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04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04A
KR20090003904A KR1020070067661A KR20070067661A KR20090003904A KR 20090003904 A KR20090003904 A KR 20090003904A KR 1020070067661 A KR1020070067661 A KR 1020070067661A KR 20070067661 A KR20070067661 A KR 20070067661A KR 20090003904 A KR20090003904 A KR 2009000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ntainer
pipe
water container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운
Original Assignee
이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운 filed Critical 이기운
Priority to KR102007006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04A/ko
Publication of KR2009000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장시간 사용되지 않아 온수용기가 냉각된 경우에도 불필요한 물의 낭비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연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은 본 발명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어 있으며, 내부에 유입되는 온수를 연화시키며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온수용기; 상기 단열 온수용기에 온수를 유입시키는 온수 유입관; 상기 단열 온수용기로부터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단열 온수용기, 냉수 용기, 재생제, 퇴수관, 밸브

Description

연수기 {water soft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퇴수관 밸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동작시키는 전기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단열벽을 갖는 온수를 장시간 일정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저장되는 온수 저장용기를 갖으며, 사용초기에 유입되는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관을 구비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들어있는 일정 용량의 케이스에 경수를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반응시켜 연수로 만드는 장치이고, 피부보호를 위하여 현재 많은 연수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연수기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연수기에 대한 발명은 국내 등록실용 제20-0415503호와 같이 이온교환수지와 유입된 경수의 반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발명이 주류를 이루었다.
연수기는 통상적으로 경 냉수를 연 냉수로 변환시키는 냉수 용기와 경 온수를 연 온수로 변환시키는 온수 용기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온수 용기와 냉수 용수로 배출되는 물을 단말부에서 혼합하여 적합한 온도로 사용한다.
그러나, 연수화 과정에서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온수 용기가 냉각되는 경우에는 온수를 사용하기 원할 때는 온수 용기에 냉각된 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 사용자는 기다려야 한다. 일반적인 가정용 온수 용기로부터 냉각된 상태에서 온수가 배출될 때까지 50초 정도 소요되지만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이 기다리는 시간은 더 장기화된다.
더욱이 보일러와 온수 용기 사이에 배관이 길은 경우에는 배관의 물도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된 배관의 물까지 배출된 후에라야 온 연수가 배출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냉수가 전부 배출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낭비해야되고,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수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아 온수용기가 냉각된 경우에도 불필요한 물의 낭비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어 있 으며, 내부에 유입되는 온수를 연화시키며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온수용기; 상기 단열 온수용기에 온수를 유입시키는 온수 유입관; 상기 단열 온수용기로부터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 용기에는 상기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유입관;
상기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 유출관;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분지되는 퇴수관;
상기 온수 유입관과 퇴수관의 분지점에 설치되는 전기에 동작되는 제1 3방 밸브(threeway valve); 상기 온수 유입관을 통하여 온수가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정상동작 수행중에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제1 3방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퇴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용기 내부의 온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1) 이하인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유입관의 온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T2) 이하인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용기 내부의 온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1) 이상이며, 상기 온수 유입관의 온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T2) 이하인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유입관은 상기 온수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온수 용기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위에는 나선형의 열교환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 용기에 주입되는 이온교환수지용 재생재가 저장되는 재생재 용기와 상기 재생재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된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재생재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용 재생재가 상기 온수 용기에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 유출관과 상기 온수 유입관 중 일부에는 상기 온수 용기로부터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절연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 유입관과 상기 온수 유출관 사이에는 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 유출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점에는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삼방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회로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부터 온수가 상기 퇴수관과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온수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상기 퇴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삼방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유입된 온수가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온수 유출관을 통하여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온수 유입관은 상기 온수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온수 용기의 내측 상부에서 온수를 살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열 온수용기는 용기벽에 합성수지재의 단열층이 형성되어 열방출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열 온수용기는 용기벽에 진공층이 형성되어 열방 출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연수기(100)는 연수기 케이스(1) 내에 온수를 연화시키는 단열 온수용기(2), 냉수를 연화시키는 냉수용기(3) 및 소금 등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재가 저장되는 재생재 용기(5)와 각종 배관 및 배관의 밸브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밸브들은 제어장치(20)에 의하여 동작되는 전자식으로 구성된다.
