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18U -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18U
KR20090004218U KR2020070017654U KR20070017654U KR20090004218U KR 20090004218 U KR20090004218 U KR 20090004218U KR 2020070017654 U KR2020070017654 U KR 2020070017654U KR 20070017654 U KR20070017654 U KR 20070017654U KR 20090004218 U KR20090004218 U KR 200900042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air
breathing
no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2020070017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18U/ko
Publication of KR20090004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측부에 배기가스 배출용 통공이 형성되어 착용시 호흡이 용이한 안면 마스크
Figure 112007078522746-UTM00001
호흡용이, 김 서림 방지, 측면 통공,마스크

Description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 Easy breathable face mask }
20세기 들어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지구 오존층의 파괴가 급속히 진행되면서,지구상에 내리쬐는 자외선의 강도가 높아져, 자외선에 대한 아무런 대비장비를 갖추지 않고, 강한 자외선에 피부를 노출시킬 경우, 미용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피부암, 피부의 노화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인체 부위중 자외선에 가장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얼굴이기 때문에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거나 옷감으로 얼굴을 가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얼굴을 가리는 방법중에 하나가 안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최근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들이 개발되고있는데, 제1도에 나타낸 마스크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이다. 이 자외선 차단 마스크에 사용되는 자재는 자외선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조직이 치밀한 직물을 사용하고, 땀이 났을 경우 마스크가 피부에 붙지 않도록 마스크 내부에는 매쉬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마스크 면체가 통기성이 없는데, 이는 이들 마스크를 착용하는 목적이 먼지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 외선 차단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마스크의 형상은 마스크체(101)의 중앙부에 호흡용 통공 (102)을 형성하여 호흡이 용이하게 하고, 이 통공을 가리기 위한 커버링(103)이 설치되면서, 커버링(103)의 하부쪽을 오픈시켜 호흡용 공기가 출입하도록 형성한 것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특허 2001-49745에는 마스크 중앙부인 코와 입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를 만듦으로서 호흡시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마스크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호흡하기에는 매우 편하지만, 코의 아랫부분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버링부(103)가 전방으로 들뜬 상태를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그결과 종래제품의 착용모습은 제9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커버링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그 형상이 기괴하여 고객들로부터 디자인에 대한 혐오감을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쉬는 숨이 하부의 공기통로로 빠져나가기는 하나, 코부분의 밀착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호흡시 더운 입김이 위로 올라와 불쾌감과 함께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은 막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안경 김서림 문제는 겨울에 특히 심해서 운동하여 땀을 많이 흘릴 경우, 김서림이 심해 안경 착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한편 마스크를 착용하면 발생하는 문제중에 하나가 안경 김서림 문제이다.오래전부터 마스크에 안경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날숨이 방출되면서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눈쪽으로 입김이 올라가 안경에 김서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의 상단부에 코의 굴곡에 맞게 굴곡이 자재로운 코밴드를 설치하여 마스크체와 코사이의 공극을 없애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 다.
그러나 코 밴드를 사용하여 마스크 상부의 형상을 얼굴의 굴곡부에 맞도록 변형하여 공극을 막는다해도, 움직임에 의해 공극이 다시 벌어져 숨을 몰아 쉬거나 겨울철에 장시간 착용하면 마스크체를 통해 안경 쪽으로 입김이 누설되어 김서림이 발생되는 것을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완전히 막을 수 없다.
