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329A -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329A
KR20090005329A KR1020087025492A KR20087025492A KR20090005329A KR 20090005329 A KR20090005329 A KR 20090005329A KR 1020087025492 A KR1020087025492 A KR 1020087025492A KR 20087025492 A KR20087025492 A KR 20087025492A KR 20090005329 A KR20090005329 A KR 2009000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seq
peptide
neuromedi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 제이 마쉬
안토넬로 페씨
마리아 에이 베드나렉
엘리사베타 비안치
파올로 인갈리넬라
안드레아 엠 페이어
Original Assignee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이스티투토 디 리세르쉐 디 비올로지아 몰레콜라레 피. 안젤레티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이스티투토 디 리세르쉐 디 비올로지아 몰레콜라레 피. 안젤레티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0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07K14/43Sweetening agents, e.g. thaumatin, monel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3Lipids, e.g. triglycerides; Polyamines, e.g. spermine or sper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 steroid plant sterol, glycyrrhetic acid, enoxolone or bile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Endocri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및 당뇨병과 같은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관한 것이다.
비만, 당뇨병, 대사 장애,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Description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이의 용도{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상호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6년 3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783,933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비만과 같은 대사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관한 것이다.
뉴로메딘 U (NMU)는 본래에 래트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이의 능력을 기초로 돼지 척추로부터 분리되었고 이후 스트레스, 자극수용, 염증, 심혈관 기능 및 에너지 항상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NMU의 특성 분석으로 유사한 생활성을 갖는 3개의 펩타이드, 즉, 사람, 돼지 및 개에서 전장의 NMU(25량체 (NMU-25)), 래트 및 마우스에서 23량체(NMU-23) 및 8량체(NMU-8)를 동정하였다. NMU-8는 전장 NMU의 절단으로부터 유래하고 전장 전구체와 동일한 C-말단을 공유한다. NMU-8는 척추동물에서 조사된 모든 종간에 동일한 7개의 C-말단 잔기를 함유하여 고도로 보존되어 있다; 당해 잔기는 생활성을 위해 중요하다(문헌참조: Brighton et al., Pharmacol. Rev. 56: 231-248 (2004)).
에너지 항상성의 조절에서 NMU의 역할은 약리학적 및 유전학적 데이터에 의해 지지된다. NMU의 성질은 음식 섭취의 억제 및 물질이 중추로 투여되는 경우 나타나는 에너지 소비의 증가를 포함한다(문헌참조: Howard et al., Nature 406: 70-74 (2000); Nakazato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277: 191-194 (2000); Ivanov et al., Endocrinol. 143: 3813-3821 (2002); and Wren et al., Endocrinol., 143: 4227-4234 (2002)). NMU-결핍 마우스에서는 과식증 및 감소된 에너지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비만이 발병되고(문헌참조: Hanada et al., Nat. Med., 10: 1067-1073 (2004)), NMU를 과발현하는 유전자전이 마우스는 야위고 소식증(hypophagic)이다(문헌참조: Kowalski et al., J. Endocrinol.185: 151-164 (2005)). 동물의 내부 에너지 상태는 또한 NMU의 발현 및 방출에 영향을 준다(문헌참조: Wren et al., ibid.).
2개의 고친화성 NMU 수용체인 NMURl(문헌참조: Intl. Patent Appl. No. PCT/US99/15941) 및 NMUR2 (문헌참조: 미국 특허 제7163799호)가 동정되었다. NMURl은 주로 말초에서 발현되는 반면 NMUR2는 주로 뇌에서 발현된다. 약리학적 실험은 에너지 항상성에 대한 NMU의 단기 및 장기 효과를 보다 양호하게 규명하고 어느 NMU 수용체가 당해 작용을 매개하는데 관여하는지를 동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중추 또는 말초로의 NMU의 급성 투여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마우스에서의 음 식 섭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추 투여된 NMU의 식욕감퇴 작용은 NMUR2-결핍(Nmur2-/-)마우스에서는 부재이지만 NMURl-결핍 (Nmur1-/-) 마우스에서는 존재한다. 반대로, 말초로 투여된 NMU의 식욕감퇴 작용은 Nmur1-/- 마우스에서는 부재이고 Nmur2-/- 마우스에서는 존재한다. 추가로, NMU의 용량 의존적인 급성 말초 투여는 마우스에서 중심 체온을 증가시키고 이는 NMURl이 또한 에너지 소비를 조절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중추로 또는 말초로 NMU의 만성 투여는 마우스에서 또한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음식 섭취, 체중 및 비만성을 감소시킨다. Nmur2-/- 유전자전이 마우스에서, 체중, 신체 조성, 체온 및 음식 섭취는 래트 NMU-23의 만성 중추 투여에 의해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Nmur1-/- 유전자 전이 마우스에서, 체중, 신체 조성 및 음식 섭취가 래트 NMU-23의 만성 말초 투여에 의해 크게 영향받지 않는다. NMURl- 대 NMUR2-매개된 효능에 대한 작용 부위가 상이하고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만에 특정 역할을 갖기 때문에 NMURl- 및 NMUR2-선택적 효능제 및 NMUR1/2 비-선택적 효능제가 비만의 치료를 위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사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뉴로메딘 U-수용체 효능제를 제공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뉴로메 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하나의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특이적이고 또 다른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MURl 또는 NMUR2 수용체 둘다와 결합하여 이를 자극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유도체화시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에서의 NMU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치료학적으로 및 연구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치료학적 적용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에 영향을 주는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해 장애는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및 II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망막병증과 같은 당뇨의 합병증은 또한 이에 의해 양성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비만은 공존이환이고 당뇨,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과 같은 당해 질환 상태에 기여할 수 도 있다. 개체에서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기재된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의 투여는 또한 당해 질환을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고 다른 것 뿐만 아니라 상기된 증상중 임의의 하나에 대한 치료의 일부로서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개체에 상기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투여함을 포함하여 개체에서 대사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대사 질환은 당뇨병, 대사 증후군, 고혈당증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말초 경로를 통해, 예를 들어, 경구, 점막, 협측, 설하, 비강, 직장, 피하, 경피,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개체 에 투여되어 개체에 의한 음식 섭취를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개체에서의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개체에서의 체중 증가를 예방하고/하거나 개체에서의 체중을 감량시키고/시키거나 개체에서의 체중 재증가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분리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 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특정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현재 바람직한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8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및 서열번호 2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추가의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3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 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0,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상기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추가의 측면에서, N-말단 아미노산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 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추가의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추가로 펩타이드의 N-말단에서, 존재하는 경우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된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특정 측면에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바람직한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을 갖고 이는 당해 펩타이드의 N 말단에서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어 있고 PEG 분자가 티올 그룹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테인 잔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추가로 원거리 말단 및 인접 말단을 갖는 링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링커 그룹은 원거리 말단에서 펩타이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접 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카복실 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테인 잔기상에는 존재하는 경우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어 있다. 특정 측면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대사 장애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임의의 양태 및 측면에 따른 용도를 제공한다. 장애는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및 II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망 막병증과 같은 당뇨병의 합병증은 또한 이에 의해 양성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비만은 또한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과 같은 질환 상태에 공존이환이고 이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펩타이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 이상의 PEG 분자를 당해 펩타이드에 공유적으로 연결시킴을 포함하는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정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 허용되는 이의 염은 화학식 I를 갖는다.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를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추가로, 펩타이드의 C 말단에서 7개의 아미노산중 하나 이상을 사람 NMU-25 펩타이드에 고유하지 않은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사체로 변형시킴을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특이적인 NMU-25 펩타이드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8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NMe-Phe, 지방족 아미 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및 서열번호 2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3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0,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추가로, 개체에 대사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투여함을 포함하는 개체에서의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를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당해 방법은 특히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II형 당뇨병, 당뇨병의 합병증,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대사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다.
당해 방법의 특정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현재 바람직한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8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는 K, A 또는 L이고; 아미 노산 X23은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및 서열번호 2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당해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3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특정 측면에서,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0,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당해 방법의 추가의 측면에서, N-말단 아미노산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추가의 측면에서, 당해 펩 타이드는 추가로 펩타이드의 N-말단에서, 존재하는 경우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된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당해 방법의 특정 측면에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바람직한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을 갖고 이는 당해 펩타이드의 N 말단에서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어 있고 PEG 분자가 티올 그룹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테인 잔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추가로 원거리 말단 및 인접 말단을 갖는 링커 그룹을 포함하고, 이는 당해 링커 그룹은 원거리 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인접 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카복실 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존재하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 연결되어 있다. 특정 측면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은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당해 방법의 현재 바람직한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화학식 Ac-C2-펩타이드-CONH2를 갖고, 이때, Ac는 아세틸 그룹이고, C2는 Cys(PEG)240kDa이고 당해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도 1A는 효능제 H의 말초 투여가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 이들 식욕 감퇴 작용이 NMUR1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식이 유도된 비만 Nmurl+/+ 및 Nmurl-I- 마우스에 암상(dark phase) 개시 약 30분전에 비히클(물), 3.25 mmoles/kg의 화합물 H 또는 3.25 mmoles/kg의 hNMU-25를 ip 투여하고 음식 섭취는 약 2시간 및 18시간(밤새)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 P < 0.05 대 비히클, n = 처리 그룹당 11-12.
도 1B는 도 1A에서 마우스의 체중에 대한 밤새 변화를 보여준다.
도 2A는 NMURl-선택적 효능제 H의 급성 말초 투여가 야생형 마우스에서 음식 섭취를 상당히 감소시키지만 Nmurl 녹아웃 마우스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고 이는 NMURl이 효능제 H의 식욕 감퇴 작용을 위해 요구됨을 입증하는 것이다. 추가로, 이들 데이터는 NMURl-선택적 효능작용이 범 NMURl/2 효능제 NMU의 식욕감퇴 작용의 개요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임을 입증한다.
도 2B는 NMUR1-선택적 효능제 NMU13의 급성 말초 투여가 또한 야생형 마우스에서 음식 섭취를 상당히 감소시키지만 Nmur1 녹아웃 마우스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고, 이것은 NMURl이 또한 당해 효능제의 식욕감퇴 작용을 위해 요구됨을 입증하는 것이다. 추가로, 이들 데이터는 NMURl-선택적 효능작용이 범 NMURl/2 효능제 NMU의 식욕 감퇴 작용의 개요를 보여주는데 충분함을 입증한다.
도 3A는 페길화된 NMU의 급성 피하 투여가 투여 후 3일동안 음식 섭취를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페길화된 유사체의 시험관내 및 생체내 대사 프로필과 일치하 게 NMU1은 hNMU-25와 비교하는 경우 밤새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는데 보다 큰 효율을 나타내고 음식 섭취의 감소는 투여 후 3일동안 관찰된다. 체중의 상당한 감소가 또한 관찰되었다(도 3B).
도 3B는 도 3A에서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보여준다.
도 4A는 NMU12가 또한 효과적인 식욕감퇴 펩타이드임을 보여준다. NMUl와 유사하게, 음식 섭취 및 체중의 상당한 감소(도 4B)는 효능제의 1회 피하 투여후 3일동안 관찰되었다.
도 4B는 도 4A의 마우스에서의 체중 변화를 보여준다.
도 5A는 NMU12가 NMUR1 및 NMUR2 수용체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NMU12의 급성 투여는 야생형 동물에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NMURl/NMUR2 이중 녹아웃 동물에서는 어떠한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도 5B는 도 5A에서의 마우스의 하루 간격의 체중 변화를 보여준다.
도 6A는 페길화된 NMUl2의 식욕감퇴 효과가 NMURl 및 NMUR2 수용체 둘다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음식 섭취 및 체중의 감소(도 6B)는 NMUR1 녹아웃 동물에서 투여 후 2일동안 관찰되었다. 그러나, NMUR2 녹아웃 동물에서는 하루밤 효과만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NMURl에 의해 단독으로 매개되는 hNMU-25의 식욕감퇴 효과와는 대조적인 것이고, 이는 hNMU-25 및 NMUl2가 별개의 독특한 작용 기작을 갖고 있는 것임을 입증한다.
도 6B는 4일 동안의 도 6A에서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보여준다.
도 7A는 NMU12의 만성 투여가 음식 섭취 및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NMUl2는 매일(QD), 격일(Q2D)로 또는 3일 간격(Q3D)으로 투여되었다. 당해 도면은 치료 개시 후 9일동안 체중의 누적된 변화를 보여준다. 최종 투여량은 연구 4일째에 투여되었고 측정은 9일째 수행되었다.
도 7B는 도 7A에서 마우스의 누적 음식 섭취가 NMU12에 대한 모든 투여 전형에서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음식 섭취는 이들 투여량에서 비히클 처리된 그룹에 비해 12 내지 27% 감소하였다.
도 7C는 도 7A에서의 마우스 체중의 누적된 변화가 비히클 대조군 그룹에 비해 3.3% 감량 내지 크게는 7.3% 감량임을 보여준다.
도 8은 스파이크-인(spike-in) 실험을 사용한 혈장에서의 hNMU-25 및 페길화된 효능제 NMUl 및 NMUl2의 시험관내 안정성의 비교를 보여준다. 페길화는 사람 혈장에서 보다 큰 안정성을 제공하였다. 사람 혈장에서 hNMU-25의 반감기는 16시간 미만인 반면 페길화된 효능제는 37℃에서 항온처리된 사람 혈장에서 3일 초과의 반감기를 나타냈다.
도 9는 마우스에서 hNMU-25 및 페길화된 효능제 NMU12의 약역학적 성질의 비교를 보여준다. 페길화는 생체내에서 보다 큰 대사 안정성을 제공했다. 동물에는 10mg/kg의 hNMU-25 또는 NMU12를 피하 투여하였다. 다양한 시점에서 혈장을 수거하고 생분석에서 측정하였다. 점선은 분석용 검출 한계치(LOD)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공한다. 본원에 기재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MU 수용체에서 작용하고 NMU 수용체와 결합하며 NMU 수용체 활성을 자극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하나의 수용체 서브타입에 대해 특이적이고 이때 당해 특이성은 상응하는 NMURl 또는 NMUR2 수용체 결합 분석에서 약 200nM 미만인 IC50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선택성은 NMURl-선택적 펩타이드에 대한 사람 NMUR2/사람 NMUR1에서 및 NMUR2 선택적 펩타이드에 대한 사람 NMUR1/사람 NMUR2에서의 기능적 활성 또는 EC50을 근거로 한다.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선택적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MUR1에 대해 약 21배 내지 909배 범위로 선택적이고 NMUR2에 대해서는 약 2 내지 200배 범위로 선택적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MURl 및 NMUR2 수용체 둘다와 결합하여 이를 자극할 수 있고 유도체화시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에서 NMU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치료학적으로 및 연구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중 하나 이상은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가 앓고 있는 대사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당해 장애는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및 II형 당뇨병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망막병증과 같은 당뇨병의 합병증은 또한 이에 의해 양성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과 같은 당해 질환 상태에 공존이환이고 이에 기여할 수 있다. 개체에서 체중을 감량시키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투여는 또한 당해 질환을 예방하고 다른 것 뿐만 아니라 상기된 증상중 어느 하나에 대한 치료의 일부로서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개체에게 상기된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개체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개체에서의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대사 질환은 당뇨병, 대사 증후군, 과혈당증,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경구, 점막, 협측, 설하, 비강, 직장, 피하, 경피,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 경로와 같은 뇌로의 말초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사용하여 개체에서의 다중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본원의 기재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개체에게 투여하여 개체에 의한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개체에서의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개체에서의 체중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개체에서의 체중 재증가를 예방할 수 있다.
연구 도구 사용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사용 및 NMU 수용체 또는 이의 단편의 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구 도구 사용의 예는 NMU 수용체에서 활성인 화합물에 대한 스크리닝, 샘플 또는 제제에서 NMU 수용체 존재의 결정 및 NMU의 역할 또는 효과 조사를 포함한다. 추가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시험 화합물과의 경쟁 실험에서 사용하여 NMU 결합 화합물(효능제 또는 길항제)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화학식 I를 포함한다.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를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특정 양태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특정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아미노산 서열은 표 1에 나타낸다.
추가의 양태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8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예는 표 2에 나타낸다.
또 다른 양태에서, 당해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3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 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예는 표 2에 나타낸다.
특정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임의로 N-말단 아미노 그룹에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보호 그룹을 포함한다. 뉴로메딘 A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 그룹에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보호 그룹은 생체내 조건하에 아미노 말단의 반응성을 감소시킨다. 아미노 보호 그룹은 -C1-10 알킬, -C1-10 치환된 알킬, -C2-10 알케닐, -C2-10 치환된 알케닐, 아릴, -C1-6 알킬 아릴, -C(O)-(CH2)1-6-COOH, -C(O)-C1-6 알킬, -C(O)-아릴, -C(O)-O-C1-6 알킬, 또는 -C(O)-O- 아릴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아미노 말단 보호 그룹은 아세틸, 프로필, 숙시닐, 벤질, 벤질옥시카보닐 및 t-부틸옥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N-말단 아미노산의 탈이민화는 생체내 조건하에서 아미노 말단의 반응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려되는 또 다른 변형이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유도체가 중합체에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선택된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아실화를 위한 활성 에스테르 또는 알킬화를 위한 알데하이드와 같은 단일 반응성 그룹을 갖도록 변형되어, 중합도가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 제공된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중합체의 혼합물이 중합체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최종 생성물 제조의 치료학적 용도를 위해, 중합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성이다.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모노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란, 셀룰로스, 또는 기타 탄수화물 기본 중합체, 폴리-(N-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화된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및 폴리비닐 알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의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페길화, 콜레스테로일화 또는 팔미토일화에 의해 변형된다. 당해 변형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서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것일 수 있지만 현재 바람직한 양태에서 당해 변형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 아미노산에 대한 것이거나 직접적으로 N-말단 아미노산에 대한 것이거나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을 N 말단에 부가하여 커플링시키거나 링커를 Ttds와 같은 N-말단에 부가하여 커플링시킴에 의한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은 보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커플링되고 시스테인 티올레이트 그룹이 N-에틸말레이미드, PEG 그룹, 콜레스테롤 그룹 또는 팔미토일 그룹으로 유도체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부가되고 시스테인의 티올 그룹은 N-에틸말레이미드, PEG 그룹, 콜레스테롤 그룹 또는 팔미토일 그룹으로 유도체화된다.
특정 단백질의 성질이 단백질의 유체역학적 용적을 증가시키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중합체와 부착시켜 조절될 수 있고 이로써 신장 여과에 의한 제거를 늦추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문헌참조: Clark et at., J. Biol. Chem. 271 : 21969-21977 (1996)). 따라서, 코어 펩타이드 잔기가 페길화되어 증진된 치료학적 이득, 예를 들어,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킴에 의해 증가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자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PEG 그룹을 포함시킴으로써 본래의 NMU-25 펩타이드에 비해 페길화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혈청 반감기를 연장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NMU12와 같은 특정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하고 뇌에서 NMUR2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정맥내 투여 후, 본래의 NMU-25는 전신 순환계로부터 신속히 제거된다. 도 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37℃에서 온전한 사람 NMU-25(NMU1)의 반감기는 당해 분자의 N-말단 페닐알라닌의 아미노 그룹으로 또는 NMU-25(NMU12)의 N-말단 페닐알라닌 잔기로의 아미드 결합에 의해 공유적으로 연결된 시스테인의 티올 그룹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를 공유적으로 부착시킴에 의해 상당히 증가된다. 따라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페길화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약역학적 및 약동학적 성질을 개선시킨다.
