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482A - 미디어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미디어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482A
KR20090006482A KR1020070069854A KR20070069854A KR20090006482A KR 20090006482 A KR20090006482 A KR 20090006482A KR 1020070069854 A KR1020070069854 A KR 1020070069854A KR 20070069854 A KR20070069854 A KR 20070069854A KR 20090006482 A KR20090006482 A KR 20090006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script
voice
recorde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869B1 (ko
Inventor
안태희
김성헌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869B1/ko
Priority to EP08150444.1A priority patent/EP2015278B1/en
Priority to CNA2008100057767A priority patent/CN101345049A/zh
Priority to US12/216,815 priority patent/US8145497B2/en
Publication of KR2009000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처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크립트에 해당되는 음성 파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과 그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크립트, 오디오 파일

Description

미디어 인터페이스{Media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과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텍스트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변환, 재생, 전송, 이동, 관리 등에 관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은 가공이나 변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그 컨텐츠를 가공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변환시킴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과 사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그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하여 사용자와 기기 간에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변환, 재생, 전송, 이동, 관리를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텍스트 타입의 디지털 컨텐츠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파일을 저장하거나, 재생하거나, 전송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를 사용자가 설정하는 변환의 조건에 따라 음성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파일을 저장하거나, 재생하거나, 전송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할 조건과 변환 여부를 결정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TTS(Text To Speech) 변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TTS 변환 항목이 선택되면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변환의 종류에 따라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변환된 음성신호의 재생이나 음성 파일로의 변환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파일 목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 변환의 종류, 변환의 실행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은,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음성 파일 목록, 상기 디스플레이된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선택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에 의하여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모바일 기기, PC, 서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선택된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텐츠는 재생하거나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스크립트에 대한 컨 텐츠 생성시 다양한 변환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그 조건에 적합하게 해당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크립트(script)에 대해서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직접 음성 파일, 즉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다는 관점에서 이를 UGC(User Generated Contents)라고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 실시예에서 설명할 용어 'UGC'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Network)(110),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120),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130), 서버(Server)(14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10)는 유선 통신망이거나 무선 통신망이며, 인터넷을 예로 들 수 있다. 네트워크(110)를 토대로 서버(140)와 단말기들이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의 예로 퍼스널 컴퓨터(120)와 모바일 기기(130)를 나타내었다. 서버(140)는 웹 서버(Web Server)(141)와 UGC 서버(UGC Server)(142)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TTS 어플리케이션(Text To Speech Application)을 포함한다. TTS 어플리케이션은 TTS 엔진으로 표현한다.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TTS 엔진은 서버(140), 퍼스널 컴퓨터(120), 모바일 기기(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서버(140)가 웹 서버(141)와 UGC 서버(142)로 구분된다면 UGC 서 버(142)에 TTS 엔진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변환할 텍스트 데이터는 스크립트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는데, 퍼스널 컴퓨터(120) 또는 모바일 기기(130)에 의해서 선택된다. 선택된 스크립트는 TTS 엔진을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20) 또는 모바일 기기(130) 또는 UGC 서버(142)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음성 파일로 제공된다. 여기서 음성 파일은 퍼스널 컴퓨터(120), 모바일 기기(130), UGC 서버(142)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110)를 통해서 상대방으로 전송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20)는 모바일 기기(130)와 통신장치를 이용해서 연결된다. 퍼스널 컴퓨터(120)와 모바일 기기(130) 간에도 생성된 음성 파일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기기(13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켓 PC(Personal Computer), HPC(Hand held PC), 웹패드, 노트북 및 E-Book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중에 사용가능한 정보처리 기기로서 일반적으로 영상, 음성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구비한다. 소정의 스크립트는 사용자가 작성한 스크립트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 상의 스크립트 중의 어느 하나이며, 웹페이지 상의 스크립트는 웹페이지의 전체 스크립트가 선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스크립트가 선택된다.
