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295B1 -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295B1
KR101360295B1 KR1020130003502A KR20130003502A KR101360295B1 KR 101360295 B1 KR101360295 B1 KR 101360295B1 KR 1020130003502 A KR1020130003502 A KR 1020130003502A KR 20130003502 A KR20130003502 A KR 20130003502A KR 101360295 B1 KR101360295 B1 KR 10136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larm
liquid container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
Original Assignee
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 filed Critical 김형
Priority to KR102013000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21Controls (winding up the alarm; adjusting and indicating the waking ti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를 담는 형상을 갖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현재 시각을 파악하는 시계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각이 설정되고, 특정 시각에 소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액체가 담긴 뒤 상기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은, 액체 용기에 부착되는 액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물 등을 액체 용기에 일정 수위만큼 투입하였는지, 액체 용기에 담긴 물 등을 사용자가 음용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알람을 정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여 알람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은, 알람을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물을 음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전 공복 상태에서 물을 섭취함에 따라 수면 도중 사용자의 신체에 축적된 노폐물이 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를 방지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An alarm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각종 시계들은, 대부분 알람 기능을 내포하고 있다. 알람 기능이라 함은 특정한 시각이 되었을 때 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시각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시각이 결정되고 알람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기능은 주로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수면으로 인해 몽롱한 상태에 놓여있으며 잠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갖고 있음에 따라, 무의식 중에 알람을 끄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일반적인 시계들은 버튼에 의해 알람 기능의 온오프(On, Off)가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히 버튼을 누름으로써 알람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알람 기능이 정지된 시계에 의해 사용자는 다시 잠에 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중요한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시계들은 알람이 쉽게 정지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 알람이 울릴 경우 사용자가 시계를 파지하고 상하로 수 회 흔들어야 알람이 정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알람 동작 시 시계가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는 시계를 쫓아다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잠으로부터 깨어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의 특정 움직임을 강요하는 시계의 경우, 사용자가 몽롱한 상태에서 급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스스로 움직임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함에 따라,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 하는 행동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알람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숙련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잠에서 완전히 깨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쉽게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어, 알람 기능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용기에 액체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액체 용기에 담는 것을 감지한 후, 사용자자 액체 용기 내의 액체를 음용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알람을 정지시켜서, 알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물을 마셔야 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알람의 작동이 필요한 오전에 사용자가 공복의 상태에서 물을 섭취하도록 함에 따라, 물에 의해 노폐물 제거, 변비 예방, 비만이나 피부염 방지 등과 같은 신체 호전 효과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는, 액체를 담는 형상을 갖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현재 시각을 파악하는 시계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각이 설정되고, 특정 시각에 소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액체가 담긴 뒤 상기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방법은, 액체가 담기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액체 용기에 담기는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이용한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시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현재 시각이 상기 특정 시각일 경우 알람을 작동하는 단계;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액체 용기에 액체가 담기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액체 용기에 담긴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은, 액체 용기에 부착되는 액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물 등을 액체 용기에 일정 수위만큼 투입하였는지, 액체 용기에 담긴 물 등을 사용자가 음용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알람을 정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여 알람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은, 알람을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물을 음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전 공복 상태에서 물을 섭취함에 따라 수면 도중 사용자의 신체에 축적된 노폐물이 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하는 동시에, 탈수를 방지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액체 용기에 액체가 담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의 액체 용기에 액체가 담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7에서는 편의상 액체 용기(10)와 감지센서(20)만을 표시하였으며 시계부(30) 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장치(1)는, 액체 용기(10), 감지센서(20), 시계부(30), 알람부(40), 제어부(50), 용기 결합부(60)를 포함한다.