단열 온수용기(2)는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기능을 갖으며, 내부에 온수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열 온수용기(2)는 용기벽에 단열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벽 내부에 진공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단열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단열 온수용기(2) 내부에는 이온교환수지(4)가 내장되고, 온수 유입관(6)이 단열 온수용기(2)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로 연장된 온수 유입관(6)에는 나선형상의 코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8)가 형성되며, 열교환부(8)의 상단부에는 살수부(41)가 형성되며, 열교환부(8)의 하부로부터 유입된 온수는 열교환부(8)의 상단부의 살수부(41) 배출되어 이온교환수지(4)를 통과하며 연화된다. 또한, 단열 온수용기(2)에는 온수 유출관(9)이 설치되어 있어 연수로 변환된 온수를 용기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온수 유입관(6)에는 온도 감지센서(18)가 설치되며,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에도 온도 감지센서(34)가 설치되며,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퇴수관(7)이 분지되며, 분지점에는 3방 밸브(threeway valve)(40)가 설치된다. 이때, 3방 밸브(40)대신에 각각 온수 유입관(6), 퇴수관(7)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유로를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또한, 제어장치(20)는 단열 온수용기(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34)의 온도가 설정온도(T1) 보다 아래이고, 온도 감지센서(18)에 감지되는 온수 유입관(6)의 온수 온도가 설정온도(T2) 아래이면 3방 밸브(40)를 제어하여 온수 유입관(6)을 통하여 단열 온수용기(2)에 유입되는 온수를 차단하는 대신에 온수를 퇴수관(7)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간이식으로 단열 온수용기(2) 내부의 온도만을 측정하여 설정온도(T1)보다 낮은 경우에는 3방 밸브(40)을 제어하여 단열 온수용기(2)에 유입되는 온수를 차단하는 대신에 퇴수관(7)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후 온수 유입관(6)의 온도가 기설정온도로 회복되게 되면 3방 밸브(40)을 제어하여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단열 온수용기(2)에 온수가 유입되고, 퇴수관(7)으로 온수가 퇴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2)는 단열 온수용기(2)의 물이 배출되지 않는 시간을 계산하고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열 온수용기(2)가 냉각되었다고 판단하여 3방 밸브(40)를 제어하여 온수 유입관(6)에 흐르는 물을 퇴수관(7)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후 기 설정시간이나 온수 유입관(6)의 온수가 기설정된 온도를 회복하게 되면 온수 유입관(6)의 온수를 단열 온수용기(2)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단열 온수용기(2)의 상부에는 이온교환수지(4)를 넣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는 캡(11)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밀폐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냉수용기(3)의 상부에도 이온교환수지를 넣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는 캡(15)에 의하여 밀폐된다.
단열 온수용기(2)와 냉수용기(3) 내부의 이온교환수지(4)는 정기적으로 또는 사용기간에 따라서 재생재에 의하여 재생된다. 재생재 용기(5)와 단열 온수용기(2)와 냉수용기(3)는 각각 밸브(13')가 설치된 배관(13)과 밸브(14')가 설치된 배관(14)으로 연결되고, 밸브(13'), (14')는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제어되어 재생재 용기(5)의 재생재가 단열 온수용기(2), 냉수용기(3)에 유입되도록 한다.
재생재는 소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재생재는 밸브(13'), (14') 개방시에 배관(13), (14) 내부에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분말화 또는 용액형태로 재생재 용기(5)에 저장된다.
또한, 단열 온수용기(2), 냉수용기(3)의 상부에는 에어 배출관(12), (17)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온수 또는 냉수가 유입될 때 용기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온수 또는 냉수가 용기 내부에 만충하도록 한다.