펩타이드 페길화 방법은 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하기의 문헌(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에 기재되어 있다: Lu et ah, Int. J. Pept. Protein Res.43: 127-38 (1994); Lu et al., Pept. Res. 6: 140-6 (1993); Felix et al., Int. J. Pept. Protein Res. 46: 253-64 (1995); Gaertner et al., Bioconjug. Chem. 7: 38-44 (1996); Tsutsumi et al., Thromb. Haemost. 77: 168-73 (1997); Francis etal., Int. J. Hematol. 68: 1-18 (1998); Roberts et ah, J. Pharm. Sci. 87: 1440-45 (1998); and Tan et ah, Protein Expr. Purif. 12: 45-52 (1998).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PEG는 모노-(C1-10)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단백질을 유도체화하기 위해 사용되어온 임의의 PEG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적합한 PEG 잔기는 예를 들어, 40 kDa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프로피온알데하이드(Dow, Midland, Michigan); 60 kDa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피온알데하이드(Dow, Midland, Michigan); 4OkDa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말레이미도-프로피온아미드(Dow, Midland, Michigan); 31 kDa 알파-메틸-w-(3-옥소프로폭시), 폴리옥시에틸렌(NOF Corporation, Tokyo); mPEG2-NHS-40k (Nektar); mPEG2-MAL-40k (Nektar), SUNBRIGHT GL2-400MA ((PEG)240kDa) (NOF Corporation. Tokyo),및 SUNBRIGHT ME-200MA (PEG20kDa) (NOF Corporation, Tokyo)을 포함한다. PEG 그룹은 일반적으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상의 반응성 그룹(예를 들어, 알데하이드, 아미노, 티올 또는 에스테르 그룹)상의 반응성 그룹에 대해 PEG 잔기상의 반응성 그룹(예를 들어, 알데하이드, 아미노, 티올 또는 에스테르 그룹)을 통한 아실화 또는 환원 알킬화를 통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로 부착된다.
PEG 분자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내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Lys, Cys, 또는 K(CO(CH2)2SH)에 공유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말단 아미노 그룹을 경유하여 N-말단에서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직접 페길화될 수 있다. "랑커 암"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부가하여 페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시스테인의 티올 측쇄에서의 페길화는 널리 보고되었다(문헌참조: Caliceti & Veronese, Adv. Drug Deliv. Rev. 55: 1261-77 (2003)). 펩타이드내에 시스테인 잔기가 없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는 치환 또는 시스테인을 N-말단 아미노산에 부가함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당해 페길화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말단 아미노산으로 부가된 시스테인 잔기의 측쇄를 통해 페길화된다.
또한, PEG 분자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C-말단에서 아미드 그룹에 공유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PEG 분자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공유적으로 부착된다. 특정 측면에서, PEG 분자는 측쇄화되고 다른 측면에서 PEG 분자는 선형일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PEG 분자는 분자량이 1 kDa 내지 100 kDa이다. 추가의 측면에서, PEG 분자는 10, 20, 30, 40, 50 및 60 kDa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측면에서, 이것은 20, 40, 또는 60 kDa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2개의 PEG 분자에 공유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각각은 1 내지 40 kDa이고 특정 측면에서 이들은 20 및 20 kDa, 10 및 30 kDa, 30 및 30 kDa, 20 및 40 kDa, 또는 40 및 40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특정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mPEG-시스테인을 함유한다. mPEG-시스테인내 mPEG는 다양한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분자량의 범위는 바람직하게 5 kDa 내지 200 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5 kDa 내지 100 kDa, 및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20 kDa 내지 60 kDA이다. mPEG는 선형 또는 측쇄화될 수 있다.
현재,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N-말단 아미노산으로 부가된 시스테인의 측쇄를 통해 페길화되는 것은 바람직할 수 있다. 현재, 효능제는 바람직하게 mPEG-시스테인을 함유한다. mPEG-시스테인내 mPEG는 다양한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분자량의 범위는 바람직하게 5kDa 내지 20OkDa, 보다 바람직하게는 5kDa 내지 10OkDa, 및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2OkDa 내지 6OkDA이다. mPEG는 선형 또는 측쇄화될 수 있다.
합성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페길화를 위해 유용한 전략은 용액내 접합체 연결을 통해 펩타이드 및 PEG 잔기(여기서 각각은 다른 상태에 대해 상호 반응성인 특별한 작용기를 함유한다)를 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통상적인 고형상 합성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특정 부위에서 적당한 작용성 그룹으로 "예비활성화"된다. PEG 잔기와 반응시키기 전에 전구체를 정제하고 완전히 특성 분석한다. 펩타이드와 PEG의 접합은 일반적으로 수성상에서 수행되고 역상 분석 HPLC에 의해 용이하게 모니터될 수 있다. 페길화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정제용 HPLC에 의해 용이하게 정제될 수 있고 분석용 HPLC, 아미노산 분석 및 레이져 탈착 질량 분광측정기에 의해 특성 분석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기타 비-서열 변형, 예를 들어, 당화, 지질화, 아세틸화, 인산화, 카복실화, 메틸화, 또는 임의의 다른 조작 또는 변형, 예를 들어, 표지 성분과의 접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측면에서, 본원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천연 아미노산 또는 천연 아미노산의 D형태, 비천연 아미노산과의 대용물(예를 들어, 메티오닌 설폭사이드, 메티오닌 메틸설포늄, 노르류신, 엡실론-아미노카프로산, 4-아미노부타노산,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3-카복실산, 9-아미노카프릴산, 4-아미노부티르산, Lys(N(엡실론)-트리플루오로아세틸) 또는 합성 유사체, 예를 들어, o-아미노이소부티르산, p 또는 y 아미노산, 및 사이클릭 유사체를 사용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인 제1 잔기 및 이종성 펩타이드인 제2 잔기를 갖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필수적으로 비변형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동일한 활성을 갖고/갖거나 기타 목적하는 성질을 갖는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적 기술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C-말단 카복시 그룹에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보호 그룹은 생체내 조건하에서 카복시 말단의 반응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펩타이드의 카복실산은 카복실 말단 또는 측쇄이든 상관 없이 약리학적으로 수용되는 양이온의 염의 형태 또는 C1-6 에스테르를 형성하기 위해 에스테르화된 형태 또는 화학식 NRR2(여기서, R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C1-6 알킬이다)의 아미드로 전환된 형태 또는 5 또는 6-원 환과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하기 위해 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복시 말단 보호 그룹은 바람직하게 마지막 아미노산의 α-카보닐 그룹에 부착된다. 카복시 말단 보호 그룹은 아미드, 메틸아미드 및 에틸아미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펩타이드의 아미노 그룹은 N-말단 또는 측쇄이든 상관없이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예를 들어, HCl, HBr, 아세트산, 벤조산, 톨루엔 설폰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기타 유기 염) 형태일 수 있거나 C1-6 알킬 또는 디알킬 아미노로 변형되거나 아미드로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측쇄의 하이드록실 그룹은 널리 인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C1-6 알콕시 또는 C1-6 에스테르로 전환될 수 있다. 펩타이드 측쇄의 페닐 및 페놀환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로 치환되거나 C1-6 알킬, C1-6 알콕시, 카복실산 및 이의 에스테르, 또는 당해 카복실산의 아미드로 치환될 수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측쇄의 메틸렌 그룹은 동족 C2-4 알킬렌으로 연장될 수 있다. 티올은 다수의 널리 인지된 보호 그룹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드 그룹으로 보호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사이클릭 구조를 본 발명의 펩타이드로 도입하여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구조로의 형태적 압박을 선택하고 제공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카복시-말단 또는 아미노 말단 시스테인 잔기가 펩타이드에 첨가되어, 산화되는 경우 펩타이드가 디설파이드 결합을 함유하게 되고 이로써 사이클릭 펩타이드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펩타이드 환형화 방법은 티오에테르 및 카복실 및 아미노-말단 아미드 및 에스테르의 형성을 포함한다.
폴리사카라이드 중합체는 단백질 변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수용성 중합체이다. 덱스트란은 개개의 글루코스 서브유니트가 주로 α1-6 연결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된 폴리사카라이드 중합체이다. 덱스트란 자체는 많은 분자량 범위로 유용하고 약 1 kDa 내지 약 70 kDa의 분자량의 것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 덱스트란은 그 자체로 비히클로서 사용하기 위해 또는 다른 비히클과 조합된 비히클로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수용성 중합체이다(문헌참조: WO 96/11953 및 WO 96/05309). 치료학적 또는 진단학적 면역글로불린과 접합된 덱스트란의 용도는 예를 들어 문헌[참조: 유럽 특허 공보 제0 315 456호]에 보고되었다. 덱스트란이 본 발명에 따른 비히클로서 사용되는 경우 약 1 kDa 내지 약 20 kDa의 덱스트란이 사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링커" 그룹의 존재는 임의적이다. 존재하는 경우, 이의 화학적 구조는 중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것이 주로 스페이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정 양태에서, 당해 링커는 그 자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개선된 성질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링커는 바람직하게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함께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특정 양태에서, 링커는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이때 아미노산은 20개의 천연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아미노산중 일부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당화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1 내지 20개의 아미노산은 글라이신, 알라닌, 프롤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및 라이신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링커는 대다수가 글라이신 및 알라닌과 같이 특별히 장애를 주지 않는(unhindered)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링커는 폴리글라이신(특히 (Gly)4, (Gly)5), 폴리(Gly-Ala), 및 폴리알라닌이다. 링커의 다른 특정 예는 (Gly)3Lys(Gly)4; (Gly)3AsnGlySer(Gly)2; (Gly)3Cys(Gly)4; 및 GlyProAsnGlyGly이다.
비-펩타이드 링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 링커(예를 들어, -NH- (CH2)s-C(O)-(여기서, s = 2-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알킬 링커는 추가로 저급 알킬(예를 들어, C1-6) 저급 아실, 할로겐(예를 들어, Cl, Br), CN, NH2, 페닐등과 같은 임의의 비-공간적 장애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예시된 비펩타이드 링커는 PEG 링커이고 이때, n은 링커의 분자량이 100 내지 5000kD,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kD가 되도록 하는 값이다. 펩타이드 링커는 상기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다른 링커는 Ttds(l-아미노-4,7,10-트리옥사-13-트리데카나민 숙신이민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믹 형태 및 에난티오머적으로 분리된 순수한 형태를 포함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D-아미노산, L-아미노산 또는 이의 조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은 D-형태의 특정 아미노산과의 L-형태로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개의 아미노산은 하기와 같이 대표될 수 있다: A=Ala=알라닌; C=Cys=시스테인; D=Asp=아스파르트산; E=Glu=글루탐산; F=Phe=페닐알라닌; G=Gly=글라이신; H=His=히스티딘; I=Ile=이소류신; K=Lys=라이신; L=Leu=류신; M=Met=메티오닌; N=Asn=아스파라긴; P=Pro=프롤린; Q=Gln=글루타민; R=Arg=아르기닌; S=Ser=세린; T=Thr=트레오닌; V=Val=발린; W=Trp=트립토판; 및 Y=Tyr=타이로신.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여기서,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예는 표 1에 나타낸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C-말단에서 아미노 그룹으로 보호되고 N-말단에서 아세틸 그룹으로 보호된다(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1은 제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2를 제외하고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추가로 N-말단에서 아세틸 그룹이 시스테인 잔기의 아미노 그룹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많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은 제2 그룹과 반응시킨다. 예를 들어, 표에서 N-말단에 C1으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에 의해 N-에틸말레이미딜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서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고; 표에서 N-말단에 C2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을 통해 (PEG)240kDa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고; 표에서 N-말단에 C4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을 통해 (PEG)20kDa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고; 표에서 N-말단에 C5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을 통해 (PEG)220kDa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고; 표에서 N-말단에 C6으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을 통해 (PEG)40kDa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고; 표에서 N-말단에 C3으로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해, 당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티올 그룹을 통해 콜레스테롤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N-말단에 N-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1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2
C = 시스테인; P1 = (PEG)240kDa; C1 = Cys(N-에틸말레이미딜), C2 = Cys(PEG)240kDa, C4 = Cys(PEG)20kDa, C5 = Cys(PEG)220kDa, C6 = Cys(PEG)40kDa, 이의 각각은 지적된 MW의 측쇄 PEG[(PEG)2] 또는 선형 PEG와 함께 측쇄 티올을 통해 페길화된 시스테인 잔기에 상응함; C3 = Cys(콜레스테로일), 측쇄 티올을 통해 콜레스테롤에 연결된 시스테인 잔기에 상응함; Ttds, 1-아미노-4,7,10-트리옥사-13-트리데칸아민 숙신이민산; a, D-알라닌; Ac = 아세틸; Pam = 팔미토일
표 1에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서열번호 2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외하고는 이특이적이어서 이들은 NMUR1 또는 NMUR2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서열번호 25를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NMURl 특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표 1에 나타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페길화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혈청 반감기를 연장시켜 NMU12와 같은 특정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실시예 4 및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NMUl2는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 Nmur1 녹아웃 마우스에서 체중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해 결과는 말초로 투여된 페길화된 펩타이드 NMU12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페길화는 NMUl, NMU9, 및 NMU20의 혈청 반감기를 3일까지 연장하고 NMUl1 및 NMU18를 2일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MU9 및 NMU12는 N-말단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PEG)240kDa의 공급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 또는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여기서, X18 또는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 또는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 또는 X3 는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 또는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 또는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 또는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 또는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 또는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다)을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의 예는 표 2에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8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NMUR1 수용체에 특이적이지만,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 O, 및 P는 이특이적이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3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4
추가로 개체에서 대사 장애의 치료를 위해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당해 장애는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II형 당뇨병, 당뇨병의 합병증, 예를 들어, 망막병증,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만"은 체지방이 과도한 상태이다. 비만의 실제적 정의는 체질량 지수(BMI)를 근거로 하고 평방 미터(kg/m2)로서 키당 체중으로 계산된다. "비만"은 건강한 피검체가 30kg/m2 이상의 체질량 지수(BMI)를 갖는 상태이거나 하나 이상의 공존이환을 갖는 피검체가 27 kg/m2이상의 BM1을 갖는 상태를 언급한다. "비만 피검체"는 체질량 지수(BMI)가 30 kg/m2이상인 건강한 피검체이거나 BMI가 27 kg/m2 이상인 하나 이상의 공존이환을 갖는 피검체이다. "비만의 위험성이 있는 피검체"는 BMI가 25 kg/m2 내지 30 kg/m2미만인 건강한 피검체이거나 BMI가 25 kg/m2 내지 27 kg/m2미만인 하나 이상의 공존이환을 갖는 피검체이다.
비만과 관련된 증가된 위험성은 아시아에서 보다 낮은 체질량 지수(BMI)에서 발생한다. 일본을 포함하는 아시아 국가에서 "비만"은 체중 감량을 요하거나 체중 감량에 의해 개선되는 하나 이상의 비만 유도되거나 비만 관련된 공존이환을 갖는 피검체가 25 kg/m2 이상의 BMI를 갖는 상태를 언급한다.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비만 피검체"는 체중 감량을 요구하거나 체중 감량에 의해 개선되며 BMI가 25 kg/m2이상인 하나 이상의 비만 유도되거나 비만 관련된 공존이환을 갖는 피검체를 언급한다. 아시아 국가에서, "비만 위험성이 있는 피검체"는 BMI가 23 kg/m2 초과 내지 25 kg/m2 미만인 피검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만"은 상기 정의된 모든 비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비만-유도되거나 비만 관련된 공존이환은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2형 진성 당뇨병, 손상된 글루코스 내성, 손상된 공복 혈당장애, 인슐린 내성 증후군, 이상지혈증, 고혈압, 고뇨산혈증, 통풍, 관상 동맥 질환, 심근 경색, 앙기나 협심증, 수면 무호흡 증후군, 피크위크 증후군, 지방간; 뇌 경색, 뇌 혈전증, 일과성 허혈 발작, 정형외과적 장애, 변형성 관절염, 요통증, 월경병증, 및 불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공존이환은 다음을 포함한다: 고혈압, 고지혈증, 이상지혈증, 글루코스 내성, 심혈관 질환, 수면 무호흡증, 진성 당뇨병, 및 기타 비만 관련 증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치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비만 피검체의 체중을 감소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을 언급한다. 하나의 치료 성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직전의 피검체의 체중과 비교하여 비만 피검체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치료의 또 다른 성과는 다이어트, 운동 또는 약물치료 결과로서 이전에 감량된 체중의 체중 재증가를 예방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치료 성과는 비만-관련 질환의 발생 및/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당해 치료는 적합하게 총 음식 섭취의 감소 또는 음식물의 탄수화물 또는 지방과 같은 특정 성분의 섭취 감소 및/또는 영양물 흡수 억제 및/또는 대사율의 감소 억제를 포함하는 피검체에 의한 음식 또는 칼로리 섭취를 감소시키고 체중 감량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체중을 감량시킬 수 있다. 당해 치료는 또한 대사율의 감소 억제 뿐만 아니라 또는 이보다는 차라리 대사율의 증가와 같은 대사율의 변화를 유도하고/하거나 통상적으로 체중 손실로부터 비롯되는 대사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의) "예방"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비만 위험이 있는 피검체의 체중을 감소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을 언급한다. 하나의 예방 성과는 본 발명의 투여 직전의 피검체의 체중과 비교하여 비만 위험이 있는 피검체의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방 성과는 다이어트, 운동 또는 약물 치료 결과로서 이전에 감량된 체중의 체중 재증가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방 성과는 치료제가 비만 위험성이 있는 피검체에서 비만 개시 전에 투여되는 경우 비만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방 성과는 치료제가 비만 위험성이 있는 피검체에서 비만 개시전에 투여되는 경우 비만 관련 장애의 발생 및/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치료가 이미 비만인 피검체에서 개시되는 경우, 당해 치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죽상동맥경화증, II형 당뇨병, 다낭성 난소 질환, 심혈관 질환, 골관절염, 피부 장애, 고혈압, 인슐린 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담석증을 예방할 수 있다.
