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500B1 -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500B1
KR100474500B1 KR10-2004-0069725A KR20040069725A KR100474500B1 KR 100474500 B1 KR100474500 B1 KR 100474500B1 KR 20040069725 A KR20040069725 A KR 20040069725A KR 100474500 B1 KR100474500 B1 KR 10047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sk
main body
user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런
손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런, 손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런
Priority to KR10-2004-006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구가 형성된 앞가리개와 상기 앞가리개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목가리개로 구성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풍구에 덮개를 더 형성하되 상기 덮개는 양단부를 1차로 접어서 접힌 내측을 통풍구의 양측인 앞가리개의 상부에 재봉하게 함으로서 덮개 자체가 마스크의 면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여 소비자의 코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게 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필터부재를 봉재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황사등의 미세먼지가 호흡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안면의 하방을 가릴 수 있도록 이형으로 형성된 직물지로,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덧붙여 통풍구를 가리도록 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줄로 구성된 앞가리개와; 상기 앞가리개의 본체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 목의 뒷부분을 가리도록 하는 목가리개;로 구성된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앞가리개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덮개의 내측에 필터부재를 봉재하되, 상기 필터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콧등 또는 콧구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덮개의 폭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하여 필터부재의 중간부분이 덮개의 면과 수직으로 뒤틀릴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에 목가리개를 더 부착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과 목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게 하였고,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덮개를 형성하여 코가 마스크에 눌리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가 착용에 불편없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덮개의 내측에 봉재된 필터부재로 코를 막음으로서 황사등의 미세먼지가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덮개를 형성하는 천을 인체에 유익한 향이 발산되는 천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익한 향기로 인해 사용자의 기분을 항상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A mask for screen of sunshine}
본 발명은 통풍구가 형성된 앞가리개와 상기 앞가리개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목가리개로 구성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풍구에 덮개를 더 형성하되 상기 덮개는 양단부를 1차로 접어서 접힌 내측을 통풍구의 양측인 앞가리개의 상부에 재봉하게 함으로서 덮개 자체가 마스크의 면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여 소비자의 코에 안정적으로 안치되게 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필터부재를 봉재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황사등의 미세먼지가 호흡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한두겹의 천을 봉착시키고 양측면에 걸림줄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줄을 귀에 걸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대개 방한이나 황사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여름철 강한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가리개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0255042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크(10)를 상하부체로 분리 구성하데, 상기 상부체(11)의 양측에 하부체(12)를 결합함으로서 결합된 부분의 사이에 개방부(13)가 형성된 마스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10)는 마스크의 본래목적과는 달리 햇빛 특히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게 하는 것이며, 인체의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개방부(13)가 형성되게 하여 숨쉬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고 있다. 즉, 자연스러운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인체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게 하기 때문에 자외선 노출로 발생되는 햇빛알레르기,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외선 차단 마스크(10)는 상부체(11)와 하부체(12)의 결합이 동일한 선상에서 재봉이 이루어져 있어 돌출된 인체의 코를 누르게 됨으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와같이 코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착끈(14)을 느슨하게 묶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마스크가 인체의 안면에서 흘러내리게 됨으로 자외선 차단의 효과를 보기에 어려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얼굴의 전면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차단에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으나, 얼굴과 함께 많은 자외선을 조사받는 부위인 목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마스크는 개방부를 통해 황사등과 같은 미세먼지가 유입됨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스크를 구비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에 목가리개를 더 부착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과 목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게 하였고,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덮개를 형성하여 코가 마스크에 눌리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가 착용에 불편없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덮개의 내측에 봉재된 필터부재로 코를 막음으로서 황사등의 미세먼지가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는,
안면의 하방을 가릴 수 있도록 이형으로 형성된 직물지로,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덧붙여 통풍구를 가리도록 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줄로 구성된 앞가리개와; 상기 앞가리개의 본체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 목의 뒷부분을 가리도록 하는 목가리개;로 구성된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앞가리개에는 사용자의 콧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덮개의 내측에 필터부재를 봉재하되, 상기 필터부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콧등 또는 콧구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덮개의 폭보다 일정길이 길게 형성하여 필터부재의 중간부분이 덮개의 면과 수직으로 뒤틀릴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통풍구의 양측면과 상부면이 재봉되어 하측방만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하되, 본체의 면상에서 들뜨도록 하기 위해 덮개의 양측면을 내측으로 접고, 접힌 내측의 상부 일측만 본체에 재봉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줄에는 조임구를 더 장착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앞가리개의 본체 및 목가리개의 내측에는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망사형태의 내부천이 덧붙여 형성된다.