또한, 단열 온수용기(2)에 연결되는 온수 유입관(6)에는 온수 유입관(6)을 통하여 단열 온수용기(2)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의 절연관(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온수 유출관(9)에도 절연관(29)이 형성된다. 절연관(19), (29)은 단열 온수용기(2)의 외부에 설치되며, 절연관(19), (29)의 양단에 금속관이 연결된 형상을 이룬다.
단열 온수용기(2)는 단열 온수용기(2) 내부의 온수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벽이 구비되어 있으나, 냉수용기(3)는 단열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용기이며, 하부에는 내부로 연장되는 냉수 유입관(16)과 연화된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유출관(10)이 설치된다. 냉수 유입관(16)은 냉수용기(3)의 내부의 상층부까지 연장되어 단부에서 배출되는 냉수가 이온교환수지를 충분히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온수 유출관(9)과 냉수 유출관(10)의 단말은 샤워기의 단말부(미도시)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연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 유출관(9)에는 물 흐름을 감지하기 위하여 물 흐름에 압력을 받아 동작을 하는 유량감지센서(33)가 설치되어 있어 연수기가 동작하는 지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제어장치(20)의 제어부(22)는 제어부(22)에 연결된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수순과 설정값들이 저장되고, 연산처리 및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음성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2)에는 설정값들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1)와, 제어부(22)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4)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알람부(25)와, 퇴수관(7)과 온수 유입관(6)의 유로를 제어하는 3방 밸브(40)를 구동시키는 3방 밸브 구동부(28)와, 재생재 용기(5)와 냉수 용기(3) 사이의 연결관(14)의 밸브를 구동시키는 재생재 용기 밸브 구동부(27)와, 재생재 용기(5)와 단열 온수용기(2) 사이의 연결관(13)의 밸브를 구동시키는 재생재 용기 밸브 구동부(28)와, 에어 배출관(12)의 밸브를 구동시키는 에어 배출관 밸브 구동부(32)와 에어 배출관(17)의 밸브를 구동시키는 에어 배출관 밸브 구동부(31)와, 카운터(30)와, 유입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센서(18)와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34)와 연결된다.
이때, 카운터(30)는 단열 온수용기(2)가 사용된 시간 측정기능과, 단열 온수용기(2)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측정 기능 및 연수기에서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재생횟수)가 발생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계수기 기능을 과, 입력부(21)의 입력값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일 입력부에서 일정한 시간 마다 재생재가 투입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카운터(30)는 시계기능을 수행하고, 연수기가 사용되는 횟수가 일정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재생재가 투입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 카운터(30)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계수기로 동작된다.
또한, 제어부(22)에는 유량감지센서(33)와 연결되어 연수기가 동작여부 상태를 인식하며, 연수기가 일정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시간을 입력받아 밸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퇴수관 밸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어부(22)는 유량감지센서(33)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연수기, 특히 단열 온수용기(2)의 사용 여부를 인식한다(S1). 제어부(22)에는 온도 감지센서(34)로부터 주기적으로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온도를 입력받아 단열 온수용기(2) 내부의 온도를 인식하고 있으며, 단열 온수용기(2)의 저장된 물이 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22)는 3방 밸브(40)를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온수가 단열 온 수용기(2)에 유입되도록 하며, 온수 유출관(9)으로 연화된 온수가 유출되는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 그러나, 단열 온수용기(2)의 온도가 T1 미만이고, 온수 유입관(6)의 온도감지센서(18)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 즉 유입되는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3방 밸브(40)를 제어하여 온수 유입관(6)의 온수를 퇴수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S3).
