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887U -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887U
KR20090008887U KR2020080002755U KR20080002755U KR20090008887U KR 20090008887 U KR20090008887 U KR 20090008887U KR 2020080002755 U KR2020080002755 U KR 2020080002755U KR 20080002755 U KR20080002755 U KR 20080002755U KR 20090008887 U KR20090008887 U KR 200900088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ok
main body
fastening por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강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2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887U/ko
Publication of KR20090008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8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메인몸체(10)와, 상기 메인몸체(10)에 결합되어 메인몸체(10)의 일측을 차폐하는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버(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걸이공(13)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버(20)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체결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부(30)는 상기 체결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걸이공(13)의 양측에 걸어진다. 상기 탄성체결부(30)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체결부(30)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체결부(12)로부터 분리되도록 손잡이부(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20)에 형성된 탄성체결부(30)가 커버(20)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외력에 의해 탄성체결부(30)가 커버(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박스와 장착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박스의 커버결합구조{Cover fastening structure for box}
본 고안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에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와 함께 와이어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와이어 프로텍터와 같은 박스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수납되는 정션박스를 비롯하여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박스가 다수개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1)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릴레이와 퓨즈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들이 장착되거나, 와이어들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외면에는 걸이턱(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의 탄성체결부(7)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탄성체결부(7)를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몸체(2)에는 커버(5)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5)는 상기 메인몸체(2)의 상부에 결합되어 메인몸체(2)에 장착된 각종 부품들 또는 와이어들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5)에는 탄성체결부(7)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부(7)는 상기 커버(5)의 가장자리를 둘러 상기 메인몸체(2)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부(7)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결부(7)는 상기 걸이턱(3)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걸이턱(3)에 걸어져 커버(5)와 메인몸체(2)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결부(7)는 상기 메인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걸이턱(3)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체결부(7)와 걸이턱(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걸이후크(7)는 상기 걸이턱(3)에 걸어지기 위하여 상기 커버(5)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커버(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후크(7)를 상기 커버(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7)는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는 상기 커버(5)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커버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체결부가 구비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를 메인몸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몸체 또는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걸이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체결부가 구비되는 메인몸체 또는 커버와 대응되는 커버 또는 메인몸체의 외면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의 양측에 걸어지고,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결부의 외면에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부는, 상기 커버 또는 메인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그 기저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몸체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각각 연장되며, 그 외면에는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의 양측에 각각 걸어지는 걸이턱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걸이턱의 선단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양측의 걸이후크의 것이 상기 걸이턱으로 향할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커버에 형성된 탄성체결부가 커버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외력에 의해 탄성체결부가 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박스와 장착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작업자는 용이하게 커버를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탄성체결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탄성체결부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고, 탄성체결부가 체결부에 형성된 걸이공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삽입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도 하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몸체 12: 체결부
13: 걸이공 20: 커버
30: 탄성체결부 31: 몸체
32: 걸이후크 34: 걸이턱
34': 안내경사면 36: 손잡이부
38: 변형공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가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정션박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몸체(10)는 박스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져, 퓨즈나 릴레이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체결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는 상기 메인몸체(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체결부(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부(12)의 외관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2)에는 탄성체결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결부(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걸이공(1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1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체결부(30)의 걸이후크(32)가 상기 걸이공(13)의 양측에 걸어짐으로써, 탄성체결부(30)는 상기 체결부(1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10)에 실장된 각종 부품들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부(12)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20)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탄성체결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결부(30)는 상기 체결부(12)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커버(20)를 상기 메인몸체(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체결부(30)의 골격은 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31)는 상기 커버(2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31)는 그 일측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32)의 기저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걸이후크(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31)에는 걸이후크(3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몸체(31)로부터 상기 메인몸체(1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체결부(12)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커버(20)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몸체(31)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몸체(31)에 