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301A -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301A
KR20090008301A KR1020087026527A KR20087026527A KR20090008301A KR 20090008301 A KR20090008301 A KR 20090008301A KR 1020087026527 A KR1020087026527 A KR 1020087026527A KR 20087026527 A KR20087026527 A KR 20087026527A KR 20090008301 A KR20090008301 A KR 2009000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
slots
nth
reservation request
rese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722B1 (ko
Inventor
천-팅 초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0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6Resource reser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6Involving periods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77Multiple interfaces, e.g. multihomed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04L47/72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at intermediate nodes, e.g.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RSV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610)을 예약하는 방법(400)은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로부터의 제1의 홉 예약 요청을 제2 디바이스(11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제1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을 식별한다. 그 다음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의 홉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킨다. 이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상기 목적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후속 메시지를 수신한다.

Description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METHOD OF RESERVING RESOURCES WITH A MAXIMUM DELAY GUARANTEE FOR MULTI-HOP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의 멀티-홉 통신을 위해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확산(proliferation)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예컨대, 인가되지 않은 트랜스미터가 인가된 지상 텔레비전 신호의 수신을 전혀 간섭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세이프가드(safeguards)를 포함하는 한, FCC는 상기 인가되지 않은 무선 트랜스미터로 하여금, 할당된 지상 텔레비전 채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위치에서 방송 텔레비전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제안해 왔다. 다양한 조직들(organizations)이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허용된 비인가 무선 디바이스 동작을 이용하기 위해 초광대역(UWB : ultrawideband) 무선 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1
얼라이언스는 UWB 기술에 기초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규격을 개발해 왔다. 예컨대,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2
MAC 규격은 소위,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s : personal area networks)와 같은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는 디바이스 간에 고속의 단일-홉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완전히 분산된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한편, 2005년 12월에, 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ECMA)은 ECMA-368을 공개했는데, 이 "High Rate Ultra wideband PHY and MAC Standard"는 휴대형 및 고정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고속이며 짧은 범위의 분산형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초 광대역 물리층(PHY : physical layer) 및 분산형 MAC 서브층에 대해 상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기 또는 노드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 리소스(예컨대, 예약-기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서의 시간 슬롯)로의 액세스를 관리 또는 제어하는 중앙 제어기, 기지국, 마스터 스테이션 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무선 네트워크는 "분산형 액세스"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전송 전력에 대한 규정 제한으로 인해, 현행의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3
MAC를 이용하는 디바이스의 전송 범위가 제한되고 물리적인 전송 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된다. 따라서 전송 범위 제한으로 인해,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에 존재하는 하나의 디바이스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이들 두개의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너무 큰 거리차로 떨어져 있을 경우, 불가능하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두개의 디바이스가 더 가까이 함께 존재할 수 있을 경우, 전송이 가능할 수 있지만 오직 감소된 데이터 속도로만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당한 거리차로 서로 멀리 위치한 디바이스들이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전력 제한에 의해 지원되는 것보다 더 높은 데이터 속도로 서로에게 그리고 서로로부터 데이터를 릴레이/포워딩할 수 있다는 점이 아주 바람직한 많은 적용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분산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두개의 디바이스가 직접 무선 전송을 위해 물리적으로 너무 큰 거리차로 떨어져 있을 경우라도, 이 분산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스펙트럼 효율을 지지하는 그러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에서 디바이스로의 멀티-홉 전송을 위해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을 갖는 예약-기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을 예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목적 디바이스와 다른 제2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홉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의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의 제1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되는 X 개의 슬롯을 식별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의 홉 예약 요청이 임박(pending)하다는 사실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1의 홉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을 갖는 예약-기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을 예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N 번째 디바이스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 번째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N-1) 번째 디바이스와 N 번째 디바이스 사이의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하도록 제안되는 X 개의 슬롯을 식별한다.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되는 X 개의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방법은:
- (N-1) 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 번째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N-1) 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 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 번째 디바이스로부터의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로서, 상기 N 번째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와 N 번째 디바이스와 (N+1) 번째 디바이스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을 식별하고, 상기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은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1) 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과는 다른,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방법은 또한:
- (N-1)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되고, 예약 요청이 거부되는 것을 가리키는 N 번째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메쉬 DRP 정보 구성요소(IE : information element)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메쉬 무선 네트워크에서 앤드-대-앤드 멀티-홉 예약 협상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목적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을 예약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총 M 개의 디바이스를 갖는 멀티-홉 릴레이에서, N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여기서, 2≤N≤M).
