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733U - 청바지 - Google Patents

청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733U
KR20090004733U KR2020070018362U KR20070018362U KR20090004733U KR 20090004733 U KR20090004733 U KR 20090004733U KR 2020070018362 U KR2020070018362 U KR 2020070018362U KR 20070018362 U KR20070018362 U KR 20070018362U KR 20090004733 U KR20090004733 U KR 200900047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jeans
wearer
plate
d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조은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효 filed Critical 조은효
Priority to KR2020070018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733U/ko
Priority to JP2008012162A priority patent/JP2009121008A/ja
Priority to PCT/KR2008/006482 priority patent/WO2009064088A1/en
Publication of KR20090004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바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호 결합하여 착용자의 하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앞판 및 뒷판과, 상기 뒷판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연결판과, 상기 앞판과 연결판의 상단부에 재봉 결합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로 이루어진 청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는; 뒷판 외부로 드러나는 착용자의 엉덩이 라인에 볼륨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쳐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가 착용자의 엉덩이라인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게 하는 하나 이상의 다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종래의 평면적인 뒷판과 달리 뒷판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에 다트부(dart)를 적용하여 뒷판 자체가 입체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엉덩이 윤곽라인이 외부로 매력있고 섹시하게 드러나 한층 스타일리시하고 균형잡힌 체형을 어필할 수 있다.
청바지, 다트, 다트선, 윤곽, 체형보정

