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228U -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228U
KR20090009228U KR2020080003170U KR20080003170U KR20090009228U KR 20090009228 U KR20090009228 U KR 20090009228U KR 2020080003170 U KR2020080003170 U KR 2020080003170U KR 20080003170 U KR20080003170 U KR 20080003170U KR 20090009228 U KR20090009228 U KR 200900092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xing
screen board
parti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743Y1 (ko
Inventor
김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to KR2020080003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티션 상단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 없이 1인의 작업자가 동일한 형태를 지닌 한쌍의 고정브래킷만으로 파티션 상단에 스크린보드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해체 시에도 파티션 상단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아 말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방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여 구성원 간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업무집중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는,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수직프레임(100)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파티션(P)에 있어서, 좌우 양단 하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2결합공(11,12)이 관통 형성된 스크린보드(10)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상기 수평프레임 상단에 고정하도록 복수 이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두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한조를 이루는 고정브래킷(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스크린보드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2)와, 상기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를 상기 제1,2결합공(11,12)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중간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23) 및 상기 수평프 레임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부(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사무용 파티션, 상부 스크린(스크린보드), 고정브래킷

Description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A structure for fixing a top screen for office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티션 상단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 없이 1인의 작업자가 동일한 형태를 지닌 한쌍의 고정브래킷만으로 파티션 상단에 스크린보드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해체 시에도 파티션 상단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아 말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방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하여 구성원 간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업무집중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사무용 칸막이)은 사무실 등의 실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각 부서간의 공간을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업무능률을 향상시키며 실내분위기를 정돈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사무실 레이아웃 시 공간을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책상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파티션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 이 파티션을 사이에 두고 책상이 대향식(opposed type)으로 배치됨에 따라 맞은편에 앉은 구성원 간에 서로의 시선이 마주치거나 상대방의 움직임이 느껴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건너편의 상황이나 모습이 자연스럽게 눈에 들어옴에 따라 업무에 집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반 파티션에 비해 높이가 높은 파티션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방의 시야를 차단할 수는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로 파티션을 구입해야 하고, 만일 일반 파티션을 이미 설치하여 사용 중이라면 이를 먼저 해체하고 나서야 소정 높이 이상의 파티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 다시 높이가 낮은 일반 파티션을 설치해야 할 경우에는 다시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 파티션 상단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간이 스크린보드를 부착함으로써 시선을 차단하고 업무집중도를 높이는 고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안은 파티션에 별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는데, 예컨대, 상기 파티션에 스크린보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티션 상단의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 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마감커버에 체결구멍을 천공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수단을 파티션 상단에 장착한 후, 상기 고정수단으로 스크린보드를 파티션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보드를 제거한 상태로 파티션만을 사용 시에는 상기 파티션 상단에 남아 있는 흠집으로 인해 외관이 불량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파티션 상단에 간이 스크린보드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제거한 후에도 파티션 상단에 흠집이 생기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는,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파티션에 있어서, 좌우 양단 하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2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상기 수평프레임 상단에 고정하도록 복수 이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두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한쌍을 이루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스크린보드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와, 상기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를 상기 결합공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중간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돌부는 내측면에 완충재를 부착하여 상기 지지돌부가 상기 스크린보드에 밀착되었을 때 마찰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와 몸체가 체결 가능하도록 상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돌부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고정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개재한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가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하단부에 체결공을 관통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보드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따르면, 파티션 상단에 별도로 스크린보드를 설치 시 파티션 상단(최상단에 위치하는 수평프레임의 상단)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도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래킷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수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로 된 한쌍의 고정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상기 스크린보드를 해체 시에도 파티션 상단에 흠집이 생기지 않아 외관이 양호하며, 또한 다수의 고정브래킷을 스크린보드의 일측에 미리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등 다른 작업자의 도움 을 받지 않고 1인이 작업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적이라는 장점을 지닌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d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스크린이 설치된 파티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 내지 도4d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보드를 파티션 프레임에 설치하는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수직프레임(100) 및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 