상기 앞가리개와 목가리개의 부착은 걸고리, 단추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착이 가장 용이한 매직테이프(일명 찍찍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앞가리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3a의 요부인 A-A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앞가리개의 본체와 덮개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가리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100)는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앞가리개(200)와 목가리개(300)로 구성된다.
상기 앞가리개(200)는 이형으로 형성된 직물지인 본체(210)와, 상기 본체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통풍구(220)와, 본체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부착수단(260)과, 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줄(2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0)는 일반적인 마스크 형태 또는 사용자의 눈하부와 턱을 가릴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며, 이와같이 본체(210)를 구성하는 직물지는 외부천(211)과 내부천(212)을 봉재한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천(211)은 외부에 표출되어 햇빛이 직접 조사되는 부분으로, 그 재질을 일반적인 섬유으로 형성하거나, 은사가 포함된 섬유, 광촉매가 코팅된 섬유 또는 미네랄이 포함된 미네랄이온 섬유등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섬유로 형성하여 세균감염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천(212)은 직물지 내부인 인체와 접하는 부분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덧붙여 봉재되는 것으로, 통풍을 위해 다수의 관통구가 있는 망사형태의 섬유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섬유로 형성된 본체(210)의 중앙 부분인 인체의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통풍구(22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호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통풍구(220)를 통하여 자외선, 가시광성, 적외선의 햇빛이 인체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풍구에는 덮개(230)가 더 결합된다.
상기 덮개(230)는 상부 및 양측면이 본체(210)에 직접 봉재되어 있어 하부의 개구된 부분으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덮개(230)는 덮개를 핀 상태에서 본체와 봉재되면 덮개 자체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종래의 마스크와 동일하게 마스크 착용시 인체의 돌출된 코를 누르게되기 때문에 이와같은 누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으로 접은 후 접힌 부분을 본체(210)와 봉재한 봉재선(213)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봉재가 이루어지면 상기 덮개(230)는 천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본체(2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덮개 자체가 들뜨게 됨으로, 착용하게 되면 상기 들뜬 길이만큼 코를 누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30)에는 도시된 형태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개의 주름(231)을 더 형성하여 상기 코누름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230)의 내측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의 콧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필터부재(270)가 더 봉재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270)는 덮개(230)와 본체(210) 사이인 덮개 내측에 봉재되는 띠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콧등 또는 콧구멍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재(270)는 통풍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등이 인체의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덮개(230)의 폭보다 일정길이 길게형성하여 필터부재(270)의 중간부분이 덮개의 면과 수직으로 뒤틀릴 수 있게 함으로서 인체의 콧구멍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30)와 필터부재(270)의 재질은 일반 섬유를 사용하거나, 상술한 바와같은 기능성 물질이 첨가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와 필터부재가 사용자의 코에 안치됨으로, 향기가 나는 섬유로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향으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기분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덮개(230)가 형성된 앞가리개(200)의 본체면 상부 양측에는 부착수단(260)이 더 형성된다. 