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72U - 진동알람 시계팔찌 - Google Patents

진동알람 시계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72U
KR20090002172U KR2020070014496U KR20070014496U KR20090002172U KR 20090002172 U KR20090002172 U KR 20090002172U KR 2020070014496 U KR2020070014496 U KR 2020070014496U KR 20070014496 U KR20070014496 U KR 20070014496U KR 20090002172 U KR20090002172 U KR 20090002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ibration
control unit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2020070014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172U/ko
Publication of KR20090002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1Controls (winding up the alarm; adjusting and indicating the waking ti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12Alarm watches to be worn in pockets or on the wris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05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in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2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feeling; Clocks or watches for blind persons
    • G04B25/04Alarm clocks or watches with devices stimulating the ski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알람 시계팔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형태로 형성되어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를 버튼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며, 센서에 물이 접촉되어야만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되며, 인체의 팔 부위에 팔찌처럼 고정되는 밴딩부로 이루어져 상기 알람이 진동으로 작동되고, 샤워나 세면을 통해 센서에 물이 접촉됨으로 인해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세팅되는 버튼을 갖는 세팅제어부와, 상기 세팅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는 경우 그 알람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신체의 팔부위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세팅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면 진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된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 액정표시부, 세팅제어부, 센서제어부, 밴딩부, 진동모터

