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809U -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 Google Patents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809U
KR20090001809U KR2020090000579U KR20090000579U KR20090001809U KR 20090001809 U KR20090001809 U KR 20090001809U KR 2020090000579 U KR2020090000579 U KR 2020090000579U KR 20090000579 U KR20090000579 U KR 20090000579U KR 20090001809 U KR20090001809 U KR 20090001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ooling
circul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879Y1 (ko
Inventor
권희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라이팅
Priority to KR2020090000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7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8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electric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등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일측에 공랭식과 수냉식으로 이루어진 냉각장치를 형성하되, 종래에 비해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그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며, 부피가 큰 냉각수 순환펌프를 별도로 형성가능하게 하여 조명등 본체의 구조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이 용이하고, 주변 온도가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곳에서도 발광다이오드를 용이하게 점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 냉각장치, 조명등.

Description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A luminescent diode lamp with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등시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일측에 공랭식과 수냉식으로 이루어진 냉각장치를 형성하되, 종래에 비해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그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며, 부피가 큰 냉각수 순환펌프를 별도로 형성가능하게 하여 조명등 본체의 구조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이 용이하고, 주변 온도가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곳에서도 발광다이오드를 용이하게 점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는 70℃ 이상, -20℃ 이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에서는 점등이 되지 아니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점등시에 200℃에 가까운 고열을 발생시키므로, 발광다이오드를 조명원으로 하는 조명등에는 상기 고온을 위 온도 범위 내로 냉각시켜주는 냉각장치가 필연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냉각수의 가장 바람직한 온도는 상온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조명원으로 하는 조명등에 설치되는 냉각장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는 조명판의 후측에 냉각수함을 형성한 수냉식과 조명등 본체의 외면에 방열판을 다수개 형성한 공랭식 구조가 있다.
여기서, 종래 수냉식 냉각장치만이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냉각수는 발광다이오드의 고온을 계속적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수온이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종국에는 70℃가 넘는 고온으로 데워짐에 따라 냉각수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공랭식 냉각장치만으로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은 바람이 불지 아니하거나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의 고온을 냉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상기 두 가지 구성을 혼합구성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고안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854084호 ‘파워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조명등의 냉각장치’가 있는데,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발광다이오드가 고정되는 조명판의 후측면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내장된 냉각수 순환로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상기 냉각수 순환로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가 내설된 냉각수함을 여러개 형성하되, 각 냉각수함은 냉각수 순환로와 냉각수 유출파이프 및 냉각수 유입파이프로 각각 연결함으로써, 각 냉각수함이 차례로 돌아가면서 냉각수순환로에 냉각수를 공급 및 순환시켜 발광다이오드의 고열을 흡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광다이오드의 고온을 전도받는 냉각수 순환로에 온도감지센서를 형성하고, 조명등 본체의 내부 일측에는 각 냉각수함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펌프를 작동케 하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를 형성하여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일정 냉각수함에서 공급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로 하여금 해당 냉각수함의 순환펌프 작동을 정지케 하고, 다른 냉각수함의 냉각수 순환펌프를 작동케 하여 새로운 냉각수가 냉각수 순환로에 공급 및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로써 냉각수의 온도를 항상 일정케 유지하여 발광다이오드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냉각장치가 형성되는 조명등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고, 제작단가가 높아서 생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리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는 주변온도가 매우 높거나(70℃ 이상) 매우 낮은(-20℃ 이하) 경우에는 점등이 되지 아니하는 특징이 있는 바, 기온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외부 온도로 인하여 냉각수마저 현저하게 높은 온도로 데워지거나 혹은 현저하게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발광다이오드의 점등 및 그 점등을 유지케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명등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의 고온을 냉각시켜주는 냉각장치를 종래에 비해 냉각효율은 더욱 향상시키면서 구조는 더욱 간단하게 형성하여 제조와 수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온도가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점등케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체의 외부에는 냉각수함에 연결된 냉각수 공랭파이프를 형성하되, 냉각수를 순환케 하는 냉각수 순환펌프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각수함의 내부에 구비하거나, 그와 별도로 형성한 냉각수함A의 내부에 형성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인 조명등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되는 조명판(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판(2)의 