Description

청바지{Blue jeans}
본 고안은 다트(dart)부가 구비되어 있는 청바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기 자신의 기분이나 기호를 중요시하는 생활패턴을 갖는 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쾌적한 느낌과 자신만의 멋을 만족시켜주는 다양한 양식의 옷이 개발 및 어필되고 있다. 이러한 옷들은 옷의 기본 기능을 함과 동시에 아름답고 균형 잡힌 모습을 보이고 싶어하는 여성들의 소망을 충족시켜준다.
특히 청바지의 경우 매우 실용적이며 활동하기가 편리하고 특히 섹시함을 연출 할 수 있어, 여성의류에서 청바지를 빼고 이야기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젊은 여성들이 즐겨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청바지에도 많은 종류가 있으며 종류에 따른 다양한 아이템의 코디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청바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청바지(10)는, 상호 재봉 결합하여 착용자의 하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앞판(12) 및 뒷판(16a,16b)과, 상기 뒷판(16a,16b)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연결판(18a,18b)과, 상기 앞판(12)의 상단부와 연결판(18a,18b)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벨트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18a,18b)은 사다리꼴 조각천으로서 뒷판(16a,16b)과 벨트부(14)를 이어준다. 또한 벨트부(14)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것으로서 예컨대 벨트에 의해 조여져 청바지(10)가 흘러내리지 않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각 뒷판(16a,16b)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분에는 포켓(20)이 구비된다.
도면부호 22는 재봉선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청바지(10)의 뒷판(16a,16b)을 참고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청바지(10)에 들어가는 뒷판(16a,16b)은, 청바지를 제작할 데님(demim)천을 사이즈에 맞게 재단한 것으로서 펼쳤을 때 단순한 평면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예컨대 평평한 테이블에 펼쳐 놓으면 전체면이 테이블에 밀착한다.
도 3은 종래 청바지(10)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종래의 청바지(10)는, 상기한 바와같이 뒷판(16a,16b) 자체가 단순히 평면적인 형태를 취하므로, (힙업(hip-up)기능을 고려하여 뒷판을 재단하였다 하더라도) 청바지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 엉덩이의 볼륨감이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뒷판(16b)이 오히려 엉덩이를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눌러 엉덩이가 펑퍼짐하게 보이게 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평면적인 뒷판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에 다트부(dart)를 적용하여 뒷판 자체가 입체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엉덩이 윤곽라인이 외부로 매력있고 섹시하게 드러나 한층 스타일리시하고 균형잡힌 체형을 어필할 수 있는 청바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호 결합하여 착용자의 하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앞판 및 뒷판과, 상기 뒷판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연결판과, 상기 앞판과 연결판의 상단부에 재봉 결합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로 이루어진 청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는; 뒷판 외부로 드러나는 착용자의 엉덩이 라인에 볼륨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쳐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가 착용자의 엉덩이라인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게 하는 하나 이상의 다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트부는; 상기 뒷판의 테두리부 일부를 세겹으로 겹치도록 접어 고정한 것으로서, 겹쳐진 부위의 뒷판 두께방향 형상은 삼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뒷판에는 포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다트부는; 상기 포켓의 측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 1다트부와, 상기 포켓과 연결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 2다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종래의 평면적인 뒷판과 달리 뒷판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에 다트부(dart)를 적용하여 뒷판 자체가 입체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엉덩이 윤곽라인이 외부로 매력있고 섹시하게 드러나 한층 스타일리시하고 균형잡힌 체형을 어필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청바지(30)는, 청바지를 구성하는 뒷판의 엉덩이와 밀착하는 부분에 단지 몇 군데의 다트(dart)부를 줌으로써, 청바지를 착용한 사람의 엉덩이 윤곽라인을 매력있고 섹시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견해에 기초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청바지(30)는, 그 자체가 엉덩이를 받쳐 올리며 가운데로 모으는 기능을 가져 (마치 바지 속에 체형보정용 거들을 착용한 것처럼) 한층 스타일리시하고 균형잡힌 몸매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상기 다트(dart)라 함은 의류분야나 양재(洋裁)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하나로서, 평면적인 옷감을 이를테면 입체적인 체형에 맞추기 위하여 옷감의 소정부분을 긴 삼각형으로 주름을 잡아 꿰매는 일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바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바지(30)는, 상호 결합하여 착용자의 하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앞판(12) 및 뒷판(32a,32b)과, 상기 뒷판(32a,32b)의 상단부에 재봉되며 착용자의 허리 아래쪽 부분을 받치는 연결판(18a,18b)과, 상기 앞판(12) 및 연결판(18a,18b)에 결합하는 벨트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뒷판(32a,32b)과 연결판(18a,18b)의 경계선인 요크선(38)은 대칭을 이루며 좌우로 연장되어 앞판(12)과 만난다.
한편, 상기 뒷판(32a,32b)은 두 개가 대칭을 이루며 특히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에 제 1,2다트부(34,3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뒷판(32a,32b) 중 도면상 좌측의 뒷판(32a)에 하나씩의 제 1다트부(34)와 제 2다트부(36)가 구비되어 있고, 우측 뒷판(32b)에도 하나의 제 1다트부(34)와 제 2다트부(36)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다트부(34)는 포켓(20)과 앞판(12)의 사이에 위치하며 대략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외부 형태를 취하고, 제 2다트부(36)는 포켓(20)과 요크선(38)의 사이에 마련되며 대체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이라 한 것은, 제 1,2다트부(34,36)의 청바지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1다트부(34)와 제 2다트부(36)가 가로 세로로 배치되므로, 제 1다트부(3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과 제 2다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은 어딘가에서 교차하게 된다.
상기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된 교차점의 위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 바지 착용자의 엉덩이에서 후방으로 가장 볼록한 지점이나 또는 그 지점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야 청바지 자체가 힙업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그에 따라 엉덩이 윤곽라인이 매력있게 연출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청바지(30)에 들어가는 뒷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완성된 제 1,2다트부를 갖는 뒷판을 뒤집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2다트부를 완성하기 전의 상태이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에는 도 4에 도시한 한 쌍의 좌우측 뒷판 중 우측 뒷판(32b)만을 예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뒷판(32b)의 상단부 즉 연결판(18b)에 접하는 테두리부에 제 2다트부(36)가 위치하고, 앞판(12)에 접하는 테두리부에 제 1다트부(34)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다트부(34)는, 뒷판(32b)의 해당부위를 위로 접어올려 외부접힘선(34a)과 내부접힘선(34b)을 생성한 후, 화살표 p방향으로 접어 붙여 접힘면(34c)이 커버면(34d)의 하부에 깔리도록 하고, 그 상태를 재봉을 통해 고정시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외부접힘선(34a)과 내부접힘선(34b)의 사이각은 대략 30도 이하가 되도록 함이 좋다. 또한 상기 접힘면(34c)은 외부접힘선(34a)과 내부접힘선(34b)의 사이 영역을 의미한다. 아울러 커버면(34d)은 외부접힘선(34a)을 사이에 두고 접힘면(34c)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삼각 영역이다.
또한 제 2다트부(36)도 제 1다트부(3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제 2다 트부(36)는 외부접힘선(36a)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면적의 접힘면(36c)과 커버면(36d)을 가지며, 외부접힘선(36a)을 화살표 p방향으로 끌어 내부접힘선(36b)이 접히도록 하고 그 상태로 재봉 고정한 것이다.
이러한 다트부의 제작 방법은 양재(洋裁) 분야에서 공지의 기술이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제 1,2다트부(34,36)를 형성함으로써, 뒷판(32b)에 입체감이 생겨나게 된다.
도 6은 상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제 1,2다트부(34,36)를 갖는 뒷판(32b)을 뒤집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1,2다트부(34,36)로 말미암아 뒷판(32b)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가) 도면상 아래로 오목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뒷판(32b)의 엉덩이에 접하는 부위를 청바지 외측으로 볼록하게 입체적으로 제작함으로써, 뒷판(32a,32b)이 엉덩이를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누르지 않게 되어, 엉덩이의 볼륨감을 최대로 살려줌은 물론 더 나아가 처진 엉덩이를 받쳐 올리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청바지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는 우측 뒷판(32b)만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 뒷판(32a)도 우측 뒷판(32b)과 동일한 형태를 취함은 상기한 바와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청바지(30)의 뒷판(32b)에 제 1,2다트부(34,36)를 형성함으로써, 그만큼 청바지의 뒷판(32a,32b)이 화살표 z방향으로 불룩하여 (이미 아름다운 엉덩이라인을 가진 착용자의 경우) 엉덩이라인을 해치지 않음은 물론, 엉덩이가 쳐진 착용자라 하더라도 엉덩이가 상기 제 1,2다트부(34,36)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부위로 들어가므로 체형이 자동적으로 보정되어 엉덩이 윤곽라인이 매력있고 섹시하게 드러나 균형잡힌 체형을 자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청바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청바지의 뒷판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청바지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바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청바지에 들어가는 뒷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뒷판을 뒤집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청바지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청바지 12:앞판
14:벨트부 16a,16b:뒷판
18a,18b:연결판 20:포켓
22:재봉선 30:청바지
32a,32b:뒷판 34:제 1다트(dart)부
34a:외부접힘선 34b:내부접힘선
34c:접힘면 34d:커버면
36:제 2다트부 36a:외부접힘선
36b:내부접힘선 36c:접힘면
36d:커버면 38:요크선