모바일 기기(130) 또는 PC(1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저장 또는 설치된다. UGC 서버(142)는 네트워크(110)을 통하여 연결된 모바일 기기(130) 또는 PC(120)가 요청하는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을 수행한 다. 웹서버(141)는 음성, 영상, 텍스트(스크립트)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30) 또는 PC(120) 또는 UGC 서버(142)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해당 장치에 제공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에 대응하는 음성파일의 생성은 PC(120)에 구비된 TTS 엔진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하거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UGC 서버(142)에 구비된 TTS 엔진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에 대응하는 음성파일의 생성은 PC(120)에 설치된 UGC 서버용 전용 브라우저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항목의 입력에 따라 UGC 서버(142)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방법을 보여준다. 모바일 기기(130) 또는 PC(12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다(S10).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사용자가 스크립트를 선택한다(S20). 선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TTS 변환의 조건을 설정한다(S30). TTS 변환 조건의 설정은 스크립트 선택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디폴트로 변환의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설정된 조건을 저장해 두고, 저장된 설정 조건에 따라 스크립트를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 파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TTS 변환 조건의 설정이 사전에 이루어졌으므로 단계(S30)의 실질적인 수행은 생략될 수도 있다. 스크립트의 선택과 변환 조건의 설정에 근거하여 해당 스크립트를 TTS 엔진을 이용해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음성 파일을 생성한다(S40). 생성된 음성 파일은 기기의 저장장치에 저장된다(S50). 저장 단계(S50)는 실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2에서는 표현하지 않 았지만, 변환 혹은 저장된 음성 파일은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겠지만, PC(120)나 UGC 서버(142)에서도 이후에 설명될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는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제어부(210), 기기 조작부(220), 통신부(230), TTS 변환부(240), 영상 처리부(250), 영상 출력부(260), 음성 처리부(270), 음성 출력부(280), 저장부(29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의 저장, 변환, 송신, 수신, 음성 처리 및 출력, 영상 처리 및 출력을 제어한다. 기기 조작부(220)는 예를 들면 키패드나 터치패드 방식의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통신 혹은 유선통신을 수행한다. TTS 변환부(240)는 텍스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250)는 디스플레이될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영상 출력부(260)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며,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하여 후에 설명될 다양한 구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해 준다. 음성 처리부(270)는 출력될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음성 출력부(280)는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모바일 기기의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291)와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29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미디어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부(291)와 제2저장부(292)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분하여 표현한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저장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각각 다른 저장매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매 단계마다 생성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기기 조작부(220)를 통해서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주며,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기 조작부(22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부(210)가 제1저장부(291)의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4에 표현된 구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이 것을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구조 창(10), 파일 목록 창(20), 제어 아이콘 창(30), 전송 제어 아이콘 창(40)을 포함한다. 구조 창(10)은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다룰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항목들, 미디어 저장 구조에 관한 정보를 표현한다. 구조창(10)에 TTS 항목(12)이 포함된다. TTS 항목(12)은 목록 항목(14)과 변환 항목(16)을 포함한다. TTS 항목(12)이 선택되었을 때 파일 목록 창(20)이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로서, 파일 목록창(20)은 음성 파일의 개수(No), 종류, 파일명, 형식, 재생시간, 음질 등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파일의 개수(No)는 음성 파일의 개수를 나타낸다. 파일의 종류는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할 때 설정해 준 조건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어떤 조건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파일인지를 표현해 줄 수 있다. 파일명은 해당 음성 파일의 명칭을 보여준다. 형식은 음성 파일이 어떤 형식(format)인지를 표현하는데, 예를 들면 mp3 포맷의 음성파일을 표현해 줄 수 있다. 재생시간은 해당 음성 파일의 재생시간을 표현 해 준다. 음질은 해당 음성 파일이 인코딩 음질을 표현해 준다. 제어 아이콘 창(30)은 선택된 음성 파일의 재생, 정지, 일시정지, 탐색 등과 관련된 아이콘을 표현해 준다. 전송 제어 아이콘 창(40)은 선택된 음성 파일을 기기에 연결된 장치로 전송해 주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것이다.
