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012A -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와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 - Google Patents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와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12A
KR20090002012A KR1020070053598A KR20070053598A KR20090002012A KR 20090002012 A KR20090002012 A KR 20090002012A KR 1020070053598 A KR1020070053598 A KR 1020070053598A KR 20070053598 A KR20070053598 A KR 20070053598A KR 20090002012 A KR20090002012 A KR 2009000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image data
unit
scanned image
paper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406B1 (ko
Inventor
조용두
하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07005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29Diagnosis, i.e. identifying a problem by comparison with a normal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와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다.
이미지검증, 이미지스캐닝, 스캐닝용지

Description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와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Device and Program for Verifying Scaning Image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Private Pap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한 검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면2b와 도면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검증장치의 스캐닝부에 대한 상세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 3a, 도면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검증장치를 통해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검증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검증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제어부 105 :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110 : 데이터 비교부 115 : 유효성 검증부
120 : 정보 전송부 125 : 정보 저장부
130 : 스캐닝부 135 : 화면 출력부
140 : 키 입력부 145 : 전원 공급부
150 : 통신 처리부 155 : 메모리부
160 : 전표처리단말
본 발명은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발전은 회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등을 통해 많은 업무를 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업무들을 처리하는 과정에는 거의 대부분 종이문서를 이용한 서류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종이문서를 이용한 서류 처리의 경우, 보관이 필요한 서류에 대하여 제대로 보관하기 위해 많은 시간적 공간적 문제가 생겨났고, 이로 인하여 서류를 이미지화 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관소 등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상기 보관소의 경우, 원본 문서보다 이미지를 위주로 보관하게 되므로, 이미지 스캐닝이 잘못될 경우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기능과, 상 기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 등-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 등-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는,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유효성 검증결과,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비해 픽셀 값이 기 정해진 수치보다 높거나, 또는 기 정해진 수지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유실된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이한 경우, 소정의 경고음(또는 경고 메시지)을 출력하거나, 또는 관리자 통신수단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오류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용지는, 각각의 모서리 단과 중앙선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한 검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해,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종이전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종이전표 이미지를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한 검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한 검증장치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는, 상기 종이전표 이외에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소정의 서식을 포함한 서류, 또는 서식 없는 서류, 소정의 고객이 제출한 신분증을 복사한 복사 서류 등에 대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 가능한 모든 종이문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검증장치는 소정의 금융기관 영업점(또는 지점) 내에 구비되며, 소정의 금융망(예컨대, 당행망)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 영업점(또는 지점)에 구비된 창구단말과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금융기관의 전산 시스템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전표처리서버와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금융기관의 전산 시스템 내에 구비되는 소정의 이미지처리서버와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금융기관과 제휴된 소정의 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통신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연결대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객이 작성하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는 해당 금융기관에서 정의한 전표서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객은 상기 전표서식 중 고객이 기입 해야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항목에 수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표정보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는 상기 검증장치에 의해 스캐닝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는 해당 종이전표를 스캐닝 한 경우, 상기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검증장치(또는 소정의 정보등록 서버 또는 창구단말 등)에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확인하여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되어 있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컬러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바코드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특징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검증장치는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부(130)와, 상기 검증장치의 각 처리 단계에 대응하는 처리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135)와, 상기 전표처리 단계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140)와, 소정의 금융망을 통해 소정의 창구단말과 통신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150)와,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스 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기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와 검증영역을 상호 매칭하여 정상적인 스캐닝 완료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5) 및 상기 기능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기능 구성 상 검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며, 상기 고객이 