하측 전면에는 상기 조명판(2)에 고정되는 발광다이오드(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유리(3)가 덮어져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는 냉각수(4)가 담기는 냉각수함(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외측에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일측단은 온도감지센서(7)가 내장된 냉각수함(5)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은 냉각수(4)를 발산하여 강제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8)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냉각수(4)가 담기는 냉각수함(5)의 내측 바닥면(9)은 상기 조명판(2)의 후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냉각수함(5)의 내측 바닥면(9)(=조명판의 후측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판(10)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발광다이오드(1)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냉각수(4)에 더욱 더 잘 전달되도록 하며, 냉각수함(5)의 외측면에 해당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면에는 냉각수함(5)의 내부에 담기는 냉각수(4)가 더욱 효과적으로 공랭되도록 다수개의 방열판(10)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면에 일체형성되는 방열판(1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단면이 ‘I’자 형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I’자형 방열판(10a)이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체형성되어 있는 가운데, 단면이 ‘Y’자형으로 형성된 ‘Y’자형 방열판(10b)도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일체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Y’자형 방열판(1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가 원터치 고정클립(11)으로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원터치 고정클립(11)은 탄성있는 원형 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일측에는 개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하여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고정형성한 것으로, 그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방열돌기(12)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 며,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일측단은 냉각수함(5)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냉각수 순환펌프(8)에 연결되어 냉각수 순환펌프(8)를 통해서 발산되는 냉각수(4)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거쳐 공랭된 다음 냉각수함(5)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냉각수 순환펌프(8)는 상기와 같이 냉각수함(5)의 내부에 구비하여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일측단은 냉각수함(5)에 연결하고,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타측단은 냉각수 순환펌프(8)에 연결하되,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하여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나, 주변 상황과 필요에 따라 조명등 본체(100)가 장착되는 조명대(13)의 빈 내부공간에 별도의 냉각수함A(14)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냉각수 순환펌프(8)를 형성하여 이를 냉각수함(5)에 냉각수 공랭파이프(6)와 연결하여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통해 냉각수(4)를 이동시키면서 공랭시키는 구성으로 형성하거나, 냉각수 순환펌프(8)가 내설된 냉각수함A(14)을 지중에 매설하고 이를 조명등 본체(100)에 냉각수 공랭파이프(6)로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때에도 조명등 본체(100)의 상측에 고정체결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일측에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는 냉각수함(5)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7), 냉각수 순환펌프(8)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8)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는 냉각수함(5)에 내설된 온도감지센서(7)와 연결되어 있어 냉각수함(5)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되면 온도감지센서(7)는 이를 감지하여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에 작동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냉각수 순환펌프(8)는 그 신호를 받고 작동하여 새로운 냉각수(4)를 냉각수함(5)에 공급하여 순환케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되는 조명판(2)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조명판(2)의 저면에는 테프론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이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구성들은 조명판(2)의 저면에 일체형성된 고정체결부(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체결홈(20a)에 견고하게 끼워져 고정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테프론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으로 이루어진 구성들이 고정체결부(20)의 고정체결홈(20a)에 체결되는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명판(2)의 저면에 하향돌출형성되는 고정체결홈(20a)은 원통형상으로 수직으로 하향돌출형성된 고정체결부(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결홈(20a)의 하단 내측면에는 걸림턱(21)이 일정간격으로 수평돌출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걸림턱(21)은 고정체결홈(20a)의 내측으로 향한 상태로 수평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21)의 내측 말단부에는 상기 테프론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고정체결홈(20)의 내측에 원터치로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판 스프링(19)으로 인해, 상기 발광다이오드(1)는 그 후면에 적층형성되는 테프론 코팅(16)과 히터그리스(17)와 함께 조명판(2)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체결부(20)의 내측 상부면에 긴밀하게 부착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등 본체(100)는 단면이 반원형이고 그 저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형태로서 하부에는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조명판(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냉각수(4)가 담기는 냉각수함(5)이 일체형성되어 있는 바, 조명판(2)에 고정된 발광다이오드(1)가 점등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열은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함(5)에 전도되는데, 상기 조명판(2)의 후측면은 냉각수함(5)의 바닥면(9)에 해당되며, 상기 냉각수함(5)의 바닥면(9)에는 방열판(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1)의 점등에 의한 고열은 냉각수(4)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도된다.