도5는 TTS 항목(12)에서 하위 메뉴 항목인 목록(14)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TTS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음성 파일은 몇 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의 실시예로 일반변환, 사용자 변환, 레벨변환, 받아쓰기 변환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환모드의 선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근거하여 사전에 설정되고, 설정된 결과에 근거하여 TTS 엔진이 해당 스크립트를 설정된 변환모드에 적합하게 음성 데이터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가능해 진다. 일반변환은 스크립트를 그대로 음성으로 변환하는 경우이다. 사용자 변환은 스크립트 내에서 사용자가 변환할 구간, 속도, 간격 등을 직접 설정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경우이다. 레벨변환은 사용자의 등록된 레벨에 근거하여 음성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받아쓰기 변환은 예를 들면, 스크립트 내에서 한 문장을 변환한 후 소정의 설정된 시간을 쉰 다음, 다음 문장을 변환하는 방법으로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이다. 휴지 시간동안 해당 문장을 받아쓰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경우를 받아쓰기 변환이라고 표현하였으나, 받아쓰기 변환은 따라하기 변환으로도 응용 가능하다. 즉, 한 문장에 대한 음성 재생이 이루어진 후에, 주어지는 휴지시간 동 안 그 문장을 따라하는 방법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 변환모드에 의해서 음성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스크립트 또한 사용자가 결정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생성하고 해당 스크립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립트 혹은 스크립트 내의 일부 텍스트(text)에 대해서 구간 반복을 설정하면, 해당 음성 파일이 반복되는 것과 함께 그 구간의 텍스트 부분 역시 반복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목록(14)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5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목록(14)을 선택하면 파일 목록 창(50)과 변환 조건에 따른 변환 모드별 목록 창(52, 54, 56, 58)이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모드별 목록 창은 4개의 변환 종류를 표현한다. 일반 변환, 사용자 변환, 레벨 변환, 받아쓰기 변환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변환모드는 선택된 스크립트를 다른 조건없이 그대로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변환은 선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사용자가 후에 설명될 여러 가지 다양한 조건을 가하여 직접 편집하는 형태로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레벨 변환은 외국어 학습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어학 수준별로 음성 파일의 생성 조건을 설정해 주고, 이 조건에 따라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받아쓰기 변환은 선택된 스크립트에서 문장 단위로 휴지 시간(pause)을 갖는 음성 파일로의 변환에 해당된다. 받아쓰기 변환은 따라하기 변환으로 볼 수도 있다. 이는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음성 파일이 재생될 때 한 문장이 재생된 후 휴지 시간을 갖기 때문에 이 휴지 시간 동안에 그 문장을 받아쓰기 하거나, 그 휴지 시간 동안에 그 문장을 따라서 발음하는 방법으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TTS 항목(12)에서 하위 메뉴 항목인 변환(16)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변환(16)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6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변환(16)을 선택하면 텍스트 창(60)과 변환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일반 변환 메뉴 항목(62), 사용자 변환 메뉴 항목(64), 레벨 변환 메뉴 항목(66), 받아쓰기 변환 메뉴 항목(68)이 디스플레이된다. 텍스트 창(60)에는 TTS 변환을 기반으로 음성 파일로 생성할 텍스트 정보가 기록된다. 텍스트 정보는 스크립트 타입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통신부(230)를 통해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웹 서버(141)의 특정 스크립트를 선택하여 텍스트 창(60)에 기록해 넣을 수 있다. 또는 기기 조작부(220)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해 넣을 수도 있다.
도7은 일반 변환 메뉴 항목(62)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 변환 메뉴 항목(62)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7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텍스 트 창(6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가 기록되어 있다. 기록된 스크립트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재생되거나, 음성 파일로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재생 메뉴 항목(71)과 변환 실행 메뉴 항목(72)이 디스플레이된다.
