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093B1 -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093B1
KR101028093B1 KR1020090008081A KR20090008081A KR101028093B1 KR 101028093 B1 KR101028093 B1 KR 101028093B1 KR 1020090008081 A KR1020090008081 A KR 1020090008081A KR 20090008081 A KR20090008081 A KR 20090008081A KR 101028093 B1 KR101028093 B1 KR 10102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cap
camera module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933A (ko
Inventor
허일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소켓에 삽입할 때,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또는 소켓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휴대단말기를 개시한다.
카메라 모듈, 소켓, 렌즈 캡, 체결단자

Description

휴대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에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때, 카메라 모듈의 파손이 최소화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융합하여 종합 멀티미디어 기기로 변화하는 추세에 있다. 휴대단말기가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 내부에 카메라 모듈을 삽입해야 한다. 통상, 휴대단말기에 내장되는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모듈과는 달리 그 크기가 매우 작고 슬림하게 형성되며, 휴대단말기의 PCB에 형성되는 소켓에 장착하거나 교체를 위해 탈거할 수 있어야 한다.
휴대단말기를 조립할 때, 작고 슬림하게 형성된 카메라 모듈은 조립 장비가 가하는 힘에 의해 소켓에 장착되나, 작은 크기와 슬림한 외관 때문에 종종 소켓에 장착하는 도중 파손되거나, 크랙(Crack)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 체결형 카메라 모듈을 휴대단말기에 장착할 때, 카메라 모듈의 구조개선을 통해 파손이 최소화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삽입 홈을 구비하는 소켓 체결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캡, 및 상기 렌즈 캡과 나사 결합하는 체결 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단자는 상기 삽입 홈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렌즈 캡의 노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출면과 수평을 이루는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삽입 홈을 구비하는 소켓 체결형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내에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배럴, 상기 관통 홀의 일 측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 및 상기 렌즈 배럴은 수납하고 상기 렌즈 캡은 노출하며, 상기 삽입 홈에 장착 시, 상기 삽입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단자는, 상기 삽입 홈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렌즈 캡과 상기 렌즈 배럴의 경계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선과 수평을 이루는 휴대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소켓에 삽입할 때, 외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또는 소켓의 파손을 최소화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 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 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0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1a)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0a)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 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 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 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외형 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 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0a),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 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0a)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 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 모듈(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a)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1a)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 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휴대단말기에서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23), 및 렌즈 캡(122)으로 구성되며, 하우징(123)의 일 측에는 카메라 모듈을 소켓(미 도시)에 장착할 때, 카메라 모듈이 소켓에 오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단자(123a, 123b, 및 123c)가 마련된다.
렌즈 캡(122)은 카메라 모듈의 핵심 부품인 렌즈를 구비하며, 하우징(123)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렌즈 캡(122)의 노출 영역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렌즈 캡(122)은 하우징(123) 내에 수납되는 렌즈 배럴, 및 캡으로 구성된다. 렌즈 캡(122)의 구조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캡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렌즈 캡(122)은 렌즈 배럴(122b), 및 캡(122a)으로 구성되며, 렌즈 배럴(122b)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하우징(123)과 나사 결합한다.
하우징(123)의 하단부에는 CCD, 또는 CMOS와 같은 영상촬상 소자(124)가 배치되며, 렌즈 배럴(122b)과의 거리에 따라 촛점 거리가 결정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22b)이 하우징(123) 내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촛점 거리는 변경된다. 이때, 렌즈 배럴(122b)에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내장하여 렌즈 배럴(122b)을 회전시킴으로써 촛점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캡(122a)은 원판 형태를 가지며, 일 면은 렌즈 배럴(122b)의 축 방향에서 개구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캡(122a)은 렌즈 배럴(122b)에 수납되 는 렌즈(미 도시)를 보호하면서, 렌즈(미 도시)가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된다.
하우징(123)은 렌즈 배럴(122b)을 수납하며, 렌즈 배럴(122b)에 결합되는 캡(122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통상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은 캡과 렌즈 배럴(122b)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3)은 렌즈 배럴(122b) 전체, 또는 대부분을 수납함으로써 하우징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그럼에도, 하우징(123), 및 렌즈 캡(122)이 결합된 전체 높이는 통상의 카메라 모듈과 동일하다.
하우징(123)은 렌즈 배럴(122b)을 전체, 또는 대부분을 수납함으로써, 하우징(123) 자체의 높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하우징(123)의 각 측면의 면적도 함께 증가한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소켓(미 도시)에 마련되는 체결 홈(미 도시)과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휴대단말기(100)를 조립하는 조립장비가 힘을 가할 때, 소켓에 부착, 또는 탈거 될 수 있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하우징(123)의 증가된 면적을 이용하여 외력에 견디는 힘을 증가시킨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하우징(123)의 외주면 일 측에서 시작하여 캡(122a)의 바로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조립장비가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에 힘을 가할 때,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에 대해 더 잘 견딜 수 있으며,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위험성 을 대폭 낮춘다.
하우징(123)의 하단에는 휴대단말기(100)의 기판과 접촉하기 위한 단자부(124)가 마련된다. 단자부(124)는 CMOS, 또는 CCD와 같은 영상촬상 소자(124)에서 획득한 영상신호를 휴대단말기(100)에 내장 가능한 별도의 이미지 처리 칩(DSP), 또는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조가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유사하나,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가 캡(122a)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조립장비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소켓에 결합할 때,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이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에 모두 가해지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캡(122)이 노출된 높이만큼 하우징(123)에서 연장된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의 돌출면(A)은 캡(122)의 노출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캡(122a)의 노출면보다 더 높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장비가 렌즈 캡(122)에 힘을 가할 때, 렌즈 캡(122)이 직접 힘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때,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통상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체결단자와는 달리 하우징(123)의 넓어진 면적을 이용하여 그 길이가 더욱 신장 되므로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에 대해 더 강하게 견딜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카메라 모듈과 소켓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켓(126)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는 기판에 부착되 며, 카메라 모듈(121)은 소켓을 향해 수직하게 삽입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121)은 소켓(126)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조립장비의 힘을 받는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캡(122a)과 동일 높이를 갖거나, 캡(122a)보다 더 높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장비가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로 힘을 가할 때, 캡(122a)에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조립장비가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로 힘을 가할 때, 힘을 가하는 위치가 약간 벗어난다 하더라도, 캡(122a)을 직접 누르기가 어려워진다. 즉, 렌즈 캡(122)이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다.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가 캡(122a) 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체결단자(123c, 123d, 및 123e)는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는 장점도 있다.
하우징(123)의 형태는 소켓(126)의 삽입구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도면에서, 소켓(126)의 삽입구 형태는 사각형이며, 하우징(123)은 소켓(126)에 삽입되므로, 소켓(126)의 삽입구와 동일한 형태인 사각형을 갖는다. 추후, 소켓(126)의 형태가 원형, 또는 다각형이 될 경우, 도 4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외관만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4와 도 6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체결단자의 형태에 대한 것일 뿐, 그 외적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과 소켓의 체결관계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과 비교되는 통상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사시 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상의 카메라 모듈(50)은 캡(51a)과 렌즈 배럴(51b)이 하우징(53a)의 외부로 노출된다.
캡(51a)은 하우징(52)에 수납되지 않으므로, 캡(51a)의 지름은 렌즈 배럴(51b)의 지름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52)의 면적은 렌즈 배럴(51b)이 노출되는 면적만큼 감소한다. 도 4와 도 8을 비교하면, 도 8에 도시된 하우징(52)의 측면(C)의 면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23)에 비해 적으며, 높이도 현격히 낮음을 알 수 있다.
하우징의 측면(C)의 면적이 감소하고, 그 높이가 본 발명에 비해 적으므로, 측면(C)에 배치되는 체결단자(53a, 53b)의 수직방향 길이 또한 작아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립장비가 체결단자(53a, 53b)에 힘을 가할 때,
- 체결단자(53a, 53b)는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에 견디는 능력이 적고,
- 조립장비가 체결단자(53a, 532b)에 힘을 가할 때, 조립장비와 캡(51a)이 간섭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에 비해, 도 4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 체결단자(123a ∼ 123e)는 조립장비가 가하는 힘에 견디는 능력이 더욱 향상되며,
- 조립장비가 체결단자(123a ∼ 123e)에 힘을 가할 때, 조립장비와 캡(122)이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캡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카메라 모듈과 소켓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과 비교되는 통상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2: 렌즈 캡 122a : 캡
122b : 렌즈 배럴 123 : 하우징
124 : 영상촬상 소자 123a ∼ 123e : 체결단자