액체 용기(10)는, 액체(2)를 담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겨지도록 하고, 액체 용기(10)에 담겨진 액체(2)를 사용자가 음용하여야만 알람이 정지되도록 하여, 알람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용기(10)에 담겨지는 액체(2)는 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잠에서 깬 공복 상태에서 물을 섭취함으로써, 수면 시간 동안 신체에 축적된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액체 용기(10)는 물 등과 같은 액체(2)를 담는 형상이면 충분하며, 일례로 원통과 같은 컵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액체 용기(10)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감지센서(20)는,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2)를 감지한다. 감지센서(20)는 액체 용기(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물의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 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20)는 액체 용기(1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2)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센서(20)는, 액체(2)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액체 용기(10)에는 액체(2)가 담길 수 있으며, 액체(2)는 유도기전력의 변화 등을 이용한 감지가 불가하다. 대신 본 실시예는, 일례로 콘덴서와 같은 대전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을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를 감지센서(20)로 사용함으로써, 감지센서(20)가 액체 용기(10)의 외부에 구비된 상태로 액체(2)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2)에 의해 감지센서(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액체(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20)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20)를 상하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은 액체 용기(10)에 담기는 액체(2)의 수위를 충분히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하 방향이라 함은, 감지센서(20)가 상하 일직선으로 구비되는 것 외에도, 감지센서(2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어긋나게 설치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20)를 상하로 2개 설치할 경우, 액체 용기(10)에 담기는 액체(2)의 수위는 총 세 가지로 판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면 액체 용기(10)의 액체(2)는 가장 높게 설치된 감지센서(20)보다 높은 수위만큼 액체 용기(10)에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면 액체 용기(10)의 액체(2)는 상하로 구비된 감지센서(20)의 사이까지 액체 용기(10)에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액체(2)를 감지하는 하나의 감지센서(20)는 하방에 위치한 감지센서(20)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지 못한다면, 액체 용기(10)의 액체(2)는 가장 낮게 설치된 감지센서(20)보다 낮은 수위만큼 담겨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감지센서(20)를 상하로 구비하여 액체(2)의 수위를 파악하고, 액체(2)가 담겨진 후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감지센서(20)가 상하로 구비될 경우, 본 실시예는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하방에 위치한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한 경우, 액체(2)는 하방의 감지센서(20)보다 낮은 수위만큼 담겨져 있음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후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한다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액체 용기(10)를 파지한 후 기울여서 액체(2)가 모든 감지센서(20)에 접촉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만 하방의 감지센서(20)에 의해서만 액체(2)가 감지된 후 상방의 감지센서(20)에 의해서도 액체(2)가 감지되는 상황은,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지는 경우 외에도 액체(2)가 보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감지센서(20)를 상하로만 구비할 경우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진 것을 명확히 구별해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감지센서(20)는 타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구성되어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타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20)는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놓일 수 있다.
일측의 감지센서(20)와 타측의 감지센서(20)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는 것은, 어느 일측의 감지센서(20)와 타측의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가 감지된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경우, 액체(2)가 기울어졌음을 명백히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비된 감지센서(20)는, 액체(2)의 수위를 세 가지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동시에,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진 것 역시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감지센서(20) 중에서 하방의 감지센서(20)와, 타측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할 경우 액체(2)는 일측 하방의 감지센서(20)보다 높은 수위 또는 타측의 감지센서(20)보다 높은 수위만큼 액체 용기(10)에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체 용기(10)를 기울이게 되면, 일측에 있는 감지센서(20)가 모두 액체(2)를 감지하거나 또는 하방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할 수 있고, 타측에 있는 감지센서(20)는 액체(2)를 미감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설치된 일측의 감지센서(20)와 타측의 감지센서(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0)에만 액체(2)가 감지될 경우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져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체 용기(10)에 담긴 액체(2)를 음용하였다면, 액체(2)는 수위가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모든 감지센서(20)는 액체(2)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액체 용기(10)에서 액체(2)가 충분히 배출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등과 같은 감지센서(20)를 활용하여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어떻게 담겨져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알람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알람을 종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시계부(30)는, 현재 시각을 파악한다. 시계부(30)는 액체 용기(10)의 외측에 체결되어 현재 시각을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육안으로 편리하게 시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LED), 야광물질 등을 이용하여 숫자나 시침, 분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알람부(4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각이 설정되고, 특정 시각에 소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사용자는 알람을 원하는 특정 시각을 알람부(40)에 입력하며, 알람부(40)는 시계부(30)를 통해 현재 시각을 파악하여 현재 시각과 특정 시각을 비교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과 일치하는 경우, 알람부(40)는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40)는 후술할 제어부(50)를 통해서, 특정 시각이 되면 알람을 작동시키고,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의 배출이 감지되면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다. 