텍스트 창(60)에 기록된 텍스트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TTS 변환부(240)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 재생 메뉴 항목(71)이 선택되면 제어부(210)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270)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음성 출력부(280)를 통해서 출력한다. 변환 실행 메뉴 항목(72)이 선택되면 제어부(210)는 선택된 스크립트의 텍스트를 TTS 변환부(240)를 이용해서 음성 파일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파일은 제2저장부(292)에 저장되거나, 통신부(230)를 통해서 연결된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기기로의 전송은 전송 제어 아이콘 창(40)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하였을 때 파일명을 부여하기 위한 파일명 메뉴 항목(73), 선택된 스크립트를 변환할 때 변환의 조건으로 파일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파일 포맷 메뉴 항목(74), 음질을 설정하기 위한 음질 메뉴 항목(75)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명 메뉴 항목(73)이 선택되면 파일명 입력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제어부(210)는 기기 조작부(220)를 통해서 입력된 파일명으로 해당 음성 파일을 제2저장부(292)에 저장한다. 경우에 따라, 파일명은 미리 설정된 특정 조건에 따라 임의의 파일명으로 자동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파일 포맷 메뉴 항목(74)이 선택되면 지원 가능한 음성 파일의 포맷 목록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제어부(210)는 기기 조작부(220)를 통해서 선택된 포맷으로 해당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한다. 음질 메뉴 항목(75)이 선택되면 지원 가능한 인코딩 비트 율의 목록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제어부(210)는 기기 조작부(220)를 통해서 선택된 음질로 해당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포맷, 음질 등의 조건은 사전에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반 변환 단계에서 변경해도 무방하다. 설정된 정보는 저장된다. 별도의 파일 변환 없이 재생을 원하는 경우 재생 메뉴 항목(71)을 선택하면 파일 변환 없이 바로 해당 스크립트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재생된다
도8은 사용자 변환 메뉴 항목(64)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변환 메뉴 항목(64)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8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텍스트 창(6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 메뉴 항목(71), 변환 실행 메뉴 항목(72), 파일명 메뉴 항목(73), 파일 포맷 메뉴 항목(74), 음질 메뉴 항목(75)은 도7에서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조건에 따라 음성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변환의 조건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이 포함된다. 여기에 표현된 변환의 조건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반복시작 메뉴 항목(81)과 반복 끝 메뉴 항목(82)은 스크립트 중에서 특정 구간을 반복시킨다. 반복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잠깐 쉬기 메뉴 항목(83)은 스크립트 중에서 특정 위치에서 설정 된 시간 동안 다음 순번의 음성신호 출력을 일시 중지시킨다. 쉬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속도 빠르게 메뉴 항목(84)은 스크립트를 읽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속도 느리게 메뉴 항목(85)은 스크립트를 읽는 속도를 느리게 한다. 원래 속도 메뉴 항목(86)은 속도의 변화를 중단시키는데 사용한다.
도9는 사용자 변환시 스크립트에 변환의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변환의 조건을 설정하는 다양한 메뉴 항목들(81 ~ 86)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을 스크립트 상의 특정 위치에 끌어다 놓는 것으로 변환의 조건이 설정된다. 반복 시작 아이콘(81a)이 문장의 첫 머리에 위치되었다. 반복 끝 아이콘(82a)이 문장의 끝에 위치되었다. 반복 횟수가 1회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이 스크립트에서는 반복 시작 아이콘(81a)이 위치한 곳부터 반복 끝 아이콘(82a)이 위치한 곳까지 음성 신호가 1회 반복되는 형태로 생성된다. 잠깐 쉬기 아이콘(83a)이 놓인 위치에서는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 신호가 없는 무음 구간으로 처리된다. 속도 빠르게 아이콘(84a)이 놓인 위치로부터 원래 속도 아이콘(86a)이 놓인 위치까지의 구간에서는 다른 부분보다 빠른 속도로 읽기가 이루어지는 형태로 음성 신호가 생성된다.