그래서 선행기술 미국특허 3 890 966, 및 3,974,829에서는 마스크의 상부측에 입김 차단 막을 설치하는 기술이 게재되어 있는데, 이 기술들은 어느정도의 김서림 방지기능은 수행하나 입김 차단막이 아주 크기 전에는 입김차단 효과가 적고, 입김 차단막의 크기를 크게 하면 이번에는 마스크의 필터링 면적이 줄어 들어, 급기저항의 증대로 호흡시 마스크가 들락날락거리고, 심하면, 마스크 착용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3 890 966에서는 입김 차단막에 투과공을 형성하였는데 이럴 경우, 투과공을 통해 입김이 새기 때문에 겨울에는 김 서림 방지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들은 자외선 차단을 위해 조직의 밀도가 높은 직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 마스크가 신율이 적어, 착용시 마스크가 얼굴 윤곽에 맞게 자연스럽게 굴곡되기가 어려워, 얼굴과 밀착되는 부분이 적어, 얼굴과 밀착되는 부분에 누름응력이 집중되어 장시간 착용시 얼굴에 자욱을 남기고, 또 마스크를 착용하고 이동할 경우 마스크가 얼굴과 밀착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 착용이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마스크에서는 내부공기의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마스크의 측부에 호흡 공기배출용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전의 제품들은 마스크의 중앙하부에 호흡공기 배출용 통공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처럼 마스크의 측부에 공기배출용 통공을 형성하면, 통공을 하부에 형성한 종래기술에 비해 이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호흡으로 배출된 공기는 외부공기보다 온도가 높아 (밀도가 작아) 배출과 동시에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하부측으로 배출공을 내는 것은 마치 굴뚝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만든 것과 같이 가스배출에는 효율적인 구조가 아니다. 가장 좋은 것은 위쪽을 향한 것이나, 이는 통상적인 마스크 구조상 구현하기 어려운 구조이고, 적어도 차선책은 배기공기 통로를 측면에 형성하여, 호흡시 배출된 더운 입김이 배출 즉시 수평으로 흘러 통공을 통해 양 볼 쪽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 진다.
둘째로는 배기가스가 볼쪽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습기를 함유한 배기가스가 눈쪽으로 올라가는 것이 어느정도 방지되기 때문에, 안경에 김서림을 발생시킬 확률이 하부통공 방식보다 적다는 것이다.
세째로는 통공이 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 커버가 돌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 모습이 자연스럽고 전체적인 모양이 미려하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마스크의 상부측에 평상시에는 접혔다가 사용시에는 코와 눈사이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접힘부(3)가 마스크 본체부(1)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힘부(3)는 배기가스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측면 공기 배출공(7)과 더불어 마스크 착용시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접힘부(3)는 공기투과성이 아주 적은 자재를 사용하고 본체부(1)는 접힘부(3)보다는 공기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스크는 전후로 적어도 2개의 면이 겹치도록 형성하고 얼굴 안쪽에 위치하며 중앙에 호흡용 통공(11)이 형성된 본체 본체부(1)와, 본체 본체부의 호흡용 호흡용 통공(11)을 가리고, 마스크 본체부(1)에 부착되면서 양측면에 반달형상의 통공(7)이 형성되도록 양측면부(21)의 길이가 본체부(1)의 대응부보다 넓은 마스크 본체 전면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마스크 본체부(1)의 상단 중앙부 혹은 마스크 본체부와 접하는 접힘부(3)의 하단부 중앙에 코의 굴곡에 상응하여 어느 정도 변형된 후, 변형 상태가 어느정도 유지되도록 하는 코밴드(6)를 설치하여 마스크의 눈 밑부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마스크에서는 내부공기의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마스크의 측부에 호흡 공기배출용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전의 제품들은 마스크의 중앙하부에 호흡공기 배출용 통공을 형성하였으나, 본 고안처럼 마스크의 측부에 공기배출용 통공을 형성하면, 통공을 하부에 형성한 종래기술에 비해 이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호흡으로 배출된 공기는 외부공기보다 온도가 높아 (밀도가 작아) 배출과 동시에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하부측으로 배출공을 내는 것은 마치 굴뚝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만든 것과 같이 가스배출에는 효율적인 구조가 아니다. 가장 좋은 것은 위쪽을 향한 것이나, 이는 통상적인 마스크 구조상 구현하기 어려운 구조이고, 적어도 차선책은 배기공기 통로를 측면에 형성하여, 호흡시 배출된 더운 입김이 배출 즉시 수평으로 흘러 통공을 통해 양 볼 쪽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 진다.