이 때, 상기 조명판(2)에 고정되는 발광다이오드(1)는 조명판(2)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체결부(2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체결홈(20a)의 내측에 고정체결되는 바, 그 체결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프론 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이 적층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결홈(20)의 내측에 고정체결되는데, 이 때, 상기 고정체결부(20)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21)의 내측단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테프론 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으로 이루어지는 구성들을 고정체결홈(20)의 중앙에 대고 힘을 주어 상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구성들은 경사면(28)을 미끄러면서 고정체결홈(20)의 내측에 탄성있게 끼워지는데, 이 때, PCB기판(18)의 하측에 형성되는 판 스프링(19)은 걸림턱(21)의 상면에 얹혀지므로 상기 구성들은 고정체결부(20)의 고정체결홈(20a)에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는 것이다.
이 때, 발광다이오드(1) 둘레에 형성하되, PCB기판(18)의 하측에 형성되는 판 스프링(19)은 내부 공간에 빈틈이 없이 탄성있게 메워주면서 발광다이오드(1)의 후면이 조명판(2)에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발광다이오드(1)의 고열이 냉각수함(5)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도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전도열은 히터그리스(17)와 테프론 코팅(16)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전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함(5)에 형성되는데, 상기 냉각수함(5)의 외측면에 해당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면에는 단면이 ‘I’자형 방열판(10a)과 ‘Y’자형 방열판(10b)이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방열판(10)으로 인해 냉각수함(5)에 담긴 냉각수(4)는 공랭되며, 외측면 뿐만 아니라 냉각수함(5)의 내측면에도 다수개의 방열판(10)이 일체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이에 더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상태로 ‘Y’자형 방열판(1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원터치 고정클립(11)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은 냉각수함(5)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냉각 수(4)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8)에 연결되어 있어서, 냉각수함(5) 내부의 온도가 발광다이오드(1)의 고열에 의해 일정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7)가 이를 감지하여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로 하여금 냉각수 순환펌프(8)를 작동케 하고, 냉각수 순환펌프(8)가 작동되면, 냉각수(4)는 냉각수함(5)에서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내측면 혹은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방열돌기(12)가 형성되어 있어서, 냉각수 순환펌프(8)에 의해 냉각수함(5)에서 유출되는 냉각수(4)는 내측면 혹은 외측면에 다수개의 방열돌기(12)가 형성된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공랭되어 냉각수함(5)로 다시 유입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1) 조명등은 냉각장치의 구조가 종래의 선출원 고안에 비해 훨씬 간단하면서도 그 냉각효율은 더욱 더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각수(4)의 순환구조는 냉각수 순환펌프(8)를 어디에 설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냉각수 순환펌프(8)를 냉각수함(5) 내부에 형성하는 일체형으로 형성하든지, 혹은 냉각수함A(14)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냉각수 순환펌프(8)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수함A(14)과 냉각수 순환펌프(8)를 냉각수함(5)과 연결함으로써 냉각수(4)를 순환시켜 발광다이오드(1)의 고열을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냉각수함(5)의 내부에 냉각수 순환펌프(8)가 설치되지 아니하고, 별도로 형성한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조명등 본체(100)의 형태를 보다 슬림하고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냉각수(4)는 조명등 본체(100)의 냉각수함(5)에서 별도로 구성된 냉각수함A(14)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수함(5)과 냉각수함A(14)의 거리로 인해 공랭효율은 종래에 비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조명등보다 구조는 더욱 간단하게 형성되므로 종래의 복잡한 구성의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비해 제조시 생산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게 되며, 냉각수 공랭파이프의 형성으로 냉각효율이 더욱 더 향상되어 냉각수 순환펌프의 순환횟수를 줄일 수 있어 냉각수 순환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각수 순환펌프를 별도로 형성하는 냉각수함에 구비하여 냉각수 공랭파이프로써 조명등 본체의 냉각수함에 냉각수가 순환되게 하되, 상기 냉각수함을 온도변화가 거의 없는 지중에 매설가능하게 함으로써 혹한이나 혹서환경에서도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이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실치구조예시도 A,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의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다 이오드 체결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내부 구조 실시예도 A,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내부 구조 실시예도 B,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 하부의 조명판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등의 내부측면도 A, 도 8은 본 고안의 조명판의 광확산렌즈 설치구조예시도 A, 도 9는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등의 내부측면도 B, 도 10은 본 고안의 조명판의 광확산렌즈 설치구조예시도 B,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B에 따른 냉각수함 A 설치구조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C에 따른 냉각수함 A 설치구조도, 도 13은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판의 하부 저면도이다.