비만 관련 장애는 비만과 관련되거나 이에 의해 발병되거나 이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비만 관련 장애의 예는 과식 및 이상 식욕 항진, 고혈압, 당뇨병, 상승된 혈장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내성, 이상지혈증, 고지혈증, 자궁암, 유방암, 전립선암 및 결장암, 골관절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담석증, 담석, 심장 질환,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및 부정맥, 심근 경색, 울혈성 심부전증, 관상 심장 질환, 급사, 졸중, 다낭성 난소 질환, 두개인두종, 프라더-윌리(Prader-Willi) 증후군, 프롤리흐(Frohlich's) 증후군, GH-결핍증, 정상 변이 단기 상태(normal variant short stature), 터너 증후군, 및 대사 활성이 감소된 기타 병리학적 상태 또는 총 무지방 질량의 %로서 휴식 에너지 소비의 감소, 예를 들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포함한다. 비만 관련 장애의 추가의 예는 증후군 X로서도 공지된 대사 증후군, 인슐린 내성 증후군, 성적 및 생식 기능부전, 예를 들어, 불임, 남성에서 생식선기능저하증 및 여성에서 다모증, 위장관 운동 장애, 예를 들어, 비만 관련 위식도 역류 질환, 호흡 장애, 예를 들어, 비만 저환기 증후군(피크위크 증후군), 심혈관 장애, 염증, 예를 들어, 혈관계의 전신 염증, 동맥경화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뇨산혈증, 하요통, 담당, 통풍, 및 신장암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IDDM, 또한 I형 당뇨병으로서 공지됨) 및 인슐린 비의존성 진성 당뇨병(NIDDM, 또한 II형 당뇨병으로서 공지됨)을 포함한다. I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은 글루코스 이용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 결과이다. II형 당뇨병 또는 인슐린과 무관한 당뇨병(즉, 인슐린 비의존성 진성 당뇨병)은 흔히 정상적이거나 심지어 상승된 수준의 인슐린이 존재함에도 발생하고 이는 조직이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결과때문인 것으로 나타난다. II형 당뇨병 대부분은 또한 비만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I형 및 II형 당뇨병 둘다를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다. 당해 화합물은 특히 II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임신 진성 당뇨병을 치료하고/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본원에 기재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배합되는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조성물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담체 뿐만 아니라 희석제, 충전제, 염, 완충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및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타 물질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투여될 있고, 경우에 따라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 염은 합성 유기 화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과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어 "개체"는 사람 및 애완 동물 또는 가축 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말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따라서, 화학식 I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또한 고양이 및 개에서 비만 및 비만 관련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이, 당해 용어 "포유동물"은 고양이 및 개와 같은 애완 동물을 포함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염기 또는 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염을 언급한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알루미늄, 암모늄, 칼슘, 구리, 제2 철, 제1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염, 망간, 칼륨, 나트륨, 아연등을 포함한다.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및 나트륨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1급, 2급 및 3급 아민, 천연의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사이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어, 아르기닌, 베타인, 카페인,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에틸-모르폴린, N-에틸피페리딘, 글루카민, 글루코사민, 히스티딘, 하이드라브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라이신, 메틸글루카민, 모르폴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프로카인, 퓨린, 테오브로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로메타민등을 포함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추가로 모든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라우레이트, 벤조에이트, 말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 말레에이트, 비스설페이트, 만델레이트, 바이타르트레이트, 메실레이트, 보레이트, 메틸브로마이드, 브로마이드, 메틸니트레이트, 칼슘 에데테이트, 메틸설페이트, 캄실레이트, 무케이트, 카보네이트, 나프실레이트, 클로라이드, 니트레이트, 클라불라네이트, N-메틸글루코카민, 시트레이트, 암모늄 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올레에이트, 에데테이트, 옥살레이트, 에디실레이트, 파모에이트(엠보네이트), 에스톨레이트, 팔미테이트, 에실레이트, 판토테네이트, 푸마레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포네이트, 글루셉테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글루코네이트, 살리실레이트, 글루타메이트, 스테아레이트, 글리콜릴아르사닐레이트, 설페이트, 헥실레소르시네이트, 수바세테이트, 하이드라브아민, 숙시네이트,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테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테오클레이트, 요오다이드, 토실레이트, 이소티오네이트, 트리에티오다이드, 락테이트, 판토에이트, 발레레이트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용해도 또는 가수분해 특성을 변형시키기 위한 투여 형태에서 사용되거나 서방성 또는 프로드럭 제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한 언급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연방 또는 주정부의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미국 약전 또는 동물 및 보다 특히 사람용에 대한 일반적으로 인지되는 약전에서,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비독성 물질을 의미한다. 용어 "담체"는 치료제와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애쥬반트, 부형제 또는 비히클을 언급하고 멸균 액체, 예를 들어, 물 및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담체의 특징은 투여 경로에 의존할 것이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다량체(예를 들어, 이종이량체 또는 동종이량체) 또는 그자체 또는 다른 펩타이드와의 복합체일 수 있다. 결과로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다량체 형태 또는 복합 형태로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이란 의미있는 환자의 이득, 즉, 관련 의학적 증상의 치료, 치유, 예방 또는 개선, 또는 당해 증상의 치료율, 치유율, 예방율 또는 개선율의 증가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방법 각각의 활성 성분의 총양을 의미한다. 단독으로 투여되는 개별 활성 성분에 적용하는 경우, 당해 용어는 단독의 성분을 언급한다. 병용제에 적용하는 경우, 당해 용어는 병용하여, 연속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되든지 상관없이 치료학적 효과를 유도하는 활성 성분의 병용되는 양을 언급한다.
약리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대사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타 제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대사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장애는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II형 당뇨병, 당뇨병의 합병증,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및 특정 형태의 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리학적 조성물이 대상 장애 치료용의 다른 제제를 포함하거나 치료제가 대사 장애 치료용의 제제를 포함하는 제2 약리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당해 제제는 카나비노이드 (CBl) 수용체 길항제, 글루카곤형 펩타이드 1(GLP-1) 수용체 효능제, 리파제 억제제, 렙틴, 테트라하이드롤리프스타틴, 2-4-디니트로페놀, 아카보스, 시부트라민, 펜타민, 지방 흡수 차단제, 심바스타틴, 메바스타틴, 에제티미브, 아토르바스타틴, 시타글리프틴, 메트포르민, 오를리스태트, 크넥사(Qnexa), 토피라메이트, 날트렉손, 부프리오피온, 펜터민, 로사르탄,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와의 로사르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병용하기에 적합한 제제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항당뇨제, 예를들어, (1) PPAR7 효능제, 예를 들어, 글리타존(예를 들어, 시글리타존; 다글리타존; 엔글리타존; 이사글리타존(MCC-555); 피오글리타존(ACTOS); 로시글리타존(AVANDIA); 트로글리타존; 리보글리타존, BRL49653; CLX-0921; 5-BTZD, GW- 0207, LG-100641, R483, 및 LY-300512 등 및 WO97/10813, 97/27857, 97/28115, 97/28137, 97/27847, 03/000685, 및 03/027112에 기재된 화합물 및 SPPARMS (선택적 PPAR 감마 조절제), 예를 들어, T131 (Amgen), FK614 (Fujisawa), 네토글리타존 및 메타글리다센; (2) 바이구아니드, 예를 들어, 부포르민; 메트포르민; 및 펜포르민 등; (3)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IB (PTP-IB) 억제제, 예를 들어 ISIS 113715, A- 401674, A-364504, JJDD-3. IDD 2846, KP-40046, KR61639, MC52445, MC52453, C7, OC- 060062, OC-86839, OC29796, TTP-277BC1, 및 WO 04/041799, 04/050646, 02/26707, 02/26743, 04/092146, 03/048140, 04/089918, 03/002569, 04/065387, 04/127570, 및 US 2004/167183에 기재된 제제; (4) 설포닐우레아, 예를 들어, 아세토헥스아미드; 클로로프로파미드; 디아비네세;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피지드; 글리부리드; 글리메피리드; 글리클라지드; 글리펜티드; 글리쿠이돈; 글리솔라미드; 톨라자미드; 및 톨부타미드 등; (5) 메글리티니드, 예를 들어, 레파글리니드, 메티글리니드(GLUFAST) 및 나테글리니드 등; (6) 알파 글루코시드 하이드롤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아카보스; 아디포신; 카미글리보스; 에미글리테이트; 미글리톨; 보글리보스; 프라디미신-Q; 살보스타틴; CKD-711 ; MDL-25,637; MDL-73,945; 및 MOR 14 등; (7) 알파-아밀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텐다미스태트, 트레스태틴, 및 Al-3688 등; (8) 인슐린 분비유사체, 예를 들어, 리노글리리드 나테글리니드, 미티글리니드(GLUFAST), IDl 101 A-4166 등; (9) 지방산 산화 억제제, 예를 들어, 클로목시르, 및 에토목시르 등; (10) A2 길항제, 예를 들어 미다글리졸; 이사글리돌; 데리글리돌; 이다족산; 에아록산; 및 플루파록산 등; (11) 인슐린 또는 인슐린 모사체, 예를 들어, 바이오타, LP-100, 노바라피드, 인슐린 데테미르, 인슐린 리스프로, 인슐린 글라르긴, 인슐린 아연 현탁제(렌트 및 울트라렌트); Lys-Pro 인슐린, GLP-I (17-36), GLP-I (73-7) (인슐린트로핀); GLP-1(7-36)-NH2) 엑세나티드/엑센딘-4, 엑세나티드 LAR, 리나글루티드, AVEOOlO, CJC 1131, BIM51077, CS 872, THO318, BAY-694326, GPOlO, ALBUGON (알부민 융합된 GLP-1), HGX-007 (Epac 효능제), S-23521, 및 WO 04/022004, WO 04/37859 등에 기재된 화합물; (12) 비-티아졸리딘디온, 예를 들어, JT- 501, 및 파르글리타자르(GW-2570/GI-262579) 등; (13) PPARα/γ 이중 효능제, 예를 들어, AVE 0847, CLX-0940, GW-1536, GW1929, GW-2433, KRP-297, L-796449, LBM 642, LR-90, LY510919, MK-0767, ONO 5129, SB 219994, TAK-559, TAK-654, 677954 (GlaxoSmithkline), E-3030 (Eisai), LY510929 (Lilly), AKl 09 (Asahi), DRF2655 (Dr. Reddy), DRF8351 (Dr. Reddy), MC3002 (Maxocore), TY51501 (ToaEiyo), 나베글리타자르, 무라글리티자르, 펠리글리타자르, 테사글리타자르(GALJDA), 레글리타자르(JTT-501), 키글리타자르, 및 WO 99/16758, WO 99/19313, WO 99/20614, WO 99/38850, WO 00/23415, WO 00/23417, WO 00/23445, WO 00/50414, WO 01/00579, WO 01/79150, WO 02/062799, WO 03/033481, WO 03/033450 및 WO 03/033453등에 기재된 것들; 및 (14) 다른 인슐린 감작화 약물; (15) VPAC2 수용체 효능제; (16) GLK 조절제, 예를 들어PSNl 05, RO 281675, RO 274375 및 WO 03/015774, WO 03/000262, WO 03/055482, WO 04/046139, WO 04/045614, WO 04/063179, WO 04/063194 및 WO 04/050645 등에 기재된 것들; (17) 레티노이드 조절제, 예를 들어, WO 03/000249에 기재된 것들; (18) GSK 3베타/GSK 3 억제제, 예를 들어, 4-[2-(2-브로모페닐)-4-(4-플루오로페닐-lH-이미다졸-5-일]피리딘, CT21022, CT20026, CT-98023, SB-216763, SB410111, SB-675236, CP-70949, XD4241 및 WO 03/037869, 03/03877, 03/037891, 03/024447, 05/000192 및 05/019218등에 기재된 화합물; (19)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HGLPa) 억제제, 예를 들어, AVE 5688, PSN 357, GPi-879, WO 03/037864, WO 03/091213, WO 04/092158, WO 05/013975, WO 05/013981, US 2004/0220229, 및 JP 2004-196702 등에 기재된 것들; (20) ATP 소비 촉진제, 예를 들어, WO 03/007990에 기재된 것들; (21) PPARγ 효능제와 메트포르민의 비휘발성 배합제, 예를 들어, AVANDAMET; (22) PPAR 범 효능제, 예를 들어 GSK 677954; (23) GPR40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 40)(또한 SNORF 55로도 호칭됨), 예를 들어, BG 700, 및 WO 04/041266, 04/022551 및 03/099793에 기재된 것들; (24) GPRl 19 (또한 RUP3; SNORF 25로 호칭됨), 예를 들어, RUP3, HGPRBMY26, PFI 007 및 SNORF 25; (25) 아데노신 수용체 2B 길항제, 예를 들어, ATL-618, AT1-802 및 E3080등; (26) 카르니틴 팔미토일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ST 1327 및 ST 1326 등; (27) 프럭토스 1,6-비스포스파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CS-917 및 MB7803 등; (28) 글루카곤 길항제, 예를 들어, AT77077, BAY 694326, GW 4123X, NN25O1, 및 WO 03/064404, WO 05/00781, US 2004/0209928 및 US 2004/029943 등에 기재된 것들; (30) 글루코스-6-포스파제 억제제; (31)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복시키나제 (PEPCK) 억제제; (32) 피루베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 키나제 (PDK) 활성화제; (33) RXR 효능제, 예를 들어, MC 1036, CSOOOl 8, JNJ 10166806, 및 WO 04/089916 및 US 6759546등에 기재된 것들; (34) SGLT 억제제, 예를 들어, AVE 2268, KGT 1251 및 T1095/RWJ 394718; (35) BLX-1002;
(b) 지질 저하제, 예를 들어, (1) 담즙산 격리제, 예를 들어, 콜레스티라민, 콜레세벨렘, 콜레스티폴, 가교결합된 덱스트란의 디알킬아미노알킬 유도체; 콜레스티드; 로콜레스트; 및 쿠에스트란 등; (2) HMG-CoA 리덕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아토르바스타틴, 이타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ZD-4522) 등, 특히 심바스타틴; (3) HMG-CoA 신타제 억제제; (4)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FMVP4 (Forbes Medi-Tech), KT6-971 (Kotobuki Pharmaceutical), FM-VAl 2 (Forbes Medi-Tech), FM-VP-24 (Forbes Medi-Tech), 스타놀 에스테르, 베타-시토스테롤, 스테롤 글리코사이드, 예를 들어, 티쿠에시드; 및 아제티디논, 예를 들어, 에제티미브, 및 WO 04/00524 등에 기재된 것들; (5) 아실 조효소 A -콜레스테롤 아실 트랜스퍼라제(ACAT) 억제제, 예를 들어, 아바시미브, 에플루시미브, 파크티미브(KY505), SMP 797 (Sumitomo), SM32504 (Sumitomo), 및 WO 03/091216 등에 기재된 것들; (6) CETP 억제제, 예를 들어, JTT 705 (Japan Tobacco), 토르세트라피브, CP 532,632, BAY63-2149 (Bayer), SC 591, 및 SC 795, 등; (7) 스쿠알렌 신테타제 억제제; (8) 항산화제, 예를 들어, 프로부콜 등; (9) PPARα 효능제, 예를 들어, 베클로피브레이트, 벤자피브레이트, 시프로피브레이트, 클로피브레이트, 에토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겜카벤, 및 겜피브로질, GW 7647, BM 170744 (Kowa), LY518674 (Lilly), GW590735 (GlaxoSmithkline), KRP-101 (Kyorin), DRF10945 (Dr. Reddy), NS-220/R1593 (Nippon Shinyaku/Roche, ST1929 (Sigma Tau) MC3001/MC3004 (MaxoCore Pharmaceuticals), 겜카벤 칼슘, 기타 피브르산 유도체, 예를 들어, 아트로미드, 로피드, 및 트리코르, 및 US 6,548,538 등에 기재된 것들; (10) FXR 수용체 조절제, 예를 들어, GW 4064 (GlaxoSmithkline), SR 103912, QRX401, LN-6691 (Lion Bioscience), 및 WO 02/064125 및 WO 04/045511등에 기재된 것들; (11) LXR 수용체 조절제, 예를 들어, GW 3965 (GlaxoSmithkline), T9013137, 및 XTCO179628 (X-Ceptor Therapeutics/Sanyo), 및 WO 03/031408, WO 03/063796 및 WO 04/072041등에 기재된 것들; (12) 지단백질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니아신; (13) 레닌 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 (14) PPARδ 부분적 효능제, 예를 들어, WO 03/024395에 기재된 것들; (15) 담즙산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BARI 1453, SC435, PHA384640, S8921, AZD7706 등; 및 담즙산 격리제, 예를 들어, 콜레세벨람(WELCHOL/CHOLESTAGEL), (16) PPARγ 효능제, 예를 들어, GW 501516 (Ligand, GSK), GW 590735, GW-0742 (GlaxoSmithkline), T659 (Amgen/Tularik), LY934 (Lilly), NNC610050 (Novo Nordisk) 및 WO97/28149, WO 01/79197, WO 02/14291, WO 02/46154, WO 02/46176, WO 02/076957, WO 03/016291, WO 03/033493, WO 03/035603, WO 03/072100, WO 03/097607, WO 04/005253, WO 04/007439, 및 JP10237049 등에 기재된 것들; (17) 트리글리세라이드 합성 억제제; (18) 마이크로좀성 트리글리세리드 수송 (MTTP) 억제제, 예를 들어, 임플리타피드, LAB687, JTTl 30 (Japan Tobacco), CP346086, 및 WO 03/072532 등에 기재된 것들; (19) 전사 조절제; (20) 스쿠알렌 에폭시다제 억제제; (21) 저밀도 지단백질(LDL) 수용체 유도제; (22) 혈소판 응집 억제제; (23) 5-LO 또는 FLAP 억제제; 및 (24) HM74A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니아신 수용체 효능제; (25) PPAR 조절제, 예를 들어, WO 01/25181, WO 01/79150, WO 02/79162, WO 02/081428, WO 03/016265 및 WO 03/033453에 기재된 것들; (26) 니아신-결합 크로뮴(WO 03/0395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27) WO 03/040114에 기재된 치환된 산 유도체; (28) 주입된 HDL, 예를 들어, LUV/ETC-588 (Pfizer), APO-Al Milano/ETC216 (Pfizer), ETC-642 (Pfizer), ISIS301012, D4F (Bruin Pharma), 합성 삼량체성 ApoAl, 발포 세포에 표적화된 Bioral Apo Al 등; (29)IBAT 억제제, 예를 들어, BARI143/HMR145A/HMR1453 (Sanofi-Aventis, PHA384640E (Pfizer), S8921 (Shionogi) AZD7806 (AstrZeneca), AK105 (Asah Kasei) 등; (30) Lp-PLA2 억제제, 예를 들어 SB480848 (GlaxoSmithkline), 659032 (GlaxoSmithkline), 677116 (GlaxoSmithkline) 등 ; (31) ETC1001/ESP31015 (Pfizer), ESP-55016 (Pfizer), AGI1067 (AtheroGenics), AC3056 (Arnylin), AZD4619 (AstrZeneca)를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에 영향을 주는 기타 제제; 및