알람부(40)가 알람을 정지시키는 구동에 대해서는 이하 제어부(50)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알람부(4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알람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이 도달하면 제어부(50)는 알람부(40)를 작동시켜 소음 또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액체(2)가 담긴 뒤, 액체(2) 중 적어도 일부가 액체 용기(10)로부터 배출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알람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0)가 알람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은, 일례로 사용자가 알람을 확인하고 액체 용기(10)에 물 등을 부어 넣은 후, 액체 용기(10)를 파지하고 액체 용기(10)에 담긴 물을 음용하여 액체 용기(1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황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종래의 알람 시계와 같이 단순히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여 알람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액체 용기(10)를 구비하고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겨지는 것과, 액체(2) 중 일부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알람을 정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알람을 끄기 위해 물 등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알람 효과를 개선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건강을 도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감지센서(20)가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경우,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긴 액체(2)가 제1 수위를 만족한 뒤, 액체(2)가 제1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수위를 만족하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알람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수위는 상하로 설치되는 감지센서(20) 중 일부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는 수위 또는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는 수위를 의미하고, 제2 수위는 상하로 설치되는 감지센서(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거나 또는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지 못하는 수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의 수위를 파악하여,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긴 후 담겨진 액체(2)가 사용자에 의해 음용되는 것을 파악하여 선택적으로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다.
반면 감지센서(20)가 타측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경우, 제어부(50)는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긴 액체(2)가 제1 수위를 만족한 뒤,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짐에 따라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가 미감지된 후, 액체(2)가 제1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수위를 만족하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알람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감지센서(20)에 의한 액체(2)의 수위, 경사를 모두 파악함으로써,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긴 후 액체 용기(10)가 사용자에 의해 기울어져서 액체 용기(10)에 담겨진 액체(2)가 사용자에 의해 음용되는 것을 파악하여 선택적으로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다.
용기 결합부(60)는, 액체 용기(10)에 탈부착된다. 용기 결합부(60)에는, 감지센서(20), 시계부(30), 알람부(40), 제어부(50)가 안착되어, 상기 각 구성은 용기 결합부(60)에 의해 액체 용기(1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용기 결합부(60)는 밴드 형태일 수 있고, 원통 형태의 액체 용기(10)의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용기 결합부(60)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기 결합부(60)에 구비되는 감지센서(20)가 액체 용기(10)에 담겨진 액체(2)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면, 용기 결합부(60)는 어떠한 형태든 모두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용기 결합부(60)를 통해 감지센서(20), 시계부(30), 알람부(40), 제어부(50)를 액체 용기(1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액체 용기(10)의 교환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사용자는, 음료의 음용을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컵 등에 용기 결합부(60)를 부착하여, 컵 등을 알람 시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용기 결합부(60)를 액체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용기 결합부(60)에 안착될 수 있는 각 구성의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 있고, 알람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액체 용기(10)로부터 용기 결합부(60)를 분리시켜서, 파손 등의 위험으로부터 감지센서(2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겨진 것을 감지센서(20)로 감지하고, 액체(2)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음용된 것을 감지센서(20)로 감지함으로써 알람을 정지시켜서, 사용자가 알람을 쉽게 정지시킬 수 없도록 하여 알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물을 음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건강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방법은, 액체(2)가 담기는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액체 용기(10)에 담기는 액체(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0)를 이용한 알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시각을 입력받는 단계(S100),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일 경우 알람을 작동하는 단계(S110),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기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S120),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 용기(10)에 담긴 액체(2) 중 적어도 일부가 액체 용기(10)로부터 배출된 것을 감지하는 단계(S140), 알람을 정지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방법은,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짐에 따라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가 미감지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특정 시각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알람을 작동시키기 위해, 우선 특정 시각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시각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고, 시 단위 및 분 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현재 시각이 특정 시각일 경우 알람을 작동한다. 본 실시예는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현재 시각이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시각과 동일한 경우, 알람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특정 시각이 당도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알람은 소음 또는 진동 등을 일으키는 방식일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기는 것을 감지한다. 감지센서(20)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20에서는,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긴 액체(2)가 제1 수위를 만족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또는 어긋나게 설치되는 감지센서(20) 중에서,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는 수위 또는 일부의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는 수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수위는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일정량 담겨진 상태에서의 액체(2)의 수위를 의미한다.