<실시예 A>
본 고안의 실시예 A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되, 그 단면은 반원형에 가깝게 형성되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 저면에는 발광다이오드(1)가 다수개 고정된 조명판(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는 조명판(2)의 고온을 식혀주기 위한 냉각수함(5)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냉각수함(5)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면에는 방열판(10)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는 방열판(10)에 고정체결된 냉각수 공랭파이프(6)와, 상기 냉각수용 순환실(5)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가 형 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에 조명판(2)이 형성되는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에는 직사각형으로 길게 형성된 조명판(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조명판(2)의 저면에는 발광다이오드 고정체결부(20)가 격자배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체결부(2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하향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고정체결홈(20a)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체결홈(20a)의 내측에는 테프론 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 스프링(19)이 순차적으로 긴밀하게 끼움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체결부(20)의 하단에는 걸림턱(21)이 수평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걸림턱(21)은 상기 테프론 코팅(16), 히터그리스(17),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된 PCB기판(18),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고정체결홈(20a)의 내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누르게 되면, 상기 구성들이 고정체결홈(20a)의 내측에 원터치로 긴밀하게 고정체결되도록 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걸림턱(21)의 하단에는 광확산렌즈(28)를 끼움고정할 수 있는 광확산렌즈 끼움고정부(29)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PCB기판(18)에 고정되는 발광다이오드(1) 고정구조와 관련하여, 발광다이오드(1)의 경우에는 그 후측면에 아무런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여 발광다이오드(1)의 열이 PCB기판(18)과 조명판(2)을 통해 냉각수함(5)의 냉각수(4) 에 쉽게 전달되므로, PCB기판(18)의 저면에 부착고정한 구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파워발광다이오드(1a)의 경우에는 에폭시수지로 형성되는 구성이 일체형성되어 있어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파워발광다이오드(1a)를 PCB기판(18)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PCB기판(18)에 파워발광다이오드 고정공(18a)을 형성하고, 이에 파워발광다이오드(1a)를 고정체결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명판(2)에의 발광다이오드(1) 체결구조는 격자배열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조명판(2)은 안전유리(3)로 덮어지는데, 상기 안전유리(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 본체(100) 하부의 좌우측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전유리 체결부(24)에 팩킹(25)과 고정볼트(26)로써 고정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가 고정되는 조명판(2)의 후측면은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함(5)의 바닥면(9)에 해당되는데, 상기 냉각수함(5)의 바닥면(9)에는 조명판(2)에서 발생하는 발광다이오드(1)의 발광열이 냉각수함(5)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도되도록 ‘I’자형 방열판(1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는 냉각수함(5)에 형성되어 있는 바, 냉각수함(5)의 내측면은 물론 냉각수함(5)의 외측면에 해당되는 조명등 본체(100)의 외표면에도 다수개의 방열판(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명등 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방열판(10)의 구조를 더욱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단면이 ‘I’자형으로 형성되는 ‘I’자형 방열판(10a)이 길이방 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가운데, 단면이 ‘Y’자형으로 형성된 ‘Y’자형 방열판(10b)도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Y’자형 방열판(1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수 공랭파이프(6)가 고정체결되어 있는 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조명등 본체(100)의 외측면에서 ‘Y’자형 방열판(10b)의 높이만큼 이격하되,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된 상태로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고정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체결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일측단은 냉각수함(5)의 일측에 고정체결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내측면은 다수개의 방열돌기(1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도 다수개의 방열돌기(1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 외측에 형성되는 ‘Y’자형 방열판(10b)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원터치 