(c) 항고혈압제, 예를 들어, (1) 클로르탈리돈, 클로르티아지드, 디클로로펜아미드, 하이드로플루메티아지드, 인다파미드, 및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를 포함하는 이뇨제, 예를 들어, 티아지드; 루프 이뇨제, 예를 들어, 부메타니드, 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및 토르세미드; 칼륨 스파링제, 예를 들어, 아밀로리드, 및 트리암테렌; 및 알도스테론 길항제, 예를 들어, 스피로놀락톤 및 에피레논 등; (2) 베타-아드레날린성 차단제, 예를 들어, 아세부톨롤, 아테놀롤, 베탁솔롤, 베반톨롤, 비소프롤롤, 보핀돌롤, 카테올롤, 카베딜롤, 셀리프롤롤, 에스몰롤, 인데놀롤, 메타프롤롤, 나돌롤, 네비볼롤, 펜부톨롤, 핀돌롤, 프로파놀롤, 소탈롤, 테르타톨롤, 틸리솔롤, 및 티몰롤 등; (3) 칼슘 채널 차단제, 예를 들어, 암로디핀, 아르아니디핀, 아젤니디핀, 바르니디핀, 베니디핀, 베프리딜, 시날디핀, 클레비디핀, 딜티아젬, 에포니디핀, 펠로디핀, 갈로파밀, 이스라디핀, 락시디핀, 레밀디핀, 레르카니디핀, 니카디핀, 니페디핀, 닐바디핀, 니모데핀, 니솔디핀, 니트렌디핀, 마니디핀, 프라니디핀, 및 베라파밀 등; (4)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예를 들어, 베나제프릴; 카프토프릴; 실라자프릴; 델라프릴; 에날라프릴; 포시노프릴; 이미다프릴; 로시노프릴; 모엑시프릴; 퀴나프릴; 퀴나프릴라트; 라미프릴; 페린도프릴; 페린드로프릴; 쿠아니프릴; 스피라프릴; 테노카프릴; 트란돌라프릴, 및 조페노프릴 등; (5) 중성 엔도펩티다제 억제제, 예를 들어, 오마파트릴라트, 카독사트릴 및 에카도트릴, 포시도트릴, 삼파트릴라트, AVE7688, ER4030 등; (6) 엔도텔린 길항제, 예를 들어, 테조센탄, A308165, 및 YM62899등; (7) 혈관확장제, 예를 들어, 하이드랄라진, 클로니딘, 미녹시딜, 및 니코티닐 알콜 등; (8)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칸데사르탄, 에프로사르탄, 이르베사르탄, 로사르탄, 프라토사르탄, 타소사르탄, 텔미사르탄, 발사르탄, 및 EXP-3137, FI6828K, 및 RNH6270 등; (9) α/β 아드레날린성 차단제, 예를 들어, 니프라딜롤, 아로티놀롤 및 아모술라롤 등; (10) 알파 1 차단제, 예를 들어, 테라조신, 우라피딜, 프라조신, 부나조신, 트리마조신, 독사조신, 나프토피딜, 인도라민, WHIP 164, 및 XENOlO 등; (11) 알파 2 효능제, 예를 들어, 로펙시딘, 트리아메니딘, 목소니딘, 릴메니딘 및 구아노벤즈 등; (12) 알도스테론 억제제 등; (13) 안지오포이에틴-2-결합제, 예를 들어, WO 03/030833에 기재된 것들; 및
(d) 항-비만제, 예를 들어, (1) 5HT (세로토닌) 수송체 억제제, 예를 들어, 파록세틴, 플루옥세틴, 펜플루라민, 플루복사민, 세르트랄린, 및 이미프라민, 및 WO 03/00663에 기재된 것들, 및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시부트라민 (MERIDIA/REDUCTIL) 및 도파민 흡수 억제제/노르에펜에프린 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라다팍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53162(GlaxoSmithkline)등; (2) NE(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억제제, 예를 들어, GW 320659, 데스피라민, 탈수프람, 및 노미펜신; (3) CBl(카나비노이드-1 수용체) 길항제/역 효능제, 예를 들어, 리모나반트(ACCOMPLIA Sanofi Synthelabo), SR-147778 (Sanofi Synthelabo), AVE1625 (Sanofi- Aventis), BAY 65-2520 (Bayer), SLV 319 (Solvay), SLV326 (Solvay), CP945598 (Pfizer), E- 6776 (Esteve), O1691 (Organix), ORG14481 (Organon), VER24343 (Vernalis), NESS0327 (Univ of Sassari/Univ of Cagliari), 및 미국 특허 제4,973,587호, 제5,013,837호, 제5,081,122호, 제5,112,820호, 제5,292,736호, 제5,532,237호, 제5,624,941호, 제6,028,084호, 및 제6,509367호에 기재된 것들; 및 WO 96/33159, WO97/29079, WO98/31227, WO 98/33765, WO98/37061, WO98/41519, WO98/43635, WO98/43636, WO99/02499, WO00/10967, WO00/10968, WO 01/09120, WO 01/58869, WO 01/64632, WO 01/64633, WO 01/64634, WO 01/70700, WO 01/96330, WO 02/076949, WO 03/006007, WO 03/007887, WO 03/020217, WO 03/026647, WO 03/026648, WO 03/027069, WO 03/027076, WO 03/027114, WO 03/037332, WO 03/040107, WO 04/096763, WO 04/111039, WO 04/111033, WO 04/111034, WO 04/111038, WO 04/013120, WO 05/000301, WO 05/016286, WO 05/066126 및 EP-658546 등에 기재된 것들; (4) 그렐린 효능제/길항제, 예를 들어, BVT81-97 (BioVitrum), RC 1291 (Rejuvenon), SRD-04677 (Sumitomo), 비아실화된 그렐린(TheraTechnologies), 및 WO 01/87335, WO 02/08250, WO 05/012331 등에 기재된 것들; (5) H3(히스타민 H3) 길항제/역 효능제, 예를 들어, 티오퍼아미드, 3-(lH-이미다졸-4-일)프로필 N-(4-펜테닐)카바메이트), 클로벤프로피트, 요오도펜프로피트, 이모프록시판, GT2394 (Gliatech), 및 A331440, 및 WO 02/15905에 기재된 것들; 및 O-[3-(lH-이미다졸-4-일)프로판올]카바메이트(Kiec-Kononowicz, K. et al., Pharmazie, 55:349-55 (2000)), 피페리딘-함유 히스타민 H3-수용체 길항제(Lazewska, D. et al., Pharmazie, 56:927-32 (2001), 벤조페논 유도체 및 관련 화합물(Sasse, A. et al., Arch. Pharm.(Weinheim) 334:45-52 (2001)), 치환된 N-페닐카바메이트(Reidemeister, S. et al., Pharmazie, 55:83-6 (2000)), 및 프록시판 유도체(Sasse, A. et al., J. Med. Chem.. 43:3335-43 (2000)) 및 히스타민 H3 수용체 조절제, 예를 들어, WO 03/024928 및 WO 03/024929에 기재된 것들; (6) 멜라닌 농축 호르몬 1 수용체 (MCHlR) 길항제, 예를 들어, T-226296 (Takeda), T71 (Takeda/Amgen), AMGN- 608450, AMGN-503796 (Amgen), 856464 (Glaxo Smithkline), A224940 (Abbott), A798 (Abbott), ATC0175/AR224349 (Arena Pharmaceuticals), GW803430 (GlaxoSmithkine), NBI- 1A (Neurocrine Biosciences), NGX-1 (Neurogen), SNP-7941 (Synaptic), SNAP9847 (Synaptic), T-226293 (Schering Plough), TPI-1361-17 (Saitama Medical School/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및 WO 01/21169, WO 01/82925, WO 01/87834, WO 02/051809, WO 02/06245, WO 02/076929, WO 02/076947, WO 02/04433, WO 02/51809, WO 02/083134, WO 02/094799, WO 03/004027, WO 03/13574, WO 03/15769, WO 03/028641, WO 03/035624, WO 03/033476, WO 03/03348O5 WO 04/004611, WO 04/004726, WO 04/011438, WO 04/028459, WO 04/034702, WO 04/039764, WO 04/052848, WO 04/087680; 및 일본 특허원 JP 13226269, JP 1437059, JP2004315511등에 기재된 것들; (7) MCH2R (멜라닌 농축 호르몬 2R) 효능제/길항제; (8) NPYl (뉴로펩타이드 Y Yl) 길항제, 예를 들어, BMS205749, BEBP3226, J-115814, BIBO 3304, LY-357897, CP-671906, 및 GI-264879A; 및 미국 특허 제6,001,836호; 및 WO 96/14307, WO 01/23387, WO 99/51600, WO 01/85690, WO 01/85098, WO 01/85173, 및 WO 01/89528에 기재된 것들; (9) NPY5 (뉴로펩타이드 Y Y5) 길항제, 예를 들어, 152,804, S2367 (Shionogi), E-6999 (Esteve), GW- 569180A, GW-594884A (GlaxoSmithkline), GW-587081X, GW-548118X; FR 235,208; FR226928, FR 240662, FR252384; 1229U91, GI-264879A, CGP71683A, C-75 (Fasgen) LY- 377897, LY366377, PD.160170, SR-120562A, SR-120819A,S2367 (Shionogi), JCF-104, 및 H409/22; 및 미국 특허 제6,140,354호, 제6,191,160호, 제6,258,837호, 제6,313,298호, 제6,326,375호, 제6,329,395호, 제6,335,345호, 제6,337,332호, 제6,329,395호, 및 제6,340,683호 ; 및 EP-01010691, EP-01044970, 및 FR252384; 및 PCT 공보 번호 WO 97/19682, WO 97/20820, WO 97/20821, WO 97/20822, WO 97/20823, WO 98/27063, WO 00/107409, WO 00/185714, WO 00/185730, WO 00/64880, WO 00/68197, WO 00/69849, WO 01/09120, WO 01/14376, WO 01/85714, WO 01/85730, WO 01/07409, WO 01/02379, WO 01/02379, WO 01/23388, WO 01/23389, WO 01/44201, WO 01/62737, WO 01/62738, WO 01/09120, WO 02/20488, WO 02/22592, WO 02/48152, WO 02/49648, WO 02/051806, WO 02/094789, WO 03/009845, WO 03/014083, WO 03/022849, WO 03/028726, WO 05/014592, WO 05/01493; 및 문헌[참조: Norman et al., J. Med. Chem. 43:4288-4312 (2000)]에 기재된 화합물; (10) 렙틴, 예를 들어, 재조합 사람 렙틴(PEG-OB, Hoffman La Roche) 및 재조합 메티오닐 사람 렙틴(Amgen); (11) 렙틴 유도체, 예를 들어, 특허 번호 제5,552,524호; 제5,552,523호; 제5,552,522호; 제5,521,283호; 및 WO 96/23513; WO 96/23514; WO 96/23515; WO 96/23516; WO 96/23517; WO 96/23518; WO 96/23519; 및 WO 96/23520에 기재된 것들; (12) 오피오이드 길항제, 예를 들어, 날메펜(Revex=R), 3-메톡시날트렉손, 날록손, 및 날트렉손; 및 WO 00/21509에 기재된 것들; (13) 오렉신 길항제, 예를들어 SB-334867-A (GlaxoSmithkline); 및 WO 01/96302, 01/68609, 02/44172, 02/51232, 02/51838, 02/089800, 02/090355, 03/023561, 03/032991, 03/037847, 04/004733, 04/026866, 04/041791, 04/085403 등에 기재된 것들; (14) BRS3 (봄베신 수용체 서브타입 3) 효능제; (15) CCK-A (콜레시스토키닌-A) 효능제, 예를 들어, AR-R 15849, GI 181771, JMV-180, A-71378, A-71623, PD170292, PD 149164, SR146131, SR125180, 부타빈디드, 및 US 5,739,106에 기재된 것들; (16) CNTF (섬모 신경영양원성 인자), 예를 들어, GI-181771 (Glaxo-SmithKline); SR146131 (Sanofi Synthelabo); 부타빈디드; 및 PD 170,292, PD 149164 (Pfizer); (17) CNTF 유도체, 예를 들어, 아속킨 (Regeneron); 및 WO 94/09134, WO 98/22128, 및 WO 99/43813에 기재된 것들; (18) GHS (성장 호르몬 분비유사체 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NN703, 헥사렐린, MK-0677, SM-130686, CP- 424,391, L-692,429 및 L-163,255, 및 미국 특허 제6358951호, 미국 특허원 제2002/049196호 및 제2002/022637호; 및 WO 01/56592, 및 WO 02/32888에 기재된 것들; (19) 5HT2c (세로토닌 수용체 2c) 효능제, 예를 들어, APD3546/AR10A (Arena Pharmaceuticals), ATH88651 (Athersys), ATH88740 (Athersys), BVT933 (Biovitrum/GSK), DPCA37215 (BMS), JK264; LY448100 (Lilly), PNU 22394; WAY 470 (Wyeth), WAY629 (Wyeth), WAY161503(Biovitrum), R-1065, VRl 065 (Vernalis/Roche) YM 348; 및 미국 특허 제3,914,250호; 및 PCT 공보 01/66548, 02/36596, 02/48124, 02/10169, 02/44152; 02/51844, 02/40456, 02/40457, 03/057698, 05/000849 등에 기재된 것들; (20) Mc3r (멜라노코르틴 3 수용체) 효능제; (21) Mc4r (멜라노코르틴 4 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CHIR86036 (Chiron), CHIR915 (Chiron); ME-10142 (Melacure), ME-10145 (Melacure), HS-131 (Melacure),NBI72432 (Neurocrine Biosciences), NNC 70-619 (Novo Nordisk), TTP2435 (Transtech) 및 PCT 공보 WO 99/64002, 00/74679, 01/991752, 01/0125192, 01/52880, 01/74844, 01/70708, 01/70337, 01/91752, 01/010842, 02/059095, 02/059107, 02/059108, 02/059117, 02/062766, 02/069095, 02/12166, 02/11715, 02/12178, 02/15909, 02/38544, 02/068387, 02/068388, 02/067869, 02/081430, 03/06604, 03/007949, 03/009847, 03/009850, 03/013509, 03/031410, 03/094918, 04/028453, 04/048345, 04/050610, 04/075823, 04/083208, 04/089951, 05/000339, 및 EP 1460069, 및 US 2005049269, 및 JP2005042839 등에 기재된 것들; (22)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시부트라트민(Meridia /Reductil) 및 이의 염, 및 미국 특허 제4,746,680호, 제4,806,570호, 및 제5,436,272호, 및 미국 특허 공보 제2002/0006964호, 및 WO 01/27068, 및 WO 01/62341에 기재된 화합물; (23)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예를 들어, 덱스펜플루라민, 플루옥세틴, 및 미국 특허 제6,365,633호, 및 WO 01/27060, 및 WO 01/162341에 기재된 것들; (24) GLP-1 (글루카곤형 펩타이드 1) 효능제; (25) 토피라메이트(Topimax); (26) 피토팜 화합물 57 (CP 644,673); (27) ACC2 (아세틸-CoA 카복실라제-2) 억제제; (28) β3 (베타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3) 효능제, 예를 들어, 라페베르그론/AD9677/TAK677 (Dainippon/ Takeda), CL-316,243, SB 418790, BRL- 37344, L-796568, BMS-196085, BRL-35135A, CGP12177A, BTA-243, GRC1087 (Glenmark Pharmaceuticals) GW 427353 (솔라베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레카드린, Zeneca D7114, N-5984 (Nisshin Kyorin), LY-377604 (Lilly), KT07924 (Kissei), SR 59119A, 및 미국 특허 제5,705,515호, 미국 특허 제5,451,677호; 및 WO94/18161, WO95/29159, WO97/46556, WO98/04526 WO98/32753, WO 01/74782, WO 02/32897, WO 03/014113, WO 03/016276, WO 03/016307, WO 03/024948, WO 03/024953, WO 03/037881, WO 04/108674 등에 기재된 것들; (29) DGAT1(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1) 억제제; (30) DGAT2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 (31) FAS (지방산 신타제) 억제제, 예를 들어, 세룰레닌 및 C75; (32) PDE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테오필린, 펜톡시필린, 자프리나스트, 실데나필, 암리논, 밀리논, 실로스타미드, 롤리프람, 및 실로밀라스트, 및 WO 03/037432, WO 03/037899에 기재된 것들; (33) 갑상선 호르몬 β 효능제, 예를 들어, KB-2611 (KaroBioBMS), 및 WO 02/15845; 및 일본 특허원 JP 2000256190에 기재된 것들; (34) UCP-1 (비커플링 단백질 1), 2, 또는 3 활성화제, 예를 들어 피탄산, 4-[(E)-2-(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l-프로페닐]벤조산(TTNPB), 및 레티노산; 및 WO 99/00123에 기재된 것들; (35) 아실-에스트로겐, 예를 들어, 올레일-에스트론[문헌(참조: del Mar-Grasa, M. et al., Obesity Research, 9:202-9 (2001)에 기재된]; (36)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CP472555 (Pfizer), KB 3305, 및 WO 04/000869, WO 04/075864 등에 기재된 것들; (37) 1lβ HSD-I (11-베타 하이드록시 스테로이드 데하이드로게나제 1형) 억제제, 예를 들어, BVT 3498 (AMG 331), BVT 2733, 3-(l-아다만틸)-4-에틸-5-(에틸티오)-4H-1,2,4-트리아졸, 3-(l-아다만틸)-5-(3,4,5-트리메톡시페닐)-4-메틸-4H-1,2,4-트리아졸, 3-아다만틸-4,5,6,7,8,9,10,11, 12,3a-데카하이드로-l,2,4-트리아졸로[4,3-a][ll]아눌렌, 및 WO 01/90091, 01/90090, 01/90092, 02/072084, 04/011410, 04/033427, 04/041264, 04/027047, 04/056744, 04/065351, 04/089415, 04/037251 등에 기재된 것들; (38) SCD-1 (스테아로일-CoA 데사투라제-1) 억제제; (39) 디펩티딜 펩티다제 IV (DPP-4) 억제제, 예를 들어, 이소류신 티아졸리디드, 발린 피롤리디드, 시타글립틴, 삭사글립틴, NVP-DPP728, LAF237 (빌다글립틴), P93/01, TSL 225, TMC-2A/2B/2C, FE 999011, P9310/K364, VEP 0177, SDZ 274-444, GSK 823093, E 3024, SYR 322, TS021, SSR 162369, GRC 8200, K579, NN7201, CR 14023, PHX 1004, PHX 1149, PT-630, SK-0403; 및 WO 02/083128, WO 02/062764, WO 02/14271, WO 03/000180, WO 03/000181, WO 03/000250, WO 03/002530, WO 03/002531, WO 03/002553, WO 03/002593, WO 03/004498, WO 03/004496, WO 03/005766, WO 03/017936, WO 03/024942, WO 03/024965, WO 03/033524, WO 03/055881, WO 03/057144, WO 03/037327, WO 04/041795, WO 04/071454, WO 04/0214870, WO 04/041273, WO 04/041820, WO 04/050658, WO 04/046106, WO 04/067509, WO 04/048532, WO 04/099185, WO 04/108730, WO 05/009956, WO 04/09806, WO 05/023762, US 2005/043292, 및 EP 1 258476에 기재된 화합물; (40) 리파제 억제제,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롤립스타틴(오를리스타트/XENICAL), ATL962(Alizyme/Takeda), GT389255(Genzyme/Peptimmune) 트리톤 WR1339, RHC80267, 립스타틴, 테아사포닌, 및 디에틸움벨리페릴 포스페이트, FL-386, WAY-121898, Bay-N-3176, 발릴락톤, 에스테라신, 에벨락톤 A, 에벨락톤 B, 및 RHC 80267, 및 WO 01/77094, WO 04/111004, 및 미국 특허 제4,598,089호, 제4,452,813호, 제5,512,565호, 제5,391,571호, 제5,602,151호, 제4,405,644호, 제4,189,438호 및 제4,242,453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 (41) 지방산 수용체 억제제; (42) 디카복실레이트 수송체 억제제; (43) 글루코스 수송체 억제제; 및 (44) 포스페이트 수송체 억제제; (45) 식욕감퇴 바이사이클릭 화합물, 예를 들어, 1426 (Aventis) 및 1954 (Aventis), 및 WO 00/18749, WO 01/32638, WO 01/62746, WO 01/62747, 및 WO 03/015769에 기재된 화합물; (46) 펩타이드 YY 및 PYY 효능제, 예를 들어, PYY336 (Nastech/Merck), AC162352 (IC Innovations/Curis/Amylin), TM30335/TM30338 (7TM Pharma), PYY336 (Emisphere Tehcnologies), 페길화된 펩타이드 YY3-36, WO 03/026591, 04/089279 등에 기재된 것들; (47) 지질 대사 조절제, 예를 들어, 마슬린산, 에리트로디올, 우르졸산 uvaol, 베툴린산, 베툴린, 등 및 WO 03/011267에 기재된 화합물; (48) 전사 인자 조절제, 예를 들어, WO 03/026576에 기재된 것들; (49) Mc5r (멜라노코르틴 5 수용체) 조절제, 예를 들어, WO 97/19952, WO 00/15826, WO 00/15790, US 20030092041 등에 기재된 것들; (50) 뇌 유래 신경영양원성 인자 (BDNF), (51) McIr (멜라노코르틴 1 수용체 조절제, 예를 들어, LK-184 (Proctor & Gamble) 등; (52) 5HT6 길항제, 예를 들어, BVT74316 (BioVitrum), BVT5182c (BioVitrum), E-6795 (Esteve), E-6814 (Esteve), SB399885 (GlaxoSmithkline), SB271046 (GlaxoSmithkline), RO-046790 (Roche) 등; (53) 지방산 수송 단백질 4 (FATP4); (54) 아세틸-CoA 카복실라제(ACC) 억제제, 예를 들어,CP640186, CP610431, CP640188 (Pfizer); (55) C-말단 성장 호르몬 단편, 예를 들어, AOD9604 (Monash Univ/Metabolic Pharmaceuticals) 등; (56) 옥신토모둘린; (57) 뉴로펩타이드 FF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WO 04/083218 등에 기재된 것들; (58) 아밀린 효능제, 예를 들어, 시믈린/프람린티드/AC137 (아밀린); (59) 후디아 및 트리코카울론 추출물; (60) BVT74713 및 기타 장 지질 식욕 억제제; (61) 도파민 효능제, 예를 들어, 부프로피온(WELLBUTRDSr/GlaxoSmithkline); (62) 조니사미드(ZONEGRAN/Dainippon/Elan)등.