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27U - 독립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독립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27U
KR20090004327U KR2020080014398U KR20080014398U KR20090004327U KR 20090004327 U KR20090004327 U KR 20090004327U KR 2020080014398 U KR2020080014398 U KR 2020080014398U KR 20080014398 U KR20080014398 U KR 20080014398U KR 20090004327 U KR20090004327 U KR 20090004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ower arm
chassis
wheel
independen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희
Original Assignee
정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희 filed Critical 정만희
Priority to KR2020080014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327U/ko
Publication of KR20090004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2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독립현가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장치이다.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자동차에 쓰이는 종래의 독립현가장치는 바퀴와 자동차 Chassis를 연결시켜주는 팔(이하 Lower arm이라 한다)이 Chassis에 고정된 핀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완충 작용 시 지표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노면이 고른 길에서는 바퀴의 상하운동이 크지 않기 때문에 지면에 닿은 바퀴 면이 옆으로 떠밀려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노면이 거칠어지면서 바퀴의 상하운동이 심해지면 땅에 닿은 바퀴 면이 강제로 옆으로 밀리면서 승차감이 나빠지고 자동차가 옆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기존 독립현가장치의 완충 작용 시 Lower arm을 고정시키는 핀에 작용하던 저항을 없애기 위해 Chassis(10)와 Lower arm(30)을 체결시키는 핀(31)이 Chassis(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공간(15)을 만들어 주었다. 핀(31)이 수평공간(15) 안에서 지유롭게 움직이게 됨에 따라 바퀴가 제멋대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hassis(10)에 쇠막대기(20)의 한쪽 끝단(21)을 부착하고 동 쇠막대기(20)의 또 다른 끝단(35)과 Lower arm(30)의 중간을 연결하였다. 이때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 핀(35)와 핀(31) 사이의 거리 그리고 핀(35)와 Ball Joint(40) 사이의 거리는 모두 같다. 이러한 연결 방법을 통해 바퀴의 상하 움직임은 허용하되 좌우 흔들림은 제거하였다. 본 고안은 Chassis(10)에 Lower arm(30)을 연결시키는 핀(31)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수평공간(15)을 마련하고 Chassis(10)와 Lower arm(30) 그리고 쇠막대기(20)를 삼각 형태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 구조로 인한 잇점은, 흔히 쓰이는 위시본 방식에서 보았듯, 완충작용 시 Lower arm(30)을 Chassis(10)에 연결하는 핀(31)에 작용하던 강력한 저항을 없애줌으로써 지면에 닿은 바퀴 면을 옆으로 밀어내던 힘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윤거(Tread) 변화가 전혀 없으며 횡력(옆에서 미는 힘)에 대해 높은 저항력을 갖는 독립현가장치이다.
현가장치, 윤거(Tread), 트래킹 바(tracking bar), 캠버 각(Camber angle),

Description

독립현가장치{Independent Suspension}
자동차는 승차감을 개선시키고 차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현가장치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한쪽 방향의 운동은 자유롭게 하되 나머지 방향의 운동은 억제하는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동차의 독립식 현가장치 또는 좌우 움직임 없이 상하 운동만 허용하고자 할 때의 움직임 제어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는 승차감을 개선시키기 위해 현가장치를 사용한다. 자동차에 쓰이는 현가장치는 크게 차축 방식과 독립현가 방식이 있다. 차축 방식은 바퀴 축 양 끝단에 바퀴를 장착하고 차축 위에 자동차를 얹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튼튼한 장점이 있으나 승차감이 좋지 않다. 이에 반해 독립현가 방식은 승차감은 좋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큰 힘을 감당하기 어렵다.