단계 S3은 단열층을 갖는 단열 온수용기(2)라고 하여도 내부의 온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냉각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냉각된 물이 단열 온수용기(2)에 유입되게 되면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냉각된 물을 더욱 냉각시키게 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많은 냉각된 물을 미사용 상태에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2)는 설정온도(T2)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퇴수관(7)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3발 밸브(40)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어부(22)는 온수 유입관(6)에 유입되는 물이 설정온도(T2)보다 높아지면 3방 밸브(40)를 제어하여 퇴수관(7)의 온수 흐름을 차단하고, 온수 유입관(6)의 온수가 단열 온수용기(2)에 유입되도록 한다. 정상동작 초기시에는 온수 유입관(6)의 용기 내부로 연장되는 열교환부(8)에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온수가 유입되면서 단열 온수용기(2)에 저장된 냉각된 물의 온도를 높여서 온수 유출관(9)으로부터 초기에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높인다.
도 3에서는 단열 온수용기(2)의 온도와 온수 유입관(6)의 온도를 측정하여 3방 밸브를 구동시켜 퇴수동작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으나, 이를 단순화시켜 단열 온수용기(2)의 물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단열 온수용 기(2)와 온수 유입관(6)의 물이 냉각된 것으로 판단하여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퇴수관으로 배출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단열 온수용기(2)가 설정 온도(T1) 이하이면 온수 유입관(6)은 설정 온도(T1) 보다 낮은 온도이기 때문에 단열 온수용기(2)의 온도가 T1 보다 낮은 경우에는 일정 시간 물이 퇴수관으로 배출된 후 정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퇴수관을 제어하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의 설계적인 변형상태라 할 수 있다.
재생재 용기 밸브 구동은 일정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수기에 의하여 연화된 물의 양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 선택은 입력부(21)의 입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제어부(22)는 카운터(30)에서 입력되는 시간을 전송받아 기설정된 재생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재생시간이 도달한 경우에는 재생재 용기 밸브 구동부(냉수용)(28), (온수용)(29)를 구동시켜 재생재 용기 밸브를 일정시간동안 열린 후 닫히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를 동작시키는 전기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 5의 실시예는 이온교환수지를 자동세척할 수 있는 자동세척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연수기에 대한 것이고, 도 1 내지 도 3의 구성과 비교할 때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하여는 별도 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온수 유입관(6)과 온수 유출관(9)은 연결관(52)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관(52)과 온수 유출관(9)의 연결점에는 3방 밸브(51)가 설치된다. 또한, 온수 유입관(6)에는 퇴수관(7)이 분지되며, 분지점에는 3방 밸브(50)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22)에는 3방 밸브(50)를 구동시키는 온수 유입측 3방 밸브 구동부(53)와, 3방 밸브(51)를 구동시키는 온수 유출측 3방 밸브 구동부(54)가 설치된다.
입력부(21)에 의하여 자동세척시간 주기가 설정되고, 카운터(30)에 의하여 자동세척시간이 인식되면 제어부(22)는 온수 유출측 3방 밸브 구동부(54)를 제어하여 3방 밸브(51)를 온수 유출관(9)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물 흐름을 패쇄하고, 연결관(52)의 물이 온수 유출관(9)을 통하여 단열 온수용기(2) 내로 유입되도록 동작시키며, 온수 유입측 3방밸브 구동부(53)를 제어하여 3방 밸브(50)가 단열 온수용기(2)로부터 온수 유입관(6)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퇴수관(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3방 밸브(50), (51)이 동작되면, 온수 유입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온수는 연결관(52)에 유입되어 화살표(a)와 같이 온수 유출관(9)을 거쳐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온교환수지를 역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역세척된 온수는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상층에 부상하게 되며, 부상된 역세척된 물은 살수부(41)로 유입된 후 화살표(b)와 같이 온수 유입관(6)을 거쳐 퇴수관(7)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역세척이 일어나는 시간은 제어부(22)에 설정되어 있으 며, 역세척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22)는 3방 밸브(50), (51)을 제어하여 원래의 정상동작이 일어나도록 한다. 즉, 온수 유입관(6)을 통하여 단열 온수용기(2)에 온수가 유입되고, 온수 유출관(9)을 통하여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에 따르면, 연수기(100)의 단열 온수용기(2) 내에 저장된 물이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고,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일정한 온도 이하인 경우에 온수 유입관(6)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퇴수관(7)을 통하여 바이 패스(by-pass) 시키고, 높은 온도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 퇴수관을 닫아 단열 온수용기(2)에 뜨거운 물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수가 다 배출되는 동안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배출되는 물의 양을 줄임으로써 물낭비를 감속시킨다.