작성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기 검증장치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지스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검증장치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따라서, 상기 고객이 작성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기 검증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상기 고객이 작성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 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기 검증장치에 구비되는 기능구성 중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요소를 본 제어부(10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캐닝부(130)는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을 방문한 고객이 소정의 금융거래 업무 처리를 위하여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상기 금융거래 업무 처리를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종이전표에 기록하여 창구직원에게 제출하여 창구직원이 상기 스캐닝부(130)로 투입 하거나, 상기 고객이 직접 스캐닝부(130)로 투입하면, 상기 종이전표를 광학적으로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 처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캐닝부(130)는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되어 있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소정의 바코드(예컨대,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하여, 상기 종이전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 인 경우, 상기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되어 있는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소정의 바코드(예컨대,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하여, 상기 종이전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코드)인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스캐닝부(130)에서 광학적으로 인식되지 않고, 상기 스캐닝부(130)를 통해 생성된 소정의 전표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 출력부(135)는 상기 검증장치가 소정의 기능(예컨대,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에 상기 고객이 소정의 금융거래 등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면, 상기 고객이 작성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135)와 화면출력 장치가 상호 연동하여 상기 검증장치에 구비되는 화면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검증장치에서 상기 화면출력 장치에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된 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키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 또는 상기 검증장치 내 구비되어 있는 구성요소에 의해 저장 또는 생성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통신 처리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또는 상기 검증장치에서 수행하는 소정의 연산결과에 대응하는 (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135)는 상기 검증장치에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여 종이전표 이미지로 처리하기 위해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 검증 단계에 따른 종이전표 이미지 유효성 검증 화면을 출력시키는 화면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Number Key) 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검증장치의 특정 입력모드 또는 동작모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검증장치의 현재 입력모드 또는 동작모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키 이벤트 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획득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1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 입력장치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검증장치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입력부(140)와 연동하는 키 입력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와 문자키(예컨대, 영문 문자키, 또는 한글 문자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문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한 키보드 장치, 또는 상기 화면 출력수단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와 문자키 및 기능키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40)는 상기 검증장치에 정의된 전자전표 처리 기능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전표 처리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소정의 금융망(예컨대, 당행망)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구단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구비된 창구단말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창구단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소정의 금융망(예컨대, 당행망)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에 구비된 금융시스템 상의 전표처리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금융기관에 구비된 전표처리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표처리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전표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전표처리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에 구비된 전표처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소정의 금융망(예컨대, 금융공동망)을 통해 상기 금융기관과 제휴된 소정의 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자문서 보관 서버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금융기관과 제휴된 소정의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55)는 검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FM(Flash Memory) 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1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55)는 상기 스캐닝부(130)가 상기 고객이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포함된 종이에 작성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55)는 상기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유효성이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 이외에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와 상호 매칭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를 더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검증장치는 상기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생성한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검증표식(예컨대, 바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서 바코드 부분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바코드를 확인하여 올바른 코드인지 비교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비교부(110)와,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에서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를 비교한 경우,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에서 생성한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를 분석하여,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115)와, 상기 바코드가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또는,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창구단말(또는 