독립현가 방식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약한 탓에 승용차나 소형버스 또는 1톤 이하의 화물 트럭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독립현가 방식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요즘 많이 쓰이는 맥퍼슨 방식(Mcperson Type)과 마찬가지로 바퀴의 요동을 막기 위해 바퀴와 자동차 Chassis를 연결시켜주는 팔(이하 Lower arm이라 한다)을 Chassis에 핀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따라서 완충작용이 일어나면 바퀴는 핀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강제로 옆으로 끌리거나 밀리게 된다. 즉, 윤거(Tread)가 변할 수 밖에 없다. 윤거가 큰 폭으로 변하면 Chassis에 상당히 강한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제6도에서 알 수 있다. 현재 쓰이고 있는 독립현가장치의 상당수는 캠버각(Camber angle)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지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강제로 옆으로 밀리는 현상, 즉 윤거가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구조적 문제를 갖고 있다.
독립현가장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인 맥퍼슨 방식(Mcperson Type)을 예로 들어서 종래의 독립현가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6도의 사진은 맥퍼슨 방식으로 제작된 독립현가장치의 실물 사진이다. Chassis와 바퀴를 연결하는 Lower arm이 볼조인트(Ball Joint)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ower arm이 볼조인트와 거의 수평을 이루는 까닭은 바퀴가 완충작용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할 경우 바퀴를 매달고 있는 Lower arm이 Chassis에 체결된 볼트를 중심으로 원운동하면서 생기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런 경우 Lower arm을 수평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지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옆으로 끌리거나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6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작 한 것이다. 즉, 윤거가 변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윤거 변화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 현재의 보편적인 독립현가장치인 것이다.
종래에는 주행 중에 바퀴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제6도 사진에서 보듯 Lower arm을 핀으로 Chassis에 고정시켜야만 했는데 그로 인한 문제점은 세 가지 정도를 들 수 있다.
첫째, 승차감의 제한된 개선이다. 독립현가장치를 채택하는 이유는 승차감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Lower arm을 자동차 차체에 고정시킨 형태는 완충 작용 시 바퀴가 원운동 하는 구조이므로 아무리 Lower arm을 수평에 가깝게 설치해도 지표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강제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리거나 끌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완충거리가 길면 지표면에서 바퀴가 안쪽으로 심하게 끌리거나 바깥쪽으로 밀릴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숭차감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장치는 독립현가장치의 가장 큰 장점인 승차감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둘째, 종래의 독립현가장치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Lower arm이 원운동할 때 지표면에 닿은 바퀴 면이 좌우로 밀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타이어 마멸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노면이 비교적 평평하면 바퀴면의 좌우 이동 폭이 작아서 승차감 저해나 타이어 마멸을 거의 느낄 수 없겠지만 노면이 울퉁불퉁해서 바퀴가 심하게 상하로 요동칠 경우에는 바퀴면의 좌우 이동 폭이 커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면과 맞닿은 부분이 심하게 마멸되게 된다.
셋째,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표면에 닿은 바 퀴 면이 좌우로 강제로 옆으로 움직이면 짧은 거리이긴 하지만 완충과정에서 자동차 스스로 미끄럼을 타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독립현가장치는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눈길이나 빗길을 달릴 경우 차축 방식 보다 쉽게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짧은 거리이긴 하지만 자동차가 달리면서 스스로 옆으로 미끄럼을 탄다는 것은, 발생확률은 낮다고 하더라도, 눈길이나 빗길에서 안전사고와 연결될 수도 있는 문제이다.
위에서 제시한 3가지 문제점들은 한결같이 바퀴의 윤거가 변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들이다. 따라서 윤거 변화가 없으면서도 횡력(옆에서 미는 힘)에 대한 저항이 큰 독립현가장치를 만드는 것이 본 고안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독립현가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은 Lower arm이 고정 핀을 중심으로 원운동하기 때문에 완충 작용 시 핀에 강한 저항이 발생하고 이 저항이 지면과 맞닿은 바퀴를 강제로 옆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면서 발생한다고 판단했다. 제2도를 보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Chassis(10) 내부에 핀(31)이 움직일 수 있는 수평공간(15)을 만들어줌으로써 Lower arm(30)이 핀(31)이 아닌 볼조인트(40)를 중심으로 원운동하는 구조로 바뀌어 완충 작용 시 발생하던 저항을 없앴다. 그리고 핀(31)이 수평공간(15)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바퀴가 멋대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ower arm(30)의 중간에 쇠막대기(20: 이하 Control Arm이라 한다)를 덧붙여서 Lower arm(30)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즉, 종래의 독립현가장치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 은 핀(31)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15)을 만들어 주고 바퀴의 요동을 제거하기 위해 Control Arm(20)을 추가했다. 즉, 기존의 장치에 수평공간(15)과 Control Arm(20)을 덧붙이는 것이 문제 해결 수단이다.