도 6은 슈퍼프레임을 이용하는 멀티-홉 전송을 위해 조정된 MAS 할당의 일부 예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 시스템의 다양한 원리와 특징이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예시의 목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약-기반의 분산된 액세스 프로토콜(reservation-based distributed access protocols)로 동작하는 인가되지 않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해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아래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4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방법 및 기술은 예약-기반 프로토콜 을 이용하는 다른 분산된 액세스의 경우에 그리고 심지어 유선 기간(wired backbone)을 통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지금부터 분산된 액세스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personal area network)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한 두 디바이스가 이 두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전송 전력 및 거리의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 데이터 속도로 서로에게 그리고 서로로부터 데이터를 릴레이/포워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펙트럼 효율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전송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즉,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이용하는 것), 메쉬 인에이블(mesh-enabled)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이 제공된다. 상기 메쉬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5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는 본질적으로 일부 디바이스를 갖는 멀티-홉의 분산된 PAN인데, 상기 디바이스는 이들의 이웃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패킷)을 릴레이 및 포워딩한다.
예컨대, 도 1은 복수의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쉬 인에이블 디바이스(110B, 110C)는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시작된 프레임을 이의 목적 디바이스(110D)에 릴레이할 수 있는데, 이 목적 디바이스는 단일-홉 전송을 통해서는 디바이스(110A)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다.
두개의 중요한 매커니즘 즉, 경로/패스(path) 발견 및 멀티-홉 매체 시간 예 약은 메쉬 PAN을 구현하는데 필요하다. 경로/패스 발견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의 주제가 아니며, 이어질 상세한 설명을 전체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측정규준(metrics)에 기초한 최적의 경로가 이미 결정되었음을 가정한다.
이어질 상세한 설명은 대신에 멀티-홉 매체 시간 예약에 집중한다. 현재
Figure 112008075201210-PCT00006
MAC 규격에서 분산된 예약 프로토콜(DRP: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이 지연에 민감한 응용을 위해 예약-기반 전송을 가능하게 할 때, 유사한 매커니즘이 또한 멀티 홉 환경에서 이점으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선택된 경로를 따른 디바이스로 하여금 (1) 프레임 드롭핑을 피하기 위해 프레임(패킷)을 릴레이하기 위한 동일한 또는 충분한 양의 매체 액세스 슬롯(MAS : medium access slots)을 예약하고, (2) 이러한 MAS를 멀티-홉 전송에 소개되는 추가적인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선택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메쉬 DRP"로 언급된) 새로운 예약 프로토콜이 이러한 두개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메쉬 DRP의 목적은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라 앤드-대-앤드 매체 시간 예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특징이 제공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프레임(예컨대, 비컨)에 포함될 수 있는 메쉬 DRP 정보 구성요소(IE)(2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IE(200)는 Element ID 필드, Length 필드, DRP Control 필드, 및 Target/Owner DevAddr 필드를 포함하는 몇몇의 필드로 나눠진다. 상기 선택된 경로를 따른 다수의 노드 또는 디바이스가 멀티-홉 예약에 관련되기 때문에, 홉-바 이-홉(hop-by-hop)에 기초하여 협상이 실행된다. 