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561U - 절연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절연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561U
KR20090006561U KR2020070020799U KR20070020799U KR20090006561U KR 20090006561 U KR20090006561 U KR 20090006561U KR 2020070020799 U KR2020070020799 U KR 2020070020799U KR 20070020799 U KR20070020799 U KR 20070020799U KR 20090006561 U KR20090006561 U KR 20090006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te
insulating plate
component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561U/ko
Publication of KR20090006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Abstract

본 고안은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연판조립체에는 절연판(20)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20)에는 와이어리브(22)에 의해 와이어채널(23)이 형성되고, 와이어(30)가 안착된다. 상기 와이어채널(23)의 끝부분에는 결합리브(24)가 상기 절연판(2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4)의 내부에는 결합공간(25)이 형성되는데, 이에는 상기 와이어(30)가 안착되고, 부품(32)의 부품레그(35)가 위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결합리브(24)를 구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제1판(26)과 제2판(27) 사이의 틈새는 상기 와이어(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판(27)의 내면에는 부품레그(35)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2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절연판에 릴레이와 같은 부품을 직접 장착하고,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과 절연판의 와이어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절연판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절연판조립체 및 절연판조립체가 사용되는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박스, 절연판, 부품

Description

절연판조립체{Insulation plate assembly}
본 고안은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절연판조립체를 구비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1)에는 부품결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9)와 결합될 릴레이(15)나 퓨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안착되도록 절연판조립체(5)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조립체(5)는 다수개의 절연판(7)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판(7)은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대수개가 동일한 외곽형상을 가진다. 상기 절연판(7)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판(7)에는 다수개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들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의 절연판(7) 상에 배치된 후술할 버스바(9)의 단자부(11)들이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바(9)는 상기 절연판(7)의 사이 사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상단의 절연판(7)의 상부로 직립되게 일부가 돌출된 단자부(11)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11)에는 암터미널(13)이 장착된다. 상기 암터미널(13)은 상기 버스바(9)와는 별개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단자부(11)가 삽입되고, 타단부에는 릴레이(15)의 릴레이단자(16)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릴레이(15)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는 하부커버(18)가 장착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판조립체(5)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릴레이(15)를 상기 절연판조립체(5)의 단자부(11)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터미널(13)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절연판조립체(5)와 릴레이(15)의 결합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지고, 상기 정션박스의 높이방향으로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직접 절연판에 장착된 절연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연판에 부품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적어도 일측 표면에 와이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채널의 단부에 내부의 결합공간이 연통되게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결합리브의 내부로 돌출되게 부품레그가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절연판의 표면에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부품과, 상기 와이어채널에 안착되고 상기 부품의 부품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리브 내부의 결합공간에서는 상기 부품레그와 와이어가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판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차례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리브는 서로 마주보는 제1판과 제2판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판의 내면 일부에는 상기 부품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의 제1판과 제2판은 연결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과 마주보는 쪽은 개구되어 결합리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의 입구가 되어 상기 와이어채널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절연판에 릴레이와 같은 부품을 직접 장착하고,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과 절연판의 와이어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절연판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절연판조립체 및 절연판조립체가 사용되는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연판(2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판(20)은 판형상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절연판(20)의 적어도 일면에는 와이어리브(22)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리브(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0)가 안착될 와이어채널(23)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리브(22)는 하나의 와이어채널(23)을 형성하기 위해 2개가 나란히 연장된다. 물론, 3개의 와이어리브(22)가 나란히 연장되어 2개의 와이어채널(23)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채널(23)의 끝부분에는 결합리브(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4)는 상기 와이어리브(22)와 같이 상기 절연판(2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4)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절연판(20)에는 레그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4)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결합공간(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25)은 상기 결합리브(24)의 일측면과 절연판(20)의 표면과 반대되는 면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이중 상기 결합리브(24)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부분을 상기 결합공간(25)의 입구(25')라고 한다. 상기 결합리브(24)의 결합공간(25)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제1판(26)과 제2판(27)이 서로 마주보게 상기 절연판(20)의 표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판(26)과 제2판(27)은 연결판(2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판(28)은 상기 입구(25')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2판(27)의 내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레그(35)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29)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레그안착부(29)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레그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판(26)과 제2판(27) 사이의 간격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0)가 압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와이어(30)의 직경에 비해 상기 제1판(26)과 제2판(27)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안착부(29)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1판(26)과 제2판(27) 사이의 간격이 와이어(30)의 직경과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레그(35)의 두께를 합친 값으로 보다는 작은 값으로 된다.
상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채널(23)에는 와이어(30)가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와이어채널(23)을 따라 위치되어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와이어(3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와이어(30)는 단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와이어채널(23)에 배치되므로, 인접하는 것이 상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구획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통전되지 않는다.
부품(32)은 부품몸체(33)의 일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레그(35)가 돌출되게 구비된 것이다. 실제로 도시된 부품(32)은 릴레이이다. 하지만, 본 고안의 절연판조립체에는 반드시 릴레이만이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퓨즈도 장착될 수 있다. 이들 부품(32)은 부품레그(35)의 형상이 동일하여야 절연판(20)에의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부품레그(35)는 납작한 판상으로서 그 폭방향 양단에 걸이턱(37)이 형성된다. 상기 양단의 걸이턱(37)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그통공(2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절연판조립체는 다수개의 절연판(20)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최상층 혹은 최하층(이하, 이를 통칭하여 외층이라 한다)의 절연판(20)에 상기 부품(32)이 실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간층에 있는 절연판(20)에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절연판조립체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절연판(20)에 부품(32)을 장착한다. 상기 부품(32)의 부품레그(35)를 상기 절연판(20)의 레그통공(24')을 관통하여 삽입한다.
이때, 상기 부품레그(35)의 폭방향 양단에 있는 걸이턱(37)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그통공(24')의 그것보다 크므로, 상기 부품레그(35)가 레그통공(24')에 삽입되면 임의로 상기 부품레그(35)가 분리되지는 않는다. 상기 부품레그(35)가 상기 레그통공(24')을 관통하여 절연판(2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결합리브(24)의 결합공간(25)중 레그안착부(29)에 위치된다.
상기 부품(32)의 실장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30)를 와이어채널(23)에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30)는 도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데, 쉽게 소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채널(23)의 굴곡을 따라 와이어(30)를 소성변형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채널(23)의 끝부분은 상기 결합리브(24)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30)는 결합리브(24)의 입구(25')를 통해 결합공간(25)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30)가 결합공간(25)으로 삽입되면, 상기 부품레그(35)와 와이어(30)는 서로 밀착되어 접촉된다. 상기 부품레그(35)와 와이어(30)는 서로 밀착만 되어 전기적 접촉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저항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품(32)이 실장되고, 와이어(30)에 의해 회로가 구성된 절연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그리브(24)와 같이 돌출된 부분은 인접하여 적층되는 상대 절연판(20)의 관통부에 위치된다. 물론, 본 고안의 구성이 적용된 절연판조립체의 경우, 외층의 절연판(20)에만 부품(32)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절연판조립체의 내층 절연판(20)에는 버스바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절연판조립체는 정션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리브(22)는 절연판(20)의 양측 표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결합리브(24)는 연결판(28) 없이 제1판(26)과 제2판(27)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절연판조립체를 구비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절연판 22: 와이어리브
23: 와이어채널 24: 결합리브
25: 결합공간 26: 제1판
27: 제2판 29: 레그안착부
30: 와이어 32: 부품
33: 부품몸체 35: 부품레그
37: 걸이턱