노면 상태가 비교적 좋은 길에서는 본 고안과 기존의 독립현가장치의 차이점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완충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독립현가장치의 윤거 변화 또한 매우 작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면이 거칠어지면 기존 독립현가장치는 지표면에 닿는 바퀴 면이 좌우로 강제로 차량 바깥쪽으로 밀려나거나 안쪽으로 끌려들어가는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심한 충격이 Chassis(10)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강한 충격은 승차감을 해치고 차량에 무리를 주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과거 방식에서 고정되었던 핀(31)이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공간(15)을 만들어 주는 방법을 통해, 거친 노면 위를 주행할 때 Lower arm(30)을 통해 Chassis에 전해지던 충격을 없앴기 때문에 독립현가장치의 최대 잇점인 승차감을 최대화 할 뿐 아니라 차량 수명 연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타이어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독립현가장치는 상당히 많은 방식들에서 Lower arm(30)이 핀(31)을 중심으로 원운동할 때 지표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옆으로 미끄러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타이어 마모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윤거 변화가 없는 구조이므로 지표면과 맞닿은 바퀴 면이 미끄럼을 타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주행 안정성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윤거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바퀴가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주행 안정성이 기존 현가장치 보다 뛰어나다. 일반도로에서는 차이를 느낄 수 없겠지만 빗길이나 눈길처럼 미끄러운 길을 달릴 때 노면이 거칠다면 자동차가 스스로 미끄럼을 타는 기존 독립현가장치 보다 뛰어난 주행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대표도인 제2도를 보자. 제2도는 맥퍼슨 방식에 본 고안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얼핏 보면 스프링이 Chassis(10) 위에 얹힌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막대기 형태로 뻗어 나온 Chassis(10)가 스프링 앞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 뿐이다. 기존의 독립현가장치는 핀(31)이 Chassis(10)에 고정되어 있어 바퀴의 요동을 없애주지만 본 고안은 핀(31)이 수평공간(15)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얼핏 보기에 이런 상태라면 바퀴가 제멋대로 흔들려서 주행이 어려울 것처럼 보인다. 독립현가 방식을 최초로 고안한 사람도 이런 고민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장치에 Control Arm(20)을 하나 추가하면 바퀴가 요동치는 현상을 없애고 캠버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그 방법과 이유를 알아보기로 하자.
우선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담고 있는 제1도를 살펴보자. 만약에 꼭지점 A를 지나고 직선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1
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직선 상에서만 꼭지점 D가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면 꼭지점 D의 움직임을 통해 윤거 변화가 전혀 없으면서 캠버각도 일정한 독립현가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아래 증명과정을 보자.