상기 연관되는 디바이스 즉, 소스 또는 목적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이 디바이스가 경로를 따라 제1 또는 마지막 홉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두개의 필드 소위, Source DevAddr 및 Destination DevAddr은 메쉬 DRP IE에 포함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ource DevAddr은 상기 메쉬 예약을 개시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DevAddr이다. 반면에 상기 Destination DevAddr은 상기 프레임(데이터 패킷)이 향하는 목적 디바이스의 DevAddr이다. 마지막으로, IE(200)는 1 내지 n 개의 필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필드는 DRP Allocation (i)을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의 멀티-홉 전송을 위한 예약 협상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첫째, 상기 소스 디바이스(예컨대, 도 1에서의 디바이스 110A)는 그 자신과 자신의 넥스트-홉(next-hop) 디바이스(즉, 제2 디바이스) 사이에 요구되는 매체 액세스 슬롯(MAS)을 예약한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 디바이스(110A)의 넥스트-홉(next-hop) 디바이스는 디바이스(110B)일 것이다. 상기 제안된 MAS가 제2 디바이스(110B)에서 이용 가능할 경우에, 제2 디바이스(110B)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로 설정된 Target/Owner DevAddr과 "임박함(Pending)"으로 설정된 Reason Code를 갖는 수신된 메쉬 DRP IE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 전송할 것이다. 만약 상기 제안된 MAS가 제2 디바이스(110B)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제2 디바이스는 적절한 Reason Code를 갖는 메쉬 DRP IE를 포함하는 응답을 소스 디바이스(110A)에 전송할 것인데, 이 응답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의 예약 요청이 거절됨(denied)을 가리킨다. 전자의 경우에, 제2 디바이스(110B)는 그 자신의 넥스트-홉 디바이스(즉, 제3 디바이스)와 함께 동일한 양의 MAS과 동일한 스트림 인덱스를 갖는 새로운 예약을 또한 개시할 것인데, 이는 상기 수신된 메쉬 DRP IE에 있는 Destination DevAddr에 기초해서 추론된다. 도 1에서 도시된 예에서, 디바이스(110B)의 넥스트-홉 디바이스는 디바이스(110C)일 것이다. 상기 제안된 MAS가 제3 디바이스(110C)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110B)에서와 똑같이 반응할 것이다. 상기 Reason Code가 "임박함(Pending)"이 아닐 때마다, 경로 상의 제3 디바이스(110C)의 이웃(예컨대, 디바이스 110B)은 (Source DevAddr, Destination DevAddr 및 스트림 인덱스)에 의해 상술되는 현존하는 메쉬 DRP IE에서 Reason Code를 그에 맞게 갱신해야한다. 이러한 동작은 이웃, 이웃의 이웃 등이 동일한 절차를 따를 것이라는 의미에서 반복적이다. 상기 목적 디바이스(예컨대, 목적 디바이스 110D)가 상기 메쉬 DRP IE를 수신하고 자신의 이웃(예컨대, 제3 디바이스 110C)에 의해 개시된 예약을 수락할 때, 상기 Reason Code는 "수락됨(Accepted)"로 설정된다. 다음의 여러 슈퍼프레임에서, 경로 상의 모든 다른 디바이스(100)(디바이스 110C 및 110B)는 "임박함(Pending)"에서 "수락됨(Accepted)"로 상기 Reason Code를 변경할 것이다. 소스 디바이스(110A)가 "수락됨(Accepted)"으로 설정된 Reason code를 갖는 메쉬 DRP IE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의 전송이 시작될 수 있다.
도 3은 제안된 앤드-대-앤드 멀티-홉 예약 협상의 일부 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을 예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예에서, 단순함의 이유로, 제3 디바이스는 목적 디바이스이라는 점이 가정되지만, 그러나 물론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에 임의 개수의 릴레이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단계(410)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목적 디바이스와 다른 제2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1 홉 예약 요청을 보낸다. 상기 제1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제1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을 식별한다.
단계 415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1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420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 메시지는 제1 홉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킨다.
단계 425에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홉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킨다.
