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154A -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154A
KR20090005154A KR1020087027115A KR20087027115A KR20090005154A KR 20090005154 A KR20090005154 A KR 20090005154A KR 1020087027115 A KR1020087027115 A KR 1020087027115A KR 20087027115 A KR20087027115 A KR 20087027115A KR 20090005154 A KR20090005154 A KR 2009000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blocking member
control
safety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876B1 (ko
Inventor
프리트리히 피퍼
Original Assignee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0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3Countermeasures against the physical destruction of the steering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중요 기능 부품(2)을 록킹 및/또는 록킹 해제하기 위한 록킹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록킹 장치는 하우징(3), 제어 부재(5)에 의해 적어도 두 가지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차단 부재(4),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4)를 적어도 록킹 해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 부재(6)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위치들 중에 한 가지 위치는 록킹 위치로서, 이 록킹 위치에서는 차단 부재(4)가 하우징(3)으로부터 개구(8)를 통해 돌출하고, 중요 기능 부품(2)과 작동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위치들 중에 또 다른 한 가지 위치는 록킹 해제 위치로서, 이 록킹 해제 위치에서는 차단 부재(4)가 하우징(3) 내부에 최대로 삽입되어 있고, 중요 기능 부품(2)과 작동 연결되지 않는다. 단순하고도 안전한 구조를 갖고, 순전히 기계식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순전히 전자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록킹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부재(5)는 상기 안전 부재(6)의 작동을 위하여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5b)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록킹 장치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스티어링 필러(steering pillar) 또는 변속 스위칭 레버 등과 같은 차량용의 중요 기능 부품을 록킹 및/또는 록킹 해제하기 위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록킹 장치의 경우에는 록킹 위치에서 록킹 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특히 인터록킹에 의해서 중요 기능 부품과 작동 연결이 되어 상기 부품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가 사용된다. 그로 인해 중요 기능 부품을 록킹 위치에서 적용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와 반대로 차단 부재의 록킹 해제 위치에서 적용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해지며, 이 경우 차단 부재는 중요 기능 부품과 작동 연결이 되지 않는다.
차량 내에서 스티어링 필러 위의 소위 12시-위치에 배치되고, 이와 같은 특이한 배열 상태에 의해 도난 및/또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최대로 어려운 동류의 장치를 개시하는 공개 공보 DE 10 2004 031 238 A1호가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도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에서 중요 기능 부품을 록킹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구비한다. 차단 부재를 의도치 않은 록킹에 대하여 추가로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 부재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차단 부재는 록킹 해제 위치에서 인터록킹 방식의 안전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부재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작동된다. 이 경우에는 서로에 대해 가동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기구가 사용된다. 또한, 차단 부재의 안전 상태가 차단 부재를 위한 하우징 개구 근처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차단 부재가 파괴되는 경우 중요 기능 부품이 차량 주행 중에 파괴부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공개 공보 DE 100 22 831 A1호에는 마찬가지로 차단 부재가 추가의 안전 레버를 통해 인터록킹 방식으로 록킹 해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추가의 록킹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레버도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에 의해서 자신의 안전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록킹 장치도 복수의 부품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앞에서 언급된 록킹 장치들을 전기 구동 장치의 오작동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특허 공보 DE 199 64 173 C2호에는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를 추가의 기계적인 안전 레버에 의해 록킹 해제 위치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차단 부재는 그 축 방향 둘레에 홈을 가지며, 상기 홈 안에 안전 레버가 끼인다. 하지만, 전술한 홈에 의해서 차단 부재가 약화되고, 이와 같은 약화가 결국에는 차단 부재의 피로 파괴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로 차단 부재가 파괴시에 스티어링 스핀들(steering spindle)의 록킹을 일으키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사고시에 작용하는 파워는 차단 부재의 조기 파괴를 조장한다.