Claims (5)

  1. 적어도 일측 표면에 와이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채널의 단부에 내부의 결합공간이 연통되게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결합리브의 내부로 돌출되게 부품레그가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절연판의 표면에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부품과,
    상기 와이어채널에 안착되고 상기 부품의 부품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리브 내부의 결합공간에서는 상기 부품레그와 와이어가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차례로 적층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서로 마주보는 제1판과 제2판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판의 내면 일부에는 상기 부품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 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제1판과 제2판은 연결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과 마주보는 쪽은 개구되어 결합리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간의 입구가 되어 상기 와이어채널과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KR2020070020799U 2007-12-26 2007-12-26 절연판조립체 KR200900065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99U KR20090006561U (ko) 2007-12-26 2007-12-26 절연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99U KR20090006561U (ko) 2007-12-26 2007-12-26 절연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61U true KR20090006561U (ko) 2009-07-01

Family

ID=4132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99U KR20090006561U (ko) 2007-12-26 2007-12-26 절연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5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39B1 (ko) * 2017-05-23 2018-06-20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KR101879867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39B1 (ko) * 2017-05-23 2018-06-20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KR101879867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정션박스용 커넥터 쉴드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573B2 (en) Electronic part module
JP6653121B2 (ja) 電気接続箱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US8303351B2 (en) Distribution terminal for wire-type fusible link and fuse connection structure using distribution terminal
US8378211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6607115B2 (en) Junction box
KR20100083413A (ko) 버스바조립체
JP2924672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6561U (ko) 절연판조립체
CN109564812B (zh) 线圈组装体、电路结构体及电气接线箱
KR101376332B1 (ko) 절연판조립체
JP200020973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回路構造
KR200432452Y1 (ko) 버스바조립체
JP5737049B2 (ja) 電気接続部材
JP2017084927A (ja) コイル組立体および電気接続箱
JP6376467B2 (ja) バスバー回路体
JP7042421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
JP447098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100814932B1 (ko) 버스바조립체
JP3736342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の形成方法
KR200432944Y1 (ko) 버스바
KR100922152B1 (ko) 버스바조립체
JP5605620B2 (ja) 電気接続箱
JP4049546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23017661A (ja) 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