전자전표처리서버 또는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 전송부(120)와, 상기 바코드가 확인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또는,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전표처리단말(160)에서 관리하는 소정의 시간 정보와 연계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55)에 저장하기 위한 정보 저장부(125)와, 상기 바코드가 확인되지 않거나,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오류정보를 상기 정보 전송부(120)를 통해 관리자 통신수단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오류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는 상기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생성한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는 상기 스캐닝부(130)와 연계하여 상기 스캐닝부(130)를 통해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면, 상기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는 상기 스캐닝부(130)와 연계하여 상 기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를 종이전표 스캐닝 완료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로 제공하거나, 상기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를 종이전표 스캐닝 진행 중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검증표식이 구비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서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바코드와 상기 검증장치의 메모리부(155)에 구비된 바코드를 상호 매칭하여, 소정의 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155)에 구비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를 상호 매칭하여 소정의 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바코드(또는 OCR등의 인식을 위한 모든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바코드에 대하여, 상기 저 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또는, OCR정보, 칼라코드 정보)와 비교하여, 바코드(또는 OCR, 칼라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종이전표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다른 바코드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면,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이미지의 검증은, 좌측상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우측상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좌측하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우측하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에 대하여, 상기 4개의 바코드 인식결과를 확인하여 소정의 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부(105)에서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상호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상호 매칭 확인은,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픽 셀(Pixel)값과, 상기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픽셀값을 매칭시켜, 상기 상호 매칭에 따른 결과를 생성하거나,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값과, 상기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 값을 매칭시켜, 상기 상호 매칭에 따른 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와 이미지 값을 비교하여 매칭 결과를 생성하는 방식은 다음의 Delphi코드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ar
Img1W, Img1H, Img2W, Img2H, BPP1, BPP2:Integer;
Pos1, Pos2:Pointer;
DataSize:Integer;
begin
with Image1.Picture.Bitmap do
begin
Img1W:=Width;
Img1H:=Height;
Case PixelFormat of
pf8bit : BPP1:=1;
pf15bit : BPP1:=2;
pf16bit : BPP1:=2;
pf24bit : BPP1:=3;
pf32bit : BPP1:=4;
else BPP1:=-1;
end;
Pos1:=ScanLine[Height-1];
end;
with Image2.Picture.Bitmap do
begin
Img2W:=Width;
Img2H:=Height;
case PixelFormat of
pf8bit : BPP1:=1;
pf15bit : BPP1:=2;
pf16bit : BPP1:=2;
pf24bit : BPP1:=3;
pf32bit : BPP1:=4;
else BPP1:=-1;
end;
Pos2:=ScanLine[Height-1];
end;
DataSize :=Img1W*BPP1*Img1H;
if CompareMem(Pos1, Pos2, DataSize) then
begin
end;
end;
상기 유효성 검증부(115)는 상기 데이터 비교부(110)에서 생성한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를 분석하여,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비해 픽셀 값이 기 정해진 수치보다 높거나, 또는 기 정해진 수지보다 낮은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유실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120)는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창구단말(또는 전자전표처리서버 또는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120)는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창구 단말(또는 전자전표처리서버 또는 전자문서 보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저장부(125)는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전표처리단말(160)에서 관리하는 소정의 시간 정보와 연계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55)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25)는 상기 유효성 검증이 완료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전표처리단말(160)에서 관리하는 소정의 시간 정보와 연계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155)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류 처리부는 상기 바코드가 확인되지 않거나,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오류정보를 상기 정보 전송부(120)를 통해 관리자 통신수단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오류 처리부는 상기 바코드가 확인되지 않거나,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오류정보를 상기 정보 전송부(120)를 통해 관리자 통신수단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류 처리부는 상기 검증장치에 소정의 소리 출력부를 구비할 경우,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면2a와 도면2b와 도면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검증장치의 스캐닝부(130)에 대한 상세한 기능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a와 도면2b와 도면2c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검증장치에 도시된 스캐닝부(130)에 대한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2a는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를 소정의 전표 보관부(225)에 보관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고, 도면2b는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가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닝부(130)로 투입된 소정의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배출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고, 도면2c는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가 상기 종이전표가 소정의 전표 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a와 도면2b와 도면2c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검증장치에서 소정의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다양한 실시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2a 와 도면2b와 도면2c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를 상기 전표 보관부(225)에 보관하는 도면2a를 참조하면, 상기 스캐닝부(130)는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와, 임시 보관부(220) 및/또는 전표 보관부(225)로 구성되며, 상기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 사이에는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1이 구비되고, 상기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 사이에는 스캐닝 대상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2가 구비되고, 상기 스캐너(215)와 임시 보관부(220) 사이에는 상기 스캐너(215)를 통과한 종이전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S3이 구비되고, 상기 임시 보관부(220)와 전표 보관부(225) 사이에는 상기 임시 보관부(220)를 통과한 종이전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S4가 구비된다.