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847A -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847A
KR20090003847A KR1020070067561A KR20070067561A KR20090003847A KR 20090003847 A KR20090003847 A KR 20090003847A KR 1020070067561 A KR1020070067561 A KR 1020070067561A KR 20070067561 A KR20070067561 A KR 20070067561A KR 20090003847 A KR20090003847 A KR 2009000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filtration member
water meter
wa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816B1 (ko
Inventor
이덕남
Original Assignee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8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2Cleaning arrangements; Filters
    • G01F15/125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깨끗하고 맑은 물을 공급하며 수도계량기의 고장을 예방하도록 하는 수도 계량기용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도계량기 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도계량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1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외측에는 끼움홈(11)이 구비되며, 몸체(10)의 둘레면에는 망 크기가 넓은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12)이 구비된 제 1여과부재(1)와,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2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내측에는 지지돌기(21)가 구비되며, 몸체의 둘레면에는 망사이의 간격이 조밀한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22)이 구비된 제 2여과부재(2)로 구성된다.
계량기, 수도미터기, 스트레이너, 메쉬, 2중 여과

Description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a Strainer of water meter}
도 1은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도계량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여과부재 2 - 제 2여과부재
10, 20 - 몸체 11 - 끼움홈
21 - 지지돌기 12, 22 - 유체통과홀
13, 23 - 걸림턱 30 - 오링부재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깨끗하고 맑은 수돗물을 공급하며,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계량기의 부동, 오차발생, 익차파손, 기어파손 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정적이고 고장율 감소로 인한 민원 해소 및 정확한 급수량 측정으로 예산절감 및 유수율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스트레이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저장된 물 혹은 유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배관을 이용하여 특정한 다른 장소로 유체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는 그 자체적으로 돌이나 기타 각종 오물을 포함하고 있다.
또, 돌 이외에 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녹 등의 오물이나 배관을 용접할 때 발생된 슬러지(이하, "이물질"로 칭함)들이 존재하게 되어, 배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물질들로 인한 배관의 막힘 현상은 특히, 유체를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 이송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밸브 및 기타 조절밸브등을 고장나게 하여, 배관 전체, 펌프, 각종 밸브 자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에 상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금속재질의 여과망으로 된 스트레이너를 장착하고, 정기적으로 상기 스트레이너를 청소하거나 장시간 사용으로 부식되거나 파손될 경우 새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종래, 스트레이너는 대부분 주철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 걸림망이 일체 로 용접하여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그 구조적인 취약점에 의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망이 고수압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기도 한다.
이 때 이물질의 유입이 완벽하게 차단되지 못하는 관계로 계량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기도 하고, 그 이외에 주철이 가지고 있는 소재의 특성상 쉽게 부식되어 이에 따라 내부에 생성되는 스케일(부식)에 의하여 계량기가 빈번하게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장치와 계량기 사이에는 유체유동의 난류현상을 층류로 바꾸어 정확한 계량값을 얻기 위하여 직선상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직관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공수도 많아지고 재료나 소요되는 부품이 많아지게 되어 결국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계량기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깨끗하고 맑은 수돗물을 공급하며,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계량기의 부동, 오차발생, 익차파손, 기어파손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안정적이고 고장률 감소로 인한 민원해소 및 정확한 급수량을 측정하여 예산 절감 및 유수율 증대에 기여하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계량기 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도계량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1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외측에는 끼움홈(11)이 구비되며, 몸체(10)의 둘레면에는 망 크기가 넓은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12)이 구비된 제 1여과부재(1)와,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2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내측에는 지지돌기(21)가 구비되며, 몸체의 둘레면에는 망사이의 간격이 조밀한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22)이 구비된 제 2여과부재(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여과부재(1)의 몸체(10) 둘레면 외측과, 제 2여과부재(2)의 몸체(20) 둘레면 내측에는 각각 걸림턱(13)(23)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13)(23)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오링부재(30)를 구성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가 제 1여과부재와 제 2여과부재로 구성되고 이들이 체결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가 수도계량기에 결합되어 실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와 스트레이너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수도계량기의 유입구에 스트레이너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1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트레이너는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로 구성된다.
제 1여과부재(2)는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부의 외측에는 제 2여과부재(2)의 밀폐된 내측부에 형성된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여과부재(1)는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의 둘레면에는 망사이의 간격이 넓은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12)들이 성형되어 있다.
제 2여과부재(2)는 제 1여과부재(1)보다 몸체의 외경이 더 크며, 제 1여과부재(1)와 마찬가지로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로, 일측은 개구되어 있고, 타측은 밀폐되어 있으며, 밀폐된 타측부의 내측에는 제 1여과부재(1)에 형성되어진 끼움홈(11)에 끼워지도록 지지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의 둘레면에는 제 1여과부재(1)에 둘레면에 형성된 망사이의 간격의 간격이 넓은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12)보다 간격이 더 좁고 조밀하게 형성된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오링부재(30)가 끼워져 있다.
제 1여과부재(1)의 몸체 둘레면 외측과 제 2여과부재(2)의 몸체 둘레면 내측에는 각각 걸림턱(1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의 몸체에 형성된 걸림턱(13)(23) 사이에 오링부재(30)가 끼워져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 1여과부재(1)를 통과하지 않은 물이 제 2차여과부재(2)로 바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로 이루어진 스트레이너가 수도계량기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된다.
먼저, 제 2여과부재(2)가 유입구에 설치된 후 제 2여과부재(2)의 내측으로 제 1여과부재(1)가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제 2여과부재(2)의 몸체 내측에 구비된 지지돌기(21)에 제 1여과부재(1)의 몸체 외측에 구비된 끼움홈(11)이 끼워져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가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여과부재(2)의 몸체 둘레면 내측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고, 오링부재(30)가 제 2여과부재(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턱(23)에 밀착되게 되는데, 이때 제 1여과부재(1)를 삽입하게 되면, 제 1여과부재(1)의 둘레면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3)이 오링부재(30)에 걸리게 되어,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에 구비된 걸림턱(13)(23) 사이에 오링부재(30)가 끼워져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도계량기로 유입되는 물에 첨가된 이물질을 제 1여과부재(1)와 제 2여과부재(2)에 의해 2차에 걸쳐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는 데, 상기 제 1여과부재(1)의 유체통과홀(12)은 망 크기가 넓게 성형하고, 제 2여과부재(2)의 유체통과홀(22)은 망 크기가 좁게 성형하여 1차로 비교적 부피가 큰 돌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지게 한 후 제 2여과부재(2)에서 작은 이물질도 2차에 걸쳐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이너가 구비되어진 수도계량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공급라인과 연결된 하부외갑(130)의 유입구(130a)를 통과한 물은 스트레이너(200)를 거쳐 하부외갑(130) 내부로 유입된다.
스트레이너(20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하부내갑(150)의 유입공(150a)을 통해 하부내갑(15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하부내갑(15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하부내갑(150)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익차조립체의 익차(161)를 회전시킨다.
익차조립체가 회전되면, 계수량장치(170)의 기어조립체(171) 및 카운팅유닛이 익차조립체와 연동하여 작동된다.
익차조립체는 하부내갑(150)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에 비례하여 회전하므로, 하부외갑(130)의 유입구(130a)를 통해 유입된 물의 양이 카운팅유닛을 통해 측정된다.
하부내갑(150) 내부에서 익차(161)를 회전시킨 물은 하부내갑(150)의 유출공(150b)을 통해 빠져나간 후, 하부외갑(130)의 유출구(130b)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의 여과부재를 스텐레스 스틸 재질로 이중으로 구성하여, 스케일(부식)의 발생이 적어 인체에 유해성이 없으며, 보다 맑은 물을 공급하고, 수도계량기로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생기는 부동현상이 줄어들어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장을 감소시켜 이로 인한 민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 이다.