둘째로는 배기가스가 볼쪽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습기를 함유한 배기가스가 눈쪽으로 올라가는 것이 어느정도 방지되기 때문에, 안경에 김서림을 발생시킬 확률이 하부통공 방식보다 적다는 것이다.
세째로는 통공이 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 커버가 돌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 모습이 자연스럽고 전체적인 모양이 미려하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마스크의 상부측에 평상시에는 접혔다가 사용시에 는 코와 눈사이의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접힘부(3)가 마스크 본체부(1)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힘부(3)는 배기가스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측면 공기 배출공(7)과 더불어 마스크 착용시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접힘부(3)는 공기투과성이 아주 적은 자재를 사용하고 본체부(1)는 접힘부(3)보다는 공기투과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스크는 전후로 적어도 2개의 면이 겹치도록 형성하고 얼굴 안쪽에 위치하며 중앙에 호흡용 통공(11)이 형성된 본체 본체부(1)와, 본체 본체부의 호흡용 호흡용 통공(11)을 가리고, 마스크 본체부(1)에 부착되면서 양측면에 반달형상의 통공(7)이 형성되도록 양측면부(21)의 길이가 본체부(1)의 대응부보다 넓은 마스크 본체 전면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마스크 본체부(1)의 상단 중앙부 혹은 마스크 본체부와 접하는 접힘부(3)의 하단부 중앙에 코의 굴곡에 상응하여 어느 정도 변형된 후, 변형 상태가 어느정도 유지되도록 하는 코밴드(6)를 설치하여 마스크의 눈 밑부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마스크는 마스크 측면에 공기배출통로(7)가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원할하게 배출되고, 윗쪽으로 올라오는 공기가 적을 뿐 만아니라, 올라오더라고 접힘부가 이를 차단하기 대문에 배기가스가 상승해 불쾌감이나 안경 김서림이 발생 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고안의 마스크의 구성은 중앙에 호흡용 통공(11)이 형성된 마스크 본체부(1)와, 마스크 본체부(1)에 부착되며 상기 호흡용 통공(11)을 가리면서 측면에 공기배출용 통공(7)이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마스크 본체 전면부(2)와, 마스크 본체부 양측면에 부착되는 귀걸이용 끈(4)으로 구성된다.
또한 더나아가 제3내지 8도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마스크 본체부(1)의 위쪽면에 연결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접혀있다가 사용시에는 코와 눈사이를 덮는 접힘부(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접힘부는 배출된 공기가 상부 눈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스크가 코 부분에 자연스럽게 걸쳐져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마스크에서는 상기 접힘부(3),마스크 본체부(1)의 상단 , 마스크 전면부(2)의 상단은 서로 겹쳐져 부착되는데 부착방법은 자재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미싱 혹은 고주파 열접착 방법으로 부착된다. 이와같이 상호 겹쳐져 부착되는 부분은 타부분보다 두껍게 되고, 마스크의 틀을 잡아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제3도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본체부(1)에는 호흡시 코와 입부분의 공기 출입이 용이하도록 호흡용 공기 통공(11)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마스크 착용에 필요한 귀걸이 끈(4)이 부착된다.