전술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하고 안전한 구조를 가지며, 안전 부재가 고정 위치에서 차단 부재와의 인터록킹을 유도하는, 순전히 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기계식인 록킹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 부재를 이용한 차단 부재의 특별한 고정에 의해서는 록킹 장치의 어떤 파괴부도 주행 중에 중요 기능 부품의 차단을 야기할 수 없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에서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되며, 상기 특징들은 아래와 같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차량의 도난 또는 강제 개방 시도를 어렵게 하거나 심지어는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서 소위 12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이와 같은 장착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12시-위치에서 록킹 장치는 차량 내부의 접근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록킹 장치의 배열 상태에서는 차단 부재의 의도치 않은 이탈이 안전하게 보호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요 기능 부품의 원치 않는 록킹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전히 기계식이거나 또는 전자기계식인 록킹 장치의 경우에 제어 부재는 안전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안전 부재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 부재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사용된 제어 부재가 차단 부재의 작동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안전 부재의 작동을 위해서도 이용된다. 따라서, 적은 개수의 부품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특히 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가 가능해진다. 그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경우에는 안전 부재의 작동을 위한 추가의 구동 장치가 생략될 수 있다. 그밖에 록킹 장치의 어떤 기계적인 파괴부도 중요 기능 부품의 원치 않는 록킹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2 내지 1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에서 제어 부재 및/또는 차단 부재는 상기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부재 또는 차단 부재가 단순히 선형으로 이동함으로써, 록킹 장치의 공간 절약 방식의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부재를 차단 부재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 부재의 고유한 길이 방향 이동은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모터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평탄한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구동 디스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선형 가이드 트랙에 의해서는 제어 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구동 부재의 회전에 비례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럼으로써, 개별 운동 섹션들 내에서 제어 부재를 위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차단 부재를 위한 상이한 이동 속도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부재가 차단 부재에 대한 인터록킹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차단 부재의 작동이 야기된다. 이 인터록킹부는 리세스와 상호 작동하는 캠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캠은 제어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차단 부재 내에 배치된 리세스 내부로 돌출한다. 제어 부재가 차단 부재에 대하여 고정 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리세스를 캠의 치수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기존의 공간은 제어 부재와 차단 부재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간극에 의해서는 차단 부재가 제어 부재에 의하여 강제로 가이드 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록킹 장치에서의 손상이 피해질 수 있다. 예컨대, 캠을 구비한 중요 기능 부품이 필요한 공간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차단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할 수 없다. 중요 기능 부품의 이동 또는 회전이 야기되고, 이로 인해 고정 캠이 차단 부재를 위한 공간을 허용하는 경우에 비로소 상기 차단 부재는 중요 기능 부품과 원하는 작동 연결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어 부재에 대한 차단 부재의 원하는 축 방향 이동을 야기하기 위해서, 제어 부재와 차단 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중요 기능 부품이 당시에 차단 부재를 위한 하우징 개구 앞에 있는 공간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차단 부재는 추후에 원하는 록킹 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록킹 위치에서는 제어 부재가 차단 부재를 록킹 장치의 하우징 밖으로 밀어내며, 이 경우 제어 부재가 차단 부재에 직접적으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 부재는 단지 중요 기능 부품과만 작동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중요 기능 부품의 이동 또는 회전에 의하여 차단 부재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리세스 안으로 또는 중요 기능 부품의 캠 뒤로 가이드 된다.