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화합물은 다음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WO 03/077847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N-[3-(4-클로로페닐)-2(S)-페닐-l(S)-메틸프로필]-2-(4-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미딜옥시)-2-메틸프로판아미드, N-[3-(4-클로로페닐)-2-(3-시아노페닐)-l-메틸프로필]-2-(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2-메틸프로판아미드, N-[3-(4-클로로페닐)-2-(5-클로로-3-피리딜)-l-메틸프로필]-2-(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옥시)-2-메틸프로판아미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다음을 포함하는 WO05/000809에 기재된 것들: 3-{1-[비스(4-클로로페닐)메틸]아제티딘-3-일리덴)-3-(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프로판니트릴, 1-{1-[1-(4-클로로페닐)펜틸]아제티딘-3-일}-l-(3,5-디플루오로페닐)-2-메틸프로판-2-올, 3-((S)-(4-클로로페닐) {3-[(lS)-1-(3,5-디플루오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S)-(4-클로로페닐){3-[(lS)-1-(3,5-디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4-클로로페닐){3-[l-(3,5-디플루오로페닐)-2,2-디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3-((1S)-1-{l-[(S)-(3-시아노페닐)(4-시아노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S)-(4-클로로페닐)(3-{(1S)-2-플루오로-l-[3-플루오로-5-(4H-l,2,4-트리아졸-4-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및 5-((4-클로로페닐){3-[(1S)-1-(3,5-디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티오펜-3-카보니트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 3-[(5)-(4-클로로페닐)(3-{(lS)-2-플루오로-1-[3-플루오로-5-(5-옥소-4,5-디하이드로-1,3,4-옥사디아졸-2-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3-[(5)-(4-클로로페닐)(3-{(1S)-2-플루오로-l-[3-플루오로-5-(l,3,4-옥사디아졸- 2-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S)-(3-{(1S)-l-[3-(5-아미노-l,3,4-옥사디아졸-2-일)-5-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4-클로로페닐)메틸]벤조니트릴, 3-[(S)-(4-시아노페닐)(3-{(1S)-2-플루오로-l-[3-플루오로-5-(5-옥소-4,5-디하이드로-l,3,4-옥사디아졸-2-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S)-(3-{(1S)-1-[3-(5-아미노-l,3,4-옥사디아졸-2-일)-5-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4-시아노페닐)메틸]벤조니트릴, 3-[(S)-(4-시아노페닐)(3-{(lS)-2-플루오로-l-[3-플루오로-5-(l,3,4-옥사디아졸-2-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S)-(4-클로로페닐)(3-{(1S)-2-플루오로-l-[3-플루오로-5-(l,2,4-옥사디아졸-3-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3-[(1S)-l-(1-{(S)-(4-시아노페닐)[3-(l,2,4-옥사디아졸-3-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5-(3-{1-[1-(디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페닐)-lH-테트라졸, 5-(3-{l-[l-(디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페닐)-l-메틸-lH-테트라졸, 5-(3-{l-[l-(디페닐에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페닐)-2-메틸-2H-테트라졸, 3-[(4-클로로페닐)(3-{2-플루오로-l-[3-플루오로-5-(2-메틸-2H-테트라졸-5-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3-[(4-클로로페닐)(3-{2-플루오로-l-[3-플루오로-5-(l-메틸-lH-테트라졸-5-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3-[(4-시아노페닐)(3-{2-플루오로-l-[3-플루오로-5-(l-메틸-lH-테트라졸-5-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벤조니트릴, 3-[(4-시아노페닐)(3-{2-플루오로-l-[3-플루오로-5-(2-메틸-2H-테트라졸-5-일)페닐]-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벤조니트릴, 5-{3-[(S)-{3-[(1S)-1-(3-브로모-5-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4-클로로페닐)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3H)-온, 3-[(1S)-l-(l-{(S)-(4-클로로페닐)[3-(5-옥소-4,5-디하이드로-l,3,4-옥사디아졸-2-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1S)-1-(1-{(S)-(4-시아노페닐)[3-(5-옥소-4,5-디하이드로-l,3,4-옥사디아졸-2-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1S)-l-(l-{(S)-(4-시아노페닐)[3-(l,3,4-옥사디아졸-2-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l-S)-l-(l-{(S)-(4-클로로페닐)[3-(l,3,4-옥사디아졸-2-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1S)-1-{l-[(S)-[3-(5-아미노-l,3,4-옥사디아졸-2-일)페닐](4-클로로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lS)-l-{l-[(S)-[3-(5-아미노-l,3,4-옥사디아졸-2-일)페닐](4-시아노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lS)-l-(l-{(S)-(4-시아노페닐)[3-(l,2,4-옥사디아졸-3-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3- [(lS)-l-(l-{(S)-(4-클로로페닐)[3-(l,2,4-옥사디아졸-3-일)페닐]메틸}아제티딘-3-일)-2-플루오로-2-메틸프로필]-5-플루오로벤조니트릴, 5-[3-((S)-(4-클로로페닐){3-[(lS)-l-(3,5-디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1-일}메틸)페닐]-1,3,4-옥사디아졸-2(3H)-온, 5-[3-((S)-(4-클로로페닐){3-[(lS)-l-(3,5-디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메틸)페닐]-l,3,4-옥사디아졸-2(3H)-온, 4-{(S)-{3-[(lS)-l-(3,5-디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2-메틸프로필]아제티딘-l-일}[3-(5-옥소-4,5-디하이드로-l,3,4-옥사디아졸-2-일)페닐]메틸}-벤조니트릴, ACOMPLIA (리모나반트, N-(l-피페리디닐)-5-(4-클로로페닐)-l-(2,4-디클로로페닐)-4-메틸피라졸-3-카복스아미드, SR141716A), 3-(4-클로로페닐-N'-(4-클로로페닐)설포닐-N-메틸-4-페닐-4,5-디하이드로-lH-피라졸-l-카복스아아미드(SLV-319), 타라나반트, N-[(lS,2S)-3-(4-클로로페닐)-2-(3-시아노페닐)-l-메틸프로필]-2-메틸-2-[[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디닐]옥시]프로판아미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NPY5 길항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3-옥소-N-(5-페닐-2-피라지닐)-스피로[이소벤조푸란-l(3H),4'-피페리딘]-1'-카복스아미드, 3-옥소-N-(7-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도[3,2-b]피리딘-2-일)스피로-[이소벤조푸란-1(3H),4'-피페리딘]-l'-카복스아미드, N-[5-(3-플루오로페닐)-2-피리미디닐]-3-옥소스피로-[이소벤조푸란-l(3H),4'-피페리딘]-l'-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5-페닐-2-피리미디닐)스피로 [사이클로헥산-1,1'(3'H)-이소벤조푸란]-4-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1-(3-퀴놀릴)-4-이미다졸릴]스피로[사이클로헥산-l,1'(3'H)-이소벤조푸란]-4-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5-페닐-2-피라지닐)스피로[4-아자이소-벤조푸란-l(3H),1'-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N-[5-(3-플루오로페닐)-2-피리미디닐]-3-옥소스피로[5-아자이소벤조푸란- 1(3H),1'-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N-[5-(2-플루오로페닐)-2-피리미디닐]-3-옥소스피로[5-아자이소벤조푸란- 1(3H), l'-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N-[l-(3,5-디플루오로페닐)-4-이미다졸릴]-3-옥소스피로[7-아자이소벤조푸란-l (3H),1'-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1-페닐-4-피라졸릴)스피로[4-아자이소벤조푸란-l(3H),1'-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N-[l-(2-플루오로페닐)-3-피라졸릴]-3-옥소스피로[6-아자이소벤조푸란-l(3H),l'-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l-페닐-S-피라졸릴)스피로[6-아자이소벤조푸란-l(3H),1'-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트랜스-3-옥소-N-(2-페닐-l,2,3-트리아졸-4-일)스피로[6-아자이소벤조푸란-l(3H),l'-사이클로헥산]-4'-카복스아미드, 및 약제학적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이의 에스테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ACC-1/2 억제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4,8-디메톡시퀴놀린-2-일)카보닐]-6-(lH-테트라졸-5-일)스피로[크로만-2,4'-피페리딘]-4-온; (5-{1'-[(4,8-디메톡시퀴놀린-2-일)카보닐]-4-옥소스피로[크로만-2,4'-피페리딘]-6-일}-2H-테트라졸-2-일)메틸 피발레이트; 5-{l'-[(8-사이클로프로필-4-메톡시퀴놀린-2-일)카보닐]-4-옥소스피로[크로만-2,4'-피페리딘]-6-일}니코틴산; 1'-(8-메톡시-4-모르폴린-4-일-2-나프토일)-6-(lH-테트라졸-5-일)스피로[크로만-2,4'-피페리딘]-4-온; 및 l'-[(4-에톡시-8-에틸퀴놀린-2-일)카보닐]-6-(lH-테트라졸-5-일)스피로[크로만-2,4'-피페리딘]-4-온;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및 에스테르. MK-3887, L- 001738791.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MCH1R 길항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4-[(1-에틸아제티딘-3-일)옥시]페닐}-4-[(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딘-2(lH)-온, 4-[(4-플루오로벤질)옥시]-l-{4-[(l-이소프로필아제티딘-3-일)옥시]페닐}피리딘-2(lH)-온, l-[4-(아제티딘-3-일옥시)페닐]-4-[(5-클로로피리딘-2-일)메톡시]피리딘-2(lH)-온, 4-[(5-클로로피리딘-2-일)메톡시]-l-{4-[(l-에틸아제티딘-3-일)옥시]페닐}피리딘-2(1H)-온, 4-[(5-클로로피리딘-2-일)메톡시]-l-{4-[(l-프로필아제티딘-3-일)옥시]페닐}피리딘-2(lH)-온, 및 4-[(5-클로로피리딘-2-일)메톡시]-l-(4-{[(2S)-l-에틸아제티딘-2-일]메톡시}페닐)피리딘-2(lH)-온,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DP-IV 억제제는 7-[(3R)-3-아미노-4-(2,4,5-트리플루오로페닐)부타노일]-3-(트리플루오로메틸)- 5,6,7,8-테트라하이드로-l,2,4-트리아졸로[4,3-a]피라진,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이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 H3 (히스타민 H3) 길항제/역 효능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다음을 포함하는 WO05/077905에 기재된 것들: 3-{4-[(l-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에틸피리도[2,3-d]-피리미딘-4(3H)-온, 3-{4-[(1-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메틸피리도[4,3-d]피리미딘-4(3H)-온, 2-에틸-3-(4-{3-[(3S)-3-메틸피페리딘-l-일]프로폭시}페닐)피리도[2,3-d]피리미딘-4(3H)-온, 2-메틸-3-(4-{3-[(3S)-3-메틸피페리딘-l-일]프로폭시}페닐)피리도[4,3-d]피리미딘-4(3H)-온, 3-{4-[(l-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5-디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5-메톡시-2-메틸-4(3H)-퀴나졸리논, 3-{4-[(l- 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5-플루오로-2-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7-플루오로-2-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6-메톡시-2-메틸-4(3H)-퀴나졸리논, 3- {4-[(l-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6-플루오로-2-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8-플루오로-2-메틸-4(3H)-퀴나졸리논, 3-{4-[(l-사이클로펜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메틸피리도[4,3-d]피리미딘-4(3H)-온, 3-{4-[(1-사이클로부틸피페리딘-4-일)옥시]페닐}-6-플루오로-2-메틸피리도[3,4-d]피리미딘-4(3H)-온, 3-{4- [(1-사이클로부틸-4-피페리디닐)옥시]페닐}-2-에틸피리도[4,3-d]피리미딘-4(3H)-온, 6-메톡시-2-메틸-3-{4-[3-(l-피페리디닐)프로폭시]페닐}피리도[3,4-d]피리미딘-4(3H)-온, 6-메톡시-2-메틸-3-{4-[3-(l-피롤리디닐)프로폭시]페닐}피리도[3,4-d]피리미딘-4(3H)-온), 2,5-디메틸-3-{4-[3-(l-피롤리디닐)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2-메틸-3-{4-[3-(l-피롤리디닐)프로폭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3H)-퀴나졸리논, 5-플루오로-2-메틸-3-{4-[3-(1-피페리디닐)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6-메톡시-2-메틸-3-{4-[3-(1-피페리디닐)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5-메톡시-2-메틸-3-(4-{3-[(3S)-3-메틸피페리딘-1-일]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7-메톡시-2-메틸-3-(4-{3-[(3S)-3-메틸피페리딘-l-일]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2-메틸-3-(4-{3-[(3S)-3-메틸피페리딘-l-일]프로폭시}페닐)피리도[2,3-d]피리미딘-4(3H)-온, 5-플루오로-2-메틸-3-(4-{3-[(2R)-2-메틸피롤리딘-l-일]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2-메틸-3-(4-{3-[(2R)-2-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페닐)피리도[4,3-d]피리미딘-4(3H)-온:, 6-메톡시-2-메틸-3-(4-{3-[(2R)-2-메틸피롤리딘-l-일]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6-메톡시-2-메틸-3-(4-{3-[(2S)-2-메틸피롤리딘-1-일]프로폭시}페닐)-4(3H)-퀴나졸리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되는 특정 CCKlR 효능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3-(4-{[1-(3-에톡시페닐)-2-(4-메틸페닐)-1H-이미다졸-4-일]카보닐}-1-피페라지닐)-l -나프토산; 3-(4-{[l-(3-에톡시페닐)-2-(2-플루오로-4-메틸페닐)-lH-이미다졸-4-일]카보닐}-l-피페라지닐)-l-나프토산; 3-(4-{[l-(3-에톡시페닐)-2-(4- 플루오로페닐-lH-이미다졸-4-일]카보닐}-l-피페라지닐)-l-나프토산; 3-(4-{[l-(3-에톡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1H-이미다졸-4-일] 카보닐}-1-피페라지닐)-1-나프토산; 및 3-(4-{[l-(2,3-디하이드로-l,4-벤조디옥신-6-일)-2-(4-플루오로페닐)-lH-이미다졸-4-일]카보닐}-l-피페라지닐)-1-나프토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MK-8406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되는 특정 MC4R 효능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 (5S)-l'-{[(3R,4R)-l-3급-부틸-3-(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카보닐}-3-클로로-2-메틸-5-[1-메틸-1-(1-메틸-lH-1,2,4-트리아졸-5-일)에틸]-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 2) (5R)-l'-{[(3R,4R)-l-3급-부틸-3-(2,3,4-트리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카보닐}-3-클로로-2-메틸-5-[1-메틸-l-(l-메틸-lH-1,2,4-트리아졸-5-일)에틸]-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 3) 2-(1'-{[(3S,4R)-1-3급-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보닐}-3-클로로-2-메틸-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5-일)-2-메틸프로판니트릴; 4) 1'-{[(3S,4R)-l-3급-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피롤리딘-3-일]카보닐}-3-클로로-2-메틸-5-[l-메틸-l-(l-메틸-lH-l,2,4-트리아졸-5-일에)에틸]-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 5) N-[(3R,4R)-3-({3-클로로-2-메틸-5-[1-메틸-1-(1-메틸-1H-1,2,4-트리아졸-5-일)에틸]-1'H,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l'-일}카보닐)-4-(2,4-디플루오로페닐)-사이클로펜틸]-N-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아민; 6) 2-[3-클로로-1'-({(lR,2R)-2-(2,4-디플루오로페닐)-4-[메틸(테트라하이드로-2H- 피란-4-일)아미노]-사이클로펜틸}-카보닐)-2-메틸-5H-스피로[푸로[3,4-b]피리딘-7,4'-피페리딘]-5-일]-2-메틸-프로판-니트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추가로, 다른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인크레틴 호르몬 글루카곤 형 펩타이드 1(GLP-1)의 모사체는 또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방법은 피내, 근육내, 복강내, 정맥내, 피하, 비강내, 경막내 및 경구 경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해 조성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경로, 예를 들어, 주입 또는 일시 주사, 상피 또는 점막 내층(예를 들어, 경구 점막, 직장 및 장 점막등), 안구등으로 투여될 수 있고 생물학적 활성 제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당해 투여는 전신 또는 국소 투여일 수 있다. 또한, 당해 조성물을, 심실내 및 수막강내 주사를 포함하는 적합한 경로에 의해 중추 신경계로 투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심실내 주사는 저장소(예를 들어, 오마야 저장소)에 부착된 심실내 카테터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폐 투여는 또한 흡입기 또는 연무기 및 연무제와의 제형의 사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영역에 국소적으로 하나 이상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수술동안의 국소 주입, 국부 적용, 주사, 카테터를 수단으로, 좌제를 수단으로 또는 임플란트를 수단으로 성취될 수 있다.