도10은 사용자 변환시 스크립트에 변환의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반복을 원하는 문장(62)의 경우 우선적으로 해당 문장을 드래그를 통하여 블록으로 선택한다. 다음 에 드래그된 문장으로 해당 아이콘을 끌어다 놓으면 반복 아이콘(80a)이 설정된다. 속도 빠르게, 느리게 아이콘도 반복 기능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속도 빠르게 아이콘(84a)이 선택된 문장(64)에 설정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잠깐 쉬기 기능은 도9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도8 내지 도10에서 반복횟수는 해당 아이콘의 클릭에 따라서, 1회, 2회 등으로 정해지는 방법으로 반복 회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11은 레벨 변환 메뉴 항목(66)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레벨 변환 메뉴 항목(66)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11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텍스트 창(6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 메뉴 항목(71), 변환 실행 메뉴 항목(72), 파일명 메뉴 항목(73), 파일 포맷 메뉴 항목(74), 음질 메뉴 항목(75)은 도7에서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레벨에 따라 음성 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레벨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91,92,93)이 포함된다. 여기에 표현된 레벨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사용자 레벨이라 함은, 외국어 능력에 따라 예를 들어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분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사용자 레벨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의 생성은 사용자 레벨에 따라 다른 읽기 속도를 갖는 음성 파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레벨을 레벨1 내지 레벨3으로 분 류하는 경우, 레벨2를 표준 읽기 속도로 하고, 레벨1은 표준 속도보다 각각 소정시간 느린 속도의 읽기 속도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고, 레벨3은 표준 속도보다 각각 소정시간 빠른 속도의 읽기 속도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레벨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은 사용자 레벨에 따라 선택된 스크립트에 대하여 1회 읽기, 2회 반복 읽기 또는 3회 반복 읽기 등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음성 파일 생성을 컨트롤 할 수도 있다.
도12는 받아쓰기 변환 메뉴 항목(68)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여기에 표현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받아쓰기 변환 메뉴 항목(68)의 선택은 기기 조작부(120)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210)로부터 영상 처리부(250)를 통해서 영상 출력부(260)에 도12의 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된다. 텍스트 창(6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크립트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 메뉴 항목(71), 변환 실행 메뉴 항목(72), 파일명 메뉴 항목(73), 파일 포맷 메뉴 항목(74), 음질 메뉴 항목(75)은 도7에서와 동일하다. 받아쓰기 변환시에는 휴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98)을 포함한다. 휴지 시간 메뉴 항목(98)에 의하여 특정 문장을 읽어 준 후 그 다음 문장을 읽기 전에 쉬는 시간을 정해줄 수 있다. 이 휴지 시간값은 목록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시간 값을 기록해 넣는 방법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문장의 길이에 비례하여 휴지 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13은 지금까지 설명한 방법으로 음성 파일을 생성하였을 때, 저장된 음성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목록 창(50)에는 12개의 음성 파일이 No, 종류, 파일명, 형식, 재생시간, 음질 정보와 함께 표현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4종류의 변환 모드를 갖고 있으므로, 일반 변환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일반 변환 목록 창(52), 사용자 변환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변환 목록 창(54), 레벨 변환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레벨 변환 목록 창(56), 받아쓰기 변환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받아쓰기 변환 목록 창(58)이 디스플레이된다. 음성 파일이 어떤 종류의 변환 모드에 의해서 생성된 것인지를 적당한 아이콘으로 표현하여 구분해 줄 수도 있는데, 도13에는 '종류' 항목에 해당 아이콘이 표현되어 있다.
도14는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성 파일이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음성 파일에 대응하는 해당 스크립트가 스크립트 창(68)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선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 파일을 제2저장부(292)에 저장할 때, 그 음성 파일과 해당 스크립트를 연결하는 정보를 갖는다. 스크립트도 하나의 텍스트 파일로서 음성 파일과 대응하여 저장한다. 또는, 텍스트와 음성 파일을 하나의 컨텐츠로서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음성 파일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성 파일과 연결된 스크립트를 스크립트 창(68)에 동기화시켜 출력해 주고, 음성 파일은 스크립트와 동기화하여 재생해 줄 수 있다.