차단 부재의 추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된 안전 부재는 차단 부재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 또는 릴리스 위치를 갖는다. 중요 기능 부품과의 작동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차단 부재의 록킹 해제 위치에서 차단 부재는 고정 위치에 있는 안전 부재에 의해 인터록킹 방식으로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와 반대로 안전 부재의 릴리스 위치에서는 안전 부재와 차단 부재 사이의 인터록킹이 해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단 부재는 록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그전에 이미 상기 록킹 위치를 취한다. 안전 부재와 차단 부재 사이의 인터록킹부는 차단 부재에 있는 스텝(ste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 위치에서는 안전 부재가 상기 스텝 뒤로 이동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안전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 부재는 자동으로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넘어갈 수 있다. 그밖에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된 스프링은 항상 가벼운 압력이 안전 부재에 의하여 고정 위치에 있는 차단 부재에 가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부재의 록킹 해제 위치에서는 어떤 파괴부도 하우징 개구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수 없고, 중요 기능 부품의 의도치 않은 차단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심지어는 차단 부재의 파괴도 중요 기능 부품의 차단을 야기하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차단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 부재에 의하여 인터록킹 방식으로 그리고 강제 결합 방식으로 고정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안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를 위한 하우징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록킹 장치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부품 또는 파괴부가 하우징 개구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안전 부재를 간단한 방식으로 제어 부재 또는 상응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작동시키기 위하여, 안전 부재는 대응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응 제어 수단은 제어 부재의 제어 수단과 상호 작동한다. 이 경우 제어 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은 안전 부재의 작동도 야기하는데, 그 이유는 제어 부재에 있는 제어 수단이 안전 부재의 대응 제어 수단과 상호 작동함으로써 안전 부재가 작동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동의 경우에는 제어 부재가 안전 부재를 쐐기 형태로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킨다. 제어 수단 및 대응 제어 수단은 각각 하나의 평탄한 반구형의 또는 아치형의 제어면을 가지며, 상기 제어면은 제어 부재 또는 안전 부재의 개별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비스듬하게 정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어면들이 상호 슬라이딩 됨으로써 안전 부재의 수평 이동을 위한 제어 부재의 수직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한, 제어 부재가 안전 부재를 위한 경로를 개방하자마자 안전 부재는 자동으로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행 과정에서도 제어 수단은 제어 부재에 의해 안전 부재의 대응 제어 수단을 따라서 슬라이딩 된다. 안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우징에는 길이 방향 가이드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홈 내부에서 안전 부재가 가이드 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저널이 안전 부재의 가이드를 담당하기 위하여 안전 부재 내에 있는 상응하는 리세스와 상호 작동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부재가 차단 부재에 있는 대응 가이드 수단과 상호 작동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차단 부재는 하우징 개구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이탈 동작이 차단 부재에 의해서 댐핑되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특히 차단 부재의 인출시에는 소음이 확실하게 줄어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가이드 수단 및 대응 가이드 수단은 상호 슬라이딩 되는 비스듬한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단 부재의 가이드 수단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에 안전 부재의 대응 가이드 수단에서 슬라이딩 된다.