다양한 전달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고 리포좀내 캅셀화, 미세입자, 마이크로캅셀, 마이셀, 중합체, 캅셀, 정제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해 전달 시스템이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비히클, 특히 리포좀으로 전달될 수 있다. 리포좀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뿐만 아니라 수용액중 마이셀, 불용성 단일층, 액정 또는 라멜라 층과 같은 응집 형태로 존재하는 지질과 같은 양쪽성 제제와 배합된다. 리포좀 제형에 대해 적합한 지질은 제한없이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설파티드, 리소렉틴, 인지질, 사포닌, 담즙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해 리포좀 제형의 제조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37,028호 및 미국 특허 제4,737,32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당업자 수준내에 있다. 기타 또 다른 양태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조절 방출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고 여기에는 전달 펌프(문헌참조: Saudek, et al., New Engl. J. Med. 321: 574 (1989)) 및 반투과성 중합체 물질(문헌참조: 예를 들어, Howard, et al., J. Neurosurg. 71 : 105 (1989))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조절 방출 시스템은 치료학적 표적(예를 들어, 뇌)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전신 투여 용량의 일부만이 요구된다[문헌참조: Goodson, In: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1984. (CRC Press, Bocca Raton, FIa.).
특정 장애 또는 증상에 효과적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은 장애 또는 증상의 특성에 의존하고 당업자가 표준 임상 기술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험관내 분석은 최적의 용량 범위 동정을 도와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형에 사용될 정확한 용량은 또한 투여 경로 및 질환 또는 장애의 전체 중증도에 의존하고 담당 의사의 판단 및 각각의 환자 여건에 따라 결정되어야만 한다. 궁극적으로, 담당 의사는 개별 환자 각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조성물의 양을 결정한다. 처음에, 담당 의사는 저용량의 조성물을 투여하고 환자의 반응을 관찰한다. 보다 큰 용량의 조성물은 최적의 치료 효과가 환자에 대해 수득될때까지 투여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용량은 추가로 증가시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하루 용량 범위는 단일 용량 또는 분할 용량으로 포유동물의 체중 kg당 약 0.001 mg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0.01mg 내지 약 50mg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10mg의 범위내에 있다. 한편, 몇몇 경우에는 이들 제한 범위를 초과하는 용량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정맥내 투여용으로 적합한 용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약 5-500 마이크로그램 (μg)이다. 비강내 투여용으로 적합한 용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체중 kg당 약 0.01 pg 내지 1 mg이다. 유효 용량은 시험관내 또는 동물 모델 시험 시스템으로부터 유래하는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좌제는 일반적으로 0.5중량% 내지 10중량% 범위로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경구 제형은 바람직하게 10% 내지 95%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궁극적으로, 담당 의사는 본 발명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적당한 치료 기간에 대해 결정한다. 용량은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추가로, 약제학적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 및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로 충전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팩 또는 키트가 제공된다. 임의로 당해 컨테이너와 관련하여 약제 또는 생물학적 제품의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 기관에 의해 처방된 형태의 통지서가 있을 수 있고 당해 통지는 사람 투여용으로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에 대해 당해 기관이 승인했음을 반영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추가의 이해를 촉진시키고자 한 것이다.
실시예 l
사람 또는 설치류의 NMURl- 또는 NMUR2-발현 세포주의 제조
NMUR1 또는 NMUR2[문헌(참조:Howard et al. Nature 406: 70-74 (2000))에 기재된 바와 같은]를 암호화하는 사람, 마우스 또는 래트 cDNA는 pcDNA5 (Invitrogen)에 서브클로닝하였고 리포펙타민(Invitrogen)을 사용하여 FLP-In CHO 세포 및 HEK-293 FLP-In 세포(구입처: Invitrogen (Carlsbad/CA))에 형질감염시켰다. FIp-In 시스템은 효모로부터 Flp 리컴비나제를 사용하여 특정 게놈 위치에서의 목적하는 특정 유전자의 통합 및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 형질감염된 세포는 200 μg/mL 하이그로마이신(Invitrogen)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성장시켜 선택하였다. 집단은 조기 계대 횟수에서 동결시키고 당해 스톡은 추가의 연구를 위해 사용하였다. mRNA를 발현하는 안정한 클론은 기능적으로 RT-PCR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FLIPR에 의해 동정하였다. 공개된 게놈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설치류 NMURl 수용체는 해독을 위한 개시 코돈으로서 통상적인 메티오닌(ATG)를 갖지 않고 또 다른 개시 코돈(래트에 대해서는 TTG 및 마우스에 대해서는 CTG)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2개의 상이한 설치류 NMURl 세포주가 제조되었다: 하나는 게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예측된 바와 같은 코돈을 가졌고 또 다른 세포주는 개시 코돈으로서 가공된 메티오닌(ATG)을 가졌다.
추가로, 사람 수용체를 발현하는 안정한 세포주는 CMV 프로모터하에서 에쿼린 유전자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aeql7 세포에서 제조되었다. 사람 NMUR2 cDNA는 pCDNA3.1로 클로닝하였고 사람 NMURl은 pIRES-puro (Clontech, Mountain View, CA)로 서브클로닝하였고 형질감염 후 세포는, G418 및 하이그로마이신(NMUR2) 또는 푸로마이신(NMURl)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선택하였다.
실시예 2
시험관내 기능적 분석
NMU 수용체는 주로 Gαq/11 단백질을 통해 시그날을 전달하고 따라서 칼슘 이동 분석은 기능적 활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LIPR 분석
사람 또는 설치류 NMUR1 또는 사람 NMUR2 수용체를 발현하는 안정한 세포주는 폴리-라이신 피복된 384-웰 블랙 벽의 플레이트상에 웰당 12,000 세포 밀도로 분주하고 밤새 방치하였다. 다음 날, 플레이트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후속적으로 FLIPR 완충액(20 mM HEPES, 0.1% BSA, 2.5 mM
프로베네시드 (Sigma) 및 1.6 mM TR40을 함유하는 1 x 행크 완충 식염수)중에 희석된 칼슘 민감성 염료인 Fluo-3(Molecular Probes)을 세포에 로딩하였다. 모든 시약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 Invitrogen으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펩타이드 스톡은 2mM의 스톡 농도로 DMSO중에 재현탁시켰고 실험 날에 FLIPR 완충액중에서 4 μM의 작동 스톡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실온에서 90분 항온처리한 후, 화합물/펩타이드 첨가 전후 세포 형광(여기 = 488 nM; 방출 = 540 nM)을 모니터하기 위해 세포 플레이트를 FLEPR(Molecular Devices)상으로 로딩하였다. 8포인트 내지 12포인트 용량 곡선은 가장 높은 용량으로서 1 μM 펩타이드와 함께 FLIPR을 사용한 NMUR-발현 세포주에 대해 시험하였다. 펩타이드 첨가 후 반응은 최대 형광 유니트로부터 당해 웰의 자극 직전의 형광을 공제함으로써 취해졌다. EC50 값은 GraphPad 프리즘(San Diego, C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사람(표 3), 마우스(표 4) 및 래트(표 5) NMUR1 및 NMUR2에 대한 FLIPR 분석에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NMU1 내지 NMU25)의 시험관내 반응에서 EC50은 nM 값으로 보고한다. % 활성은 동일 농도에서 hNMU-25 반응과 비교되는 1μM에서의 최대 반응을 언급한다. NT = 시험되지 않음. 당해 표는 대다수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이특이적이고 NMURl 및 NMU2 수용체 둘다에 결합함을 보여준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5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6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7
에쿼린
FLIPR에 추가로, NMU 수용체 기능은 또한 에쿼린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에쿼린 해파리 유전자를 발현하는 안정한 세포주를 사용하여 세포내 칼슘 이동을 모니터함에 의해 GPCR의 활성화를 기록할 수 있다. 당해 목적은 에쿼린 생발광을 특이적으로 자극하는 화합물을 동정하는 것이다. 칼슘 의존성 발광은 세포를 강장동물 루시페린인 코엘렌테라진으로 처리하여 생성시킨다. 간략하게, hNMURl 또는 hNMUR2를 발현하는 HEK-293/aeq 17 세포의 컨플루언트 단일층에 코엘렌테라진을 충전하였다(Molecular Probes, Carlsbad, CA). 컨플루언트 T75 플라스크를 300 μM 글루타티온 및 0.1% FBS를 함유하는 배지로 세정한다. 세포를 8 mL 배지, 0.1% FBS, 300 μM 글루타티온, 및 20 μM 코엘렌테라진중에서 1시간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한다. 이어서 T75 플라스크는 6 mL ECB 완충액(140 mM NaCl, 20 mM KCl, 20 mM HEPES, 5 mM 글루코스, 1 mM MgCl, 1 mM CaCl2, 0.1 mg/mL BSA, PH 7.3-7.4)중에서 세정한다. 세포는 ECB 완충액중에서 플라스크로부터 제거하고 2 X 105 세포/mL의 밀도로 펠렛화하고 현탁시킨다. 효능제는 세포에 첨가하고 활성은 발광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IPl 분석
칼슘의 직접적인 측정 뿐만 아니라, NMU 수용체 활성은 Gq 커플링된 활성과 밀접하게 관련있는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캐스케이드의 주요 생성물중 하나인 미오-이노시톨 1 포스페이트(IP1)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IP1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TRF(균일한 시간 분리되는 형광)을 사용하는 제조원(Cisbio(Bedford, MA))으로부터의 분석 키트(IPOne)가 시판되고 있다. 당해 분석은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른다. 간략하게, 당해 세포는 384-웰의 백색 벽의 플레이트에서 웰당 30,000의 세포 밀도로 분주하고 밤새 방치하였다. 다음날, 배지를 세포로부터 제거하고 자극 완충액(1OmM HEPES, 1 mM CaCl2, 0.5 mM MgCl2, 4,2 mM KCL, 146 mM NaCl, 5.5 mM 글루코스, 50 mM LlCl, pH 7.4)중에 희석된 10uL의 효능제를 첨가한다. 당해 세포를 1시간동안 효능제와 37℃에서 항온처리한다. 검출 분자인 IP1-d2 접합체 및 항-IP1 크립테이트(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됨)를 첨가하고 세포를 실온에서 1시간동안 항온처리한다. 엔비젼 머쉰(Envision machine)상에서 형광을 측정하고 당해 결과는 장치 판독의 형광 비율로부터 계산한다.
NMU 수용체 활성의 또 다른 측정
추가의 데이터는 NMU 수용체 시그날 전달이 God-커플링된 활성을 통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NMURl 또는 hNMUR2의 활성화는 포르스콜린(lOuM)-자극된 cAMP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i-커플링된 시그날 전달을 측정하기 위해, 포르스콜린 유도된 cAMP의 억제를 측정할 수 있다. 간략하게, 실험을 수행하기 24시간 전에 세포를 분주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세포에 첨가하고 10분동안 항온처리함에 이어서 1OuM 포로스콜린을 첨가한다. 10분 항온처리 후, cAMP를 세포로부터 추출하고 방사선수용체 분석에 의해 측정한다. cAMP 및 포르스콜린의 기본 수준은 효능제 처리의 존재 및 부재하에 측정한다.
여러 종에 걸쳐 NMUR1에 특이적인 NMUR1 서브타입 선택적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한 기능적 및 결합 데이터의 개요는 표 6 및 7에 나타낸다. 계산된 % 활성은 본래의 hNMU 반응에 상대적이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8
()는 100% 활성을 갖는 사람 NMU-25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09
()는 100% 활성을 갖는 사람 NMU-25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3
결합 분석
막 제조:
NMU 수용체를 발현하는 컨플루언트 세포(상기된 HEK 세포) 단일층은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와 함께 수거하고 원심분리로 모으고 막 완충액(50 mM TrisCl pH 7.4, 5 mM MgCl2, IX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10 μM 포스포르아미돈)중에 재현탁시켰다. 세포 펠렛을 파쇄시킨 후 용액을 4℃에서 20분동안 18,000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당해 펠렛은 막 완충액중에서 재현탁시켜 최종 농도가 0.5 내지 5 μg/μL인 막을 수득하고 -80℃에서 저장하였다.
125I-hNMU-25 결합 분석:
실험은 96웰 포맷의 200㎕ 용적에서 분석 완충액(25 mM TrisCl, pH 7.4, 10 mM MgCl2, 2mM EDTA, IX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 100 μg/mL 바시트리신, 10 μM 포스포르아미돈) 2-5μg의 막 및 0.1 nM 125I-hNMU-25(약 12,000 cpm/웰)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에 대해, 1 μM hNMU-25을 첨가하였다. 약 5 μL의 펩타이드를 길항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첨가하고 전체 반응물을 80분동안 진탕시키면서 실온에서 항온처리하였다. 당해 반응은 0.3% 폴리-에틸렌이민 예비 침지시킨 Millipore 96-웰 필터 플레이트를 통해 신속히 여과하여 종결하고 빙냉 완충액(5 mM TrisCl pH 7.4, 10 mM MgCl2, 2.5 mM EDTA, 0.04% Triton X-100)으로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밤새 통기 건조시키고 회수된 방사선활성은 표준 섬광 계수로 측정하였다. IC50 값은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농도-반응 곡선 및 방사선리간드 결합 데이터는 프리즘(GraphP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일치시켰다. 당해 결과는 하기 표 8 및 9에 요약한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10
Figure 112008072424012-PCT00011
실시예 4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합성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된 NMU 유사체의 폴리펩타이드 영역은 화학적으로 또는 생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차단된 N-말단 및/또는 차단된 C-말단을 갖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의 화학적 합성을 위한 기술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문헌참조: Vincent, in Peptide and Protein Drug Delivery, New York, N. Y., Dekker, 1990). 핵산의 세포로의 도입 및 핵산의 발현을 포함하는 생화학적 합성을 위한 기술의 예는 문헌[참조: Ausube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1987-1998, and Sambrook, et al., in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에 제공되어 있다.
1.1 아미노산 치환 및 변형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l은 페길화된 펩타이드이고, 이때, 40kDa의 측쇄 PEG는 본래의 사람 뉴로메딘 U 펩타이드의 N-말단에 연결한다. 펩타이드의 N-말단 그룹은 측쇄(PEG)240K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유사체(예를 들어, mPEG2-NHS-40k; Nektar, San Carlos, CA; Cat# 2Z3Y0T01)로 아실화시켰다. 이것은 약리학적 프로필이 개선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가 되도록 디자인하였다. 펩타이드 전구체인 NMU의 야생형 서열은 40kDa의 측쇄 PEG의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유도체와 반응시켰다. 당해 시약을 사용한 페길화는, 펩타이드에는 N-말단 아미노 그룹만이 유용하기 때문에 특이적으로 펩타이드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서 일어난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2는 N-말단에서 아세틸화되는 고유 NMU 펩타이드이다. 이것은 N-말단에서의 아세틸화,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아실화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디자인하였다. 최소 활성 서열 스패닝 잔기 19번 내지 25번을 기초로, 펩타이드 서열은 N-말단에 추가의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첨가함에 의해 17 내지 25번 잔기에서 변형시켰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추가로, (a) N-에틸칼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 NMU6을 수득하거나; (b) (PEG)2 4O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 유사체인 NMU7을 수득하거나; (c) 콜레스테롤 그룹과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지질 유사체인 NMU11을 수득한다.
기타 펩타이드 서열은 본래의 NMU 서열로부터 개시하여 N-말단에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첨가된 것으로 디자인하엿다. 예를 들어,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8을 수득하거나; (b) (PEG)240kDa(제조원: Nektar (mPEG2-MAL-40k, Cat# 2D3Y0T01))로 유도체화하여 NMU9, 또는 (PEG)240kDa(제조원:NOF Corporation, Japan (SUNBRIGHT GL2-400MA)) NMU12를 수득하거나; (c) 콜레스테롤 그룹으로 유도체화하여 NMUlO을 수득하거나; (d) (PEG)20kDa로 유도체화하여 NMU21을 수득하거나; (e)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NMU26을 수득하거나; (f) (PEG)40kDa로 유도체화하여 NMU27을 수득한다. 모든 이들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하였다.
기타 펩타이드의 예에서, 20번 위치에서 본래의 NMU-25 아미노산 잔기는 D-알라닌으로 변화시키고 21번 위치의 아미노산 잔기는 트립토판으로 변화시켰다. 이들 돌연변이는 NMUR1 수용체에 대해 부가된 선택성을 부여하고 N-말단에서 추가로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l3을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l4를 수득한다.
펩타이드 NMU 15 및 16은 아미노산 잔기 19번 내지 25번을 포함하는 최소 활성 서열을 기초로 하는 페길화된 펩타이드를 수득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당해 서열은 N-말단에 스페이서로서 Ttds 그룹(l-아미노-4,7,10-트리옥사-13-트리데칸아민 숙신산)을 도입하고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도입하여 변형시켰다. 스페이서는 PEG 잔기 첨가로 인한, 최소의 서열에 대한 활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로서 NMUl5을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16을 수득하였다.
펩타이드 NMU 17 및 18은 N-말단 절단된 서열 12번 내지 25번을 기초로 하는 페길화된 펩타이드가 수득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당해 펩타이드는 N-말단에서 추가의 아실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17을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l8을 수득한다.
펩타이드 NMU 19 및 20은 N-말단 절단된 서열 7번 내지 25번을 기초로 하는 페길화된 펩타이드가 수득되도록 디자인하였다. 당해 펩타이드는 N-말단에서 추가의 아실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19를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20을 수득한다.
펩타이드 NMU 22 및 23은 본래의 NMU 서열로부터 개시하여 N-말단에 2개의 시스테인 잔기가 부가되도록 디자인하였다.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아세틸화하였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22를 수득하거나 (b) (PEG)2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23을 수득한다.