Claims (8)

  1. 삽입 홈을 구비하는 소켓 체결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축 방향에 일면이 결합되고,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지 않은 타면이 노출면을 형성하는 캡; 및
    상기 렌즈 배럴과 나사 결합하는 체결 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단자가 구비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단자의 일 영역은 상기 삽입 홈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캡의 상기 노출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출면이 형성하는 평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휴대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켓의 수납영역의 형태에 따라 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체결단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체결 홈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촛점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삽입 홈을 구비하는 소켓 체결형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 내에 렌즈를 수납하는 렌즈 배럴;
    상기 관통 홀의 일 측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캡; 및
    상기 렌즈 배럴은 수납하고 상기 렌즈 캡은 노출하며, 상기 삽입 홈에 장착 시, 상기 삽입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체결단자를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단자의 일 영역은 상기 삽입 홈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렌즈 캡과 상기 렌즈 배럴의 경계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경계선과 수평을 이루는 휴대단말기.
  8. 삭제
KR1020090008081A 2009-02-02 2009-02-02 휴대단말기 KR10102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81A KR101028093B1 (ko) 2009-02-02 2009-02-02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081A KR101028093B1 (ko) 2009-02-02 2009-02-02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33A KR20100088933A (ko) 2010-08-11
KR101028093B1 true KR101028093B1 (ko) 2011-04-08

Family

ID=4275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081A KR101028093B1 (ko) 2009-02-02 2009-02-02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63A (ko) * 2017-09-29 2019-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1695A (ja) 2005-10-28 2007-05-17 Seiko Instruments Inc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87776A (ja) * 2006-01-12 2007-07-26 Fujinon Corp レンズ装置及びレンズ保持方法
JP2008111867A (ja) * 2006-10-27 2008-05-15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1695A (ja) 2005-10-28 2007-05-17 Seiko Instruments Inc レンズ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87776A (ja) * 2006-01-12 2007-07-26 Fujinon Corp レンズ装置及びレンズ保持方法
JP2008111867A (ja) * 2006-10-27 2008-05-15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63A (ko) * 2017-09-29 2019-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333846B2 (en) 2017-09-29 2022-05-17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10508B1 (ko) * 2017-09-29 2023-03-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33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EP2690844A2 (en) Mobile terminal
KR20110024485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30063313A (ko)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20120000937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7463A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접속장치
KR20130088982A (ko) 이동 단말기
KR101028093B1 (ko) 휴대단말기
KR20110127413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10117892A (ko) 이동 단말기
KR101537603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101512042B1 (ko) 휴대단말기
KR101540268B1 (ko) 휴대 단말기
KR10201854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301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1513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싱 방법
KR20130090594A (ko) 이동단말기
KR20140021929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8378A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48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2206A (ko) 휴대단말기
KR101513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85348B1 (ko) 이동단말기
KR20130098054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7508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