또한, 제어 부재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부품들은 동일한 재료 또는 다른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중량 및 재료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예컨대 차단 부재의 구동을 위해서 필요한 부품은 경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부품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제어 부재의 모든 부품들이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어 부재의 각각의 부품들이 기능에 따라 상호 작동함으로써, 전술된 제어 부재의 기능들은 어떤 경우에도 존재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추가의 기능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는 중요 기능 부품을 록킹 위치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이 경우 차량의 중요 기능 부품은 스티어링 필러로서 또는 변속 스위칭 레버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록킹 위치에서 스티어링 필러 또는 변속 스위칭 레버 차단 부재에 의해서 인터록킹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와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조치들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드러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일 실시예를 통해 차단 부재의 다양한 동작 시퀀스 또는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이 경우 차단 부재는 록킹 위치에 있고,
도 2는 도 1의 동일한 록킹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이 경우 차단 부재는 록킹 해제 위치에 있으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록킹 장치의 중간 위치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이 경우 차단 부재는 아직까지 하우징 개구로부터 완전히 돌출하지 않은 상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1)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차단 부재(4)는 록킹 위치를 취하고 있고, 상기 록킹 위치에서는 차단 부재의 작동 단부(4b)가 특히 개구(8)를 통해 하우징(3)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상기 록킹 위치에서 작동 단부(4b)는 중요 기능 부품(2)(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작동 연결 상태, 특히 인터록킹 상태를 이루고 있다. 도 3에는 예를 들어 중요 기능 부품(2)을 형성하는 스티어링 필러(17)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4)는 록킹 위치에서 제어 부재(5)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최대로 변위된다. 이 경우 제어 부재(5)는 하우징(3) 내에 있는 디스크 모양의 구동 부재(7)에 의하여 아래로 최대로 이동되어 있다. 제어 부재(5)는 단부 측에서 가이드 핀(13)을 통해 구동 부재(7)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핀(13)의 일단은 구동 부재(7)의 나선형 가이드 트랙(7a) 안으로 삽입되고, 가이드 핀(13)의 타단은 하우징(3) 내에 있는 가이드 홈(14)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부재(7)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 핀(13)은 서서히 아래로 움직이게 되는데, 다시 말해 구동 부재(7)의 회전 축(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인다. 가이드 핀(13)이 제어 부재(5)의 상단부를 관통하며, 가이드 트랙(7a)의 좌측에서는 구동 부재(7) 내부에 수용되고, 우측에서는 가이드 홈(14) 내부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부재(7)의 회전에 의해서는 하우징(3) 내에 있는 전체 제어 부재(5)가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부재(7)는 전동기에 의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기어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 부재(5)의 동작이 차단 부재(4)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부품 사이에는 인터록킹 방식의 연결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인터록킹은, 예를 들어 제어 부재(5)에 있는 캠(5a) 그리고 차단 부재(4) 내에 있는 리세스(4a)로부터 형성된다. 이 경우 리세스(4a)는 캠(5a)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되었다. 그로 인해, 차단 부재(4)와 제어 부재(5) 사이의 공간(21)에 의해 축 방향 간극이 가능해진다. 차단 부재(4)는 스프링(10) - 차단 부재(4)와 제어 부재(5) 사이에 배치됨 - 을 통해 캠(5a)에 압착된다. 스프링(10)을 차단 부재(4)와 제어 부재(5) 사이에 고정 배치하기 위하여, 예컨대 스프링(10)을 수용하기 위해서 도시된 돌출부(5c) 또는 보어와 같은 추가의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부재(5)와 차단 부재(4) 사이의 축 방향 간극에 의하여, 차단 부재(4)는 제어 부재(5)의 동작을 반드시 따라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요 기능 부품(2)이 차단 부재(4)의 경로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차단 부재(4)가 하우징(3)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도시된 공간(21)이 형성되고, 그로 인해 록킹 장치(1)의 손상이 방지된다. 중요 기능 부품(2)이 이동 동작에 의 해 차단 부재(4)의 경로를 개방하면, 이 차단 부재는 스프링(10)에 의해 록킹 위치로 밀려 들어간다. 그 다음에 차단 부재(4)는 중요 기능 부품(2)과 원하는 작동 연결을 하게 된다.
도 1에는 또한 안전 부재(6)가 스텝을 갖는 제어 부재(5)의 하단부에 의하여 쐐기 모양으로 릴리스 위치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차단 부재(4)가 하우징(3)으로부터, 특히 개구(8)로부터 돌출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록킹 위치에서는 차단 부재(4)를 위한 안전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데, 그 이유는 중요 기능 부품(2)이 어떠한 경우라도 반드시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록킹 장치(1) 내부에서의 재료 파괴도 추가의 손상을 야기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사고를 유발하지도 않게 된다.