Description

진동알람 시계팔찌{VIBRATION ALARM A BRACELET WATCH}
본 고안은 진동알람 시계팔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형태로 형성되어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를 버튼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며, 센서에 물이 접촉되어야만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되며, 인체의 팔 부위에 팔찌처럼 고정되는 밴딩부로 이루어져 상기 알람이 진동으로 작동되고, 샤워나 세면을 통해 센서에 물이 접촉됨으로 인해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에 관한 것이다.
팔찌는 네크리스나 앵클릿(발목장식) 등과 함께 신체의 장식으로서 원시시대부터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BC 3500년경에 이미 조개껍데기를 줄에 꿰어서 만든 팔찌를 볼 수 있는데, 현존하는 미개인들의 것과 유사한 점이 있다. 얼마 후 그것들은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서 상아·청동 등으로 소재가 바뀌고 BC 300년대는 금을 비롯한 금속제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이미 고대사회에서 특히 상류층에서 장신구를 즐겨 사용하여 사슬 ·나선 ·고리 모양 등 여러 가지 디자인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세에 들어와 의복으로 몸을 가리는 것이 중요시되면서 일시 자취를 감추었다가 15세기에 이르러 다시 일반화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시대의 변천과 더불어 성쇠(盛衰)가 되풀이되었으나 대체로 팔찌가 유행한 것은 의복의 노출부분이 많은 시대와 복장 스타일이 단순한 시대에 많이 볼 수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보면 현대도 바로 그러한 시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팔찌의 종류는 모양으로 보면 체인(사슬 모양), 링(고리 모양), 힌지(경첩식), 뱅글(장식 고리식), 러브(하트형을 사슬에 연결한 것), 슬레이브(팔목에 꼭 끼는 고리 모양) 모양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부산 동산동 유적과 통영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팔찌로 미루어 신석기시대부터 착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는 널리 착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거의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알람시계인 탁상시계·손목시계 속에 벨이나 진동모터를 구비하고, 지표(指標)를 특정 시각에 맞추어 놓으면, 그 시각에 벨을 울리는 기구(機構)가 작용하여 자동으로 벨이 울리게 되어 있다. 주로 아침에 잠을 깨는 데 사용한다. 깊은 잠을 깨기 위해서는 맨 처음에 작은 음을 내고 차차 음이 커지게 하거나, 5분 또는 10분 간격으로 울리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열차나 고속버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목적지까지 여행을 하는 경우에 여행 동안에 여행자가 수면을 취하거나 무심코 졸게 되면 하차하여야 하는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여행자는 목적지에서 하차를 하기 위하여 수면을 취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휴게실이나 병원 또는 사우나 등과 같이 일정의 공간에서 수면을 취할때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정해진 시간에 기상을 할 수 없었다. 이를 위하여 알람시계 등을 이용하여 기상 시간을 설정한 후에 음향 신호 알람에 의해 기상을 할 수도 있었지만, 이는 음향 신호에 의한 알람 음의 발생으로 인해 공동생활을 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경우 기존의 음향을 이용한 알람시계의 효용가치가 전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소음이 큰 장소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도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특히,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 가운데 직장 등의 문제로 출근을 위해 혼자 스스로 기상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자명종이나 시계 등의 음향 및 진동 알람을 이용하여 기상을 하게 되는데, 잠이 깊이 들게 되는 경우 시계 또는 자명종의 알람이 울리게 되면 알람을 멈추게 한채로 잠들게 되어 출근이나 약속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계형태로 형성되어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를 버튼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며, 센서에 물이 접촉되어야만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되며, 인체의 팔 부위에 팔찌처럼 고정되는 밴딩부로 이루어져 상기 알람이 진동으로 작동되고, 샤워나 세면을 통해 센서에 물이 접촉됨으로 인해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기 때문에 여행자가 하차하여야 하는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를 방지하여 여행자가 여행 동안에 편안한 마음으로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휴게실이나 병원 또는 사우나 등과 같이 일정의 공간에서 수면을 취할때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공동생활을 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정해진 시간에 기상을 할 수 있으며, 청각장애인과 소음이 큰 장소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도 원하는 시간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 가운데 직장 등의 문제로 출근을 위해 혼자 스스로 기상을 하는 사람들도 물이 접촉되어야만 작동이 멈추는 알람 때문에 샤워나 세수 혹은 센서에 물을 접촉시키기 위해 기상해야함으로 약속이나 출근시간에 차질을 빚는 일을 방지하게 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와, 상기 액정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세팅되는 버튼을 갖는 세팅제어부와, 상기 세팅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는 경우 그 알람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신체의 팔부위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세팅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면 진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된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는, 상기 밴딩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진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강도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제어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센서제어부는, 물이 상기 센서제어부에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알람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신체의 팔부위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세팅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면 진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진동모터가 구비된 밴딩부와 시간을 알리는 숫자가 표시되고, 그 숫자를 버튼으로 설정하여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하며, 센서에 물이 접촉되어야만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되는 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갖기 때문에 여행자가 하차하여야 하는 목적지를 지나치는 경우를 방지하여 여행자가 여행 동안에 편안한 마음으로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휴게실이나 병원 또는 사우나 등과 같이 일정의 공간에서 수면을 취할때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도 공동생활을 하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정해진 시간에 기상을 할 수 있으며, 청각장애인과 소음이 큰 장소에서 생활하는 이들에게도 원하는 시간을 확실 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혼자서 생활하는 사람들 가운데 직장 등의 문제로 출근을 위해 혼자 스스로 기상을 하는 사람들도 물이 접촉되어야만 작동이 멈추는 알람 때문에 샤워나 세수 혹은 센서에 물을 접촉시키기 위해 기상해야함으로 약속이나 출근시간에 차질을 빚는 일을 방지하게 하며, 팔찌 형태로 형성되어 외관상 미려하고 사용이 용이한 사용상의 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의 단면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에 따른 센서제어부(140)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는,
배터리(1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시간을 알리는 숫자(122)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120)와, 상기 액정표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세팅되는 버튼(132)을 갖는 세팅제어부(130)와, 상기 세팅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는 경우 그 알람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센서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신체의 팔부위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세팅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면 진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진동모터(155)가 구비된 밴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150)는, 상기 밴딩부(150)의 일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진동모터(1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155)의 진동강도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제어버튼(15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센서제어부(140)는, 물(20)이 상기 센서제어부(140)에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알람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진동알람 시계팔찌(10)를 작동상태에 따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의 역할을 하는 숫자(122)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120)를 세팅제어부(130)에 구비된 버튼(132)으로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설정하고, 그 알람은, 상기 세팅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밴딩부(150)에 구비된 다수개의 진동모터(155)가 진동됨으로써 이루게 되는데, 상기 진동모터(155)의 진동은 상기 진동모터(1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제어 부(140)에 물(20)이 접촉됨으로써 제어되어 알람 작동이 멈추게 된다.
더불어, 상기 진동모터(155)의 진동강도는 상기 밴딩부(150)의 일단에 형성된 진동제어버튼(158)에 의해 진동의 강약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밴딩부(150)는 신체의 팔부위에 감긴 채로 고정되고, 상기 밴딩부(150)의 외면은, 상기 센서제어부(140)에 물(20)이 접촉시 상기 밴딩부(150)의 외면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알람 시계팔찌(10)는 세팅제어부(130), 액정표시부(120), 센서제어부(140) 및 배터리(110)를 갖는 몸체부(10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일면을 제외하고 감싸도록 형성되고, 진동모터(155)를 갖는 밴딩부(150)는 상기 배터리(110)에 해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1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LED(미도시)가 구비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상기 액정표시부(120)의 숫자(122)를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의 단면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알람 시계팔찌(10)에 따른 센서제어부(140)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진동알람 시계팔찌 20 : 물
100 : 몸체부 110 : 배터리
120 : 액정표시부 122 : 숫자
130 : 세팅제어부 132 : 버튼
140 : 센서제어부 150 : 밴딩부
155 : 진동모터 158 : 진동제어버튼