그 기저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몸체(31)가 상기 커버(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들 통해, 작업자는 상기 두 걸이후크(32)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 상기 커버(20)의 외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탄성변형시켜, 상기 체결부(12)로부터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34)을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걸이후크(32)의 외면에는 걸이턱(34)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체결부(12)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몸체(10)에 상기 커버(2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두 걸이후크(32)가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되었다가 복원될 때,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각각 상기 걸이공(13)의 양측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탄성체결부(30)는 상기 체결부(1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턱(34)에는 상기 걸이후크(32)의 선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3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4')은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상기 걸이후크(32)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이턱(34)이 상기 걸이공(13)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걸이후크(32)의 외면에는 손잡이부(36)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6)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6)의 선단과 상기 걸이턱(34)의 선단 사이의 수직거리(H)는 상기 체결부(12)의 두께(t)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삽입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36)는 각각의 상기 걸이후크(32)의 자유단부로부터 기저부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6)는 양측의 걸이후크(32)의 것이 상기 걸이턱(34)으로 향할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걸이후크(32)를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고 이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후크(32)의 사이에는 변형공간(38)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38)은 상기 걸이후크(32)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여유공간에 해당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커버결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20)가 상기 메인몸체(10)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커버(20)의 탄성체결부(30)를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부(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특히,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 입구 측에 상기 탄성체결부(3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상기 메인몸체(10) 쪽으로 눌러주면,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체결부(3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턱(34)에 형성된 안내경사면(34')은 상기 걸이공(13)의 내면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결부(30)와 체결부(12)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체결부(30)의 걸이후크(32)가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한편, 상기 두 걸이후크(32)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이턱(34)이 각각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이후크(32)는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걸이공(13)의 양측에 각각 걸어짐으로써, 상기 커버(20)는 상기 메인몸체(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체결부(3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과 평행하게,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또한 상기 체결부(12)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외력이 메인몸체(1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상기 탄성체결부(3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탄성체결부(30)와 체결부(1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외력이 커버(20)의 상면을 향해 작용하더라도, 상기 손잡이부(36)가 상기 체결부(12)의 외면에 지지되므로,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메인몸체(1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12)에 과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걸이후크(32)를 상기 체결부(12)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부(36)를 상기 걸이후크(32)가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눌러야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6)를 누르는 동시에 상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체결부(12)의 걸이공(13)으로부터 빠지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부(12)는 메인몸체(10)에 형성되고, 탄성체결부(30)는 커버(20)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체결부(12)는 커버(20)에 형성되고, 탄성체결부(30)는 메인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외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몸체 또는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걸이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그리고
    상기 체결부가 구비되는 메인몸체 또는 커버와 대응되는 커버 또는 메인몸체의 외면 가장자리에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의 양측에 걸어지고, 상기 커버 또는 메인몸체의 외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탄성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결부의 외면에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부는,
    상기 커버 또는 메인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그 기저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몸체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각각 연장되며, 그 외면에는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공의 양측에 각각 걸어지는 걸이턱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걸이턱의 선단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체결부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측의 걸이후크의 것이 상기 걸이턱으로 향할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을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20080002755U 2008-02-29 2008-02-29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0900088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755U KR20090008887U (ko) 2008-02-29 2008-02-29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755U KR20090008887U (ko) 2008-02-29 2008-02-29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87U true KR20090008887U (ko) 2009-09-02

Family

ID=4130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755U KR20090008887U (ko) 2008-02-29 2008-02-29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88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937A (ko) 차량용 박스
JP2007213963A (ja) 電気器具の端子装置
KR20090008887U (ko)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100001181U (ko) 차량용박스
KR200441440Y1 (ko)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100122257A (ko) 박스의 결합장치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20110017261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00000357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90132974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5798499B2 (ja) 電気接続箱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200449876Y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0441887Y1 (ko) 박스의 와이어 고정구조
KR200439566Y1 (ko) 정션박스의 커버
KR20100010712U (ko) 박스
KR2010012051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100944013B1 (ko) 박스
KR101840465B1 (ko) 버스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KR20090043382A (ko)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090006798U (ko) 커넥터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