단계 430에서, 제2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3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2 홉 예약 요청을 보낸다. 상기 제2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 스 사이의 제2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을 식별한다. 이점으로서, 제2 홉을 위한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은 제1 홉을 위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과는 다르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점으로서 제2 디바이스는 제1 홉을 위한 소스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 이후에 제2 홉을 위해 슈퍼프레임에서 제1의 이용 가능한 X 개의 슬롯을 선택한다.
단계 435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440에서, 제3 디바이스(즉, 목적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상기 제2 메시지는 제2 홉 예약 요청이 수락되고,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킨다. 상기 제3 디바이스가 목적 디바이스가 아닐 경우에, 제2 메시지는 제2 홉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다는 사실만을 표시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3 디바이스는 다음 디바이스에 그 자신의 예약 요청을 보낼 것이고, 이는 상기 목적 디바이스에 도착하거나 또는 체인(chain)에서의 예약 요청이 어떠한 이유로 거절될 때 까지 반복될 것이다.
단계 445에서,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3 디바이스로부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상기 제2 메시지는 제2 홉 예약 요청이 수락되고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 리킨다.
그러한 경우에, 단계 450에서, 제2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후속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 후속 메시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1 홉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가리킨다.
그 다음 단계 455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이 후속 메시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제1 홉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가리킨다.
이 시점에서, 상기 멀티-홉 예약이 확인되고 소스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로의 제1 홉을 위해 초기에 확인했던 X 개의 MAS를 이용하여 목적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홉 릴레이 시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에 M 개의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M 개의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이 멀티-홉 릴레이를 위한 예약을 수립하는데 참여한다.
멀티-홉 릴레이에서 N 번째 디바이스를 고려한다(여기서, 2≤N≤M).
이러한 경우에,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계 515에서 N 번째 디바이스는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번째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N-1)번째 디바이스와 N 번째 디바이스 사이의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예컨대, MAS)을 식별한다. (N-1)번째 홉 예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계 517에서, N 번째 디바이스는 N-1)번째 디바이스와 N 번째 디바이스 사이의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한다.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단계 520에서 N 번째 디바이스는 (N-1)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번째 디바이스로부터의 (N-1)번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N-1)번째 메시지는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N-1)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킨다. 그 다음 단계 530에서, N 번째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낸다. N 번째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 목적 디바이스 및 N번째 디바이스와 (N+1)번째 디바이스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슬롯을 식별한다. N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은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1)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과는 다르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점으로서 N 번째 디바이스는 (N-1)번째 홉을 위해 (N-1)번째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 이후에, N 번째 홉을 위해 슈퍼프레임에서 제1의 이용 가능한 X 개의 슬롯을 선택한다. 계속해서, 단계 545에서, N번째 디바이스는 N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1)번째 디바이스로부터의 N번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N번째 메시지는 예약 요청이 임박한지에 대한 여부 또는 이 예 약 요청이 거부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가리킨다. N번째 디바이스가 상기 예약 요청이 임박하다는 사실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후에 단계 550에서 N번째 디바이스는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에 의해 수락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또는 이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운스트림 디바이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거절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가리키는 후속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단계 518에서,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N번째 디바이스는 (N-1)번째 디바이스에 어드레싱된 (N-1)번째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N-1)번째 메시지는 예약 요청이 거부되는 것을 가리킨다.
