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972U - 건축용 원터치 너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원터치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972U
KR20090001972U KR2020070014152U KR20070014152U KR20090001972U KR 20090001972 U KR20090001972 U KR 20090001972U KR 2020070014152 U KR2020070014152 U KR 2020070014152U KR 20070014152 U KR20070014152 U KR 20070014152U KR 20090001972 U KR20090001972 U KR 200900019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anchor bolt
nut
touch
touch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654Y1 (ko
Inventor
김춘연
Original Assignee
김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연 filed Critical 김춘연
Priority to KR2020070014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5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1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원터치 너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 하부연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와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원터치 너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연통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연통부의 맞은편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너트, 원터치, 건축용, 나사부, 천장

Description

건축용 원터치 너트{One touch nu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원터치 너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의 상,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 하부연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와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원터치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슬래브(120) 시공시에는 도 1과 같이 앵커볼트(124)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인서트(121)를 매립설치하고, 천장슬래브(120)의 시공이 완료되면 천장 마감공사를 위해 앵커볼트(124)에 수직편(122)을 결합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앵커볼트(124)에 수직편(122)을 결합시 건축용 너트(100)를 사용하여 수직편(122)을 앵커볼트(124)에 결합한다.
앵커볼트(124)와 수직편(122)의 결합과정은, 수직편(122)의 상부 저면에 건축용 너트(100)의 와셔 부위를 놓고 수직편(122)의 지지턱(123)을 절곡하여 수직편(122)과 건축용 너트(100)의 결합을 완료한 다음 앵커볼트(124)에 건축용 너 트(100)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앵커볼트(124)와 건축용 너트(100)의 체결시, 앵커볼트(124)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앵커볼트(124)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일치시켜 건축용 너트(100)가 앵커볼트(124)의 수나사부를 따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건축용 너트(100)를 회전시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볼트(124)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건축용 너트(100)의 설치부위까지 리드(lead)가 길어지기 때문에 건축용 너트(100)를 많이 회전시켜야 하며, 앵커볼트(124)의 길이 짧다 하더라도 건축용 너트(100)와 앵커볼트(124)의 체결시 건축용 너트(100)의 암나사부를 앵커볼트(124)의 수나사부에 정확하게 물리지 않을 경우 건축용 너트(100)와 앵커볼트(124)의 체결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 상,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 하부연통부를 형성하여 나사부를 앵커볼트의 수나사부에 정확하게 일치시켜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몸체를 기울였을 때 앵커볼트의 외경보다 큰 결합폭을 이용하여 앵커볼트에 한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연통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연통부의 맞은편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연통부는, 나사부의 반원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형은, 육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 하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외경이 가장 큰 원형의 와셔부가 형성되고 이 와셔부의 바로 아래에는 와셔부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몸체의 아래보다는 큰 외경의 원형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는 앵커볼트에 건축용 원터치 너트의 나사부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연통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연통부의 맞은편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연통부는, 나사부의 반원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형은, 육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부 하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외경이 가장 큰 원형의 와셔부가 형성되고 이 와셔부의 바로 아래에는 와셔부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몸체의 아래보다는 큰 외경의 원형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는,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11)와, 상기 몸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몸체(10) 상, 하부에 형성되는 상, 하부연통부(12, 1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10)는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몸체(10)의 외형은 가공이 용이한 원형이나 각진 형태의 사각, 육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너트 형태인 육각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앵커볼트(24)와 체결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24)의 수나사부에 부합되는 나사부(11)가 형성된다.
이 나사부(11)의 하단에는 앵커볼트(24)와의 결합시 앵커볼트(24)의 나사골에 걸림되도록 안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4)가 둘 이상의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 하부에는 기울였을 때 앵커볼트(24)의 외경보다 더 큰 결합구(L)을 가지도록 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 하부연통부(12, 13) 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통부(12)는, 나사부(11)와 연통되도록 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연통부(12) 폭은 나사부(11)의 반원 크기로 형성하여 앵커볼트(24)와의 체결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상기 상부연통부(12)는, 몸체(10)의 상면에서 시작하여 몸체(10)의 중앙보다 약간 아래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연통부(13)는, 상부연통부(1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연통부(12)의 맞은편 몸체(10)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통부(13)의 폭은 상부연통부(12)와 마찬가지로 나사부(11)의 반원 크기로 형성하고, 몸체(10)의 저면에서 시작하여 몸체(10) 중앙보다 약간 위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10)의 상부에는 수직편(22)의 지지턱(23)에 결합되며 몸체(10)에서 가장 큰 외경을 가지는 원형의 와셔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부(15)의 바로 아래에는 와셔부(15)의 외경보다는 작으며 몸체(10) 하부보다는 큰 외경의 원형 단턱부(16)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는, 내부에 나사부(11)가 형성된 몸체(10)의 상, 하부에 몸체(10)와 내부와 연통되는 상, 부연통 부(12, 13)를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24)와의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천장슬래브(20)에 앵커볼트(24)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인서트(21) 매립설치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사용하여 앵커볼트(24)에 수직편(22)을 결합한다.
즉, 수직편(22)의 지지턱(23)을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몸체(10) 상부의 와셔부(15)를 수직편(22)의 상부 저면에 위치시킨 다음 지지턱(23)을 구부려서 와셔부(15)가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원터치 너트와 수직편(22)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앵커볼트(24)에 결합한다.
앵커볼트(24)와 결합시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기울여서 결합한다.
이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기울였을 때 상, 하부연통부(12, 13)에 의해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결합구(L)이 앵커볼트(24)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나사부(11)를 앵커볼트(24)의 수나사부에 정확하게 맞댄 상태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앵커볼트(24)에 끼워 한번에 쭉 밀어 올리기 위해서이다.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기울인 상태로 앵커볼트(24)에 결합한 다음 에는 도 5와 같이 앵커볼트(24)의 대략적인 결합위치에서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위치시키고 앵커볼트(24)의 축 방향과 일치되도록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세워 앵커볼트(24)와의 결합을 완료한다.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앵커볼트(24)의 축 방향과 일치시켰을 경우 몸체(10)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1)는 앵커볼트(24)의 수나사부에 부합되기 때문에 앵커볼트(24)의 축 방향으로 동일하게 세우기만 하면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축용 원터치 너트의 결합위치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를 회전시켜 앵커볼트(24) 상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는, 수나사부(11)의 결합만으로도 앵커볼트(24)와의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나 수나사부(11)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4)가 앵커볼트(24)의 나사 산과 나사 산 사이의 골에 결합되어 더욱 앵커볼트(24)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건축용 원터치 너트는, 몸체(10)의 하부는 작업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육각으로 형성되고 와셔부(15)의 바로 아래는 원형의 단턱부(16)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공구를 사용하여 앵커볼트(24)와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너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1:나사부 12:상부연통부
13:하부연통부 14:걸림돌기 15:와셔부
16:단턱부 20:천장슬래브 21:인서트
22:수직편 23:지지턱 24:앵커볼트
L:결합구

