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600A - 고철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600A
KR20090005600A KR1020070068778A KR20070068778A KR20090005600A KR 20090005600 A KR20090005600 A KR 20090005600A KR 1020070068778 A KR1020070068778 A KR 1020070068778A KR 20070068778 A KR20070068778 A KR 20070068778A KR 20090005600 A KR20090005600 A KR 20090005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rum
scrap metal
drum member
transfer conveyor
scrap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천
Original Assignee
김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천 filed Critical 김병천
Priority to KR102007006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600A/ko
Publication of KR20090005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03C1/1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with movable pole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이물질이 혼입된 고철이 투입되는 호퍼부재; 일단이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로부터 배출된 고철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으로 상기 고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회전가능한 분리드럼부재; 및 상기 분리드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드럼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고철과 이물질을 신속하게 분리가능하고, 1,2차로 고철을 선별함으로써 미세입자의 고철까지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고철, 선별, 이물질 분리, 분리드럼, 마그네트, 자력

Description

고철 선별장치{Apparatus for dividing scrap iron}
본 발명은 고철과 이물질을 신속하게 분리하고,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철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R 20-038-4915 2005.05.23, 3쪽, 9-11줄, 도면 1
건설현장 등에서 건설폐기물로 이물질이 혼입된 고철이 많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폐기물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이물질이 혼입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처리가 복잡하고 곤란하다는 점 때문에 유용재로 활용할 수 없어 귀중한 자원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고철 선별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4915호인 "이동차량에 구비된 고철 선별기"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차량(10) 후미에 브라켓(20)으로 고철 선별기(30)를 연결하되, 고철 선별기(30)의 선단에 설치된 그래브 버킷(31)의 끝단부를 마그네트(40) 상단에 고정 설치된 끼움 고정구(41)에 끼워 핀을 결합시키고, 마그네트(40)는 차량 배터리(50)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이동차량에 구비된 고철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동차량에 고철 선별기가 마련되어 있어,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미세한 고철입자의 분리가 어려우므로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선별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오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이 혼입 된 고철이 투입되는 호퍼부재; 일단이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로부터 배출된 고철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으로 상기 고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회전가능한 분리드럼부재; 및 상기 분리드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드럼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고철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하부 및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부재에 의해 선별된 고철과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의 고철을 끌어당겨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의 외측으로 이송하는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고, 다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분리드럼부재 내부의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드럼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커버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철 선별장치에 따르면, 고철과 이물질을 신속하게 분리가능하 고, 1,2차로 고철을 선별함으로써 미세입자의 고철까지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철 선별장치는 호퍼부재(10)와 분리드럼부재(20)와 회전수단과 이송 컨베이어부재(40)와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를 포함한다.
호퍼부재(10)에는 오니, 슬러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혼입된 고철이 투입된다.
분리드럼부재(20)는 일단이 호퍼부재(10)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있어, 호퍼부재(10)로부터 배출된 고철이 분리드럼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분리드럼부재(20)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분리드럼부재(20)에는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프레임(21)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으로 고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프레임(21) 사이의 간격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각 프레임(21)의 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이고, 다수의 프레임(21)은 분리드럼부재(20) 내부의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분리드럼부재(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프레임(21)이 삼각형 형상이고, 다수의 프레임(21)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분리드럼부재(20) 내부의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은 삼각형 형상의 프레임(21)에 의해 가이드되어 분리드럼부재(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다.
회전수단(미도시)은 분리드럼부재(20)와 연결되어 분리드럼부재(20)를 회전시킨다. 회전수단의 일실시예로 모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부재(40)는 일단이 분리드럼부재(20)의 하부 및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분리드럼부재(20)에 의해 선별된 고철과 이물질을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컨베이어부재(4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부재(40)를 경사지게 배치하면, 호퍼부재(10)와 분리드럼부재(20)의 높이를 낮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설계상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컨베이어부재(40)가 한 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개수를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분리드럼부재(20)의 하부에는 분리드럼부재(2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상으로 이동되도록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커버(2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는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일측 상부에 이송 컨 베이어부재(4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는 내부에 자석(51)이 구비되어 있어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상의 고철(I)을 끌어당겨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외측으로 이송한다.
즉,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의 내부에는 자석(51)이 마련되어 있고,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외측으로 배치된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의 가장자리에는 자석(51)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자석(51)의 자력에 의해 고철(I)이 이송된 후 마그네크 컨베이어부재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면 자력이 약해져 하부로 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철 선별장치의 작동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물질이 혼입된 고철이 호퍼부재(10)로 투입된다.
호퍼부재(10)로 투입된 고철은 분리드럼부재(20) 내부로 배출되고, 분리드럼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된 고철은 분리드럼부재(20)가 회전함에 따라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이 1차적으로 분리된다.
즉, 분리드럼부재(2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분리드럼부재(20) 내부의 이물질은 각 프레임(2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분리드럼부재(2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분리드럼부재(20) 외측으로 배출된 이물질(S)은 가이드 커버(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상으로 이동하고, 이송 컨베이어부재(40)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분리드럼부재(20) 내부에 1차적으로 선별된 고철은 도 1 상에서 좌측 으로 배출되어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상에 놓이게 되고, 이송 컨베이어부재(40)에 의해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상에서 이동하는 고철(I)은 이송 컨베이어부재(40) 일측 상부에 마련된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의 자석(51)에 의해 끌어당겨져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외측으로 이송된 후 모아진다. 이때, 이물질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고철이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50)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부재(40)의 외측으로 이송되어 2차적으로 고철의 선별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철 선별장치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리드럼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이동차량에 구비된 고철 선별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부재 20 : 분리드럼부재
21 : 프레임 25 : 가이드 커버
40 : 이송 컨베이어부재 50 :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
51 : 자석 I : 고철
S : 이물질