위에서 설명된 멀티-홉 협상이 충분한 양의 MAS가 선택된 경로를 따라 예약되는 것을 보장하더라도, 프레임(패킷)은 단일-홉의 경우에서 보다 더 긴 지연을 경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슈퍼프레임에 있는 이웃으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은 다음의 슈퍼프레임에 있는 넥스트-홉 디바이스에 보통 릴레이/포워딩(forwarded)된다. 그러므로 전송 에러가 전혀 없다는 것을 가정하면, 프레임 지연의 가장 나쁜 경우는 선택된 경로 상에서 홉의 개수에 비례한다. 지연에 민감한 트래픽에 대해, 이것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메쉬 전송에 의해 발생되는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점으로서 경로를 따라 디바이스에 의한 MAS의 할당이 약간 조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메쉬 전송이 단일 방향성 즉, 소스 디바이스에서 시작하고 목적 디바이스에서 끝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하나의 홉 더 근접한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홉 더 떨어진 디바이스의 관점perspective)으로부터 업스트림한 디바이스로 간주된다. 이의 업스트림 디바이스로부터 메쉬 DRP IE를 체인에 있는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경우에, 이 디바이스는 상기 메쉬 DRP IE에 의해 식별된 MAS의 할당(예컨대, X 개의 MAS)을 검사할 것이다. X 개의 MAS가 디바이스에 의한 다운스트림 예약에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는, 가능 하다면, 다음의 이용 가능한 X 개의 MAS를 예약할 것인데, 이는 바로 이웃하는(immediate) 업스트림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X 개의 MAS 이후에 발견된다. 이렇게 하여, 디바이스는 상기 동일한 슈퍼프레임 내에 있는 자신의 업스트림 디바이스에서 자신의 다운스트림 디바이스로 수신되는 프레임(패킷)을 릴레이/포워딩할 수 있다. 그 디바이스가 바로 이웃하는 업스트림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 X 개의 MAS 이후에 슈퍼프레임에서 이용 가능한 X 개의 MAS를 갖지 않는다면, 이 디바이스는 슈퍼 프레임에서 찾을 수 있는 제1의 이용 가능한 X 개의 MAS를 예약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멀티-홉 연결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 대해 반복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프레임(패킷)은 최소한의 지연으로 소스 디바이스에서 목적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도 6은 슈퍼프레임(600)에 있는 MAS(610)를 이용하여 조정된 MAS 할당의 일부 예를 예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은 본 명세서에 있는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를 검사한 이후에 당업자에게 분명해 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를 제외하고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분야에 이용가능 하며, 더 상세하게는,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소스 디바이스와 목적 디바이스 사이의 멀티-홉 통신을 위해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에 이용가능 하다.

Claims (19)

  1. 복수의 슬롯(610)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600)을 갖는 예약-기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내에서, 소스 디바이스(110A)로부터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X 개의 슬롯(610)을 예약하는 방법(400)으로서,
    -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목적 디바이스(110D)와 다른 제2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된 소스 디바이스(110A)로부터의 제1의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410)로서, 상기 제1의 홉 예약 요청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와 제2 디바이스(110) 사이의 제1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되는 슬롯(610)을 식별하는, 제1의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410)와,
    -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상기 제1의 홉 예약 요청이 임박(pending)하다는 사실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이 제2 디바이스(110)에 의해 예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소스 디바이스(110A)에 어드레싱된, 상기 제2 디바이스(110)로부터의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425)와,
    -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의 제1의 홉 예약 요청에 대응하는 목적 디바이스(110D)에 의해 수락되었다는 사실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11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10A)에 어드 레싱된 후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455)를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 제2 디바이스(110)에서 제1의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415)와,
    -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상기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3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된, 제2 디바이스(110)로부터의 제2의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430)로서, 상기 제2의 홉 예약 요청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 및 제2 디바이스(110)와 제3 디바이스(110) 사이의 제2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610)을 식별하는, 제2의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4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홉을 위한 제2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은 제1 홉을 위한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과 다른, 슬롯 예약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 제2 디바이스(110)에서, 제2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된 제3 디바이스(110)로부터의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제2 홉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이 제3 디바이스(110)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키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 제2 디바이스(110)에서, 제3 디바이스(110)로부터 제2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110D)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가리키는, 후속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445)를
    더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110)는 목적 디바이스(110D)인, 슬롯 예약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110A)는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이용 가능한 슈퍼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소스 디바이스(110A)와 제2 디바이스(110) 사이의 제1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으로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2 디바이스(110)는 제2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제2 디바이스(110A)와 제3 디바이스(110) 사이의 제2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2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으로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번째 홉 예약 요청을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로서, (N-1) 번째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 및 (N-1) 번째 디바이스(110)와 N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을 식별하는, (N-1)번째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목적 디바이스(110D)에 어드레싱된 N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의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로서, 상기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 및 N 번째 디바이스(110)와 목적 디바이스(110D) 사이의 마지막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을 식별하고, 상기 마지막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은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과는 다른, 마지막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와,