Claims (5)

  1.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연통부와;
    상기 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부연통부의 맞은편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연통부는, 나사부의 반원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형은, 육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하부에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외경이 가장 큰 원형의 와셔부가 형성되고 이 와셔부의 바로 아래에는 와셔부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몸체의 아래보다는 큰 외경의 원형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원터치 너트.
KR2020070014152U 2007-08-27 2007-08-27 건축용 원터치 너트 KR200445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52U KR200445654Y1 (ko) 2007-08-27 2007-08-27 건축용 원터치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152U KR200445654Y1 (ko) 2007-08-27 2007-08-27 건축용 원터치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972U true KR20090001972U (ko) 2009-03-04
KR200445654Y1 KR200445654Y1 (ko) 2009-08-20

Family

ID=4135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152U KR200445654Y1 (ko) 2007-08-27 2007-08-27 건축용 원터치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45B1 (ko) * 2020-07-17 2021-03-23 이순덕 신속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810A (ja) * 1983-01-18 1984-08-01 リチコ・インタ−ナシヨナル・フア−・イ−スト・インク ネジ込み式連結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45B1 (ko) * 2020-07-17 2021-03-23 이순덕 신속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54Y1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594B2 (en) Self-drilling masonry bolt
US5746556A (en) Anchor unit with expansive anchor member expanded by utilizing turning force of bolt
US20070183866A1 (en) Self locating wall fastener
EP0613529A1 (en) ANCHORING.
KR102011716B1 (ko)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JP6764667B2 (ja) 安全柵土台
NZ532230A (en) Screw anchor
KR20090001972U (ko) 건축용 원터치 너트
RU1734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ок
JP2008075396A (ja) インサート
KR101776212B1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RU1734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ок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US20090293258A1 (en) Anchor insertion rod
JP3211679U (ja) 拡張アンカー
KR102310554B1 (ko) 분리형 앵커 볼트 조립체
KR102183626B1 (ko) 지지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1642803B1 (ko) 파일캡 구조체
RU183253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трывной головкой
WO2009078683A2 (en) Fastening structure of native rock and the method
KR101158043B1 (ko) 일방향 고정금구
KR20180023269A (ko) 앵커 볼트의 캡 탈락 방지장치
KR200328795Y1 (ko) 셋트 앵커 볼트
KR200250215Y1 (ko) 물받이용 홈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