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872U -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872U
KR20090004872U KR2020070018549U KR20070018549U KR20090004872U KR 20090004872 U KR20090004872 U KR 20090004872U KR 2020070018549 U KR2020070018549 U KR 2020070018549U KR 20070018549 U KR20070018549 U KR 20070018549U KR 20090004872 U KR20090004872 U KR 20090004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valve
valve body
dispens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70018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872U/ko
Publication of KR20090004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4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압축기체나 내용물이 분출되는 통로의 중간에 통로의 내경이 급격히 작아지도록 증폭장치를 두어 분출되던 기체나 또는 내용물들이 증폭장치에 의해 속도가 증가되는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내용물이나 압축기체가 분출되는 밸브체의 상단에 증폭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증폭장치는 중앙에 제2분출공이 형성된 원판과, 원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2분출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분출공이 형성되어 밸브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증폭장치는 압축기체나 내용물이 별도로 분출되다가 합류되어 분무되는 트윈밸브에 적용될 수도 있고,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함께 분출되는 원밸브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누름부에 꽂아서 사용되는 스트로우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A dispenser having an amplifier}
본 고안은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내부에 분무되는 기체나 액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분무력을 높일 수 있는 증폭장치가 마련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용기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필요시에 펌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가 출원된 바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70340호(2006.04.17. 공고)(발명의 명칭:디스펜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1)의 개방된 상부에 밸브(10)를 설치하고, 이 밸브(10)의 상부에 누름부(20)가 장착된다. 이때, 용기(1)의 내부에는 분무될 내용물과 내용물을 분무시키기 위해 압축공기나 가스가 충진되고, 내용물과 기체를 별개의 통로로 배출시키기 위해 밸브(10)에는 두개의 밸브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누름부(20)에도 내용물과 기체가 별도로 이동되는 내용물분출통로(21) 및 기체분출통로(22)가 형성되고, 이 내용물분출통로(21) 및 기체분출통로(22)에서 분출된 내용물과 기체가 뒤섞이면서 안개처럼 분무되는 노즐(25)이 누름부(20)의 전방에 장착 된다. 또한, 밸브(10)측으로 내용물을 안내하는 튜브(2)가 용기(1)에 내장되어 밸브(10)와 연결된다.
한편, 용기(1)내에 충진되는 기체는 그 분출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기체가 분출되는 밸브(10)측의 하부에 압력조절장치(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력조절장치(30)가 구비되게 되면 기체의 분출은 압력조절장치(30)에 의해서 일정하게는 분출시키게 되지만,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밸브를 지나서 노즐까지의 통로내에 증폭장치를 더 두어 분무력을 증가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체나 내용물이 분출되는 통로의 중간에 통로의 내경이 급격히 작아지도록 증폭장치를 두어 분출되던 기체나 또는 내용물들이 증폭장치에 의해 속도가 증가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용기의 상부에 내용물 및 압축기체를 분출시키도록 내용물밸브체 및 기체밸브체를 갖는 밸브가 설치되고, 이 밸브의 상부에 분출되는 내용물과 압축기체를 합류시켜 노즐로 분무시키는 누름부가 장착되는 디스 펜서에 있어서,
기체밸브체 또는 내용물밸브체의 상단에는 밸브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분출공을 갖는 증폭장치가 설치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이때, 증폭장치는 중앙에 제2분출공이 형성된 원판과, 원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2분출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분출공이 형성되어 밸브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고안은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동시에 분출되도록 하나의 밸브체를 갖는 밸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고안은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별도로 분출되는 밸브와, 분출되는 내용물 및 압축기체를 별도로 유도하는 누름부와, 누름부에 꽂아 내용물을 분무시키는 스트로우의 끝단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용물이나, 압축기체가 분출되는 통로에 통로가 좁아지는 증폭장치를 설치하여 내용물의 분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구비된 트윈노즐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용기(1)와, 밸브(10)와, 누름부(20)와, 증폭장치(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밸브(10)의 하부에 기체의 분출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100)는 밸브(10)의 상단부에 누름부(20)가 장착되고, 이 누름부(20)내에는 내용물이나 기체가 분출되도록 안내되는 내용물분출통로(21) 및 기체분출통로(22)가 형성되며, 이 통로들(21, 22)은 노즐(25)로 합류되어 노즐(25)에서 안개분무를 시키게 된다.
이때, 밸브(10)의 밸브체(11, 12) 상단에는 내용물분출통로(21)나 기체분출통로(22)로 연결되기 전에 증폭장치(200)가 설치된다.
증폭장치(2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체(11, 12)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밸브체(11, 12)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원판(111)과, 원판(111)의 하부면상 중앙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밸브체(11, 12)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끼움부(112)와, 끼움부(112)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분출공(113)과, 원판(111)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분출공(113)과 연통되는 제2분출공(1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분출공(114)은 제1분출공(113)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분출공(113)은 끼움부(112)가 밸브체(11, 12)의 분출통로로 삽입되므로 당연히 제1분출공(113)이 밸브체(11, 12)의 분출통로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1분출공(113)보다 제2분출공(114)이 더 작게 형성되므로 밸브체(11, 12)의 분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던 내용물이나 기체는 작아지는 통로의 내경이 오리피스관 역할을 수행 하여 점차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증폭장치(110)를 통과하는 내용물이나 기체는 밸브체(11, 12)를 통과하는 속도보다 상당한 증속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를 갖는 디스펜서(100)는 기체가 분출되는 밸브체(12)의 상단에만 증폭장치(110)를 설치하여 빠른 기체의 분출에 의해 내용물도 함께 끌어 낼 수도 있고, 내용물이 분출되는 밸브체(11)의 상단에 증폭장치(110)를 함께 설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내용물이 분출되는 밸브체(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증폭장치(110)는 점성이 있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이기 때문에 기체가 분출되는 밸브체(12)의 상단에 설치되는 증폭장치(110)보다 제2분출공(114)이 더 크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원노즐 디스펜서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200)는 하나의 밸브체(11)로 내용물과 기체가 모두 분출되는 방식에서 밸브체(11)의 상단에 증폭장치(110)가 설치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스트로우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디스펜서는 윤활유와 같이 기계장치의 내부 깊숙한 곳에 내용물을 분사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부(20)의 전방에 스트로우(50)를 끼워 분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스트로우(50)를 통과하는 내용물이나 기체가 길다란 스트로우(50)에 의해 분출압력이 떨어져 원활한 분출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스트로우(50)의 끝부분에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110)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스트로우(50)는 그 중심축에 길이방향을 따라 격벽이 형성되어 기체만 안내하는 기체안내관(22) 및 내용물만 안내하는 내용물안내관(21)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체와 내용물이 하나의 안내관으로 된 스트로우를 타고 분출되면은 그 안내관 내부에서 기체와 내용물이 커다란 덩어리로 혼합되면서 최종 분무되는 내용물이 일정하게 분무되지 않고 소정의 시간차를 두면서 띄엄띄엄 분무되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우(50)는 기체와 내용물을 별도로 안내하여 최종적으로 노즐(25)의 후방에서 합쳐져 분무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50)의 내용물안내관(21) 및 기체안내관(22)의 끝부분에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윈노즐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구비된 트윈노즐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원노즐 디스펜서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폭장치가 스트로우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Claims (4)