도 2에는 록킹 해제 위치에 있는 차단 부재(4)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4)는 안전 부재(6)에 의하여 개구(8) 영역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 고정 위치에서는 제어 부재(5)가 안전 부재(6)에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프링(11) - 예를 들어, 하우징(3)과 안전 부재(6) 사이에 배치됨 - 을 이용해서 안전 부재(6)를 차단 부재(4) 쪽으로 밀어준다. 차단 부재(4)는 자신의 작동 단부(4b)에 상기 차단 부재(4)의 나머지 샤프트에 대하여 스텝(4e)을 가지며, 상기 스탭과는 안전 부재(6)가 상호 작동한다. 그 결과 안전 부재(6)는 고정 위치에서 차단 부재(4)와 인터록킹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특히 스텝(4e)은 좌우가 바뀐 "L"자 모양 안전 부재(6)의 하위 돌출 부분과 인터록킹부를 형성한다. 상기 안전 부재(6)의 하위 돌출 부분은 차단 부재(4)의 샤프트에 대한 스텝(4e)보다 더 깊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좌우가 거꾸로 된 "L"자 모양 안전 부재(6)의 상부 또는 수직 영역은 차단 부재(4)의 샤프트에 대하여 특히 평행한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 위치에서는 단지 안전 부재(6)의 수평으로 돌출하는 부분만이 차단 부재(4)에 접촉하게 되고, 그로 인해 원하는 인터록킹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당연히 차단 부재(4)와 안전 부재(6)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록킹 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차단 부재(4)에서 또는 록킹 장치(1)의 다른 부품에서 재료 파괴가 발생하면, 중요 기능 부품(2)의 차단을 야기할 수 있는 어떤 파괴부도 하우징 개구(8)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도 2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 부재(4)는 제어 부재(5), 특히 캠(5a)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부터 록킹 해제 위치로 이동하거나 움직였다. 제어 부재(5)는 구동 부재(7)에 의해서 높이 들어 올려졌는데, 다시 말해 개구(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고,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캠(5a)에 의해서 차단 부재(4)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동작과 동시에 제어 부재(5)에 있는 제어 수단(5b)이 안전 부재(6)를 위한 경로를 열어준다. 따라서, 릴리스 위치에서는 안전 부재(6)가 제어 부재(5)와 전혀 접촉되지 않는다. 안전 부재(6)는 예를 들어 하우징(3) 내에 있는 가이드부(9)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안전 부재(6)를 차단 부재(4) 쪽으로 밀어주기 위하여 스프링(11)이 후방에서 안전 부재(6)에 작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프링(11)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수용하고 고정적으로 위치 설정하기 위하여, 안전 부재(6) 내에는 보어가 존재한다. 하우징(3) 내에도 마찬가지로 스프링(11) 을 위한 수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안전 부재(6)가 가급적 적은 관성 모멘트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의 리세스(6a)가 후방에서 특히 수평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제공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안전 부재(6)의 중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안전 부재(6)는 사출 성형 방향으로 제조된 플라스틱부 또는 경금속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중요 기능 부품(2)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장치(1)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추가의 작동 시퀀스를 볼 수 있다. 도 3을 통해서는 안전 부재(6)가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넘어가는 방식이 명확해진다. 차단 부재(4)는 처음에는 록킹 해제 위치에 있고, 안전 부재(6)에 의해서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중요 기능 부품(2)의 록킹이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구동 부재(7)가 작동됨으로써 제어 부재(5)가 자신의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길이 방향 이동(15)에 의하여 차단 부재(4)는 곧바로 강제적으로 제어 부재(5)의 동작(15)을 따르게 된다. 이 경우 제어 부재(5)는 차단 부재(4)를 록킹 해제 위치로부터 록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프링(10)을 이용해서 평행하게 지지된 차단 부재(4)에 압착력을 가하게 된다. 하지만, 차단 부재(4)가 아직까지는 안전 부재(6)에 의한 인터록킹 방식으로 록킹 해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어 부재(5)는 우선 안전 부재(6)가 릴리스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부재를 이동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비스듬하거나 반구형인 제어면 형태로 형성된 제어 부재(5)의 하단부에는 쐐기 모양의 제어 수단(5b)이 제공되었다. 상기 제어 수단들은 제어 부재(5)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15) 할 때에 대응 제어 수 단(6b)에 충돌하게 되며, 상기 대응 제어 수단도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거나 반구형인 제어면 형태로 안전 부재(6)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응 제어 수단(6b)은 안전 부재(6)의 수직 부분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 수단(5b) 및 대응 제어 수단(6b)의 개별 제어면들의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면들은 아래로 이동할 때에 상호 슬라이딩 되며, 이 경우 제어 부재(5)의 수직 이동(15)은 안전 부재(6)의 수평 이동(16)으로 변환된다. 이때 안전 부재(6)는 스프링(11)에 대항하여 릴리스 위치로 밀려지고, 안전 부재(6)와 차단 부재(4) 사이의 인터록킹은 소멸한다. 