고정클립(11)으로 고정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원터치 고정클립(11)은 냉각수 공랭파이프(6)의 측단면의 외측을 긴밀하게 감싸는 크기의 링(ring)형으로 형성하되, 그 일측에는 개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터치 고정클립(11)은 탄성재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가진 원터치 고정클립(11)을 이용하여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Y’자형 방열판(10b)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Y’자형 방열판(10b)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올려놓은 다음, 원터치 고정클립(1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측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개방부(22)가 약간 벌어지 면서 탄성있게 끼워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개방부(22)의 양측단은 ‘Y’자형 방열판(10b)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도 함께 고정체결하게 되므로,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원터치 고정클립(11)에 의해 ‘Y’자형 방열판(10b)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고정체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명등 본체(100) 상부에 체결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바, 그 자바라식 절곡부(23)는 절곡 및 신축이 용이한 자바라식으로 일체형성하거나, 별도로 형성한 여러 개의 자바라식 절곡관으로 여러개의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연결하여 절곡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B>
위 실시예 A에서는 냉각수 순환펌프(8)를 냉각수함(5)의 내부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 B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함(5)에 냉각수 순환펌프(8)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냉각수함A(14)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냉각수 순환펌프(8)를 구비하되, 상기 별도로 형성된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펌프(8)를 위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함(5)과 냉각수용 공랭 파이프(6)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명등 본체(100)의 하부는 상술한 실시예 A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하되,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는 온도감지센서(7)가 구비된 냉각수함(5)이 구비되는데, 상기 냉각수함(5)의 내부에는 냉각수 순환펌프(8)가 구비되어 있지 아 니하므로 실시예 A의 냉각수함(5)의 내부 부피는 실시예 A의 냉각수함(5)의 내부 부피보다 적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실시예 A의 조명등 본체(100)보다 슬림(slim)하고 심플(simple)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시도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A의 구성과는 달리 별도로 형성된 냉각수함A(14)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순환펌프(8)는 조명등 본체(100)가 설치되는 조명대(13)의 내부 빈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 B에 의한 냉각수함의 설치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명대(13)의 내부 빈 공간에는 사각함체 형상의 냉각수함A(14)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냉각수 순환펌프(8)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수함A(14)의 외부 일측에는 냉각수 순환펌프(8)를 제어하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의 일측은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도록 하고, 다른 일측은 냉각수 순환펌프(8)와 연결되도록 하며, 또 다른 일측은 조명등 본체(100)의 냉각수함(5) 내부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7)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함A(14)과 냉각수 순환펌프(8), 조명등 본체(100)의 냉각수함(5)은 냉각수 공랭파이프(6)로 연결되는데, 그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명등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수함(5)의 냉각수 유출측은 냉각수함A(14)의 냉각수 유입측과 냉각수 공랭파이프A(6a)로 연결되고, 냉각수(4)를 발산하여 내보내는 냉각수(14)함의 냉각수 순환펌프(8)는 냉각수함(5)의 유입측에 냉각수 공랭파이프B(6b)로 연결되는데, 여기서, 냉각수함(5)의 냉각수(4) 유출측 부근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A(6a)의 일부분은 조명등 본체(100)의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되어 ‘Y’자형 방열판(1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10b-1)에 원터치 고정클립(11)으로 고정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실시예 B를 형성하여, 조명등을 작동시켜, 발광다이오드(1)에 의한 고온으로 냉각수함(5) 내부에 담긴 냉각수(4)의 온도가 점차 가열됨으로써 온도감지센서(7)에 설정된 일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온도감지센서(7)는 이를 감지하여 조명대(13)의 내부 빈 공간에 냉각수함A(14)과 함께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15)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에 의해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펌프(8)를 작동케 하며, 상기 냉각수 순환펌프(8)에 연결된 냉각수 