또한, 온수 유입관(6)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열이 열교환부(8)에 의하여 단열 온수용기(2)의 내부의 냉각된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초기의 냉각상태에서 빠른 시간안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열교환부(8)와 단열 온수용기(2)의 물이 항상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수의 온도가 급작스럽게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정도를 감소시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온도의 갑작스런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마다 또는 일정 온수 사용량 마다 재생재 용기의 밸브를 동작시켜 재생재 용기 내의 재생재를 단열 온수용기(2)와 냉수 용기(3)에 투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다.
또한, 일정 주기마다 이온교환수지를 역세척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역세척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어 있으며, 내부에 유입되는 온수를 연화시키며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온수용기;
    상기 단열 온수용기에 온수를 유입시키는 온수 유입관;
    상기 단열 온수용기로부터 온수를 배출시키는 온수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분지되는 퇴수관;
    상기 온수 유입관과 퇴수관의 분지점에 설치되는 전기에 동작되는 제1 3방 밸브(threeway valve);
    상기 온수 유입관을 통하여 온수가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정상동작 수행중에 기설정된 조건에서 상기 3방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퇴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용기 내부의 온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1)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유입관의 온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T2)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용기 내부의 온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1) 이상이며, 상기 온수 유입관의 온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T2)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입관은 상기 온수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온수 용기 내부로 연장된 연장부위에는 나선형의 열교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연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용기에 주입되는 이온교환수지용 재생재가 저장되는 재생재 용기와 상기 재생재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된 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재생재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용 재생재가 상기 온수 용기에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출관과 상기 온수 유입관 중 일부에는 상기 온수 용기로부터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절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입관과 상기 온수 유출관 사이에는 연결관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 유출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점에는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삼방 밸브가 설치되며, 기설정된 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1 삼방 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부터 온수가 상기 퇴수관과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온수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상기 퇴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삼방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온수 유입관으로 유입된 온수가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온수 유출관을 통하여 상기 온수 용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전기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유입관은 상기 온수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온수 용기의 내측 상부에서 온수를 살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온수 용기로부터 온수가 배출되지 않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온수용기는 용기벽에 합성수지재의 단열층이 형성되어 열방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온수용기는 용기벽에 진공층이 형성되어 열방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070067661A 2007-07-05 2007-07-05 연수기 KR20090003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61A KR20090003904A (ko) 2007-07-05 2007-07-05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661A KR20090003904A (ko) 2007-07-05 2007-07-05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04A true KR20090003904A (ko) 2009-01-12

Family

ID=4048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61A KR20090003904A (ko) 2007-07-05 2007-07-05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01B1 (ko) *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01B1 (ko) *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4851B2 (en) Modular tankless water heater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of operation
CN112050477B (zh) 一种具有零热水功能的热水器控制系统及工作方法
JP5312215B2 (ja) 熱回収システム
CN107202425A (zh) 热水器末端调节装置及具有其的热水器组件
KR20090003904A (ko) 연수기
JP4585799B2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KR100666557B1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2014153003A (ja) 熱交換システム
KR101386873B1 (ko) 폐온수 재활용 시스템
JP2010190466A (ja) 給湯装置
CN203501471U (zh) 热水器
CN206033288U (zh) 净水机废水处理系统
KR102526971B1 (ko)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JP2010078178A (ja) 給湯装置
JP484345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4163647A (ja) タン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02137B1 (ko) 잔류수 활용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CN216282025U (zh) 一种软水热水器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JP3835397B2 (ja) 給湯装置
JP2011002123A (ja) 貯湯式給湯機
CN107305068B (zh) 一种节水型出水终端实现方法
JP6484411B2 (ja) 貯湯システム
JP4084146B2 (ja) 高温浄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