상기 부착수단(260)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매직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착수단과 대응되는 면은 후술되는 목가리개(300)에 형성하여 앞가리개(200)에 목가리개(300)를 부착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앞가리개(200) 및 목가리개(300)는 사용시 인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착수단(260)이 형성된 앞가리개부분을 앞가리개의 본체 면상에서 길게 돌출형성하고, 부착수단(360)이 형성된 목가리개(300)부분도 길게형성하는 부착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부착부분을 돌출형성하게 되면 두 부재의 부착되지 않은 다른면은 일정거리로 이격되기 때문에 햇빛에 노출되어 효과가 감해지게 됨으로, 돌출부위를 적게 형성하여 두 부재의 이격되는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앞가리개(200)에는 사용자가 귀에 걸어 마스크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걸림줄(240)이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걸림줄(240)은 분리된 줄로 형성하여 상기 두 줄을 묶어 길이를 조절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폐구된 줄로 형성하고 상기 줄에 조임구(250)를 설치하여 조임구로 걸림줄(240)의 길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임구(250)로는 도시된 형태 이외에 클립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앞가리개(200)에 부착되는 목가리개(3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목을 가릴수 있는 넓은 면으로되어 있으며, 상단양측에 상기 앞가리개와 대응되는 부착수단(360)이 결합된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목가리개(300)도 상술한 앞가리개의 본체와 동일하게 외부천과 내부천이 봉재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착수단(360)은 내부천의 면상에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줄(240)을 사용자의 귀에 걸고 조임구(250)를 이용해 상기 걸림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걸림줄이 결합된 앞가리개(200)를 인체의 안면에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목가리개(300)를 인체의 목 뒤면에 안치하여 상기 목가리개에 형성된 부착수단(360)을 상기 앞가리개의 부착수단(260)에 부착시켜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착용하면 상기 앞가리개의 덮개(230) 내측에 인체의 코가 안치되어 덮개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호흡이 이루어지며, 이때 덮개(230)에 코팅된 향에 의해 사용자는 유익한 향을 맡을 수 있어 상쾌한 기분이 들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가리개(300)는 앞가리개(200)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b는 본 발명의 마스크 착용상태를 단면도시한 것으로, 앞가리개의 본체(2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켜 본체의 통풍구(220)를 사용자의 입과 코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목가리개(300)를 사용자의 뒷목부분에 안치하여 상기 앞가리개(200)에 부착시킴으로서 인체의 안면과 뒷목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며, 상기 개방된 통풍구는 통풍구의 외측에 형성된 덮개(230)에 의해 자외선의 조사가 차단되어 안면을 자외선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230)의 내측에 봉재된 필터부재(270)가 사용자의 콧구멍을 막도록 함으로서 외부의 미세먼지와 황사등이 필터부재에 걸러져 인체에는 정화된 공기만이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재(270)의 착용은 상술한 황사, 미세먼지등의 차단기능 이외에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부재를 콧등에 안치시킴으로서 겨울철에 코 끝에서 외부로 열을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방한기능이 더 있다.
즉, 겨울철이나 평상시에는 도 5c에 도시된 형태로 필터부재(270)를 착용하고, 황사가 발생하거나 먼지등 이물질이 많이 발생되면, 콧등에 안치된 필터부재(270)를 내려서 콧구멍부분에 안치되게 함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호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는,
마스크에 목가리개를 더 부착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얼굴과 목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게 하였고,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덮개를 형성하여 코가 마스크에 눌리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가 착용에 불편없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덮개의 내측에 봉재된 필터부재로 코를 막음으로서 황사등의 미세먼지가 인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덮개를 형성하는 천을 인체에 유익한 향이 발산되는 천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익한 향기로 인해 사용자의 기분을 항상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앞가리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3a의 요부인 A-A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앞가리개의 본체와 덮개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가리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스크 200 : 앞가리개
210 : 본체 211 : 외부천
212 : 내부천 213 : 봉재선
220 : 통풍구 230 : 덮개
231 : 주름 240 : 걸림줄
250 : 조임구 260, 360 : 부착수단
270 : 필터부재 300 : 목가리개
310 : 돌출부

Claims (4)