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면, 상기 센서 S1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고, 상기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기 전표 이송부(210)는 상기 투입된 종이전표를 상기 스캐너(215)까지 이송 시킨다.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전표 이송부(210)를 통해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면, 상기 센서 S2는 이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캐너(215)는 상기 이송된 종 이전표에 대한 판독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캐너(215)는 광학 스캐너(Optical Scanner) 및/또는 디지털 카메라 및/또는 바코드 리더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스캐너(215)가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판독된 종이전표는 롤러를 통해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어 임시 저장되며, 상기 센서 S3은 상기 종이전표가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었음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예컨대,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에 임시 보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를 임시 보관하며,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 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를 상기 전표 보관부(225)로 토출하며, 상기 세선 S4는 상기 임시 보관부(220)에서 상기 종이전표가 토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가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닝부(130)로 투입된 소정의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배출되는 도면2b를 참조하면, 상기 스캐닝부(130)는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 또는 임시 보관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 사이에는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1이 구비되고, 상기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 사이에는 스캐닝 대상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2가 구비되고, 상기 스캐너(215)와 임시 보관부(220) 사이에는 상기 스캐너(215)를 통과한 종이전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S3이 구비된다.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면, 상기 센서 S1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고, 상기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기 전표 이송부(210)는 상기 투입된 종이전표를 상기 스캐너(215)까지 이송 시킨다.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전표 이송부(210)를 통해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 면, 상기 센서 S2는 이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캐너(215)는 상기 이송된 종이전표에 대한 판독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캐너(215)는 광학 스캐너(Optical Scanner) 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바코드 리더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스캐너(215)가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판독된 종이전표는 롤러를 통해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어 임시 저장되며, 상기 센서 S3은 상기 종이전표가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었음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예컨대,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에 임시 보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를 임시 보관하며,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를 상기 스캐너(215)로 토출하며, 상기 세선 S3은 상기 임시 보관부(220)에서 상기 종이전표가 토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임시 보관부(220)에서 상기 종이전표가 토출되면, 상기 모터(M)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종이전표를 상기 전표 이송부(210)를 거쳐 전표 투입부(205)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종이전표는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스캐닝부(130)에 의해 스캐닝된 종이전표가 상기 종이전표가 소정의 전표 배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도면2c를 참조하면, 상기 스캐닝부(130)는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와, 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시 보관부(220), 전표 배출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전표 투입부(205)와 전표 이송부(210) 사이에는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1이 구비되고, 상기 전표 이송부(210)와 스캐너(215) 사이에는 스캐닝 대상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센서 S2가 구비되고, 상기 스캐너(215)와 임시 보관부(220) 사이에는 상기 스캐너(215)를 통과한 종이전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S3이 구비되고, 상기 임시 보관부(220)와 전표 배출부(230) 사이에는 상기 임시 보관부(220)를 통과한 종이전표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 S4가 구비된다.
상기 전표 투입부(205)를 통해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되면, 상기 센서 S1은 이를 감지하여 모터(M)를 통해 롤러를 구동시키고, 상기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기 전표 이송부(210)는 상기 투입된 종이전표를 상기 스캐너(215)까지 이송 시킨다.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전표 이송부(210)를 통해 상기 스캐너(215)로 이송되면, 상기 센서 S2는 이를 감지하며, 이에 의해 상기 스캐너(215)는 상기 이송된 종이전표에 대한 판독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스캐너(215)는 광학 스캐너(Optical Scanner) 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바코드 리더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스캐너(215)가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판독된 종이전표는 롤러를 통해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어 임시 저장되며, 상기 센서 S3은 상기 종이전표가 임시 보관부(220)로 이송되었음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예컨대,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가 상기 스캐너(215)에 임시 보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종이전표를 임시 보관하며,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전자전표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임시 보관부(220)는 상기 종이전표를 상기 전표 배출부(230)로 토출하며, 상기 세선 S4는 상기 임시 보관부(220)에서 상기 종이전표가 토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임시 보관부(220)에서 상기 종이전표가 토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표 배출부(230)는 상기 스캐닝된 상기 종이전표를 배출한다.