Claims (3)

  1. 상호 결합하여 착용자의 하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앞판 및 뒷판과, 상기 뒷판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연결판과, 상기 앞판과 연결판의 상단부에 재봉 결합하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로 이루어진 청바지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는;
    뒷판 외부로 드러나는 착용자의 엉덩이 라인에 볼륨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의 일부를 접어 겹쳐 뒷판의 엉덩이를 커버하는 부위가 착용자의 엉덩이라인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게 하는 하나 이상의 다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부는;
    상기 뒷판의 테두리부 일부를 세겹으로 겹치도록 접어 고정한 것으로서, 겹쳐진 부위의 뒷판 두께방향 형상은 삼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에는 포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다트부는;
    상기 포켓의 측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 1다트부와,
    상기 포켓과 연결판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 2다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바지.
KR2020070018362U 2007-11-14 2007-11-14 청바지 KR20090004733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62U KR20090004733U (ko) 2007-11-14 2007-11-14 청바지
JP2008012162A JP2009121008A (ja) 2007-11-14 2008-01-23 ジーンズ
PCT/KR2008/006482 WO2009064088A1 (en) 2007-11-14 2008-11-04 J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62U KR20090004733U (ko) 2007-11-14 2007-11-14 청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33U true KR20090004733U (ko) 2009-05-19