Claims (2)

  1. 수도계량기 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도계량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1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외측에는 끼움홈(11)이 구비되며, 몸체(10)의 둘레면에는 망 크기가 넓은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12)이 구비된 제 1여과부재(1)와,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의 몸체(20)로, 일측은 개구되고, 밀폐된 타측의 내측에는 지지돌기(21)가 구비되며, 몸체의 둘레면에는 망사이의 간격이 조밀한 메시구조의 유체통과홀(22)이 구비된 제 2여과부재(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여과부재(1)의 몸체(10) 외측과, 상기 제 2여과부
    재(2)의 몸체(20) 내측에는 각각 걸림턱(13)(23)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13)(23)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오링부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20070067561A 2007-07-05 2007-07-05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91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561A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7-07-05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561A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7-07-05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47A true KR20090003847A (ko) 2009-01-12
KR100919816B1 KR100919816B1 (ko) 2009-10-01

Family

ID=4048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561A KR100919816B1 (ko) 2007-07-05 2007-07-05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73B1 (ko) 2013-01-07 2013-08-14 (주)대한정공 점검창을 구비한 임시 여과기
KR20200046288A (ko) 2018-10-24 2020-05-07 이상무 자석결합형 스트레이너
KR102079671B1 (ko) 2019-07-01 2020-02-20 이상무 각종 스트레이너용 자석식 철분포집장치
KR102363403B1 (ko) 2021-08-05 2022-02-14 예영동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379A (ja) * 2000-10-03 2002-04-09 Iwasaki Seisakusho:Kk 消防ポンプ用サクションホースの吸込構造
KR200282396Y1 (ko) * 2002-04-26 2002-07-22 아하플랜트산업(주) 스트레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816B1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6732A1 (en) In-line strainer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0919816B1 (ko)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0485303B1 (ko)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NZ545881A (en) Flowmeter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JP5663276B2 (ja) トンネル水噴霧設備及びストレーナ装置
JP493862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101189571B1 (ko) 배관에 설치되는 원터치방식 스트레이너
US20170312661A1 (en) Self-cleaning three way valve for use with a water purifier
JP2007083102A (ja) ストレーナ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1254066B1 (ko) 상수도관의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 장치
JP2011125792A (ja) 縦形ストレーナ
CN101721852A (zh) 管线过滤器
CN207271433U (zh) 一种高效的石油化工过滤器
KR102140263B1 (ko) 스트레이너
KR20040098911A (ko) 압력계가 설치된 스트레이너
KR100491409B1 (ko) 스트레이너 청소장치
CN213874518U (zh) 流量计清洗装置
KR20200095820A (ko) 자동세척 스트레이너
US20150021259A1 (en) Flush valve filter
JP5654830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200355947Y1 (ko) 상수도용 스트레이너 장치
JP2006082031A (ja) Y形ストレ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