삼각형 ABC에서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2
일 때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3
의 연장선 상에 점 D를 잡고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4
가 되게 하면 꼭지점 A에서 꼭지점 D를 연결하는 직선은 각(angle)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5
에 상관없이 항상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6
와 수직을 이루게 되는데 이것을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의로부터 삼각형 ACB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0 <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7
< 90일 때 이등변 삼각형 ACB의 내각의 합은 180도이므로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8
마찬가지로 삼각형 ACD도 이등변삼각형으로 정의되었으므로
Figure 112008505367200-UTM00009
두 식으로부터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0
따라서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1
그러므로 꼭지점 A에서 꼭지점 D를 연결하는 직선은 각(angle)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2
에 상관없이 항상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3
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등변 삼각형의 정리 중 위 명제에 대해 증명한 문헌을 찾지 못했으므로 위 증명 결과를 편의상 Jeong's theorem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Jeong's theorem 은 각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4
에 상관없이 이등변삼각형에서 항상 성립하므로 꼭지점 A가 고정되어 있고 꼭지점 B의 위치가 유동적이라고 할지라도 꼭지점 A를 지나고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5
에 수직인 직선은 항상 꼭지점 D를 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꼭지점 B가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6
상에서 움직이더라도 꼭지점 D는 언제나 꼭지점 A를 지나며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7
와 직교하는 직선 위에서만 움직인다. 이것은 꼭지점 D의 움직임이 상하운동만 있고 좌우 움직임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캠버각과 윤거가 변하지 않는 새로운 독립현가장치를 만들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므로 다시 제2도를 보자. 본 고안은 Chassis(10)에 Lower arm(30)의 핀(31)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공간(15)을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완충작용 시 종래의 독립현가장치에서 보았던 핀(31)에 작용하던 강한 저항을 없앨 수 있으며 저항이 제거된 현가장치에서는 더 이상 바퀴가 옆으로 밀리거나 끌리는 일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기존 독립현가장치의 핀 고정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핀(31)이 자유롭게 움직이면 Lower arm(30)의 움직임이 통제되지 않기 때문에 바퀴가 제멋대로 휘청거리게 된다. 따라서 Lower arm(30)의 움직임을 정확히 통제할 장치가 필요한데 그것이 Control Arm(20)이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 세부적인 셋팅 방법으로 들어가기로 한다. Lower arm(30)의 핀(31)이 수평공간(15) 내에서 움직이더라도 핀(31)의 운동궤적이 직선이 되도록 한다. 또한 핀(31)의 직선 궤적의 연장선이 핀(21)을 지나도록 수평공간(15)를 만들어 준다. 이제 핀(31)은 언제나 핀(21)을 지나는 하나의 직선상에서만 움직이게 된다. 즉, 핀(21)은 제1도의 꼭지점 A에 해당하며 핀(31)은 수평공간(15)에 의해 직선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8
상에서 움직이는 꼭지점 B에 해당되는 것이다.
Lower arm(30)의 정중앙에 Control Arm(20)을 핀(35)로 체결해 준다. Lower arm(30)의 한 쪽 끝단은 볼조인트(40)에 연결하여 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한다. 핀(21)과 핀(35)는 유격이 없는 상태로 체결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핀(31)과 핀(35) 그리고 볼조인트(40)는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한다.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와 핀(35)와 핀(31) 사이의 거리가 같도록 만든다. 마지막으로 핀(35)와 볼조인트(40) 사이의 거리도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만들어 준다. 즉,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 핀(35)와 핀(31) 사이의 거리 그리고 핀(35)와 볼조인트(40) 사이의 거리가 모두 같도록 하면 제1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셋팅이 완료된다.
본 고안의 현가장치를 위와 같이 셋팅했을 때, Jeong's theorem에 따르면, 각도
Figure 112008505367200-UTM00019
에 상관없이 볼조인트(40)는 항상 핀(21)의 수직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바퀴가 완충작용을 위해 상하 운동 시 볼조인트(40)는 항상 핀(21)의 수직 하단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캠버각의 흔들림과 윤거 변화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이 완충과정에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자. 자동차 무게에 의해 지면에 강하게 밀착된 바퀴로 어떤 저항도 전달하지 않는 Lower arm(30)은 핀(31)이 아닌 볼조인트(40)를 중심으로 원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완충작용이 발생하면 핀(31)은 수평공간(15)을 통해 차량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게 된다. 이때 Control Arm(20)은 Chassis(10)에 체결된 핀(21)을 중심으로 원운동 하게 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본 고안이 완충작용을 일으킨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을 자동차에 장착할 때 캠버각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핀(21)의 위치가 캠버각을 결정짓는다. 왜냐하면 Jeong's theorem에 의해 볼조인트(40)는 언제나 핀(21)의 수직하단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2도와 같이 장착한 경우 핀(21)이 바퀴에서 멀어지면 볼조인트(40)를 끌고 가기 때문에 바퀴의 위쪽이 벌어지는 형태가 되고 핀(21)의 위치를 바퀴에 가깝게 하면 바퀴의 아래쪽이 벌어지는 형태가 될 것이다.