    - 목적 디바이스(110D)로부터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예약 요청이 상기 목적 디바이스(110D)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가리키는, N 번째 메시지를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N 번째 디바이스(110)는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N 번째 디바이스(110)와 목적 디바이스(110D) 사이의 마지막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으로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1)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번째 홉 예약 요청을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N-1)번째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와 (N-1)번째 디바이스(110)와 N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610)을 식별하는, (N-1)번째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2)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와 N 번째 디바이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610)을 식별하는 N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의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로서, 상기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은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과는 다른, N 번 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와,
    (3) (N+1)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N 번째 메시지는 예약이 임박하고,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이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키는, N 번째 메시지를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N 번째 디바이스(110)는 상기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상기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N 번째 디바이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멀티-홉 릴레이에서 소스 디바이스(110A)와 목적 디바이스(110D) 사이에 M 개의 디바이스(110)가 존재하는데, 단계 (1) 내지 (3)는 각각의 N 개의 디바이스(110)에 대해 반복되는(여기서, 2≤N≤M), 슬롯 예약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모든 N 개의 디바이스(110)에 대해(여기서 2≤N≤M-1), N 번째 디바이스(110)는,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N 번째 디바이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으로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소스 디바이스(110A)는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이용 가능한 슈퍼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소스 디바이스(110A)와 제2 디바이스(110) 사이의 제1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소스 디바이스(110A)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으로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14. 복수의 슬롯(610)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600)을 갖는 예약-기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00) 내에서,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슬롯(610)을 예약하는 방법(500)으로서,
    (1) 소스 디바이스(110A)에서 멀티-홉 릴레이를 통해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1) 번째 홉 예약 요청을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로서(515), 상기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 스(110D) 및 상기 (N-1) 번째 디바이스(110)와 N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1)번째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610)을 식별하는, (N-1) 번째 홉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515)와,
    (2)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이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
    (2a) N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이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키는, (N-1) 번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20)와,
    (2b) 소스 디바이스(110A)로부터 목적 디바이스(110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N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N 번째 홉 예약 요청은 소스 디바이스(110A), 목적 디바이스(110D)와 N 번째 디바이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을 식별하는,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530)로서, 상기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은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과는 다른, N 번째 홉 예약 요청을 보내는 단계(530)와,
    (3) (N-1)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될 X 개의 제안 슬롯(610)이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에, N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예약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가리키는, (N-1) 번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18)를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멀티-홉 릴레이에서 소스 디바이스(110A)와 목적 디바이스(110D) 사이에 M 개의 디바이스(110)가 존재하는데, 단계 (1) 내지 (3)는 각각의 N 개의 디바이스(110)에 대해 반복되는(여기서, 2≤N≤M), 슬롯 예약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모든 N 개의 디바이스(110)에 대해(여기서 2≤N≤M-1), N 번째 디바이스(110)는,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N 번째 디바이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N 번째 디바이스(110)는,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이용 가능하지만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되는 X 개의 슬롯(610) 이후에 슈퍼프레임(600)에서 발견되는 슈퍼 프레임(600)에 있는 제1의 X 개의 슬롯(610)을, N 번째 디바이 스(110)와 (N+1) 번째 디바이스(110) 사이의 N 번째 홉을 위해 예약되도록 선택하는, 슬롯 예약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단계 (2b) 이후에:
    (2c) (N+1)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예약 요청이 임박하고,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안된 X 개의 슬롯(610)이 (N+1) 번째 디바이스(110)에 의해 예약되었음을 가리키는, N 번째 메시지를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545)를 더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단계 (2c) 이후에:
    (2d) (N+1) 번째 디바이스(110)로부터 N 번째 디바이스(110)에 어드레싱되고 예약 요청이 목적 디바이스(110D)에 의해 수락되었음을 가리키는, N 번째 메시지를 N 번째 디바이스(110)에서 수신하는 단계(550)를 더 포함하는, 슬롯 예약 방법.