  1.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용기의 상부에 내용물 및 압축기체를 분출시키도록 내용물밸브체 및 기체밸브체를 갖는 밸브가 설치되고, 이 밸브의 상부에 분출되는 내용물과 압축기체를 합류시켜 노즐로 분무시키는 누름부가 장착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기체밸브체 또는 내용물밸브체의 상단에는 상기 밸브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분출공을 갖는 증폭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2.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용기의 상부에 압축에 의해 내용물을 분출시키도록 밸브체를 갖는 밸브가 설치되고, 이 밸브의 상부에 분출되는 내용물을 노즐로 분무시키는 누름부가 장착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상단에는 상기 밸브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분출공을 갖는 증폭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3. 내용물과 압축기체가 충진되는 용기의 상부에 내용물 및 압축기체를 분출시키도록 내용물밸브체 및 기체밸브체를 갖는 밸브가 설치되고, 이 밸브의 상부에 분출되는 내용물과 압축기체를 안내하는 누름부가 장착되며, 상기 누름부의 출구에 스트로우를 꽂아 상기 스트로우의 끝에 결합된 노즐로 내용물을 분무시키는 디스펜 서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는 내부에 축방향으로 격벽이 형성되어 내용물과 압축기체를 따로 안내하도록 내용물안내공 및 기체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안내공 및 기체안내공의 끝부분에는 상기 안내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분출공을 갖는 증폭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장치는 중앙에 제2분출공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2분출공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나 상기 안내공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KR2020070018549U 2007-11-19 2007-11-19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KR20090004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49U KR20090004872U (ko) 2007-11-19 2007-11-19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49U KR20090004872U (ko) 2007-11-19 2007-11-19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72U true KR20090004872U (ko) 2009-05-22

Family

ID=412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49U KR20090004872U (ko) 2007-11-19 2007-11-19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87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301A1 (ko) * 2014-12-30 2016-07-07 왕정순 디스펜서용 밸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301A1 (ko) * 2014-12-30 2016-07-07 왕정순 디스펜서용 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229B2 (en) Multiple port, pressure-responsive adjustable hookah
JP3507902B2 (ja) 消火装置
CA2341659A1 (en)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foam
EP1911525A4 (en) OUTPUT BIN
WO2004073873A3 (en) Spray nozzle
US8418775B2 (en) Low-pressure flow-controlled powder spreader
AR000471A1 (es) Dispositivo de supresion de incendios con niebla de agua.
WO2007044923A3 (en) Nozzle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cryogenic composite fluid spray
CN102556484A (zh) 粘性流体流的空气辅助切断
WO2006071304A3 (en) Apparatus for separating entrained air from a liquid
US20060282941A1 (en) High pressure plunger
US20020011500A1 (en) Cone-shaped aerosol can spray nozzle
WO2011087493A1 (en) Device for mixing media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eroflair spray nozzle")
MXPA03000911A (es) Boquilla de llenado por chorro en forma de cono y maquina de llenado equipada con tal boquilla.
KR20090004872U (ko) 증폭장치가 구비된 디스펜서
EP0868928B1 (en) Driving gas source for fire fighting apparatus
JP2008296158A (ja) 泡噴出器
JP4342125B2 (ja) ノズルヘッド
JP4828324B2 (ja) 液体吐出装置
KR20070040704A (ko) 디스펜서
KR200405656Y1 (ko) 디스펜서
US8820480B2 (en) Compressed air lubricator
US20020074364A1 (en) Liquid sucking and dispensing device
EP2512565B1 (en) Nebulizer with a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JP4947585B2 (ja) 揮発性液体用の泡放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