펩타이드 NMU 24 및 NMU 25는 팔미토일화된 시스테인이 N 말단에 부가된 본래의 NMU 서열을 기초로 한다. 이들은 N-말단 팔미토일화,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지방산 쇄를 사용한 아실화 및 (2) 페길화 및 지질화 둘다의 조합 효과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디자인하였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약리하적 프로필을 갖고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로서 작용하도록 디자인된 지질 유사체인 NMU24를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시켜 개선된 생체내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당해 지질화 및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25를 수득한다.
펩타이드 NMU 28 및 29는 본래의 NMU의 잔기 17번 내지 25번에 해당한다. 스페이서로서 작용하는 Ttds 그룹 뿐만 아니라 아세틸화된 시스테인 잔기를 N-말단에 부가하였다. 스페이서는 PEG 잔기의 첨가로 인한 서열에 대한 활성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시스테인 티올화된 그룹은 (a) N-에틸말레이미드로 유도체화하여 접합을 위한 대조군 펩타이드인 NMU28을 수득하거나 (b) (PEG)240kDa로 유도체화하여 개선된 생체내 생리학적 프로필을 갖도록 디자인된 페길화된 유사체인 NMU29를 수득한다.
1.2. 페길화 및/또는 콜레에스테로일화
본 발명의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대한 페길화 부위는 NMU의 구조 및 NMU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선택되었다. 따라서, 페길화는 바람직하게 부위-특이적이다. 펩타이드 NMU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서 페길화는 서열중에 아미노 그룹만이 가용하기 때문에 가능한다. 예를 들어, 펩타이드의 N-말단 그룹은 측쇄((PEG)240kDa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유사체{예를 들어, mPEG2-NHS-40k, Nektar, Cat# 2Z3Y0T01)로 아실화시켰다.
1.3.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합성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표 1 참조)는 펩타이드 합성기 ABI433 A(Applied Biosystems)상에서 Fmoc/tBu 화학을 사용하는 고형상에 의해 합성하였다. 각각의 펩타이드에 대해 0.75 g의 1% 가교 결합된 수지 Fmoc-링커 AM-Champion(Biosearch Technologies, Inc., Novato, CA) 및 변형된 링크 링커 p-[(R,S)-ct- [9H-플루오렌-9-일-메톡시포름아미도]-2,4-디메톡시벤질]-페녹시아세트산으로 유도체화된 PEG-PS 기본 수지(Rink, Tetrahedron Lett. 28: 3787-3789 (1987); Bernatowicz, et al., Tetrahedron Lett. 30: 4645-4667 (1989))를 사용하였다. 아실화 반응은 수지 유리된 아미노 그룹에 대해 4배 과량의 활성화된 아미노산으로 60분동안 수행하였다. 아미노산은 DMF중에서 동몰량의 HBTU (2-(lH-벤조트리아졸-l-일)-l,l-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2배 몰 초과의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으로 활성화시켰다.
또한, 당해 펩타이드는 파이오니어 펩타이드 합성기(Pioneer Peptide Synthesizer)(Applied Biosystems)상에서 Fmoc/t-Bu 화학을 사용하는 고형상에 의해 합성하였다. 이 경우에, 모든 활성화 반응은 합성기상에서의 펩타이드 어셈블리 말단을 따라 수지 유리 아미노 그룹에 대해 4배 과량의 활성화된 아미노 그룹을 사용하여 60분동안 수행하였다. 측쇄 보호 그룹은 다음과 같다: Asp, GIu, Ser 및 Tyr에 대해 3급-부틸; Asn, Cys 및 Gln에 대해 트리틸; Arg에 대해 2,2,4,6,7-펜타메틸디하이드로벤조푸란-5-설포닐. N-말단 아실화 반응은 DMF중의 10배 과량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펩타이드 어셈블리의 말단에서 수행하였다. N-말단 팔미토일화 반응(NMU24 및 NMU25에 대해)은 수지 유리 아미노 그룹에 대해 4배 과량의 활성화된 팔미트산과 반응시켜 펩타이드 어셈블리의 말단에서 수행하였다. 팔미트산은 DMF중에서 동몰량의 DIPC (1,3-디이소프로필카보디이미드) 및 HOBt(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을 사용하여 활성화시켰다.
합성 말기에, 무수 펩타이드-수지를 개별적으로 절단 혼합물 20ml, 88% TFA, 5% 페놀, 2% 트리이소프로필실란 및 5% 물(Sole and Barany, J. Org. Chem. 57: 5399-5403 (1992))로 실온에서 2.5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각각의 수지는 여과하고 용액을 냉 메틸-t-부틸 에테르에 첨가하여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원심분리 후, 펩타이드 펠렛은 신선한 냉 메틸-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여 유기 스캐빈저를 제거하였다. 당해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최종 펠렛을 건조시키고 H20, 20% 아세토니트릴중에 재현탁시키고 동결건조시켰다.
조 펩타이드를 반-정제용 Waters RCM Delta-PakTM C4 또는 Cl8 카트릿지(40 x 200 mm, 15 μm)을 사용하고 물중의 용출제 (A) 0.1% TFA 및 (B) 아세토니트릴중의 0.1% TFA, 유속 80 mL/분을 사용하는 역상 HPLC로 정제하였다. 분석용 HPLC는 Phenomenex, Jupiter C4 칼럼(150 x 4.6 mm, 5 μm) 또는 ReproSil-Pur 300 C4 칼럼 (150 x 4.6 mm, 5 μm) ( Dr. Maisch GmbH) 또는 베크만, Ultrasphere Ci8 칼럼(250 x 4.6 mm, 5 μm)상에서, 유속 1 mL/분으로 수행하였다. 정제된 펩타이드는 마이크로매쓰 LCZ 플랫폼상에서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기로 특성 분석하였다.
펩타이드 NMU6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8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13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우레아 8M,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15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17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19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인산나트륨 0.1M, pH 6.5, 우레아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 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22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인산나트륨 0.2M, pH 6.5, 우레아 8M,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3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24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인산나트륨 0.2M pH 6.5, 우레아 8M,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3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펩타이드 NMU28의 합성은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 전구체를 HEPES 0.1M, pH 7.3, EDTA 4mM중에 용해시켜 수행하였다. 1.5몰 과량의 N-에틸말레이미드를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펩타이드를 HPLC로 정제하였다.
1.4. 뉴로메딘 U(NMU) 유사체의 페길화
페길화 반응은 아미드 결합(NMU1) 또는 티오에스테르 결합 형성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이어서 페길화된 NMU 펩타이드는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 및 크기 배척 크로마토그래피(SE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는 포름산 0.2%중의 3.5몰 용적에서 NaCl(0 내지 1M)의 선형 농도 구배, 유속 로딩 분당 1ml, 구배 용출 2ml/분으로 TSK SP-5PW (Tosoh) 칼럼 (16 x 100 mm)상에서 수행하였다. 크기 배척 크로마토그래피(SEC)는 아세트산 0.1%(w/v), 30% 아세토니트릴, 유속 1ml/분으로 TSK-HW50 (Tosoh) 칼럼(21 x 700 mm)상에서 수행하였다. 페길화된 NMU 유사체는 RP-HPLC, HPLC-SEC and MALDI-Tof 질량 분광측정기를 사용하여 특성 분석하였다.
NMUl 펩타이드는 PEG가 아미드 결합을 통해 공유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본래의 NMU 펩타이드 전구체로부터 합성하였다.
NMUl의 합성
8.7 mg의 펩타이드 전구체(2.8 μmoles)을 1.5 mL의 0.2 M HEPES, pH 7.3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3.5ml의 물중에 용해된 360mg의 mPEG2-NHS-40k (NEKTAR, 2Z3Y0t01) (8.6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3)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8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7, NMU9, NMU12, NMU14, NMU16, NMUl 8, NMU20.NMU21, NMU23, NMU25, NMU26, NMU27 및 NMU29 펩타이드를 PEG가 공유적으로 티오에테르 결합에 부착되어 있는 티올 함유 NMU 펩타이드로부터 합성하였다.
NMU7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7.6 μmoles)을 1mL의 0.2 M HEPES, pH 7.3,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3ml의 물중에 용해된 340mg의 mPEG2-MAL-40k (NEKTAR, 2D3Y0t01) (8.4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9의 합성
15mg의 펩타이드 전구체(4.6 μmoles)을 1mL의 0.2 M 인산나트륨, pH 6.5,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204mg의 mPEG2-MAL-40k (NEKTAR, 2D3Y0t01) (5.1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l2의 합성
8mg의 펩타이드 전구체(2.5 μmoles)을 1mL의 0.1 M HEPES, pH 7.3,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15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2.7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L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14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3.1 μmoles)을 1mL의 0.1 M HEPES, pH 7.3,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45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3.4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l6의 합성
8.3mg의 펩타이드 전구체(6.0 μmoles)을 1mL의 0.1 M HEPES, pH 7.3,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280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6.6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18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5.4 μmoles)을 1mL의 0.1 M HEPES, pH 7.3,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250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5.9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O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4.1 μmoles)을 1mL의 0.1 M 인산나트륨, pH 7.3, 우레아 4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74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4.1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1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3.1 μmoles)을 1mL의 90mM 인산나트륨, pH 6.6, 우레아 4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1ml의 물중에 용해된 65mg의 SUNBRIGHT ME-200MA(NOF Corp.) (3.1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3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3.0 μmoles)을 1mL의 90mM 인산나트륨, pH 7.1,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57mg의 SUNBRIGHT ME-200MA(NOF Corp.) (7.5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2.5)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DCC)에 의해 정제하였다. DC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5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2.9 μmoles)을 1mL의 90mM 인산나트륨, pH 7.1,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25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2.9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6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3.1 μmoles)을 1mL의 90mM 인산나트륨, pH 7.1,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70mg의 SUNBRIGHT GL2-200MA(NOF Corp.) (3.1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DC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7의 합성
10mg의 펩타이드 전구체(3.1 μmoles)을 1mL의 90mM 인산나트륨, pH 7.1, 우레아 8M,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136mg의 mPEG-말레이미드-40kDa(DOWpharma, 008-016)(3.4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29의 합성
8mg의 펩타이드 전구체(5.1 μmoles)을 1mL의 0.1M HEPES, pH 7.3, 4mM EDTA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2ml의 물중에 용해된 217mg의 SUNBRIGHT GL2-400MA(NOF Corp.) (5.1 μmoles)(펩타이드 대 PEG의 몰/몰 비율은 1:1)를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 처리후, 페길화된 펩타이드 용액은 1% 포름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XC)에 의해 정제하였다. IXC 정제된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추가로 SEC로 정제하고 RP-HPLC 및 MALDI-Tof로 특성 분석하였다.
1.5. 뉴로메딘 D(NMU) 유사체의 콜레스테로일화
콜레스테롤을 사용한 유도체화는 티오에테르 결합 형성을 허용하는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콜레스테로일화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는 이어서 RP-HPLC에 의해 정제하고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기로 특징 분석하였다.
NMU 10의 합성
18mg의 펩타이드 전구체(5.6 μmoles)를 1 mL DMF중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70 μL THF (펩타이드 대 콜레스테릴 브로모아세테이트의 몰/몰 비율은 1:1.1)중에 용해시킨 3mg의 콜레스테릴 브로모아세테이트(14 μmoles) 및 5 μL의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펩 타이드에 대해 2.5-배 몰 과량)을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콜레스테로일화된 펩타이드는 RP-HPLC로 정제하고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기로 특성 분석하였다.
NMU11의 합성
17mg의 펩타이드 전구체(12.9 μmoles)를 1 mL DMF중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0.17ml THF (펩타이드 대 콜레스테릴 브로모아세테이트의 몰/몰 비율은 1:1.1)중에 용해시킨 7.2mg의 콜레스테릴 브로모아세테이트(14 μmoles) 및 11.7μL의 DIEA (펩 타이드에 대해 5-배 몰 과량)을 당해 용액에 첨가하였다. 1시간 항온처리 후, 콜레스테로일화된 펩타이드는 RP-HPLC로 정제하고 전기분무 질량 분광측정기로 특성 분석하였다.
실시예 5
NMU 및 이의 유사체를 사용한 주입 연구
NMURl 녹아웃(Nmurl-/-) 마우스는 표준 상동성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Nmurl 마우스는 이어서 타코닉(Taconic) 농장에 전달하였고 여기서, 당해 마우스는 75% C57BL/6 x 25% 129S6/SvEv 혼합 유전학적 배경상에 유지시키거나 6세대 동안 C57BL/6으로 역교배하였다. NMUR2 녹아웃(Nmur2-/-) 마우스는 제조원[Deltagen Inc., San Mateo, CA]으로부터 인가받았고 이어서 타코닉 농장으로 전달하였고, 여기서, 당해 마우스는 75% C57BL/6 x 25% 129/OlaHsd 혼합 유전학적 배경상에 유지시키거나 7세대동안 C57BL/6으로 역교배하였다. NMURl 및 NMUR2 이중 녹아웃(Nmurl&2-/-) 마우스는 N6 Nmurl-/-마우스를 N7 Nmur2-/- 마우스로 교배함에 의해 제조하였다. 마우스는 개별적으로 통상적인 SPF 설비에서 Tecniplast 케이지에 거주시켰다. 마우스는 처음에 규칙적인 식단을 유지함에 이어서 이의 생활 초기에 고지방 음식물(Dl 2492: 지방으로부터 60 % kcal;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로 전환시키고 12시간 명암 사이클에서 물에는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허용하였다.
임의로 주입된 수컷 음식물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무게를 칭량하고 명암 상 사이클 개시전 약 30분에 i.p. 또는 s.c.로 투여하였고 초기 암상 개시한지 2시간 후, 및 18시간 후(1일), 42시간 후(2일), 66 시간 후(3일) 및 90시간 후(4일)에 칭량된 고지방 음식 D124의 미리 칭량된 적정액을 제공하였다. 마우스의 무게는 18, 42, 66 및 90 시간 시점에 칭량하였다. 데이터는 주입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모든 값은 평균 ± SEM으로 보고되고 데이터는 투-테일드 언페어드 스튜던트 t 시험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0.05이하의 p값은 유의적인 것으로서 보고되었고 별표로 나타내었다).
도 2A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NMURl- 선택적 펩타이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H 및 NMU13의 급성 말초 투여는 야생형 마우스에서 음식 섭취를 상당히 감소시켰지만 Nmur1 녹아웃 마우스에서는 그렇지 않았고 이는 NMUR1이 당해 유사체의 식욕감퇴를 위해 요구됨을 입증한다. 추가로, 당해 데이터는 NMURl-선택적 효능작용이 범 NMURl/2 효능제 NMU의 식욕감퇴 작용의 개요를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임을 입증한다 .
도 3A 및 3B는 페길화된 NMU의 급성 피하 투여가 투여 후 3일동안 음식 섭취를 감소시킨다는 발견을 설명한다. 페길화된 유사체의 시험관내 및 생체내 대사 프로필과 일치하여, NMUl은 hNMU-25에 비해 밤새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는데 보다 큰 효능을 나타내고 음식 섭취의 감소는 투여 후 3일동안 관찰된다.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가 또한 관찰된다.
도 4A 및 4B는 NMUl2가 또한 효과적인 식욕감퇴 펩타이드임을 입증한다. NMUl와 유사하게, 음식 섭취 및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는 펩타이드의 1회 피하 투여 후 3일동안 관찰된다.
추가로, 도 5 A 및 5B는 NMUl2의 식욕감퇴 효과가 NMURl 및 NMUR2 수용체에 의해 매개됨을 도시한다. NMU12의 급성 투여는 야생형 동물에서 고도로 효과적이지만 NMUR1/NMUR2 이중 녹아웃 동물에서는 어떠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NMUR2 수용체에서 효과는 주로 뇌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당해 결과는 NMUl2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음식 섭취 및 체중을 감소키는 NMUR2의 효과는 중추 노출을 요구하는 반면 NMUR1의 효과는 말초 노출을 요구한다.
도 6A 및 도 6B는 페길화된 NMU12의 보다 긴 기간의 식욕 감퇴 효과가 NMURl 및 NMUR2 수용체 둘다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음식 섭취 및 체중 감소는 NMURl 녹아웃 동물에서 투여 후 2일동안 관찰된다. 그러나, 단지 밤새 효과가 NMUR2 녹아웃 동물에서 관찰된다. 이것은 NMURl에 의해 단독으로 매개되는 hNMU-25의 식욕감퇴 효과와는 대조적이고, 이는 hNMU-25 및 NMU12가 별개의 작용 기작을 갖고 있음을 입증한다.
도 7A 내지 7C는 NMU12의 만성 투여가 음식 섭취 및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NMU12는 매일(QD), 격일로(Q2D) 또는 3일간격으로(Q3D) 투여된다. 패널 A는 치료 개시 후 9일동안 체중의 누적 변화를 보여준다. 마지막 투여는 연구 4일째 투여되고 9일째에 측정하였다. 누적 음식 섭취(B) 및 체중(C)는 NMUl2에 대한 모든 투여 패러다임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음식 섭취는 비히클 처리된 그룹에 비해 당해 투여량에서 12 내지 27% 감소하였다. 또한, 체중의 누적 변화는 비히클 대조군 그룹에 비해 적게는 3.3% 내지 많게는 7.3%의 범위였다.
hNMU-25 및 NMU 유사체를 사용한 생체내 실험으로부터의 음식 섭취의 % 감소 및 체중 변화에 대한 개요는 표 10에 나타낸다. 계산은 비히클 반응을 기초로 한다.
Figure 112008072424012-PCT00012
실시예 6
혈장 안정성 실험
상이한 종 기원의 혈장에서 NMU12 및 NMUl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관내 스파이크 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NMU12, NMUl, 또는 hNMU-25는 최종 농도 lμM로 혈장(구입처: Bioreclamation)으로 첨가하였고 다양한 온도(실온, 4℃ 및 37℃에서)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이들 혈장 샘플의 적정액을 다양한 시점에서 취하여 -80℃에서 동결시키고 이어서 사람 사람 NMUR1을 발현하는 세포주를 사용한 FLIPR 분석으로 다양한 항온처리 시점 후 남아있는 활성 펩타이드의 %를 측정한다. 샘플중에 남아있는 펩타이드의 % 활성은 펩타이드 샘플과 함께 임의의 온도 챌린지를 수행하기 전에 개시 시점(T = 0)에서 샘플에 대한 FLIPR 반응을 기초로 계산하였다. T = 0에서 예상된 복구는 100%이다.
도 8은 스파이크 인 실험과 함께 사람 혈장에서 hNMU-25 및 페길화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1 및 NMU12의 시험관내 안정성을 도시하고 이는 NMU의 페길화가 사람 혈장에서 보다 큰 안정성을 제공한다. 사람 혈장에서 hNMU-25의 반감기는 16시간 미만인 반면 페길화된 유사체 NMUl(페길화된 hNMU-25) 및 NMUl2는 37℃에서 항온처리된 사람 혈장에서 3일 초과의 반감기를 나타냈다.