KR1020087026527A 2006-05-01 2008-10-29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 KR101377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698306P 2006-05-01 2006-05-01
US60/796,983 2006-05-01
PCT/IB2007/051601 WO2007125513A2 (en) 2006-05-01 2007-04-30 Method of reserving resources with a maximum delay guarantee for multi-hop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01A true KR20090008301A (ko) 2009-01-21
KR101377722B1 KR101377722B1 (ko) 2014-03-21

Family

ID=3865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527A KR101377722B1 (ko) 2006-05-01 2008-10-29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045502B2 (ko)
EP (1) EP2016722B1 (ko)
JP (1) JP5329396B2 (ko)
KR (1) KR101377722B1 (ko)
CN (1) CN101438542B (ko)
AR (1) AR060725A1 (ko)
AU (1) AU2007245312B2 (ko)
BR (1) BRPI0711050B1 (ko)
CA (1) CA2650735C (ko)
MX (1) MX2008013879A (ko)
RU (1) RU2442288C2 (ko)
TW (1) TWI429219B (ko)
UA (1) UA93710C2 (ko)
WO (1) WO2007125513A2 (ko)
ZA (1) ZA2008101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6430B2 (en) 2009-12-21 2013-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hop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684A1 (en) * 2007-02-09 2008-08-14 Nokia Corporation Access reser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9077984A2 (en) * 2007-12-18 2009-06-25 Nokia Corporation Redundancies and flows in vehicles
US20090274166A1 (en) * 2008-04-30 2009-11-05 Jihui Zhang Bandwidth Reservation in a TDMA-based Network
WO2010097645A1 (en) * 2009-02-24 2010-09-02 Nokia Corporation Time-hopping for near-far interference mitig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8478820B2 (en) 2009-08-26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rvice discovery management in peer-to-peer networks
US8478776B2 (en) 2009-10-30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eer-to-peer network discovery using multi-user diversity
US8825818B2 (en) * 2009-11-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Host initiated connection to a device
US8730928B2 (en) * 2010-02-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for increased spatial reuse in ad-hoc networks
CN109587801B (zh) * 2013-05-03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分配网络资源的方法、接入网络中的目标设备的方法、基站及终端设备
FR3007917B1 (fr) * 2013-06-27 2015-07-31 Airbus Operations Sas Reseau de telecommunication embarque partitionne a acces sans fil
US10536386B2 (en) * 2014-05-16 2020-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resource allocation over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s
US10548071B2 (en) 2014-05-16 2020-0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raffic over licensed or un-licensed spectrum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constraints of the traffic
US10813043B2 (en) 2014-05-16 2020-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reless transmissions spanning both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US9871884B2 (en) 2014-09-30 2018-01-1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messages
CN104243288B (zh) * 2014-09-30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消息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
CA2970861A1 (en) 2014-12-19 2016-06-23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WO2016112995A1 (en) * 2015-01-16 2016-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for wireless backhaul
CN110730047A (zh) * 2019-10-25 2020-01-24 北京润科通用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仿真模型检验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795B2 (ja) * 1998-05-08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局装置
EP1005779B1 (en) * 1998-06-19 2008-03-12 Juniper Networks, Inc. Device for performing ip forwarding and atm switching
CN1204708C (zh) * 2000-05-10 2005-06-01 Adc宽带通路系统公司 用于返回信道频谱管理器的系统和处理
US7941149B2 (en) * 2002-05-13 2011-05-10 Misonimo Chi Acquistion L.L.C. Multi-hop ultra wide ban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CN100477628C (zh) * 2003-05-16 2009-04-08 富士通株式会社 通过多层进行通信的通信网中的路径设定方法和通信装置
WO2005004420A2 (en) * 2003-07-02 2005-01-1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in a personal area network