도14에서, 특정 음성 파일의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송 제어 아이콘 창(40)에 음성 파일을 끌어다 놓기 함으로써 해당 음성 파일의 전송이 수행된다. 아니면, 별도의 전송 메뉴 항목을 두고, 이 전송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기기에 연결된 다른 기기로 선택된 음성 파일을 전송해 준다. 음성 파일의 전송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3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5 내지 도13의 모든 메뉴 항목들이 단 하나의 화면에, 예를 들면 도4와 같은 화면 구조 상에 한꺼번에 디스플레될 수도 있다. 즉, 매 단계마다 디스플레이될 화면의 구성이나 그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포함될 수 있는 항목들은 자유롭게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 순서도 자유롭게 변형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처리 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4내지 도14는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Interface)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27)

  1.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킬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조건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조건없는 변환, 음성 재생시 구간의 반복 여부, 특정 위치에서의 휴지 여부, 속도의 제어, 변환 포맷, 음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 파일로 변환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 법.
  6.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할 조건과 변환 여부를 결정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조건은 일반변환, 사용자 변환, 레벨변환, 받아쓰기 변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조건은 음성신호 포맷, 음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변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제한 조 건없이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변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 재생시 구간의 반복 여부, 특정 위치에서의 휴지 여부, 속도의 제어 중에서 설정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변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 재생시 설정된 사용자 수준에 따라 다른 속도의 재생이 이루어지기 위한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아쓰기 변환은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 재생시 한 문장 단위로 휴지 시간을 두고 재생이 이루어지기 위한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여부는 재생이나 음성 파일로의 변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5. 적어도, 음성으로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창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음 성으로 변환할 조건과 변환 여부를 결정할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16. TTS(Text To Speech) 변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TTS 변환 항목이 선택되면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변환의 종류에 따라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변환된 음성신호의 재생이나 음성 파일로의 변환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포함시키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의 종류는 일반변환, 사용자 변환, 레벨변환, 받아쓰기 변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의 종류는 변환 조건의 설정 여부, 변환 조건으로서 음성 재생시의 특정 구간의 반복 여부, 특정 위치에서의 휴지 여부, 속도의 제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19. TTS(Text To Speech) 변환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TTS 변환 항목이 선택되면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과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변환의 종류를 선택하는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변환의 종류에 따라 스크립트를 음성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변환된 음성신호의 재생이나 음성 파일로의 변환 여부를 선택하는 아이콘(icon)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20.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파일 목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 변환의 종류, 변환의 실행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의 종류는 변환 조건의 설정 여부, 변환 조건으로서 음성 재생시의 특정 구간의 반복 여부, 특정 위치에서의 휴지 여부, 속도의 제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의 실행은 변환된 음성신호의 재생이나 음성 파일로의 변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3.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파일 목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변환할 스크립트가 기록될 텍스트 창, 변환의 종류, 변환의 실행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24.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음성 파일 목록, 상기 디스플레이된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선택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선택된 음성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선택된 음성 파일에 해당되는 스크립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27. 스크립트에 대해서 음성으로 변환한 음성 파일 목록, 상기 디스플레이된 음성 파일 목록 중에서 선택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아이콘(icon)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처리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69854A 2007-07-11 2007-07-11 미디어 인터페이스 KR10144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54A KR101445869B1 (ko) 2007-07-11 2007-07-11 미디어 인터페이스
EP08150444.1A EP2015278B1 (en) 2007-07-11 2008-01-21 Media Interface
CNA2008100057767A CN101345049A (zh) 2007-07-11 2008-02-01 媒体界面
US12/216,815 US8145497B2 (en) 2007-07-11 2008-07-10 Media interface for converting voice to tex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854A KR101445869B1 (ko) 2007-07-11 2007-07-11 미디어 인터페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82A true KR20090006482A (ko) 2009-01-15