귀걸이 끈(4)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필요시 길이 조절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전면부(2)는 마스크 본체부(1)에 형성된 호흡용 공기 통공(11)을 가림과 동시에 측면부에 공기 배출용 통공(7)을 만들면서 부착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전면부(2)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마스크 본체부(1)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마스크 전면부(2)와 마스크 본체부의 상하단면을 일치시켜 접착함으로서 마스크 전면부와 마스크 본체부의 측면에 반원형의 공기 배출용 통공(7)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제6도는 제4도의 마스크를 a,a'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로서, 마스크의 측면에 반달형의 통공(7)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맨 좌측에 마스크 전면부(2)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좌측에서 두번째인 마스크 본체부(1)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양끝을 맞추어 접착하면 마스크 전면부가 바깥쪽으로 휘면서 반원형의 통공(7)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마스크의 전면부에 반원형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본체부(1)의 상하단과 마스크 전면부(2)의 상하단이 일치하게 부착되었지만, 마스크 전면부(2)의 상단 혹은 하단이 마스크 본체부(1)의 상단 혹은 하단과 이격되어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난 것처럼 본고안의 마스크의 본체부(1)에는 코의 굴곡에 상응하여 굴곡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성을 가진 코밴드(6)를 설치함으로서 코의 형상을 따 라 마스크가 굴곡되어 굴곡부에의 마스크 밀착도를 높임으로서, 마스크 착용시 들숨이나 날숨이 눈쪽으로 출입하여 불쾌감을 주고, 안경에 김서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마스크 접힘부(3)의 재질은 가급적 공기 난투과성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를 전혀 투과하지 않거나, 공기를 투과시켜도 그 투과량이 안경등에 김서림을 발생시키지 못할 만큼의 적은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난투과 정도는 여름용과 겨울용에 따라 다른데, 날씨가 차가운 겨울용의 경우에는 여름용보다는 투과도가 작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를 따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마스크의 전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제7도의 전개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중앙에 호흡용 공기 통공(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귀걸이용 끈(4)이 형성된 본체부(1)와, 본체부의 바깥쪽에 겹쳐 설치되며 본체부(1)의 호흡용 공기통공(11)을 가리면서 측면에는 배기가스 출입공기통로(7)가 형성되도록 부착되는 마스크 본체 전면부(2)와, 상기 본체부(1)의 위쪽면에 연결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접혀있다가 사용시에는 코와 눈사이를 덮는 코 덮개부(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1)와 본체 전면부(2)의 윗쪽면과 코 덮개부(3)는 재봉질 혹은 본딩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겹침부(5)를 형성하게 된다.
제3도인 본고안의 배면도에 나타낸 것처럼 마스크 본체부(1)의 중앙에는 호흡용 공기 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마스크 본체부의 바깥쪽에 부착되는 마스크 본체 전면부(2)는 마스크 본체부에 형성된 호흡용 공기통공(11)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고 외부로부터 햇빛이 들어오거나 내부로부터 입안의 이물질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마스크의 측면에는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배기가스 출입 공기 통로(7)가 형성된다. 배기가스 출입통로는 마스크 전면부(2)의 상하 길이가 마스크 본체부(1)의 상하길이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상호 부착되면서 자연스럽게 반원형의 통공(7)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고안의 마스크의 배기가스 출입 공기 통로(7)에는 공기흐름을 적게 방해하면서도 안이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망사등의 가림수단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마스크 본체부(1)와 본체 전면부(2)의 상부에는 접힘부(3)가 연결 부착된다.
상기 접힘부(3)와 본체부(1)의 상단부는 서로 겹쳐져 부착되는데 부착방법은 접힘부(3)와 본체부(1)를 구성하는 자재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미싱 혹은 고주파 열접착 방법으로 부착된다. 상기 접힘부(3)와 본체부(1)가 접착시 겹쳐지는 부분인 겹침부(5)는 타부분보다 두껍게 됨으로서 타부분보다 탄성을 가지게 됨으로서 마스크의 틀을 잡아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마스크 접힘부(3)의 자재는 입김이 전혀 통과하지 못하거나, 통과하더라도 미소량에 극한되는 난투과성 자재를 사용함으로서, 호흡시 입김이 위로 올라와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날숨에 의해 날리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자재를 사용해야 한다.