EP1656771A1 (en) * 2003-08-21 2006-05-17 NTT DoCoMo INC. Resource re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KR100605896B1 (ko) * 2003-10-0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부분 경로 탐색을 이용하여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510350A (ja) * 2003-10-29 2007-04-19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pan上でデバイス間に効率的に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
WO2005065035A2 (en) 2004-01-08 2005-07-21 Wisair Ltd. Distributed and 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RU2378779C2 (ru) 2004-02-06 2010-01-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ПРОТОКОЛ РАССЫЛКИ СИГНАЛОВ-МАЯКОВ ДЛЯ ad-hoc СЕТЕЙ
US20050259617A1 (en) * 2004-05-06 200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time reservation in distribut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7719972B2 (en) * 2004-12-03 2010-05-1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mission control system in a wireless mesh network
KR101256687B1 (ko) * 2006-02-13 2013-04-19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다중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4800067B2 (ja) * 2006-02-21 2011-10-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ノード及びルーティング方法
KR100791300B1 (ko) * 2006-04-21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상에서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US7929546B2 (en) * 2006-05-25 2011-04-19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ime slots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693060B2 (en) * 2007-10-12 2010-04-06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servation reflector function in rout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6430B2 (en) 2009-12-21 2013-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hop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KR101303649B1 (ko) * 2009-12-21 2013-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매체접근제어 기반의 멀티-홉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25513A3 (en) 2008-02-28
EP2016722A2 (en) 2009-01-21
BRPI0711050B1 (pt) 2020-03-10
KR101377722B1 (ko) 2014-03-21
AU2007245312B2 (en) 2011-02-24
CN101438542B (zh) 2012-11-28
WO2007125513A2 (en) 2007-11-08
JP5329396B2 (ja) 2013-10-30
EP2016722B1 (en) 2017-03-29
ZA200810153B (en) 2010-02-24
TW200803239A (en) 2008-01-01
TWI429219B (zh) 2014-03-01
AR060725A1 (es) 2008-07-10
RU2442288C2 (ru) 2012-02-10
CA2650735C (en) 2015-08-18
UA93710C2 (ru) 2011-03-10
CA2650735A1 (en) 2007-11-08
RU2008147094A (ru) 2010-06-10
US20090092105A1 (en) 2009-04-09
BRPI0711050A2 (pt) 2011-08-23
CN101438542A (zh) 2009-05-20
JP2009535960A (ja) 2009-10-01
US8045502B2 (en) 2011-10-25
MX2008013879A (es) 2008-11-14
AU2007245312A1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722B1 (ko) 분산형 액세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홉 전송을 위해 최대 지연 보장으로 리소스를 예약하는 방법
EP2016723B1 (en) Method of discovering an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e having at least a minimum set of available resources in a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69756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n ad-hoc network
KR101161092B1 (ko) 스케줄링 정책-기반 트래픽 관리
CN101889469B (zh) 灵活的mac超帧结构和设信标方法
KR101178372B1 (ko) 간섭 관리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트래픽 관리
JP4783788B2 (ja) 未使用予約時間を解放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無線装置
US20070002821A1 (en) Resource re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KR101178370B1 (ko) 멀티-홉 무선 통신을 위한 트래픽 관리
US20050169221A1 (en) Decentralized bandwidth reservation mechanism for wireless networks
JP4846676B2 (ja) 伝送レート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Carlson et al. Distributed maintenance of resource reservation paths in multihop 802.11 networks
EP41457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operative relaying of voice traffic in mobile ad-hoc networks
Bononi et al. A cross-layer architecture for service differentiation in multi-channel multi-radio wireless mes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