단계 S130에서는,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짐에 따라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에 의해 액체(2)가 미감지되는 것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는 액체 용기(10)에 담겨진 액체(2)의 수위만을 토대로 하여 알람의 정지를 구현할 경우 단계 S130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는 단계 S130을 통해 액체 용기(10)의 기울어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액체(2)를 음용하는 것을 감지한 뒤 알람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20)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액체 용기(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일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는 액체(2)를 감지하였으나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20)는 액체(2)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0)와 타측의 감지센서(20)는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용기(10)가 기울어진 것은, 사용자가 액체 용기(10)를 파지하고 액체 용기(10)의 내부에 담겨진 액체(2)를 음용하고 있는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액체(2)를 음용하고 있음을 감지하는 것을 알람의 정지를 판단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알람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액체 용기(10)에 액체(2)를 담은 후 이를 음용하도록 할 수 있고, 액체(2)가 물일 경우 사용자가 물을 섭취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울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 용기(10)에 담긴 액체(2) 중 적어도 일부가 액체 용기(10)로부터 배출된 것을 감지한다. 단계 S140은 감지센서(20)를 통해 액체(2)가 제1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수위를 만족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수위라 함은, 상하로 배치되는 감지센서(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0)에 의해서만 액체(2)가 감지되거나 또는 모든 감지센서(20)가 액체(2)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액체 용기(10)로부터 액체(2)가 충분히 배출된 상황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액체 용기(10)에 담긴 액체(2)를 일정량 섭취한 경우 액체(2)의 수위는 제1 수위에서 제2 수위로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액체 용기(10)의 액체(2)를 음용함으로써 잠이 깨게 되어, 본 실시예는 단순히 버튼으로 알람을 종료시키는 종래의 알람 시계와 대비할 때 알람의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150에서는, 알람을 정지시킨다. 액체 용기(10)에 담겨져 있던 액체(2)가 사용자에 의해 충분히 음용되었음이 감지되면, 본 실시예는 알람을 정지시킨 후 다음 알람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특정 시각이 되면 알람을 작동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액체 용기(10)에 액체(2)가 담겨진 후 사용자가 액체(2)를 섭취하여 액체 용기(10)로부터 일정량만큼의 액체(2)가 제거되면 알람을 정지시켜서, 사용자에게 소음이나 진동을 통한 1차 알람과, 액체(2)의 음용을 통한 2차 알람을 제공하여 알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알람 장치 2: 액체
10: 액체 용기 20: 감지센서
30: 시계부 40: 알람부
50: 제어부 60: 용기 결합부

Claims (5)

  1. 액체를 담는 형상을 갖는 액체 용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현재 시각을 파악하는 시계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각이 설정되고, 특정 시각에 소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액체가 담긴 뒤 상기 액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배출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액체 용기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기는 액체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 용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긴 액체가 제1 수위를 만족한 뒤, 상기 액체가 상기 제1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수위를 만족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액체 용기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에 담긴 액체가 제1 수위를 만족한 뒤, 상기 액체 용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타측에 구비된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액체가 미감지된 후, 상기 액체가 상기 제1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수위를 만족한 것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알람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에 탈부착되는 용기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 시계부, 알람부, 제어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에 안착되어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장치.