만약에 본 고안의 셋팅 조건이 Jeong's theorem과 다르면 기존 장치처럼 지표면에 맞닿은 바퀴면이 강제로 옆으로 끌리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윤거가 변한다. 윤거 변화량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지는 제작자의 결정에 따른 문제이나 본 고안을 제2도에서 보인 것처럼 바퀴 축의 아래쪽에 연결할 경우는 윤거가 변하지 않도록 Jeong's theorem에 충실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퀴 축 위쪽에 본 고안을 설치할 경우는 적당한 캠버각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면 공간상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자동차 바퀴의 캠버각을 매우 정확하게 유지하고자 한다면 제2도의 각
Figure 112008505367200-UTM00020
를 가급적 크게 만드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완충작용 시 각
Figure 112008505367200-UTM00021
의 변화폭이 커지고 원상회복 또한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고안을 독립현가장치로 사용할 때 주의할 것은 제2도와 같이 만들 경우 Lower arm(30)이 핀(21) 보다 높게 올라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Lower arm(30)이 핀(21)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는 제4도에 보인 것처럼 Control Arm(20)의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 제4도는 제2도의 변형된 형태로 캠버각이 변할 수 밖에 없지만 Control Arm의 길이와 위치를 잘 조절하면 캠버각 변화를 미세하게 만들 수 있다. 즉, 캠버각과 윤거의 변화를 엄격하게 통제할 필요가 없고 약간의 변화를 허용할 수 있을 때 현가장치를 제4도 와 같이 만들어 공간 상 이득을 얻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바퀴와 자동차 본체를 연결해 주는 독립현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에 트럭과 같이 무거운 짐을 싣는 차량의 화물 적재함과 바퀴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기존의 트래킹 바(tracking bar)는 길이를 짧게 할 경우 바퀴가 상하운동을 할 때 바퀴 축과 차대(Chassis)가 어긋나는 정도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을 이용하면 충분히 짧게 만들어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은 차축(axle)과 차대가 어긋나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트래킹 바(tracking bar)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퀴를 고정하는 링크로서도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증명할 수 있는 Jeong's theore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기존 맥퍼슨 방식의 독립현가장치에 본 고안을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본 고안의 대표도이다.
도 3은 도2에서 보인 장치가 완충작용으로 인해 Chassis가 내려앉았을 때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2의 장치의 변형으로 약간의 캠버각 변화를 용납하고 공간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기존 독립현가장치의 실물 사진으로 Lower arm이 Chassis에 고정된 핀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임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윤거(Tread)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 : Chassis 15 : 여유공간
20 : Control Arm 21 : 연결핀
30 : Lower Arm 31 : 연결핀
35 : 연결핀 40 : Ball Joint

Claims (4)

  1. Lower arm의 한쪽 끝단을 Chassis에 체결하고 Lower arm의 다른 쪽 끝단을 자동차 바퀴에 연결하여 바퀴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독립현가장치에 있어서,
    Lower Arm(30)과 핀(31)을 통해 체결된 Chassis(10);
    상기 Lower Arm(30)의 한쪽 끝단과 상기 Chassis(10)를 체결하는 상기 핀(31)이 움직일 수 있는 수평공간(15)을 내부에 갖춘 상기 Chassis(10);
    한쪽 끝단이 상기 핀(31)을 통해 상기 Chassis(10)와 체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바퀴의 비회전 휠축에 고정된 Ball Joint(40)과 체결시킨 상기 Lower Arm(30);
    한쪽 끝단이 상기 Chassis(10)에 핀(21)을 통해 체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핀(35)를 통해 상기 Lower Arm(30)의 중간에 체결된 Control Arm(20);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상기 핀(21)과 핀(35)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Lower Arm(30)의 끝단을 Chassis(10)에 체결시키는 핀(31)이 수평공간(15)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바퀴가 노면 요철에 의해 상하운동 시 Lower Arm(30)에 의해 Chassis(10)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Lower Arm(3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Control Arm(20)을 추가하고;