공랭파이프B(6b)를 통해 냉각수(4)를 냉각수함(5)에 보내게 되면, 냉각수함(5)에 담겨있던 가열된 냉각수는 밀려나가면서 냉각수 공랭파이프A(6a)를 통해 다시 냉각수함(5) 내부에 유입을 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냉각수(4)는 조명등 본체(100)의 상부에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된 냉각수 공랭파이프(6)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공랭되고, 냉각수함A(14)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2차 공랭되어 냉각수함A(14)에 이르게 되면, 냉각된 상태로 냉각수함A(14)의 내부에 유입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C>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 C는 위 실시예 B의 구성과는 별도로, 냉각수 공랭파이프(6)로 연결되는 냉각수함A(14)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순환펌프(8)를 지 중에 매설한 구조로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각수 순환펌프(8)가 내설되는 냉각수함A(14)을 지중에 매설하고, 상기 냉각수함A(14)과 냉각수 순환펌프(8)는 조명등 본체(100)의 냉각수함(5)과 냉각수 공랭파이프(6)로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구성은 실시예 B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 C 또한 냉각수 공랭파이프(6)는 조명대(13)를 거쳐 냉각수함(5)과 냉각수함A(14) 및 냉각수 순환펌프(8)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기온차가 지역이나 기온이 현저하게 높거나 현저하게 낮은 지역 등에 설치하게 되면, 주변 온도에 따라 점등 여부에 영향을 받는 발광다이오드(1)를 상기와 같은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점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실치구조예시도 A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의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발광다이오드 체결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내부 구조 실시예도 A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의 내부 구조 실시예도 B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본체 하부의 조명판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등의 내부측면도 A
도 8은 본 고안의 조명판의 광확산렌즈 설치구조예시도 A
도 9는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등의 내부측면도 B
도 10은 본 고안의 조명판의 광확산렌즈 설치구조예시도 B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B에 따른 냉각수함 A 설치구조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C에 따른 냉각수함 A 설치구조도
도 13은 본 고안의 광확산렌즈가 설치된 조명판의 하부 저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명등 본체
1 : 발광다이오드 1a : 파워발광다이오드
2 : 조명판 3 : 안전유리
4 : 냉각수 5 : 냉각수함
6 : 냉각수 공랭파이프 7 : 온도감지센서
8 : 냉각수 순환펌프 9 : 바닥면
10 : 방열판 10a : 'I'자형 방열판
10b : 'Y'자형 방열판 11 : 원터치 고정클립
12 : 방열돌기 13 : 조명대
14 : 냉각수함A 15 : 냉각수 순환펌프 제어부
16 : 테프론코팅 17 : 히터그리스
18 : PCB기판 18a : 고정공
19 : 판 스프링 20 : 고정체결부
20a : 고정체결홈 21 : 걸림턱
22 : 개방부 23 : 자바라식 절곡부
24 : 안전유리 체결부 25 : 패킹
26 : 볼트 27 : 고정대
28 : 광확산렌즈 29 : 광확산렌즈 끼움고정부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되, 그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판이 형성되는 조명등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고정되는 직사각형상의 조명판과, 상기 조명판의 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하는 안전유리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 본체의 상부에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함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함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냉각수 순환펌프를 작동케 하는 냉각수 순환제어부와 연결된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조명판의 저면에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수직돌출형성하되, 그 중앙에는 테프론코팅, 히터그리스, 발광다이오드가 고정된 PCB기판,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긴밀하게 끼움체결되는 고정체결홈이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고정체결부; 상기 고정체결홈의 하단 내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돌출형성하여 상기 테프론코팅, 히터그리스, 발광다이오드가 고정된 PCB기판,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상기 고정체결홈의 내측에 긴밀하게 고정체결되도록 하는 걸림턱; 상기 조명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냉각수함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돌출형성된 ‘I’자형 방열판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그 단면은 ‘Y’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가 일체형성된 ‘Y’자형 방열판; 상기 냉각수함의 외측에 지그재그형태로 절곡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방열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단은 냉각수함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단은 냉각수 순환펌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Y’자형 