  1. 안면의 하방을 가릴 수 있도록 이형으로 형성된 직물지로, 입과 코가 위치하는 부분에 통풍구(22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 상기 본체에 덧붙여 통풍구를 가리도록 하는 덮개(230),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줄(240)로 구성된 앞가리개(200)와; 상기 앞가리개의 본체(210)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사용자 목의 뒷부분을 가리도록 하는 목가리개(300);로 구성된 햇빛가리개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앞가리개의 덮개(230) 내측에는 띠형태의 필터부재(270)를 봉재하고, 상기 필터부재(270)는 덮개(230)의 폭보다 일정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콧등이나 콧구멍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필터부재(270)의 중간부분이 덮개의 면과 수직으로 뒤틀려 사용자의 콧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30)는 양측면과 상부면이 통풍구(220)에 봉재되어 하측방만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하되, 본체(210)의 면상에서 들뜨도록 하기 위해 덮개(230)의 양측면을 내측으로 접고, 접힌 내측의 상부 일측만 본체(210)에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3. 삭제
  4. 삭제
KR10-2004-0069725A 2004-09-01 2004-09-01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10047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25A KR100474500B1 (ko) 2004-09-01 2004-09-01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25A KR100474500B1 (ko) 2004-09-01 2004-09-01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927U Division KR200366429Y1 (ko) 2004-08-21 2004-08-21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500B1 true KR100474500B1 (ko) 2005-03-09

Family

ID=4366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725A KR100474500B1 (ko) 2004-09-01 2004-09-01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5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99B1 (ko) 2005-05-13 2006-11-23 박정자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100781808B1 (ko)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0821342B1 (ko) * 2006-06-09 2008-04-10 김창금 마스크
KR200446083Y1 (ko) 2007-07-09 2009-09-25 김명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휴대가 가능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052410B1 (ko) 2018-06-12 2019-12-05 (주)엠케이산업 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겸용 코 마스크
KR20200095662A (ko) 2019-02-01 2020-08-11 (주)엠케이산업 안경 부착용 미세먼지 차단 코 마스크
KR102144502B1 (ko) 2019-07-19 2020-08-13 이상훈 감광변색소재를 이용한 광변색 마스크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99B1 (ko) 2005-05-13 2006-11-23 박정자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KR100821342B1 (ko) * 2006-06-09 2008-04-10 김창금 마스크
KR100781808B1 (ko) 2006-09-26 2007-12-04 박화석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46083Y1 (ko) 2007-07-09 2009-09-25 김명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휴대가 가능한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2052410B1 (ko) 2018-06-12 2019-12-05 (주)엠케이산업 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겸용 코 마스크
KR20200095662A (ko) 2019-02-01 2020-08-11 (주)엠케이산업 안경 부착용 미세먼지 차단 코 마스크
KR102144502B1 (ko) 2019-07-19 2020-08-13 이상훈 감광변색소재를 이용한 광변색 마스크팩시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939B2 (en) Earless filter mask
KR200427052Y1 (ko) 머플러겸용 마스크
KR101140281B1 (ko) 코, 입 분리형 마스크
KR101355247B1 (ko) 코 마스크
CN110177601A (zh) 模块化面部面罩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US20180078797A1 (en) Earless filter mask
US20220023682A1 (en) Dual purpose elastic band structure for positioning a reusable woven fabric face covering and masks having the same
KR100678716B1 (ko) 필터를 갖는 마스크
US4784131A (en) Pollen protection device
KR100474500B1 (ko)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200418420Y1 (ko) 마스크
KR100543523B1 (ko) 황사 및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366429Y1 (ko)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20090012049U (ko) 이중 마스크
KR200360804Y1 (ko)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200395352Y1 (ko) 황사 및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0363621Y1 (ko)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JP3136084U (ja) 顔面遮光布
US11564426B2 (en) Facial covering system
KR102294903B1 (ko) 마스크 끈 고정구를 구비한 마스크
JP3173305U (ja) 日除け用マスク
KR101920146B1 (ko) 황사주름마스크
JP3046342U (ja) 睡眠時の鼻呼吸用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