Claims (4)

  1. 이물질이 혼입된 고철이 투입되는 호퍼부재;
    일단이 상기 호퍼부재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부재로부터 배출된 고철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으며, 타단으로 상기 고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회전가능한 분리드럼부재; 및
    상기 분리드럼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드럼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고철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하부 및 배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드럼부재에 의해 선별된 고철과 이물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의 고철을 끌어당겨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의 외측으로 이송하는 마그네트 컨베이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고,
    다수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분리드럼부재 내부의 고철에 혼입된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선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드럼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드럼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재 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선별장치.
KR1020070068778A 2007-07-09 2007-07-09 고철 선별장치 KR20090005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8A KR20090005600A (ko) 2007-07-09 2007-07-09 고철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8A KR20090005600A (ko) 2007-07-09 2007-07-09 고철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00A true KR20090005600A (ko) 2009-01-14

Family

ID=4048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778A KR20090005600A (ko) 2007-07-09 2007-07-09 고철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71B1 (ko) * 2011-11-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동식 스크랩 처리 장치
KR101362578B1 (ko) * 2013-11-07 2014-02-13 우희석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71B1 (ko) * 2011-11-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동식 스크랩 처리 장치
KR101362578B1 (ko) * 2013-11-07 2014-02-13 우희석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054B1 (ko) 건설 폐기물에서의 스텐레스 스틸 선별장비
CN204429509U (zh) 离心式电磁垃圾分选装置
CN103846274A (zh) 一种生活垃圾破袋分选一体机
CN101947493B (zh) 磁力分选机
CN201308859Y (zh) 一种永磁离心磁选机
KR20080092667A (ko) 풍력 선별 장치
KR102033626B1 (ko) 우드칩용 알루미늄 자력선별장치
CN111841878B (zh) 一种钢铁冶炼转炉钢渣处理微粉提取分离工艺
KR20090005600A (ko) 고철 선별장치
KR20120003733A (ko) 폐유리 재활용 시스템
KR101430527B1 (ko) 폐led조명등의 베이스 분쇄물 분류장치
CN108014900B (zh) 一种矿石破碎、采样、除尘一体化系统
KR101219129B1 (ko) 고철 선별장치
CN101376120A (zh) 管道式永磁自动除铁器
CN201815382U (zh) 磁力分选机
CN104941790A (zh) 三元垃圾淘洗分选机
CN202356148U (zh) 立磨排铁结构
KR20230020766A (ko)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철 선별장치
JP3549405B2 (ja) 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およびプラスチック選別方法
CN201086031Y (zh) 管道式永磁自动除铁器
KR20150123546A (ko)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KR101582447B1 (ko) 폐 콘크리트의 골재 재생장치
CN200957376Y (zh) 立式永磁干选机
JP5838658B2 (ja) ドラム式磁気選別機
JPH10165838A (ja) ベルトレス回転ドラム型非鉄金属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