도면3a, 도면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검증장치를 통해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 도면3b는 금융거래 업무 종류가 출금거래 해당하는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한 종이전표를 예시한 것 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인식하기 위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구비하는 종이전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a, 도면3b을 참조 및 변형하여 각각의 금융거래 업무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이전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3a, 도면3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a, 도면3b을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금융거래 업무 이외에 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에 대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3a, 도면3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3a는 상기 종이전표에 상기 금융거래 업무 종류에 대응하는 검증영역(300a, 305a, 310a, 315a, 320a)으로 도시하지만,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코드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도면3b는 상기 종이전표의 4군데 모서리에 1차원 바코드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지만,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상측에는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전표 상측의 스캐닝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정의 검증영역(305a)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증영역(305a)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상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05a)는, 상기 검증영역(305a) 이외에 소정의 바코드, OCR, 컬러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상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05a)에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하측에는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전표 하측의 스캐닝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정의 검증영역(320a)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증영역(320a)은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하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20a)는, 상기 검증영역(320a) 이외에 소정의 바코드, OCR, 컬러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하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20a)에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에는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전표 좌측의 스캐닝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정의 검증영역(300a)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증영역(300a)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00a)는, 상기 검증영 역(300a) 이외에 소정의 바코드, OCR, 컬러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00a)에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에는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전표 우측의 스캐닝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정의 검증영역(310a)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증영역(310a)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10a)는, 상기 검증영역(310a) 이외에 소정의 바코드, OCR, 컬러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10a)에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 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a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중간에는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전표 중간의 스캐닝 유효성 확인을 위한 소정의 검증영역(315a)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검증영역(315a)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중간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15a)는, 상기 검증영역(315a) 이외에 소정의 바코드, OCR, 컬러코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중간에 표시된 상기 검증영역(315a)에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바코드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정의 고객이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상단에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좌측상단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1차원 바코드(300b)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1차원 바코드(30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00b)는, 상기 1차원 바코드(300) 이외에 소정의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0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상단에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우측상단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1차원 바코드(310b)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1차원 바코드(31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10b)는, 상 기 1차원 바코드(310) 이외에 소정의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1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하단에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좌측하단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1차원 바코드(320b)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1차원 바코드(32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20b)는, 상기 1차원 바코드(320) 이외에 소정의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좌측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2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면3b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하단에 상기 금융거래를 위한 종이전표의 우측하단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1차원 바코드(330b)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1차원 바코드(33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30b)는, 상기 1차원 바코드(330) 이외에 소정의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코드, OCR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종이전표의 우측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1차원 바코드(330b)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광학적으로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검증장치를 통해 획득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소정의 고객이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된 1차원 바코드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검증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검증장치에서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방문한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전표에 포함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광학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에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인식하여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와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매칭시켜 매칭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칭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4는 상기 검증장치의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종이전표를 스 캐닝하고, 상기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를 획득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스캐닝과정과 매칭 결과 생성과정이 동시에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도면4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상기 검증장치를 편의상 "단말"이라고 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은 전표투입 요청 화면을 포함하는 초기화면을 출력함으로써(400),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방문한 고객이 소정의 종이전표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투입하거나, 상기 고객이 작성한 종이전표를 창구직원에게 제출하여 상기 단말로 투입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는 상기 고객이 소정의 종이전표를 작성하여 투입하거나, 상기 고객이 작성한 종이전표를 창구직원에게 제출하여 상기 창구직원이 단말로 투입하는지 주기적으로(또는 스캐닝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계하여) 확인한다(405).
만약,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로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410),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는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전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된 종이 전표를 임시 보관한다(415).
상기와 같이 종이전표가 스캐닝되어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스캐닝부(130)로부터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에 대응하는 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에서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와 상호 매칭하여 매칭결과를 확인한다(420).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상호 매칭 확인은,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중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픽셀(Pixel)값과, 상기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픽셀값을 매칭시켜, 상기 상호 매칭에 따른 결과를 생성하거나,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값과, 상기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 값을 매칭시켜, 상기 상호 매칭에 따른 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와 이미지 값을 비교하여 매칭 결과를 생성하는 방식은 다음의 Delphi코드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ar
Img1W, Img1H, Img2W, Img2H, BPP1, BPP2:Integer;
Pos1, Pos2:Pointer;
DataSize:Integer;
begin
with Image1.Picture.Bitmap do
begin
Img1W:=Width;
Img1H:=Height;
Case PixelFormat of
pf8bit : BPP1:=1;
pf15bit : BPP1:=2;
pf16bit : BPP1:=2;
pf24bit : BPP1:=3;
pf32bit : BPP1:=4;
else BPP1:=-1;
end;
Pos1:=ScanLine[Height-1];
end;
with Image2.Picture.Bitmap do
begin
Img2W:=Width;
Img2H:=Height;
case PixelFormat of
pf8bit : BPP1:=1;
pf15bit : BPP1:=2;
pf16bit : BPP1:=2;
pf24bit : BPP1:=3;
pf32bit : BPP1:=4;
else BPP1:=-1;
end;
Pos2:=ScanLine[Height-1];
end;
DataSize :=Img1W*BPP1*Img1H;
if CompareMem(Pos1, Pos2, DataSize) then
begin
end;
end;
이후, 단말에서 상기 매칭결과에 대응하는 유효성을 검증한다(42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비해 픽셀 값이 기 정해진 수치보다 높거나, 또는 기 정해진 수지보다 낮은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유실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만약, 유효성 검증이 확인되지 않으면(430), 상기 단말에서 유효성 검증 실패에 대한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장치와 연결된 소정의 창구단말로 전송하고(435), 상기 창구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한다(445).