    Lower Arm(30), Control Arm(20) 및 Chassis(10)를 삼각형태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Control Arm(20)을 체결시키는데 사용하는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는 Lower Arm(30)의 한쪽 끝단인 핀(31)과 다른 쪽 끝단인 Ball Joint(40) 사이의 거리의 절반이며;
    상기 Control Arm(20)과 Lower Arm(30)을 체결시키는 핀(35)는 Lower Arm(30)의 정중앙에 위치시켜 상기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 핀(35)와 핀(31) 사이의 거리 및 핀(35)와 Ball Joint(40) 사이의 거리가 모두 같고;
    상기 핀(35)가 핀(31)과 Ball Joint(40)을 잇는 직선 위에 위치하도록 제작되어 완충작용 시 Lower Arm(30)과 바퀴를 연결시킨 Ball Joint(40)의 운동궤적이 직선을 이루며;
    동 운동궤적은 항상 핀(21)을 지나고 핀(21)과 핀(31)을 잇는 직선과 직교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현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Lower Arm(30)의 끝단 중 Chassis(10)와 연결되는 끝단 쪽에 설치된 여유공간;
    상기 Chassis(10)에 고정된 핀(31);
    상기 Lower Arm(30)과 Chassis(10)를 체결시키는 상기 핀(31);
    바퀴의 상하 운동 시 Chassis(10)에 고정된 핀(31)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Lower Arm(30)의 한쪽 끝단에 여유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현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Control Arm(20)을 체결시키는데 사용하는 핀(21)과 핀(35) 사이의 거리가 Lower arm(30)의 끝단인 핀(31)과 또 다른 끝단(40) 사이의 거리의 절반이 아니거나,
    Control Arm(20)과 Lower arm(30)을 체결시키는 핀(35)의 위치가 Lower arm(30)의 정중앙이 아니어서 Lower arm(30)의 끝단인 Ball Joint(40)의 운동궤적이 직선 형태가 아닌 독립현가장치
KR2020080014398U 2007-11-02 2008-10-27 독립현가장치 KR200900043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98U KR20090004327U (ko) 2007-11-02 2008-10-27 독립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422 2007-11-02
KR2020080014398U KR20090004327U (ko) 2007-11-02 2008-10-27 독립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27U true KR20090004327U (ko) 2009-05-08

Family

ID=412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98U KR20090004327U (ko) 2007-11-02 2008-10-27 독립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32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559B2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with self-compensated floating swing arm
CN102627061B (zh) 一种采用滚珠花键副的多连杆直线平移式悬架
EP3354497B1 (en) "afw" vehicle suspension (variants)
CN103722997B (zh) 车辆的扭矩梁式悬架
CN109624635A (zh) 用于车辆的轮距调节装置
CN104924869B (zh) 一种麦弗逊独立悬架总成
CN201099156Y (zh) 一种适用于重型卡车浮动桥的空气悬架
CN202703154U (zh) 采用滚珠花键副的多连杆直线平移式悬架
CN106671715B (zh) 汽车及麦弗逊悬架
CN210101212U (zh) 一种车辆及独立悬挂系统
KR20070114678A (ko) 독립현가장치
CN106627016B (zh) 一种汽车纵横臂独立悬挂
CN204701409U (zh) 一种麦弗逊独立悬架总成
KR20090004327U (ko) 독립현가장치
CN201784422U (zh) 一种汽车前轮的车轮悬架装置
CN104044423B (zh) 一种混联式汽车独立悬架机构
CN112334339A (zh) 轮悬挂系统
EP3118033A1 (en) Wheel suspension system with adjustable roll stiffness, typically for off-road vehicles
US2736570A (en) Independent spring suspensions for dirigible wheels
JPH11151922A (ja) 車軸の懸架装置
CN213322555U (zh) 一种三弹簧悬架系统
CN101817292A (zh) 一种汽车前轮的车轮悬架装置
CN102514623A (zh) 机动车用平衡舵装置
KR20130055107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80011606A (ko) 자동차의 토션 비임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