Claims (3)

  1. 배터리(11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시간을 알리는 숫자(122)가 표시되는 액정표시부(120)와, 상기 액정표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시간에 알람이 작동되도록 세팅되는 버튼(132)을 갖는 세팅제어부(130)와, 상기 세팅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는 경우 그 알람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센서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신체의 팔부위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세팅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이 작동되면 진동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진동모터(155)가 구비된 밴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150)는, 상기 밴딩부(150)의 일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상기 진동모터(1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모터(155)의 진동강도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진동제어버튼(15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부(140)는, 물(20)이 상기 센서제어부(140)에 접촉됨으로 인해 상기 알람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알람 시계팔찌(10).
KR2020070014496U 2007-08-30 2007-08-30 진동알람 시계팔찌 KR200900021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96U KR20090002172U (ko) 2007-08-30 2007-08-30 진동알람 시계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96U KR20090002172U (ko) 2007-08-30 2007-08-30 진동알람 시계팔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72U true KR20090002172U (ko) 2009-03-04

Family

ID=4150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496U KR20090002172U (ko) 2007-08-30 2007-08-30 진동알람 시계팔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172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95B1 (ko) * 2013-01-11 2014-02-12 김형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KR101450623B1 (ko)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진동형 시계장치, 진동형 밴드시계 및 이를 이용한 현재시간인식방법
WO2015002341A1 (en) * 2013-07-04 2015-01-08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177409A1 (zh) * 2016-04-14 2017-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以及振动控制方法
EP3200043A4 (en) * 2014-09-26 2018-07-25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95B1 (ko) * 2013-01-11 2014-02-12 김형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WO2015002341A1 (en) * 2013-07-04 2015-01-08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41675B2 (en) 2013-07-04 2015-05-26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50623B1 (ko) * 2014-04-29 2014-10-15 김진호 진동형 시계장치, 진동형 밴드시계 및 이를 이용한 현재시간인식방법
EP3200043A4 (en) * 2014-09-26 2018-07-25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261474B2 (en) 2014-09-26 2019-04-16 Lg Electronics Inc. Watch typ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7177409A1 (zh) * 2016-04-14 2017-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以及振动控制方法
CN108604082A (zh) * 2016-04-14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以及振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4271B2 (en) Biometric monitoring device with contextually-or environmentally-dependent display
KR20090002172U (ko) 진동알람 시계팔찌
JP2007199025A (ja) 睡眠センサー付身体装着装置
CN205507377U (zh) 一种自动报警手表
US6411570B1 (en) Procrastinator&#39;s watch
CN214474451U (zh) 一种可穿戴式叫醒健康监控装置
CN201185987Y (zh) 可发光的唤醒眼罩
CN108669720A (zh) 一种震动式的无声手环闹钟
CN215867511U (zh) 用于唤醒的震动脚环闹钟
JPH04212331A (ja) 眠り検出装置
ITBO20070661A1 (it) Orologio da polso con funzione di sveglia e dispositivo vibrante
RU2548043C2 (ru) Ча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час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3053356U (ja) 起きるまでアラームが鳴りやまない目覚まし時計
US6349074B1 (en) Alarm system for desktop clock
EP1059575A2 (en) Alarm clock and alarm clock simulating indicator
JPS63247685A (ja) 時計
JPH0317591A (ja) 目覚し時計及びその時針
KR20090017345A (ko) 온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명종
CN206994688U (zh) 一种手链
JPH04319692A (ja) レム検出形目覚し時計
JPH11202066A (ja) 起きるまでアラームが鳴りやまない目覚まし時計
JP2001059880A (ja) 目覚まし装置
KR200290584Y1 (ko) 시계
US20060274609A1 (en) Silent alarm wrist watch
JP2001243570A (ja) 警報音発生方法及び発音式警報指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