차단 부재(4)가 하우징 개구(8)로부터 급속하게 그리고 충격 방식으로 발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안전 부재(6)에는 추가의 가이드 수단(6)이 그리고 차단 부재(4)에는 대응 가이드 수단(4c)이 제공되었다. 상기 가이드 수단(6c) 또는 대응 가이드 수단(4c)은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비스듬하거나 반구형인,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는 안전 부재(6)의 수평 동작(16)은 차단 부재(4)의 수직 하향 동작(15)을 야기한다. 차단 부재(4)의 작동 단부(4b)가 중요 기능 부품(2)의 돌출부 또는 캠(19)에 충돌하지 않는 한, 곧바로 중요 기능 부품(2)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다른 경우에는 회전 점(18)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중요 기능 부품(2) 또는 스티어링 필러(17)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캠(19)에 의해 차단 부재(4)를 위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차단 부재의 작동 단부(4b)는 캠(19) 사이에 있는 리세스(20) 안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끼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내용은, 록킹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들이 명시적으로 제외되지 않는 한 상기 기술적인 특징들을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록킹 장치(1)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전기, 전자 또는 기계 부품들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록킹 장치 2: 중요 기능 부품
3: 하우징 4: 차단 부재
4a: 리세스 4b: 작동 단부
4c: 대응 가이드 수단 4e: 스텝
5: 제어 부재 5a: 캠
5b: 제어 수단 5c: 10을 위한 돌출부
6: 안전 부재 6a: 리세스
6b: 대응 제어 수단 6c: 가이드 수단
7: 구동 부재 7a: 5를 위한 가이드 트랙
8: 개구 9: 6을 위한 가이드부
10: 4를 위한 스프링 11: 6을 위한 스프링
12: 7을 위한 회전축 13: 5를 위한 가이드 핀
14: 5를 위한 가이드 홈
15: 4 또는 5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16: 6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17: 스티어링 필러 18: 17의 회전 점
19: 17 또는 2에 있는 캠 20: 리세스
21: 공간

Claims (16)

  1. 차량의 중요 기능 부품(2)을 록킹 및/또는 록킹 해제하기 위한 록킹 장치(1)로서,
    하우징(3),
    제어 부재(5)에 의해 적어도 두 가지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차단 부재(4), 및
    상기 차단 부재(4)를 적어도 록킹 해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 부재(6)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위치들 중 한 가지 위치는 록킹 위치로서, 이 록킹 위치에서는 상기 차단 부재(4)가 상기 하우징(3)의 개구(8)를 통해 돌출하고, 상기 중요 기능 부품(2)과 작동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가지 위치들 중에 또 다른 한 가지 위치는 록킹 해제 위치로서, 이 록킹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차단 부재(4)가 상기 하우징(3) 내부에 최대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중요 기능 부품(2)과 작동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어 부재(5)는 상기 안전 부재(6)의 작동을 위하여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5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 및/또는 차단 부재(4)는 상기 하우징(3)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는 상기 차단 부재(4)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는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7)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를 작동시킬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제어 부재(5)는 상기 차단 부재(4)와 인터록킹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터록킹부는 리세스(6a)와 상호 작동하는 캠(5a)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에 대한 상기 차단 부재(4)의 축 방향 이동을 야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부재(5)와 상기 차단 부재(4) 사이에 스프링(1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상기 차단 부재(4)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위치 또는 릴리스 위치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상기 개구(8)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상기 제어 부재(5)의 제어 수단(5b)과 상호 작동하는 대응 제어 수단(6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5b) 및 대응 제어 수단(6b)은 평평한 반구형 또는 아치형의 제어면을 가지며, 상기 제어면은 상기 제어 부재(5) 또는 상기 안전 부재(6)의 이동 방향(15, 16)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상기 차단 부재(4)에 있는 대응 가이드 수단(4c)과 상호 작동하는 가이드 수단(6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상기 하우징(3)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부재(6)는 스프링(11)에 의해서 작동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안전 부재가 한 가지 위치로부터 다른 한 가지 위치로 자동으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부분들이 기능에 따라 상호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4)는 상기 중요 기능 부품(2)을 록킹 위치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고정시키며, 특히 차량의 상기 중요 기능 부품(2)은 스티어링 필러(17) 또는 변속 스위칭 레버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록킹 장치(1)를 구비한 차량, 특히 자동차.