KR1020130003502A 2013-01-11 2013-01-11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KR10136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02A KR101360295B1 (ko) 2013-01-11 2013-01-11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02A KR101360295B1 (ko) 2013-01-11 2013-01-11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295B1 true KR101360295B1 (ko) 2014-02-12

Family

ID=5027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02A KR101360295B1 (ko) 2013-01-11 2013-01-11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24B1 (ko) * 2014-01-15 2015-06-01 김재홍 스마트 텀블러
KR101892194B1 (ko) * 2017-09-21 2018-08-28 김윤선 요동형 알람 장치
CN110780582A (zh) * 2019-11-11 2020-02-11 青田古信钟表有限公司 一种用于保养后的机械表的检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089U (ko) * 1989-03-16 1990-09-27
KR200304569Y1 (ko) * 2002-11-27 2003-02-17 이성남 알람기능을 갖는 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액체손실방지용 용기세트
KR100752047B1 (ko) * 2007-06-04 2007-08-23 이광수 시각장애우용 안전컵 멜로디음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90002172U (ko) * 2007-08-30 2009-03-04 박정호 진동알람 시계팔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0089U (ko) * 1989-03-16 1990-09-27
KR200304569Y1 (ko) * 2002-11-27 2003-02-17 이성남 알람기능을 갖는 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액체손실방지용 용기세트
KR100752047B1 (ko) * 2007-06-04 2007-08-23 이광수 시각장애우용 안전컵 멜로디음 출력장치 및 방법
KR20090002172U (ko) * 2007-08-30 2009-03-04 박정호 진동알람 시계팔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24B1 (ko) * 2014-01-15 2015-06-01 김재홍 스마트 텀블러
KR101892194B1 (ko) * 2017-09-21 2018-08-28 김윤선 요동형 알람 장치
CN110780582A (zh) * 2019-11-11 2020-02-11 青田古信钟表有限公司 一种用于保养后的机械表的检验装置
CN110780582B (zh) * 2019-11-11 2021-07-23 曾振坤 一种用于保养后的机械表的检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085B2 (en) Method and circuit for switching a wristwatch from a first power mode to a second power mode
KR101360295B1 (ko)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US8339269B2 (en) Adjustable sensor for sensing a level of liquid
KR100794125B1 (ko) 비접촉식 수위 제어 장치
US9041298B2 (en) Motion activated toilet bowl lighting device
JP5106781B2 (ja) 睡眠センサー付身体装着装置および睡眠報知制御方法
WO2017180066A1 (en) Smart reminder for drinking liquid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US20100187168A1 (en) Percolating filter system with a removable cartridge
KR100752047B1 (ko) 시각장애우용 안전컵 멜로디음 출력장치 및 방법
RU272560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омин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ю пить из емкости
CN105054725A (zh) 智能水杯
US20200069090A1 (en) Drinking Apparatu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A3034330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JP2008246176A (ja) 体動計測機器
JP2009232925A (ja) 就寝者の動態評価システム
US20160275763A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Beverage Tampering
CN103486611B (zh) 一种智能打火机
CN103449018B (zh) 一种自动计时提醒瓶盖
WO2011133761A2 (en) Filter cartridge monitor
JP5613407B2 (ja) リモコンスイッチ装置、及び電動式作動台
US20170239146A1 (en) Medicine Bottle Timer Lid
JP5906375B2 (ja) トイレ装置
KR10119519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보조 장치
US11008225B2 (en) Water filter pitcher with sensing capabilities
JP6865050B2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