KR101445869B1 KR101445869B1 (ko) 2014-09-29

Family

ID=3959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854A KR101445869B1 (ko) 2007-07-11 2007-07-11 미디어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45497B2 (ko)
EP (1) EP2015278B1 (ko)
KR (1) KR101445869B1 (ko)
CN (1) CN1013450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3841B2 (en) * 2008-07-15 2015-03-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for enhancing the playback of information in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s
US9066049B2 (en) 2010-04-12 2015-06-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cripts
CN102376304B (zh) * 2010-08-10 2014-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文本朗读系统及其文本朗读方法
US8645141B2 (en) * 2010-09-14 2014-02-0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ext to speech conversion
JP4996750B1 (ja) * 2011-01-31 2012-08-0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2129374B1 (ko) * 2012-08-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JP6402688B2 (ja) * 2015-07-22 2018-10-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キスト対応付け編集装置、テキスト対応付け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6821A (ja) * 2015-07-22 2017-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キスト対応付け編集装置、テキスト対応付け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55721A (zh) * 2016-07-15 2016-10-26 深圳市联谛信息无障碍有限责任公司 一种网页无障碍处理方法及相关设备
US10489110B2 (en) * 2016-11-22 2019-1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plicit narration for aural user interface
US11145288B2 (en) * 2018-07-24 2021-10-12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text-to-speech interface
US20230335006A1 (en) * 2022-04-14 2023-10-19 Annunciation Corporation Robotic Head For Modeling Articulation Of Speech Soun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017A (en) * 1991-02-19 1997-05-13 Bright Star Technology, Inc. Advanced tools for speech synchronized animation
CA2124505C (en) * 1993-07-21 2000-01-04 William A. S. Buxton User interface having simultaneously movable tools and cursor
US7149690B2 (en) * 1999-09-09 2006-12-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language instruction
US6885987B2 (en) * 2001-02-09 2005-04-26 Fastmobi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pause information
US7194411B2 (en) * 2001-02-26 2007-03-20 Benjamin Slotznick Method of displaying web pages to enable user access to text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difficulty reading
JP2002358092A (ja) * 2001-06-01 2002-12-13 Sony Corp 音声合成システム
JP2003016008A (ja) * 2001-07-03 2003-01-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275032B2 (en) * 2003-04-25 2007-09-25 Bvoice Corporation Telephone call handling center where operators utilize synthesized voices generated or modified to exhibit or omit prescribed speech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5278B1 (en) 2014-05-21
US20090018838A1 (en) 2009-01-15
US8145497B2 (en) 2012-03-27
CN101345049A (zh) 2009-01-14
EP2015278A1 (en) 2009-01-14
KR101445869B1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6482A (ko) 미디어 인터페이스
US11080474B2 (en) Calculations on sound associated with cells in spreadsheets
KR101674851B1 (ko) 텍스트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간의 맵핑 자동 생성
CN101567186B (zh) 语音合成装置、方法、系统以及便携式信息终端
US854861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narration audio
JP6078964B2 (ja) 音声対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0098115A1 (zh) 字幕添加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885869B (zh) 控制包含语音的音频数据的回放的方法、计算设备和介质
US83407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digital content based on text-to-speech conversion
CN1783212A (zh) 转换文本为语音的系统和方法
KR20040005919A (ko) 프리젠테이션의 재생 속도 실시간 제어
KR101158319B1 (ko) 어학학습 전자기기 구동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응용한 동시통역 학습기
KR20090047159A (ko) 오디오-북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301176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recordings associated with electronic publication
US20210064327A1 (en) Audio highlighter
KR100830689B1 (ko) 청킹을 이용한 언어학습용 멀티미디어 재생방법 및 상기 재생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7229296B2 (ja) 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30204413A1 (en) Audio Hyperlinking
WO201901702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191221B2 (ja) 記録再生装置、同時記録再生制御方法、および同時記録再生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98039A1 (en) Quality of text analytics
CN112424853A (zh) 以对文本文档的音频回放进行补充的视觉内容为特点的文本到语音界面
JP6230131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10249559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JP2016206591A (ja) 語学学習用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語学学習用コンテンツ生成装置、および、語学学習用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