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877U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877U
KR20090001877U KR2020070014010U KR20070014010U KR20090001877U KR 20090001877 U KR20090001877 U KR 20090001877U KR 2020070014010 U KR2020070014010 U KR 2020070014010U KR 20070014010 U KR20070014010 U KR 20070014010U KR 20090001877 U KR20090001877 U KR 20090001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dy portion
contact
receptacle
spr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877U/ko
Publication of KR20090001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8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는 탭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스프링편(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편(15)은 상기 몸체부(11)에 일체로 된 연결부(15a)와 상기 연결부(15a)에서 연장되고,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접촉부(15b)와 상기 접촉부(15b)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1)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15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편(15)이 상기 몸체부(11)의 마주보는 면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성형시 필요한 모재의 양이 줄어들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감소하고, 상기 스프링편(15)이 상기 탭터미널의 양측면을 잡아 고정시키므로 상기 탭터미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리셉터클 터미널, 스프링편, 접촉부, 탭터미널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장착되어, 상대커넥터의 탭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서로 결합되는 두 커넥터에 각각 사용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터미널들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생산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긴 띠 형상으로 된 모재를 이동시키면서 점진적으로 타발 및 절곡하여 제품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스트랩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1)(완성된 터미널은 아니지만, 편의상 터미널이라 칭한다)은 캐리어(C)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1)은 몸체(5), 바렐부(7) 및 스프링편(9)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5)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점진적으로 절곡되어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몸체(5)의 일단에는 바렐부(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7)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5)의 타단에는 스프링편(9)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편(9)은 상기 몸체(5)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1)에 상대커넥터의 탭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때, 상기 탭터미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S는 상기 터미널(1)의 성형시 펀치에 의해 타발되어 제거되는 스크랩이 될 부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스크랩(S)은 상기 터미널(1)의 성형과정에서 버려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1)의 성형시 발생하는 스크랩(S)의 양이 많아지면 모재의 사용효율이 떨어지고, 상기 터미널(1)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 일부가 절결되어 스프링편이 형성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전선을 압착시켜 고정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대터미널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프링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삽입공간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구비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형상이다.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인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향해 절곡되며,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각각 절결되어 형성된 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편이 몸체부의 일부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되므로 터미널의 성형에 필요한 모재의 양이 줄어 터미널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쌍의 스프링편이 상대터미널인 탭터미널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고정시키므로 탭터미널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트랩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내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에 설치되는 상대커넥터의 탭터미널(T)(도 5 참조)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1')의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몸체부(11)에서 후술할 바렐부(17)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측으로 상기 개구 부(12)는 상기 삽입공간(11')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11)의 저면 모서리에는 한 쌍의 스테빌라이져(13)가 소정량 돌출되게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13)는 상기 몸체부(11)의 일부가 절결된 후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13)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이 커넥터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접촉하여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1)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스프링편(1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편(15)은 상기 몸체부(11)의 일부가 절결되고 상기 몸체부(11)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편(15)은 그 일측이 상기 몸체부(11)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스프링편(15)은 상기 탭터미널(T)과 접촉하여 상기 탭터미널(T)과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탭터미널(T)이 상기 삽입공간(11')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스프링편(15)은 크게 연결부(15a)와 접촉부(15b), 가이드부(15c)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5a)는 상기 스프링편(15)에서 상기 몸체부(11)와 연결된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15a)는 상기 몸체부(11)의 측면에서 상기 삽입공간(11')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5b)는 상기 연결부(15a)에서 상기 개구부(12)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5b)는 상기 탭터미널(T)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부(15b)는 상기 연결부(15a)에서 상기 탭터미널(T)의 삽입방향 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탭터미널(T)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탭터미널(T)에 상기 접촉부(15b)가 완전히 접촉하여 그 접촉면적이 최대한 넓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접촉부(15b) 사이의 거리(H)는 상기 탭터미널(T)에서 상기 접촉부(15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h)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는 상기 탭터미널(T)의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편(1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탭터미널(T)이 상기 스프링편(15)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촉부(15b)의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15c)가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5c)는 둘 사이의 거리가 그 선단으로 갈수록 점점 멀어지도록 상기 몸체부(11)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5c)는 상기 탭터미널이 상기 삽입공간(11')으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부(11)의 타단에는 바렐부(1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17)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에 설치되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렐부(17)는 크게 와이어바렐(17a)과 인슐레이션바렐(17b)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7a)은 상기 몸체부(11)의 타단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7a)은 상기 전선의 와이어를 압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과 상기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7b)은 상기 와이어바렐(17a)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7b)은 상기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고 있는 피복을 압착시켜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탭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탭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에 각각 리셉터클 터미널(10) 및 탭터미널(T)을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를 결합시킨다. 상기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면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리셉터클 터미널(10) 및 탭터미널(T)이 결합된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 및 탭터미널(T)의 결합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탭터미널(T)의 선단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삽입공간(11')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탭터미널(T)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스프링편(15)의 가이드부(15c)와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5c)는 상기 탭터미널(T)의 선단이 용이하게 상기 스프링편(15)의 접촉부(15b) 사이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15c)에 의해 안내된 상기 탭터미널(T)은 상기 접촉부(15b)의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접촉부(15b) 사이의 거리(H)는 상기 탭터미널(T)의 두께(h)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탭터미널(T)은 상기 접촉부(15b)를 서로 멀어지도록 탄 성변형 시키며 상기 접촉부(15b)의 사이로 삽입된다.
특히, 상기 접촉부(15b)는 상기 탭터미널(T)의 삽입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접촉부(15b)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상기 탭터미널(T)의 양측면과 전부 접촉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편(15)이 상기 몸체부(11)를 형성하는 부분의 일부를 절결하여 절곡형성하므로, 스크랩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0)의 생산비용이 절감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스프링편(15)이 상기 탭터미널(T)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고정시키므로, 상기 탭터미널(T)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스트랩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트랩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탭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셉터클 터미널 11 : 몸체부
11': 삽입공간 13 : 스테빌라이져
15 : 스프링편 15a: 연결부
15b: 접촉부 15c: 가이드부
17 : 바렐부 17a: 와이어바렐
17b: 인슐레이션바렐

Claims (5)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전선을 압착시켜 고정하는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터미널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대터미널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프링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삽입공간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구비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인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탭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향해 절곡되며, 상 기 탭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몸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각각 절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2020070014010U 2007-08-23 2007-08-23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018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010U KR20090001877U (ko) 2007-08-23 2007-08-23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010U KR20090001877U (ko) 2007-08-23 2007-08-23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877U true KR20090001877U (ko) 2009-02-26

Family

ID=412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010U KR20090001877U (ko) 2007-08-23 2007-08-23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8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5B1 (ko) * 2012-08-28 2013-08-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5B1 (ko) * 2012-08-28 2013-08-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7952B2 (ja) コネクタ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JP5196648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KR101157672B1 (ko) 커넥터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4379231B2 (ja) 雌端子金具
KR200432451Y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8475202B1 (en) Detection terminal with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both facing a side wall of a tongue of a housing
CN108370112B (zh) 母电接头以及连接组装件
KR20090001877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71889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100010444U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12028149A (ja) メス端子
JP2005166533A (ja) メス端子
CN221176695U (zh) 接线端子和连接器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CN107579377B (zh) Usb插头结构及连接器结构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583012Y2 (ja) 接続端子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2446801B1 (ko) 암단자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