제8도는 본고안의 마스크를 착용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서는 마스크를 코를 중심으로 상부를 커버하는 접힘부(3)와 마스크 본체부(1)와 마스크전면부(2)로 구분하고 이들 두 부분이 서로 각을 가지고 만나는 구조로 형성하여 모양을 미려하게 만들면서, 마스크 착용시 제일 문제부분인 코부분의 눌림 현상을 최소화하였다. 이는 제9도와 같은 종전 자외선 차단 마스크가 착용시 마스크 전면부가 돌출됨으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오리를 연상시키는 어색한 모습이었을 뿐만 아니라, 배기공기 배출공이 아랫쪽으로 설치되어 배출된 더운공기가 통로에 잘 빠지지않고 고이거나, 공기가 위로 올라오면서 안경 김서림을 발생하는 등 문제가 많았으나, 본 고안의 마스크는 마스크 측면에 공기배출통로(7)가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원할하게 배출되고, 윗쪽으로 올라오는 공기가 적을 뿐 만아니라, 올라오더라고 접힘부가 이를 차단하기 대문에 배기가스가 상승해 불쾌감이나 안경 김서림을 발생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제1도.종래의 제품
제2도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 본 고안의 배면도
제4도 본 고안의 측면도
제5도 본 고안의 하면도
제6도 제4도 a-a'의 단면도
제7도 본 고안의 전개도
제8도 본 고안의 착용도
제9도 종래 기술의 착용도

Claims (2)

  1. 중앙에 호흡용 공기 통공(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귀걸이용 끈(4)이 부착되는 마스크 본체부(1)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1)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부(1)의 호흡용 공기 통공(11)을 가리면서 측면에는 배기가스 공기통로(7)가 형성되도록 마스크 본체부(1)에 부착되는 마스크 본체 전면부(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의 위쪽면에 연결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접혀있다가 사용시에는 코와 눈사이를 덮는 접힘부(3)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2020070017654U 2007-10-31 2007-10-31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KR200900042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54U KR20090004218U (ko) 2007-10-31 2007-10-31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54U KR20090004218U (ko) 2007-10-31 2007-10-31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18U true KR20090004218U (ko) 2009-05-07

Family

ID=4129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54U KR20090004218U (ko) 2007-10-31 2007-10-31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1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73B1 (ko) * 2015-06-15 2016-06-07 서규선 다용도 마스크
KR200494976Y1 (ko) 2020-12-09 2022-02-08 주식회사 코나드바이오 호흡이 편한 마스크
KR102377937B1 (ko) * 2020-09-28 2022-03-22 이재훤 외부 공기 유입 차단 및 김서림 차단 마스크
DE102020131730A1 (de)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e und Maskeneinsatz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73B1 (ko) * 2015-06-15 2016-06-07 서규선 다용도 마스크
KR102377937B1 (ko) * 2020-09-28 2022-03-22 이재훤 외부 공기 유입 차단 및 김서림 차단 마스크
DE102020131730A1 (de)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e und Maskeneinsatz
WO2022112122A1 (de) 2020-11-30 2022-06-02 Joile GmbH Maske und maskeneinsatz
KR200494976Y1 (ko) 2020-12-09 2022-02-08 주식회사 코나드바이오 호흡이 편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052Y1 (ko) 머플러겸용 마스크
US20190166929A1 (en) Earless filter mask
KR102273343B1 (ko)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특정방향으로 안내하는 마스크
JP3841225B2 (ja) 顔面遮蔽具
TW200406239A (en) Travel mask
US6754909B1 (en) Neck gator
KR20060083536A (ko) 프레임 마스크
US20220015491A1 (en) Face and neck cover with droplet filter
KR20090004218U (ko)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KR20200002649A (ko) 마스크
KR200447006Y1 (ko) 마스크
FI87047B (fi) Luftvaexlingssystem foer andningsskydd och andningsskydd.
KR20090014662A (ko) 호흡이 편한 차광 마스크
KR20090044590A (ko) 호흡이 편한 안면 마스크
KR100543523B1 (ko) 황사 및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220025619A (ko) 대용량의 통기량을 갖는 투명 마스크
KR20100008129A (ko) 통기성이 좋은 차광 마스크
KR200395352Y1 (ko) 황사 및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0474500B1 (ko)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20090011347A (ko) 차광 마스크
KR200494976Y1 (ko) 호흡이 편한 마스크
US6920880B1 (en) Mask defogging system and method
JP4649298B2 (ja) マスク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355221B1 (ko) 김서림방지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