Family

ID=4063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362U KR20090004733U (ko) 2007-11-14 2007-11-14 청바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121008A (ko)
KR (1) KR20090004733U (ko)
WO (1) WO20090640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92B1 (ko) * 2009-06-09 2010-05-28 조은효 바지
KR20140102800A (ko) * 2013-02-15 2014-08-25 주식회사플래시드웨이브코리아 양면 청바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1348B1 (it) * 2010-07-30 2013-07-18 Max Mara S R L Societa Unipersonale Tasca per indumento, metodo di confezionamento della tasca e relativo indumento.
JP3164938U (ja) 2010-10-12 2010-12-24 徳光 柳沢 レッグカバー
EP2740373B1 (en) * 2011-08-01 2015-10-14 Flor da Moda - Confecções, S.A. Stretch trousers
MX351146B (es) * 2014-08-01 2017-10-04 Antonio Said Battah Juan Pantalon para usuario masculino que eleva y moldea la forma de los gluteos.
KR102647000B1 (ko) * 2021-02-26 2024-03-12 황인호 포토샵 없이 자체 보정을 통해 애플힙 구현이 가능한 바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6622A (en) * 1973-04-13 1976-12-14 Cooke Ann V Form-fitting trousers
JPS50116608U (ko) * 1974-03-05 1975-09-23
JP2001089916A (ja) * 1999-09-14 2001-04-03 Wacoal Corp ダーツ付きボトムウェア
JP2002069713A (ja) * 2000-09-01 2002-03-08 Grd:Kk ズボン
JP2005163218A (ja) * 2003-12-02 2005-06-23 Big John Corp ジーンズ
CA2598873C (en) * 2005-02-24 2012-05-15 Elisa Del Carmen Erana Ahumada Improvements to buttock-lifting garments
JP4273102B2 (ja) * 2005-08-22 2009-06-03 宏和 長屋 車椅子利用者用パンツ
JP3118292U (ja) * 2005-11-04 2006-01-26 カイタック株式会社 スラックス
KR100759946B1 (ko) * 2006-08-10 2007-10-04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92B1 (ko) * 2009-06-09 2010-05-28 조은효 바지
KR20140102800A (ko) * 2013-02-15 2014-08-25 주식회사플래시드웨이브코리아 양면 청바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4088A4 (en) 2009-07-02
WO2009064088A1 (en) 2009-05-22
JP2009121008A (ja)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733U (ko) 청바지
JP4769956B2 (ja) ズボン
CN102342606B (zh) 用于衣物的口袋、用于形成口袋的方法以及裤子和衬衫
US3813697A (en) Pants
US2739314A (en) Shorts for boys and young men
US8332968B1 (en) Pants with expandable pouch
US11166504B2 (en) Outer garments with hidden internal support and back body shaping and lift
CN107536123B (zh) 多片式合体塑腹裤及其制版方法
KR200408620Y1 (ko) 힙 보정기능을 갖는 바지
CN202842389U (zh) 原生修身女裤
KR20120005688A (ko) 청바지
KR101909385B1 (ko) 긴 한복저고리 제작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한복 긴저고리
CN112137213A (zh) 一种女装汉服制图方法
CN219961996U (zh) 一种平整型牛仔裤
CN210520176U (zh) 一种可两面使用的口袋及服装
CN216961572U (zh) 一种3d十字缝裤裆
CN214759167U (zh) 一种袖口打佐固定的polo衫
JP2005163218A (ja) ジーンズ
CN219645090U (zh) 一种裤子
CN213785595U (zh) 一种轻薄的裤腰及布袋缝合结构
KR101249088B1 (ko)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KR100872161B1 (ko) 바지
CN216568411U (zh) 一种宽松舒适可双面调整功能穿着的衬衫
CN213881814U (zh) 非对称西装式连衣裙
JP3101519U (ja) リバーシブル・パンツ(表裏着用可能な下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