파티션(P)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복수 이상의 고정브래킷(20)에 의해 소정 높이의 스크린보드(10)가 고정 지지되며,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상기 수평프레임(200) 상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되,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파티션(P)은 공지의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다수의 수평프레임(200)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전,후방에는 각각 전,후면패널(300a,300b)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최상단부는 후술하는 고정브래킷의 걸림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전,후면패널(300a,300b)에 비해 전,후방으로 소정 간격 돌출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프레임(200)의 상단에는 스크린보드(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크린보드(10)는 직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크릴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보드(10)는 좌우 양측 하단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2결합공(11,12)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볼트 및 체결볼트에 의해 고정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상기 수평프레임(200) 상단에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지지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두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한쌍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고정브래킷(2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알루미늄 캐스팅 재질로 된 몸체(21)를 가진다.
상기 몸체(21)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린보드를 향해 직각으로 지지돌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22)의 내측면에는 완충재(25)가 별도로 부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지지돌부(22)가 상기 스크린보드(10)에 밀착되었을 때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스크린보드가 마찰에 의해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이때, 상기 완충재(25)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의 내측 중간부에는 상기 스크린보드(10)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21)를 서로 결합하도록 상기 스크린보드를 향해 직각으로 고정돌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부(23)는 소정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직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상단부에는 오목하게 고정수납홈(26p)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수납홈의 중앙부에는 고정볼트(27)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10)와 몸체(21)가 체결 가능하도록 소정 깊이의 고정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사이에 두고 양측 고정브래킷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볼트(27)가 상기 스크린보드(10)를 관통하여 일측 고정브래킷의 고정홈(26)에 체결 후 상기 스크린보드의 반대측에 타측 고정브래킷을 접하도록 하여 서로 결합 시 상기 고정볼트(27)의 머리부가 상기 고정수납홈(26p)에 수용되어 상기 스크린보드와 고정브래킷의 사이가 들뜨지 않고 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26)의 내주연은 탭 가공(tapping)에 의해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복수의 고정브래킷(20)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10)를 파티션(P) 상단에 설치할 경우, 상기 탭 가공된 고정홈(26)에 상기 고정볼트(27)를 미리 끼워서 걸어준 상태에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스크린보드와 고정브래킷이 일체화 되어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받을 필요 없이 1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크린보드(10)를 개재한 양측 몸체(21)가 체결볼트(29) 및 체결너트(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체결공(2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24)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몸체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보드(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상기 걸림부(24)는 본 고안의 양측 고정브래킷(20)이 상기 스크린보드(1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결합되었을 때 그 내주면이 상기 수평프레임 상단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크린보드(10)가 상기 파티션 상단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21)의 하단부에서 걸림부(24)로 연장되는 부분의 저면부에는 단턱(31)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31)에 의해 자연스럽게 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브래킷의 몸체(21)를 수평프레임(200) 상단에 안착 후 체결볼트(29)로 체결 시 조임력이 증대되어 상기 스크린보드(10)가 상기 수평프레임(200)으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무실 내에서 책상 전방에 설치된 파티션의 차단 높이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파티션 상단에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래킷(20a,20b)으로 스크린보드(10)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린보드(10)를 파티션 수평프레임(200) 상단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쌍 이상의 고정브래킷을 필요로 하지만,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4a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고정브래킷(20a,20b)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스크린보드(10)의 일면에 일측 고정브래킷(20a)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고정브래킷의 몸체(21a)를 상기 스크린보드(10)의 일면에 접하도록 한 후, 고정볼트(27)를 상기 스크린보드(10)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상기 스크린보드 상의 결합공(1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돌부에 형성된 고정홈(26)에 끼워 결합한다(도4a 참조).
이때, 다수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고정브래킷을 상기 스크린보드에 각각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스크린보드와 다수의 고정브래킷이 일체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린보드(10)에 상기 일측 고정브래킷(20a)을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의 도움 없이 1인의 작업자가 상기 고정브래킷의 걸림부(24a)가 수평프레임(200)의 상단에 걸리도록 용이하게 안착시킨다(도4b 참조).
이어서 상기 스크린보드(10)의 다른 일면에 타측 고정브래킷(20b)을 고정시키는데, 상기 고정브래킷의 걸림부(24b)가 수평프레임(200)의 상단에 걸리도록 안 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몸체(21b)를 상기 스크린보드의 다른 일면에 접하도록 한 후, 체결볼트(29)를 양측 고정브래킷의 고정돌부에 형성된 체결공(28) 및 상기 스크린보드 상의 결합공(12)을 관통하여 체결너트(30)와 체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일측 고정브래킷(20a)의 고정홈(26)에 체결된 고정볼트(27)의 머리부는 상기 타측 고정브래킷(20b)의 고정돌부에 형성된 고정수납홈(26p)에 수용되면서 상기 스크린보드(10)와 타측 고정브래킷(20b)의 사이가 들뜨지 않고 밀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타측 고정브래킷(20b)의 몸체(21b)에 의해 바깥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어 겉보기가 깔끔해지며(도4c 참조), 이에 따라 암수 구분 없이 동일한 형태의 고정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양측 고정브래킷(20a,20b)에 의해 스크린보드(10)가 파티션 수평프레임(200) 상단에 고정 설치된다(도4d 참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정브래킷(20a,20b)에 의해 책상 전방에 설치된 파티션(P) 상단에 보조 스크린보드(10)가 설치됨에 따라 차단 효과가 증진되어 평상 시 책상 앞에 앉아 일을 할 때 맞은 편에 앉은 사람의 시선이나 건너편의 상황이 보이지 않게 되어 업무에 좀더 몰입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스크린이 설치된 파티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4a 내지 도4d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보드를 파티션 수평프레임에 설치하 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스크린보드 11,12 : 제1,2결합공
20 : 고정브래킷 21 : 몸체
22 : 지지돌부 23 : 고정돌부
24 : 걸림부 25 : 완충재
26 : 고정홈 26p : 고정수납홈
27 : 고정볼트 28 : 체결공
29 : 체결볼트 30 : 체결너트
31 : 단턱