실시예 7
생물검정을 사용한 약역학 분석
투여된 동물에서 생분석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NMUl2 노출 수준을 사용한 펩타이드의 약역학적 분석은 생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hNMU-25 노출 수준과 비교하였다. 동물에게 10 mg/kg의 NMUl2 또는 hNMU-25를 피하 투여하고 혈장을 다양한 투여 후 시점에서 수거하였다. 생분석은 FLIPR-기반 분석이고 이것은 하기의 변형과 함께 필수적으로 상기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분석전 샘플 제조는 빙상에서 수행하여 혈장 샘플의 분해를 최소화하였다. 당해 분석은 최종 농도로서 4% 혈장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3점 적정은 투여된 혈장과 함께 수행하였고 FLIPR을 사용하여 사람 NMUR1 발현 세포주에 대해 시험하였다. 샘플 첨가 후 반응은 각각의 웰에 대해 최대 형광 유니트에서 자극 직전의 형광을 공제하여 취하였다. 투여된 혈장 샘플의 3점 적정 뿐만 아니라 16점 펩타이드(hNMU-25 또는 NMU12)의 적정은 표준으로서 작용하는 4% 혈장(순수 혈장)에서 수행하였다. 혈장내 펩타이드의 농도는 GraphPad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적정한 표준으로부터의 추정을 기초로 계산하였다.
도 9는 마우스에서 hNMU-25 및 페길화된 NMU12의 약역학적 성질을 보여주고, 이는 NMU의 페길화가 생체내에서 보다 큰 대사 안정성을 제공함을 지적한다. 점선은 분석(LOD)에 대한 검출 한계치를 지적한다. 이들 실험은 NMU의 페길화가 시험관내 및 생체내 대사 안정성을 증진시킴을 입증한다.
본 발명은 설명된 양태를 참조로 본원에 기재되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여기로 제한되지 말아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당업자 및 본원의 교시로의 접근은 이의 범위내에서 추가의 변형 및 양태를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본원에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10> MERCK & CO., INC. ISTITUTO DI RICERCHE DI BIOLOGIA MOLECOLARE P. ANGELETTI S.P.A. <120>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130> PCT-21984Y <150> US 60/783,933 <151> 2006-03-20 <160> 2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Peptide <223> Xaa Can be any amino acid or absent <400> 1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10 15 Xaa Xaa Phe Leu Phe Arg Pro Arg Asn 20 25 <210> 2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25 Agonist <400> 2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Tyr Phe Leu Phe Arg Pro Arg Asn 20 25 <210> 3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12-25) Agonist <400> 3 Ala Ser Gln Ser Arg Gly Tyr Phe Leu Phe Arg Pro Arg Asn 1 5 10 <210> 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17-25) Agonist <400> 4 Gly Tyr Phe Leu Phe Arg Pro Arg Asn 1 5 <210> 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19-25) Agonist <400> 5 Phe Leu Phe Arg Pro Arg Asn 1 5 <210> 6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7-25) Agonist <400> 6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Gly Tyr Phe Leu Phe Arg 1 5 10 15 Pro Arg Asn <210> 7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18 <223> Xaa is Y, W, F, a des-amino acid or an acyl group, or absent <221> VARIANT <222> 19 <223> Xaa is A, W, Y, F, or an aliphatic amino acid <221> VARIANT <222> 20 <223> Xaa is G, sarcosine (Sar), D-leu, NMe-Leu, D-Ala, A, or absent <221> VARIANT <222> 21 <223> Xaa is NMe-Phe, an aliphatic amino acid, an aromatic amino acid, A, or W <221> VARIANT <222> 22 <223> Xaa is K, A, or L <221> VARIANT <222> (23)...(23) <223> Xaa is Sar, A, or L <221> VARIANT <222> (24)...(24) <223> Xaa is Harg or K <221> VARIANT <222> (25)...(25) <223> Xaa is any D- or L-amino acid, Nle or D-Nle, or A <400> 7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20 25 <210> 8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1 <223> Xaa is A, W, Y, F, an aliphatic amino acid, or absent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 W, Y, F, or an aliphatic amino acid <221> VARIANT <222> 3 <223> Xaa is L, F, G, Sar, D-Leu, NMe-Leu, D-Ala, A, or absent <221> VARIANT <222> 4 <223> Xaa is NMe-Phe, an aliphatic amino acid, an aromatic amino acid, A, or W <221> VARIANT <222> 5 <223> Xaa is R, F, K, A, or L <221> VARIANT <222> (6)...(6) <223> Xaa is P, Sar, A, or L <221> VARIANT <222> (7)...(7) <223> Xaa is R, Harg, or K <221> VARIANT <222> (8)...(8) <223> Xaa is any D- or L-amino acid, Nle or D-Nle, or A <400> 8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9 Tyr Phe Trp Arg Phe Arg Asn 1 5 <210> 1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3 <223> Xaa is D-Leu <400> 10 Tyr Phe Xaa Trp Arg Pro Arg Asn 1 5 <210> 1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11 Tyr Phe Gly Trp Arg Pro Arg Asn 1 5 <210> 1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0)...(0) <223> Xaa is D-Ala <400> 12 Tyr Phe Xaa Trp Arg Pro Arg Asn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13 Phe Phe Trp Arg Pro Arg Asn 1 5 <210> 14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14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Tyr Phe Trp Arg Pro Arg Asn 20 <210> 15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0 <223> Xaa is D-Leu <400> 15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Tyr Phe Xaa Leu Trp Arg Pro 20 <210> 1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7 <223> Xaa is Harg <400> 16 Phe Trp Leu Phe Arg Pro Xaa Asn 1 5 <210> 1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7 <223> Xaa is Harg <400> 17 Phe Trp Leu Phe Arg Ala Xaa Asn 1 5 <210> 18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8 <223> Xaa is D-Nle <400> 18 Trp Phe Leu Phe Arg Pro Arg Xaa 1 5 <210> 1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19 Phe Trp Leu Phe Arg Ala Arg Asn 1 5 <210> 2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20 Tyr Ala Leu Phe Arg Ala Arg Asn 1 5 <210> 2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21 Phe Ala Leu Phe Arg Pro Arg Asn 1 5 <210> 22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4 <223> Xaa is Harg <400> 22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Pro Phe Ala Ser Gln Ser Arg Gly 1 5 10 15 Phe Trp Leu Phe Arg Pro Xaa Asn 20 <210> 23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4 <223> Xaa is Harg <400> 23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Phe Trp Leu Phe Arg Ala Xaa Asn 20 25 <210> 24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5 <223> Xaa is D-Nle <400> 24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Phe Trp Leu Phe Arg Pro Arg Xaa 20 25 <210> 25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0 <223> Xaa is D-Ala <400> 25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Gly Tyr Phe Xaa Trp Arg Pro Arg Asn 20 25 <210> 2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D-Leu <400> 26 Phe Xaa Trp Arg Pro Arg Asn 1 5 <210> 27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221> VARIANT <222> (1)...(17) <223> Xaa is any amino acid or absent <221> VARIANT <222> 18 <223> Xaa is Y, W, F, a des-amino acid or an acyl <221> VARIANT <222> 19 <223> Xaa is F, A, W, or an aliphatic amino acid <221> VARIANT <222> 20 <223> Xaa is L, G Sar, D-Leu, NMe-Leu, D-Ala, D, or absent <221> VARIANT <222> 21 <223> Xaa is F, NMe-Phe, an aliphatic amino acid, an aromatic amino acid, A, or W <221> VARIANT <222> (22)...(22) <223> Xaa is R, K, A, or L <221> VARIANT <222> (23)...(23) <223> Xaa is P, Sar, A, or L <221> VARIANT <222> (24)...(24) <223> Xaa is R, Harg, or K <221> VARIANT <222> (25)...(25) <223> Xaa is N, any D- or L-amino acid, Nle or Dle, or A <400> 27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1 5 10 15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Xaa 20 25 <210> 28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MU agonist <400> 28 Phe Arg Val Asp Glu Glu Phe Gln Ser Pro Phe Ala Ser Gln Ser Arg 1 5 10 15 Pro Tyr Phe Leu Phe Arg Pro Arg Asn 20 25

Claims (35)

  1. 화학식 I를 갖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말단 아미노산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와 공유적으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3. 제1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펩타이드의 N-말단에, 존재하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보호 그룹이 임의로 존재하는 시스테인 잔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4. 제3항에 있어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5. 제1항에 있어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6. 제1항에 있어서, 원거리 말단 및 인접 말단을 갖는 링커 그룹이 이의 원거리 말단에서 펩타이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링커 그룹의 인접 말단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된 보호 그룹이 임의로 존재하는 시스테인 잔기의 카복실 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7. 제6항에 있어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8. 제1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이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9. 제8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0. 제1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뉴 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1. 제1항에 있어서, 효능제가 화학식 Ac-C2-펩타이드-CONH2을 갖고, 이때, Ac가 아세틸 그룹이고 C2가 Cys(PEG)240kDa이고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2. 제1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아미노산 서열 F-R-V-D-E-E-F-Q-S-P-F-A-S-Q-S-R-G-Xl8-Xl9-X20-X21-X22-X23-X24-X25(서열번호 7)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8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l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22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3. 제12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3, 서열번호 24 및 서열번호 2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4. 제1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서열번호 8)을 포함하고, 이때, 아미노산 X1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2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3은 부재이거나,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 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4는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아미노산 X5는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6는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7은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8은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5. 제13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0,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16. 펩타이드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 이상의 PEG 분자를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에 공유적으로 연결시킴을 포함하는,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이 화학식 I를 갖는 방법.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 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18. 펩타이드의 C-말단에서 7개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을 사람 NMU-25 펩타이드에는 본래 없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사체로 변형시킴을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서브타입에 특이적인 NMU-25 펩타이드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를 제조하는 방법.
  19. 개체의 질환 치료를 위해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를 갖는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개체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화학식 I
    Zl-펩타이드-Z2
    상기식에서,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1-Xl2-Xl3-Xl4-Xl5- Xl6-Xl7-Xl8-Xl9-X20-X21-X22-X23-X24-X25 (서열번호 27)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은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일 수 있고; 아미노산 X18번은 부재이거나, Y, W, F, 데스-아미노산 또는 아실 그룹이고; 아미노산 X19는 A, W, Y, F 또는 지방족 아미노산이고; 아미노산 X20은 부재이거나, L, G, 사르코신(Sar), D-Leu, NMe-Leu, D-Ala 또는 A이고; 아미노산 X21은 F, NMe-Phe, 지방족 아미노산, 방향족 아미노산, A 또는 W이고; X22는 R, K,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3은 P, Sar, A 또는 L이고; 아미노산 X24는 R, Harg 또는 K이고; 아미노산 X25는 N, 임의의 D- 또는 L-아미노산, Nle 또는 D-Nle, 또는 A이고; Z1은 존재하는 경우,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고; Z2는 NH2 또는 존재하는 경우 C-말단 카복시 그룹에 연결되는 임의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이다.
  20. 제19항에 있어서, 대사 장애가 비만, 대사 증후군 또는 증후군 X, II형 당뇨병, 당뇨병의 합병증, 고혈압, 이상지혈증, 심혈관 질환, 담석, 골관절염 및 특정 형태의 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대사 장애가 비만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아미노산 서열 Xl-X2-X3-X4-X5-X6-X7-X8-X9-Xl0-Xll-Xl2-Xl3-Xl4-Xl5-Xl6-Xl7-X18-F-L-F-R-P-R-N(서열번호 1)을 갖고 이때, 아미노산 1번 내지 17번이 임의의 아미노산이거나 부재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N-말단 아미노산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펩타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되는 보호 그룹이 임의로 존재하는 펩타이드의 N-말단에 시스테인 잔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N-말단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원거리 말단 및 인접 말단을 갖는 링커 그룹이 이의 원거리 말단에서 펩타이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링커 그룹의 인접 말단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테인 잔기의 N-말단 아미노 그룹에 연결된 보호 그룹이 임의로 존재하는 시스테인 잔기의 카복실 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그룹이 PEG, 콜레스테롤, N-에틸말레이미딜 및 팔미토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방법.
  31. 제19항에 있어서, 효능제가 화학식 Ac-C2-펩타이드-CONH2를 갖고, 이때, Ac가 아세틸 그룹이고 C2가 Cys(PEG)240kDa이고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에 나타낸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방법.
  32. 대사 장애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용도.
  33. 비만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용도.
  34. II형 당뇨병 치료용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의 용도.
  35.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87025492A 2006-03-20 2007-03-16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이의 용도 KR200900053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93306P 2006-03-20 2006-03-20
US60/783,933 2006-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29A true KR20090005329A (ko) 2009-01-13

Family

ID=3852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492A KR20090005329A (ko) 2006-03-20 2007-03-16 뉴로메딘 u 수용체 효능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070244048A1 (ko)
EP (1) EP1999143B1 (ko)
JP (1) JP2009530379A (ko)
KR (1) KR20090005329A (ko)
CN (1) CN101443356A (ko)
AT (1) ATE516300T1 (ko)
AU (1) AU2007227510A1 (ko)
BR (1) BRPI0708943A2 (ko)
CA (1) CA2647027A1 (ko)
IL (1) IL193996A0 (ko)
MX (1) MX2008012055A (ko)
NO (1) NO20084380L (ko)
RU (1) RU2008141280A (ko)
WO (1) WO2007109135A2 (ko)
ZA (1) ZA2008077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420A (ko) 2002-12-26 2005-09-13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메타스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R049938A1 (es) 2004-06-25 2006-09-13 Takeda Pharmaceutical Derivados de metastina y utilizacion de los mismos
US8404643B2 (en) 2005-12-22 2013-03-2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Metastin derivatives and use thereof
JO3048B1 (ar) 2006-10-25 2016-09-05 Takeda Pharmaceuticals Co مشتقات متاستين واستخدامها
US8309522B2 (en) 2007-02-05 2012-11-13 Amylin Pharmaceuticals, Llc Neuromedin and FN-38 peptides for treating psychiatric diseases
US20100190717A1 (en) * 2007-09-11 2010-07-29 Dorian Bevec Use of 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and met-enkephalin as therapeutic agents
CA2701612A1 (en) * 2007-10-05 2009-04-09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Neuromedin u derivative
US20090104210A1 (en) * 2007-10-17 2009-04-23 Tota Michael R Peptide compounds for trea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PT2314609T (pt) * 2008-07-30 2017-03-06 Takeda Pharmaceuticals Co Derivado de metastina e sua utilização
US20110294735A1 (en) * 2008-11-05 2011-12-01 Merck Sharp & Dohme Corp. Mechanism of neuromedin u action and uses thereof
JO2870B1 (en) 2008-11-13 2015-03-15 ميرك شارب اند دوهم كورب Amino Tetra Hydro Pirans as Inhibitors of Peptide Dipeptide IV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abetes
WO2010067233A1 (en) 2008-12-08 2010-06-17 Pfizer Inc. 1,2,4 triazolo [4, 3 -a] [1,5] benzodiazepin-5 (6h) -ones as agonists of the cholecystokinin-1 receptor (cck-ir)
WO2010116752A1 (ja) * 2009-04-08 2010-10-14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ニューロメジンu誘導体
WO2010138343A1 (en) * 2009-05-27 2010-12-02 Merck Sharp & Dohme Corp.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WO2011005611A1 (en) * 2009-07-09 2011-01-13 Merck Sharp & Dohme Corp.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IN2012DN00721A (ko) 2009-09-02 2015-06-19 Merck Sharp & Dohme
CN102812037A (zh) * 2009-10-30 2012-12-05 特兰齐姆制药公司 大环生长素释放肽受体拮抗剂和反向激动剂及其使用方法
US20120219538A1 (en) * 2009-11-02 2012-08-30 Therapeomic Ag Stabilized protein formulations and use thereof
US8853212B2 (en) 2010-02-22 2014-10-07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aminotetrahydrothiopyrans and derivatives thereof as dipeptidyl peptidase-IV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WO2011146358A1 (en) 2010-05-21 2011-11-24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seven-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as dipeptidyl peptidase-iv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JP2013209295A (ja) 2010-10-13 2013-10-10 Takeda Chem Ind Ltd ペプチド誘導体
WO2012106581A1 (en) * 2011-02-03 2012-08-09 The University Of Chicago Fxr inhibitor, bile acid sequestrant as combination therapy for cholesterol reduction
IN2014DN09640A (ko) 2012-04-16 2015-07-31 Kaneq Pharma Inc
EP2842965A1 (en) 2013-09-03 2015-03-04 Gubra ApS Neuromedin U analogs comprising serum albumin binding amino acid residue
US10286078B2 (en) 2013-09-13 2019-05-14 The California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odified therapeutic agents and compositions thereof
CA2933701C (en) 2013-12-18 2022-05-31 The California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odified therapeutic agents, stapled peptide lipid conjugates, and compositions thereof
CN106084001B (zh) * 2016-04-21 2019-05-24 上海天慈生命科学发展有限公司 一类阿片和神经肽ff受体的多靶点肽类分子及其制备和应用
MX2019006886A (es) 2016-12-13 2019-10-30 Limm Therapeutics Sa Mé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asociadas con células linfoides innatas del grupo 2 (ilc2).
WO2018135641A1 (ja) * 2017-01-20 2018-07-26 学校法人東京薬科大学 ペプチドもしくは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またはそれらのプロドラッグ
WO2018135642A1 (ja) * 2017-01-20 2018-07-26 学校法人東京薬科大学 ペプチド、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またはそれらのプロドラッグ、およびそれら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553101A (en) * 1999-11-29 2001-06-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cree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4048A1 (en) 2007-10-18
RU2008141280A (ru) 2010-04-27
US20100075907A1 (en) 2010-03-25
MX2008012055A (es) 2008-10-02
WO2007109135A3 (en) 2008-04-03
CA2647027A1 (en) 2007-09-27
ATE516300T1 (de) 2011-07-15
EP1999143A2 (en) 2008-12-10
BRPI0708943A2 (pt) 2011-06-14
JP2009530379A (ja) 2009-08-27
ZA200807789B (en) 2009-12-30
IL193996A0 (en) 2011-08-01
AU2007227510A1 (en) 2007-09-27
NO20084380L (no) 2008-12-16
WO2007109135A2 (en) 2007-09-27
EP1999143B1 (en) 2011-07-13
CN101443356A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9143B1 (en)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US9593155B2 (en) Oxyntomodulin analogs
US20110301079A1 (en)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US20090104210A1 (en) Peptide compounds for trea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O2011005611A1 (en)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JP5297817B2 (ja) オキシントモジュリン誘導体
WO2010138343A1 (en)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CN104684907A (zh) 抗糖尿病的三环化合物
US20100143383A1 (en) Oxgr1 agonists for use in therapies for metabolic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