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687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687A
KR20090006687A KR1020070070283A KR20070070283A KR20090006687A KR 20090006687 A KR20090006687 A KR 20090006687A KR 1020070070283 A KR1020070070283 A KR 1020070070283A KR 20070070283 A KR20070070283 A KR 20070070283A KR 20090006687 A KR20090006687 A KR 2009000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electrode layer
portable terminal
fastening pa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966B1 (ko
Inventor
홍성철
박병덕
임경택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66B1/ko
Priority to US12/106,835 priority patent/US8654084B2/en
Publication of KR2009000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와,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상기 윈도우가 안착되기 위한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윈도우에 인서트 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단말기 바디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를 단말기 바디를 구조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윈도우와 단말기 바디에 보다 강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수행하는 윈도우와 단말기 바디를 구조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함에 따라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현되기 위한 윈도우 단말기 바디에 결합시키는데 있어서, 구조적인 체결을 통하여 접착제에 의한 접착보다 체결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윈도우와 단말기 바디를 결합시킴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에서의 윈도우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윈도우와 단말기 바디를 체결시킴과 동시에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시키는 정전기를 소산시킬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와,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상기 윈도우가 안착되기 위한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윈도우에 인서트 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단말기 바디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인서트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 홀이 형성된 암나사이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단말기 바디는 수나사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걸림되어 상기 윈도우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단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극층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소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체결부는 정전기를 소산시키도록 상기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기 윈도우를 구 조적인 결합을 통하여 단말기 바디에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윈도우와 단말기 바디를 결합시킴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에서의 윈도우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를 윈도우의 전극층과 단말기 바디에 형성된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시키는 정전기를 소산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를 접착함으로써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어 접착제가 배치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제1 영상입력부(15) 또는 제1 조작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 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가 제2 바디(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24), 제1 음향입력부(25), 인터페이스(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6,23,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 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24)는 제1 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음향 입력부(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28)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9)와 거울부(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29)는 제2영상입력부(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22)에는 제2 음향출력부(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31)는 제1 음향출력부(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32)는 제2바디(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0)의 리어 케이스(12) 측에는 제1바디(10)와 제2바디(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의 프론트 케이스(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28) 등이 제2바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28) 등과 같이 제2 바디(20)의 리어 케이스(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8 내지 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 바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이하 제1 바디,10)와 윈도우(40) 및 체결부(5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프론트 케이스(1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3, 도 1 참조)가 배치된다.
제1 바디(10)의 내부, 즉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의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6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60)의 전면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1, 예를 들면 LCD,OLED 등)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의(61) 하측에는 제1조작부(16)가 누름 동작됨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62)가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가 보이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설치홀(41)이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설치홀(41)에는 윈도우(40)가 프론트 케이스(11)에 안착되 위한 윈도우 안착부(42)가 형성된다. 윈도우 안착부(42)는 윈도우 설치홀(41)의 외주면을 따라 프론트 케이스(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윈도우(40)가 안착될 때 윈도우(40)를 지지한다.
윈도우(40)는 디스플레이(61)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61)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61)에 표시되는 화면이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한다. 윈도우(40)는 또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윈도우(40)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과 압력식 저항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 합성 수지 재질의 윈도우의 측면에는 단차 가공을 통하여 단차가 형성된다. 윈도우는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단차에 의해 윈도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결합방식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된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윈도우(40)는 이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제1 바디(10)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도 함께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차 가공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관련된 윈도우(40)는 프론트 케이스(1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프론트 케이스(11)에 결합되고, 상기 윈도우 안착 부(42)에 안착된다. 이 때, 윈도우(40)는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윈도우 안착부(42)에 접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40)는 베이스(43)와 전극층(44) 및 보호층(45)을 포함한다.
베이스(43)는 디스플레이(61)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윈도우 안착부(42)에 안착된다. 베이스(43)의 재질로서 PC(Poly Carbonate), PMMA(Poly Methyl Meta Acrylate)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극층(44)은 베이스(43)의 전면에 형성되어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ITO(인듐 주석 산화물)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층(44)에는 연성회로기판(FPCB,45)이 연결되어 제1바디(10)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60)과 전극층(4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안착부(42)에는 관통홀(46)이 형성되고, 연성회로기판(45)은 이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60)에 배치된 커넥터(65)와 연결된다.
