201, S203)와; 상기 인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2단계(S205 ~ S207)와;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S213, S207, S209)와;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단계(S211)와;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5단계(S21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단계 S201, S203에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게 되고, 단계 S205에서 상기 인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데이터가 송출되면 단계 S207에서 그 송출된 데이터를 변환하게 된다.
아울러 단계 S213에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단계 S207 및 S209에서 리모컨 수신 신호로 데이터로 변환을 하고, 인식한 통신 방식에 맞는 조명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단계 S211에서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며, 단계 S211에서 는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건설사)에 의해서 미리 통신 방식이 설정되고, 추후 홈넷 월 패드 신호나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그 인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해당 통신 방식에 맞게 변환하여 조명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건설사마다 상이한 통신 방식의 LED조명 제어신호를 모두 해석할 수 있어, 단일의 통합 컨트롤러로 통신 방식이 상이한 모든 건설사의 홈네트워크 조명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코드가 상이한 모든 리모컨 신호의 해석이 가능하므로, 리모컨 신호 수신시 그에 알맞은 LED조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홈네트워크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과;
    상기 홈넷 월 패드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홈넷 월 패드에서 발생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분석부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통신 방식은 제로텐 통신 방식 및/또는 485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홈넷 월 패드에서 발생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월 패드 신호 변환부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모컨 신호 분석부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각각의 건설사에 의한 홈넷 월 패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리모컨 신호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월 패드 신호 변환부 및 리모컨 신호 분석부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전달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통신 방식은 제로텐 통신 방식 및/또는 485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6. 외부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과; 상기 홈넷 월 패드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1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의 통신 방식 및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통신 방식은 제로텐 통신 방식 및/또는 485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
  8. 외부 통신단말기로 집 조명(LED조명 포함)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거나 집 내부에서 버튼을 눌러 조명의 온/오프 및 밝기를 조정하는 경우 해당 신호를 받아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와; 사용자가 집 내부에서 원격으로 조명 온/오프나 밝기 조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리모컨과; 상기 홈넷 월 패드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된 조명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통신 방식 및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통합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조명의 점등/소등 및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설치자에 의해 선택되는 조명 제어 데이터의 통신 방식을 인식하는 제1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인식한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통신단말기 및/또는 내부 조작 스위치와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위해서 자동으로 조명의 제어나 밝기 조정을 수행하는 홈넷 월 패드(wall pad)로부터 송출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단계 또는 제3단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4단계와;
    상기 통합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조명 제어신호로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조명의 구동 및 밝기를 조정하는 상기 조명 제어부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통신 방식은 제로텐 통신 방식 및/또는 485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방법.
KR1020070012954A 2007-02-07 2007-02-07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954A KR100852913B1 (ko) 2007-02-07 2007-02-07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954A KR100852913B1 (ko) 2007-02-07 2007-02-07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994A KR20080073994A (ko) 2008-08-12
KR100852913B1 true KR100852913B1 (ko) 2008-08-19

Family

ID=3988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954A KR100852913B1 (ko) 2007-02-07 2007-02-07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2626B2 (en) * 2011-08-18 2015-02-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ight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4470151A (zh) * 2014-12-28 2015-03-25 贵阳华合仁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器
KR102473496B1 (ko) * 2020-10-21 2022-12-02 주식회사 휴앤텍 제조사별 월패드와 자동연동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72A (ja) * 1999-07-13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家電機器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30079448A (ko) * 2002-04-04 2003-10-10 (주)솔다정보기술 홈 네트워크용 전등 제어 모듈 및 제어 방법
KR20050033768A (ko)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난방 및 홈네트워크 통합제어 룸콘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4208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
KR20060093588A (ko) * 2005-02-22 2006-08-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60112531A (ko) * 2005-04-27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72A (ja) * 1999-07-13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家電機器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30079448A (ko) * 2002-04-04 2003-10-10 (주)솔다정보기술 홈 네트워크용 전등 제어 모듈 및 제어 방법
KR20050033768A (ko) * 2003-10-07 2005-04-13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난방 및 홈네트워크 통합제어 룸콘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4208A (ko) *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장치
KR20060093588A (ko) * 2005-02-22 2006-08-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60112531A (ko) * 2005-04-27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994A (ko)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9581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US9153126B2 (en) Smart switch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KR101253148B1 (ko)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JP2014093204A (ja) 音響照明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902253A (zh) 具有语音控制功能的智能开关及智能控制系统
KR20150036492A (ko) 원격 조작 장치
CN107818782B (zh) 一种实现家用电器智能控制的方法及系统
WO2015068959A1 (ko)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0852913B1 (ko) 홈네트워크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606B1 (ko) 적외선 통신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음성인식 리모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0537B1 (ko) 가정용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시스템 및방법
CN109118747A (zh) 红外设备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Nath et al. Low-cost android app based voice operated room automation system
KR100892997B1 (ko)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음성서비스및 조명제어 방법
KR100426729B1 (ko) 음성인식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CN111262099B (zh) 一种可编程遥控智能插座及其实现方法
JP2007193725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CN110278473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数字电视遥控换台方法及系统
US20060033636A1 (en) Controlling an infrared responsive device
WO201000811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 in a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100037254A (ko) 제스쳐 기반의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7679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외선 기반의 가전기기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631554B1 (ko)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10661686B (zh) 一种支持多协议的智能家居iot网关信号处理方法和装置
JP2008269110A (ja) 電化製品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