KR1020087027115A 2006-04-13 2007-04-12 록킹 장치 KR10135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7875.0 2006-04-13
DE102006017875 2006-04-13
PCT/EP2007/053565 WO2007118840A1 (de) 2006-04-13 2007-04-12 Verriegel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154A true KR20090005154A (ko) 2009-01-12
KR101353876B1 KR101353876B1 (ko) 2014-01-20

Family

ID=3822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115A KR101353876B1 (ko) 2006-04-13 2007-04-12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10417B1 (ko)
KR (1) KR101353876B1 (ko)
AT (1) ATE454295T1 (ko)
DE (1) DE502007002557D1 (ko)
WO (1) WO2007118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9713A1 (de) * 2007-12-10 2009-06-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ES2386072T3 (es) * 2007-12-31 2012-08-08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Dispositivo de obstrucción de la dirección accionado por motor
DE102019125189A1 (de) * 2019-09-19 2021-03-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funktionswesentliches Bauteil, Funktionseinheit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zerstörungsfreien Abstützen einer Bewegung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5605B (it) * 1982-02-12 1987-01-28 Champion Spark Plug Italiana Antifurto bloccasterzo per autoveicoli
JPS5914562A (ja) * 1982-07-15 1984-01-25 Kokusan Kinzoku Kogyo Co Ltd キ−レス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IT1320542B1 (it) * 2000-07-18 2003-12-10 Trw Italia Spa Bloccasterzo elettrico per ve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0417A1 (de) 2009-01-07
ATE454295T1 (de) 2010-01-15
WO2007118840A1 (de) 2007-10-25
KR101353876B1 (ko) 2014-01-20
DE502007002557D1 (de) 2010-02-25
EP2010417B1 (de)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63B1 (ko) 전자 키를 이용한 차량 엔진 시동 장치 및 이를 위해사용될 키
RU24884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блокировки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CN100493965C (zh) 电动转向锁紧装置
KR100722125B1 (ko) 키 스위치
KR20090056837A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KR20120018084A (ko)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KR101353876B1 (ko) 록킹 장치
KR101307679B1 (ko)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US10414375B2 (en) Lock cylinder having a resetting block
KR20080070685A (ko) 안전 스위치
JP483818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02001322B (zh) 闭锁机动车的功能重要的部件、特别是转向轴的闭锁装置
JP2008502529A (ja) 例えば自動車向けの挿入可能な差し錠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7617708B2 (en) Ignition lock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an ignition lock system
CN105228866B (zh) 电动驾驶杆锁系统
CN107458344B (zh) 转向锁定装置
JPH10138870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10157488A (ja) 安全スイッチ
CN103821411A (zh) 键式开关
JP4092875B2 (ja) キースイッチ
CN110494944B (zh) 安全开关
JP488177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722724B2 (ja) 安全スイッチ
CN100541695C (zh) 防盗锁
JP3988390B2 (ja) キ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