보호층(45)은 전극층(44)을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극층(44)의 전면에 형성된다. 보호층(45)의 재질로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일예로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들 수 있다. 상기 베이스(43), 전극층(44), 보호층(45)은 디스플레이(61)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한다. 베이스(43), 전극층(44), 보호층(45)은 전체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층(45)은 디자인을 위하거나, 디스플레이(61)의 테두리 영역 및 체결부(50)가 사용자에게 식별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인쇄층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체결부(50)는 제1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와 윈도우(40)를 체결하고, 윈도우(40)와 제1바디(10)에 형성된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프론트 케이스(11)의 윈도우 안착부(42)와 윈도우(40)는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50)는 프론트 케이스(11)와 윈도우(40)가 구조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체결부(50)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베이스(43)에 내부에 인서트 되어 전극층(44)과 접촉되어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부(50)는 내부에 스크류 홀이 형성된 암나사(51)를 포함한다. 암나사(51)는 베이스(43)의 내부에 인서트 되어 윈도우(43)의 전극층(44)과 연결된다. 암나사(51)의 재질로서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암나사(51)는 윈도우(40)의 테두리에 복수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40)의 각 모서리에 4개의 암나사(51)가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의 윈도우 안착부(42)에는 수나사(5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8)이 형성된다. 수나사는 윈도우(4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홀(18)을 관통하여 암나사(51)에 체결됨으로서 윈도우(40)와 프론트 케이스(11)을 체결한다.
윈도우(40)의 전극층을 제1 바디(10)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윈도우 안착부(42)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47)이 도포될 수 있다. EMI 차단물질(47)로서 니켈, 구리, 은, 또는 그래파이트 등과 같은 전도성 분말이나 후레이크(flake)를 비닐, 아크릴,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수지에 섞어 만든 전도성 도료 등이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60)에는 그라운드의 기능을 하는 금속 패턴(63)이 형성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11)의 후면에는 금속 패턴(63)과 접촉하는 리브(46)가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안착부(42)로부터 프론트 케이스(11)의 후면과 리브(46)까지 정전기를 소산시키기 위한 EMI 차단물질(47)이 도포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 2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한 정전기는 단말기 바디(10, 20)의 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들에게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50)는 윈도우(40)와 제1바디(10)를 물리적으로 체결함과 동시에 정전기가 제1바디(10)에 장착된 전자부품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제1바디(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면, 정전기는 윈도우(40)의 전극층(44)과 연결된 전도성 재질의 암나사(51)를 통과하여 EMI 차단 물질(47)을 통해 최종적으로 인쇄회로기판(60)의 금속패턴(63)으로 소산된다.
정전기를 그라운드로 소산시키는 방식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 뿐만 아니라 그 밖에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및 인쇄회로기판(60)를 체결하는 체결나사를 인쇄회로기판(6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체결나사를 통하여 정전기를 소산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1바디(10)와 윈도우(40)가 접착제에 의해서만 접착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가 고온에 방치되는 경우 접착력이 약화되어 윈도우(40)가 들뜨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50)는 이러한 윈도우(40)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윈도우(40)와 제1바디(10)를 구조적으로(나사 결합의 형식으로) 체결하여 휴대 단말기가 고온에 방치되더라도 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접착제와 체결부(50)가 함께 제1바디(10)와 윈도우(40)의 체결에 사용되는 경우, 제1바디(10)와 윈도우(40)의 체결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체결력 강화로 인해 접착제에 의한 접촉 면적, 즉 윈도우 안착부(42)의 폭을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61)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50)의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설명되는 체결부(50)는 앞선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다만, 윈도우(40)와 제1바디(10)를 체결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그 구성을 달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50)는 걸림 후크(53)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케이스(11)의 윈도우 안착부(42)에는 걸림턱(48)이 형성되고, 걸림 후크(53)의 측면은 걸림턱(48)에 대응되는 걸림홈(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걸림 후크(53)는 윈도우 안착부(42)의 걸림턱(48)에 걸림되어 윈도 우(40)와 프론트 케이스(11)를 결합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50)는 윈도우 안착부(42)에 형성되는 삽입돌기(49)가 삽입되는 삽입홈(56)이 형성된 홀더(54)를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10)의 윈도우 안착부(42)에는 그 전면에 홀더(5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홀더(54)를 향해 돌출되는 삽입돌기(49)가 형성된다. 홀더(54)의 삽입홈(56)은 일면이 개구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삽입돌기(49)가 홀더(54)의 개구된 부분으로 삽입되면, 홀더(54)가 삽입 돌기(49)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홀더(54)의 삽입홈(56)과 삽입돌기(49)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 걸림후크(53) 및 홀더(54) 역시 윈도우(40)의 전극층(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기가 발생되면 이를 그라운드로 소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제1바디(10)의 프론트 케이스(11)의 후면과 윈도우 안착부(42)의 걸림 후크(53) 및 홀더(54)가 접하는 면에는 EMI 차단물질(47)이 도포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53, 54)는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보다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부재로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B-B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윈도우(40)와 프론트 케이스(11)의 결합방식은 윈 도우(40)가 프론트 케이스(1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 결합이 이루어졌으나, 본 실시예는 윈도우(70)가 프론트 케이스(11)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윈도우(7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73), 전극층(74), 및 보호층(75)을 포함한다. 윈도우(70)의 전극층(73)과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71)이 인쇄회로기판(60)의 커넥터(65)와 연결되어 윈도우(70)와 인쇄회로기판(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체결부는 프론트 케이스(11)에 걸림되어 윈도우(7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80)를 포함한다.