Claims (5)

  1.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파티션에 있어서,
    좌우 양단 하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2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스크 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상기 수평프레임 상단에 고정하도록 복수 이상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두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한쌍을 이루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와, 상기 스크린보드의 일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와, 상기 스크린보드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를 상기 결합공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중간부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스크린보드에 밀착되었을 때 마찰에 의해 상기 스크린보드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그 내측면에 완충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스크린보드와 몸체가 상기 제1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 가장자리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돌부의 상단부에 오목하 게 형성된 고정수납홈 및 상기 스크린보드를 사이에 두고 양측 고정브래킷의 몸체가 상기 제2결합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보드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되 단부가 절곡되어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저면부에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보드가 수평프레임 상단에 상기 체결볼트로 고정 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KR2020080003170U 2008-03-11 2008-03-11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KR200449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0U KR200449743Y1 (ko) 2008-03-11 2008-03-11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0U KR200449743Y1 (ko) 2008-03-11 2008-03-11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28U true KR20090009228U (ko) 2009-09-16
KR200449743Y1 KR200449743Y1 (ko) 2010-08-05

Family

ID=4153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70U KR200449743Y1 (ko) 2008-03-11 2008-03-11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527B1 (ko) 2023-02-27 2024-02-21 김관용 파티션용 시트 합착체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486B2 (ja) 2001-06-29 2004-09-02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間仕切壁へのアッパーボードの取り付け装置
KR20030014076A (ko) * 2001-08-10 2003-02-15 최승국 비트 리킹 방식의 포인터 조정 동기 장치
SE0102808D0 (sv) * 2001-08-22 2001-08-22 Astrazeneca Ab New compounds
KR200314076Y1 (ko) 2003-03-05 2003-05-22 주식회사 퍼시스 보조 스크린 판을 구비한 칸막이
JP4358772B2 (ja) 2005-03-24 2009-11-04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延長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36723Y1 (ko) * 2006-12-27 2007-09-27 주식회사 퍼시스 스파인 가구의 보조스크린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43Y1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251B1 (en) Double end frame
US20210059408A1 (en) Wine rack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677681A (zh) 人机工程学的监视器支承装置
KR200449743Y1 (ko) 파티션용 상부 스크린의 고정구조
US20080000595A1 (en) Button-up window treatment
JP2008012201A (ja) 接客用カウンター装置
KR200490788Y1 (ko) 테이블 파티션
KR101336598B1 (ko) 조립식 파티션
JP3879826B2 (ja) 枠状家具
KR101795776B1 (ko) 가구용 기둥
JP4171458B2 (ja) ガラス間仕切装置
JP6124553B2 (ja) デスク
JP4163594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棚板の取付構造
JP2017086440A (ja) 天板付き什器
KR101676994B1 (ko) 책상 스크린설치용 고정브라켓
JP2002227436A (ja) 構造体
JP4745644B2 (ja) 間仕切装置
KR101367372B1 (ko) 버스용 모니터 고정 브라켓
CA2974580C (en) Corner bracket
JP4188766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0365350Y1 (ko) 파티션 책상용 칸막이
JP6803203B2 (ja) 天板付き什器
JP2016532493A (ja) ラックシステムにおけるラック壁のための溝形システム
KR100946337B1 (ko) 스크린 파티션 및 책상 설치용 고정구
JPH04465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