방열판의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에 고정체결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일측이 개방된 탄성있는 원형 테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 공랭파이프를 ‘Y’자형 방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랭파이프 받침부에 고정케 하는 원터치 고정클립;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수 순환펌프는 별도로 형성한 냉각수함 A의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별도로 형성한 냉각수함 A와 조명등 본체의 냉각수함은 냉각수 공랭파이프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로 형성되는 냉각수함 A와 그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수 순환펌프는 조명대의 내부공간에 장착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조명등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냉각수함과 그 내부의 냉각수 순환펌프는 지중에 매설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20090000579U 2009-01-16 2009-01-16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0453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79U KR200453879Y1 (ko) 2009-01-16 2009-01-16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79U KR200453879Y1 (ko) 2009-01-16 2009-01-16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809U true KR20090001809U (ko) 2009-02-25
KR200453879Y1 KR200453879Y1 (ko) 2011-06-01

Family

ID=4129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579U KR200453879Y1 (ko) 2009-01-16 2009-01-16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7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6B1 (ko) * 2009-08-04 2010-03-05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224B1 (ko) * 2009-09-15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452B1 (ko) * 2009-08-14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35100B1 (ko) * 2010-07-15 2011-05-19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298734B1 (ko) * 2012-11-07 2013-08-21 (주)하이코리아 엘이디 조명등
KR101433367B1 (ko) * 2012-12-28 2014-08-22 (주)하이코리아 엘이디 조명등
KR101951881B1 (ko) * 2017-08-24 2019-02-26 (주)위지아이 Led 발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14B1 (ko) * 2017-11-27 2019-02-27 고상희 진공브레이징을 이용한 수냉식 led전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964B1 (ko) * 2002-11-01 2005-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드럼
KR20080007961A (ko) * 2006-07-19 2008-01-23 알티전자 주식회사 엘이디 모듈의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38525Y1 (ko) 2007-09-10 2008-02-26 티엠컨버전스주식회사 비전도성 액체를 이용한 엘이디 광원체의 냉각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86B1 (ko) * 2009-08-04 2010-03-05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452B1 (ko) * 2009-08-14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224B1 (ko) * 2009-09-15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35100B1 (ko) * 2010-07-15 2011-05-19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298734B1 (ko) * 2012-11-07 2013-08-21 (주)하이코리아 엘이디 조명등
KR101433367B1 (ko) * 2012-12-28 2014-08-22 (주)하이코리아 엘이디 조명등
KR101951881B1 (ko) * 2017-08-24 2019-02-26 (주)위지아이 Led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79Y1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879Y1 (ko)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1178262B1 (ko) 전구형 led 조명기구
CN101865385B (zh) 液冷式led照明装置
KR101391584B1 (ko) Led 투광등
KR101106225B1 (ko) Led 램프
JP2015028952A (ja) 照明装置
KR200442041Y1 (ko) 엘이디 조명등
KR20110001935U (ko) 모듈화 된 엘이디 등기구의 냉각 장치
KR101645154B1 (ko) Led 터널등기구
JP2010272440A (ja) 冷却式led照明装置
KR101110125B1 (ko) 냉각 쿨러를 구비하는 엘이디 조명등
KR101663176B1 (ko) 고온 엘이디 등기구
JP5946008B2 (ja) 照明器具
KR20130084936A (ko) Led 다운라이트
JP5294044B2 (ja) 照明器具
KR101360114B1 (ko) 공기순환 냉각형 삼각방열기 엘이디 램프
RU167546U1 (ru) Светильник светодиодный
KR20160129195A (ko) 대류순환 방열구조를 가지는 엘이디 램프
JP5888624B2 (ja) 照明器具
CN216556543U (zh) Led模组
CN216789969U (zh) 一种可高效散热的照明灯
JP2011044331A (ja) 照明装置用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KR200449648Y1 (ko)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한 led 조명 기구
KR200479227Y1 (ko) 발광다이오드 전구
JP6191894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