플랜지(80)의 일단은 베이스(73)에 인서트 되어 베이스의 전면에 배치된 전극층(74)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플랜지(80)의 타단은 윈도우(70)의 측면에서 프론트 케이스(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80)의 재질 또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80)는 윈도우(7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80)가 윈도우(70)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었으나, 우측과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윈도우(70)가 프론트 케이스(11)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었을 때, 복수의 플랜지(80)들이 프론트 케이스의 상측과 하측에서 걸림되어 윈도우(7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론트 게이스(11)의 후면에는 EMI 차단물질(47)이 도포되고, 플랜지(80)가 이와 접촉되어 정전기가 그라운드로 소산되는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체결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체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체결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B-B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Claims (9)

  1. 터치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상기 윈도우가 안착되기 위한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윈도우에 인서트 되고, 타단은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윈도우와 상기 단말기 바디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형성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전극층; 및
    상기 전극층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스크류 홀이 형성된 암나사이며, 상기 윈도우와 상기 단말기 바디는 수나사가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걸림되어 상기 윈도우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단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극층과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되는 그라 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소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체결부는 정전기를 소산시키도록 상기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단물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70283A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KR101437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83A KR10143796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US12/106,835 US8654084B2 (en) 2007-07-12 2008-04-2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83A KR10143796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87A true KR20090006687A (ko) 2009-01-15
KR101437966B1 KR101437966B1 (ko) 2014-09-05

Family

ID=4025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283A KR101437966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4084B2 (ko)
KR (1) KR1014379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160A (ko) *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63687A (ko) * 2011-12-07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체결방법
KR101320681B1 (ko) * 2011-09-02 2013-10-18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
US8853941B2 (en) 2012-11-16 2014-10-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830B1 (ko) * 2011-02-07 2018-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985835B (zh) * 2011-07-15 2018-04-13 赛普拉斯半导体公司 具有接地插入电极的电容感测电路、方法和系统
US20140036458A1 (en) * 2012-07-31 2014-02-0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US9578758B2 (en) * 2012-09-25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332329B2 (en)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US9137918B2 (en) *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282668B2 (en) 2012-09-28 2016-03-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079071B1 (ko) * 2015-10-10 2020-02-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1724A (en) * 1992-08-05 1995-09-19 Fujitsu Limited Touch panel for detecting a coordinate of an arbitrary position where pressure is applied
US5920319A (en) 1994-10-27 1999-07-06 Wake Forest University Automatic analysis in virtual endoscopy
CN1065056C (zh) * 1995-03-10 2001-04-25 东芝泰格有限公司 商品销售登记数据处理装置
US5920310A (en) * 1996-11-15 1999-07-06 Synaptic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ouch sensitive transducer
US6388660B1 (en) * 1997-12-31 2002-05-14 Gateway, Inc. Input pad integrated with a touch pad
US6483719B1 (en) * 2000-03-21 2002-11-19 Spraylat Corporation Conforming shielded form for electronic component assemblies
KR100727663B1 (ko) * 2003-08-11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JP2006031207A (ja) 2004-07-14 2006-02-02 Fujitsu Ltd 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0673480B1 (ko) * 2005-07-13 2007-01-24 (주)제이엠씨 회전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
KR100749747B1 (ko) * 2005-10-07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7159127A (ja) * 2005-11-30 2007-06-21 M2Sys Co Ltd 携帯端末機用スライド開閉装置
US20080024388A1 (en) * 2006-07-29 2008-01-31 Oscar Bruce Two-sided display monitor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160A (ko) * 2010-11-23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20681B1 (ko) * 2011-09-02 2013-10-18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
KR20130063687A (ko) * 2011-12-07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체결방법
US8853941B2 (en) 2012-11-16 2014-10-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54084B2 (en) 2014-02-18
KR101437966B1 (ko) 2014-09-05
US20090015565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66B1 (ko) 휴대 단말기
EP3112977B1 (en)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85392B1 (ko) 휴대 단말기
US9285843B2 (en) Electronic device
CN104765416B (zh) 用于保护盖的附接及拆离装置以及电子装置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US9086846B2 (en) Mobile terminal
KR20080033802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US8814409B2 (en) Mobile terminal
KR101929811B1 (ko) 이동 단말기
KR1013864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13922A (ko) 휴대단말기
KR101437972B1 (ko) 휴대 단말기
KR101028093B1 (ko) 휴대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76109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