상기 단말에 소정의 소리 출력을 위한 스피커가 구비될 경우, 상기 오류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반면, 유효성 검증이 확인되면(430), 상기 단말에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440), 상기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창구단말로 전송한다(450).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종이전표를 스캐닝하는 검증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검증장치에서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방문한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종이전표에 포함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 역 또는 검증코드)을 광학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에 소정의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종이전표에 인쇄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 또는 검증코드)을 인식하여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와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를 매칭시켜 매칭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매칭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 변형하여 상기 고객이 작성한 소정의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종이전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5는 상기 검증장치의 스캐닝부(130)에서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고, 상기 스캐닝한 종이전표 이미지를 획득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스캐닝과정과 매칭 결과 생성과정이 동시에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도면5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상기 검증장치를 편의상 "단말"이라고 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에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어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은 전표투입 요청 화면을 포함하는 초기화면을 출력함으로써(500), 상기 금융기관의 영업점(또는 지점)에 방문한 고객이 소정의 종이전표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투입하거나, 상기 고객이 작성한 종이전표를 창구직원에게 제출하여 상기 단말로 투입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는 상기 고객이 소정의 종이전표를 작성하여 투입하거나, 상기 고객이 작성한 종이전표를 창구직원에게 제출하여 상기 창구직원이 단말로 투입하는지 주기적으로(또는 스캐닝부(1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계하여) 확인한다(505).
만약,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로 소정의 종이전표가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510), 상기 단말의 스캐닝부(130)는 상기 종이전표를 스캐닝하여 소정의 전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캐닝된 종이 전표를 임시 보관한다(515).
이후, 단말에서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바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바코드와 상기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매칭결과를 생성한다(5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다른 바코드가 각각 기록되어 있다면, 상기 종이전표에 대한 이미지의 검증은, 좌 측상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우측상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좌측하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와, 우측하단에 위치한 바코드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바코드 정보에 대한 비교결과에 대하여, 상기 4개의 바코드 인식결과를 확인하여 소정의 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단말에서 상기 매칭결과에 대응하는 유효성을 검증한다(52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비해 픽셀 값이 기 정해진 수치보다 높거나, 또는 기 정해진 수지보다 낮은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 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유실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와 블랭크 종이전표 이미지에 대한 매칭결과 분석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155)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 유효성 검증이 실패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효성 검증 실패에 따른 오류 정보를 상기 오류처리부로 제공한다.
만약, 유효성 검증이 확인되지 않으면(530), 상기 단말에서 유효성 검증 실패에 대한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장치와 연결된 소정의 창구단말로 전송하고(535), 상기 창구단말에서 상기 전송된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한다(545).
상기 단말에 소정의 소리 출력을 위한 스피커가 구비될 경우, 상기 오류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반면, 유효성 검증이 확인되면(530), 상기 단말에서 종이전표 이미지 데이터 에 대응하는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540), 상기 생성된 종이전표 이미지 정보를 창구단말로 전송한다(550).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캐닝한 이미지를 보관하는 과정에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 확인을 위하여 소정의 검증코드(또는 검증영역)을 구비한 종이문서를 사용함으로 인해, 스캐닝한 이미지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종이문서 스캐닝결과 소정의 검증영역이 없을 경우,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이 없는 부분은 종이가 접히거나 찢긴 종이문서이거나, 스캔이한 이미지를 검증한 결과 검증표식(또는 검증영역)이 흐리거나, 진할 경우 스캐닝과정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후 문제 발생 방지를 위해 검증코드(또는 검증영역)을 사용함으로써, 금융기관의 경우 부인방지, 무결성 확인 등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2.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 등-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3.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4.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 등-를 스캐닝하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데이터 비교부의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유효성 검증부;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증부의 유효성 검증결과,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비해 픽셀 값이 기 정해진 수치보다 높거나, 또는 기 정해진 수지보다 낮은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유실된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 중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에 대응하는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이한 경우,
    소정의 경고음(또는 경고 메시지)을 출력하거나, 또는 관리자 통신수단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오류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7.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과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정상적으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를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이 구비된 전용 용지-고객 신분증 등을 복사한 복사 용지, 팩스 용지, 각종 전표, 각종 장표, 각종 신청서 용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지-를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상의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을 인식(또는 판독)한 후, 인식(또는 판독)된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와 메 모리부에 기 저장된 상기 검증표식(또는 검증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
    상기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및
    상기 유효성이 검증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9. 각각의 모서리 단과 중앙선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증표식 또는 검증영역을 구비하는 전용 용지.
KR1020070053598A 2007-05-31 2007-05-31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KR10090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98A KR100908406B1 (ko) 2007-05-31 2007-05-31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598A KR100908406B1 (ko) 2007-05-31 2007-05-31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172A Division KR20090010251A (ko) 2009-01-19 2009-01-19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12A true KR20090002012A (ko) 2009-01-09
KR100908406B1 KR100908406B1 (ko) 2009-07-20

Family

ID=4048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598A KR100908406B1 (ko) 2007-05-31 2007-05-31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257A1 (en) * 2009-01-24 2010-07-29 Hewlett-Packard Dev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printing
KR101884867B1 (ko) * 2017-02-28 2018-08-07 (주)넥스빌 고장진단 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기 및 고장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039B1 (ko) * 2001-06-01 2003-02-14 (주)선진비알티 바코드가 인쇄된 원서의 무인 접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257A1 (en) * 2009-01-24 2010-07-29 Hewlett-Packard Dev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printing
US8818018B2 (en) 2009-01-24 2014-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printing
KR101884867B1 (ko) * 2017-02-28 2018-08-07 (주)넥스빌 고장진단 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기 및 고장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06B1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642B2 (ja) 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7606408B2 (en) Magnetic ink character reading method and program
MXPA04007849A (es) Sistema de seguridad anti-fraude para cheques.
JP2013025571A (ja) カード発行システム及びカード発行方法
CA2523427C (en) Joined front end and back end document processing
JP5659505B2 (ja) 真贋判定装置及び真贋判定方法
JP2004252561A (ja) 記入適否判断装置、記入用紙、及びプログラム
US8413257B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document manipul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908406B1 (ko)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장치
JP4216300B2 (ja) 記入適否判断装置、記入用紙、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01514A (ko) 순번대기표 출력장치를 이용한 신분증 처리 업무 자동화시스템 및 방법
KR100822936B1 (ko) 번호표 발급장치
KR20090010251A (ko)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검증을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와 전용 용지
KR101428038B1 (ko) 복제카드 사용방지방법과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및금융시스템
KR100908405B1 (ko) 서식 이미지 품질 검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10079604A (ja) 窓口取引処理システム
KR100956108B1 (ko) 전자서식 운영 시스템
KR20090002013A (ko) 검증된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저장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JP6167671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審査システム
JP5654878B2 (ja) 帳票処理システム、当該帳票処理システムに用いるセンタ端末、及び、当該センタ端末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230185498A1 (e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29791A (ja) 文書処理システム
KR20090023452A (ko) 검증된 스캐닝 이미지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1539451B1 (ko) 광학식 문자 판독을 이용한 발급문서 진위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3171A (ko) 프로그램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