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452B1 - Led조명등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Led조명등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452B1
KR100970452B1 KR1020090075254A KR20090075254A KR100970452B1 KR 100970452 B1 KR100970452 B1 KR 100970452B1 KR 1020090075254 A KR1020090075254 A KR 1020090075254A KR 20090075254 A KR20090075254 A KR 20090075254A KR 100970452 B1 KR100970452 B1 KR 10097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d lighting
packing
le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이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동 filed Critical 이주동
Priority to KR102009007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21V29/58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characterised by the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21V29/67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the fans being used for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LED)조명등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수파이프(10) 내에 히트파이프(20)를 삽입하고, 관수파이프(10)와 히트파이프(20)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트파이프(20)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냉매로 전달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 및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하여 수냉과 더불어 공냉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LED조명등(30), AC-DC컨버터(60) 및 방열판(70)을 관수파이프(10)에 결합함에 있어 파이프결합홈과 패킹삽입홈을 구성하고 실리콘(90)을 도포하는 등을 통하여 냉각효율을 최대화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성함에 따라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완충부재가 변형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 LED조명등, 냉각, 패킹, 실리콘

Description

LED조명등 냉각장치{Cooling device for LED lamp}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을 사용함에 있어, LED의 고출력에 의하여 발생된 고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수파이프 내에 히트파이프를 삽입하고, 관수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트파이프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냉매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LED조명등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에 방열판 및 이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수냉과 더불어 공냉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오늘날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발광 소자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발광 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고체 발광 표시 소자 중의 하나로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광(光)을 발생하는 단색LED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백색 광 LED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LED의 응용 분야로는 일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발광원은 물론 백열 전구나 형광 램프,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조명 설비로 점차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 설비(이하, LED조명등이라 함), 예를 들어, LED 가로등은 일반 형광등의 가로등과는 달리 점등 회로가 단순하고, 인버터 회로와 철심형 안정기가 불필요하며,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유지나 보수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ED 가로등의 단점으로는 열적 스트레스로 인한 특성 열화 및 고장이 발생한다는 측면이다.
이는 LED를 동작시키기 위해 다수의 LED에 입력되는 전원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에 고장 및 특성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을 발생시키는 LED조명등을 최대한 빨리 냉각시킬 수 있는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관수파이프(10) 내에 히트파이프(20)를 삽입하고, 관수파이프(10)와 히트파이프(20)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트파이프(20)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냉매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 및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하여 수냉과 더불어 공냉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LED조명등(30), AC-DC컨버터(60) 및 방열판(70)을 관수파이프(10)에 결합함에 있어 파이프결합홈과 패킹삽입홈을 구성하고 실리콘(90)을 도포하는 등을 통하여 냉각효율을 최대화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성함에 따라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완충부재가 변형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하도록 한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소규모로 운영되는 가로등이나 전등뿐만 아니라 대규모로 운영되는 축구장이나 야구장 같은 경기장 등 이 LED조명등(30)이 필 요로 하는 모든 장소(예: 휴게소, 간판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관수파이프(10)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을 밀폐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금속부재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관수파이프(10)와 밀착되게 LED조명등(3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의 후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1파이프결합홈(11)을 구성하고,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고리형태의 제1패킹(50)을 삽입하기 위한 제1패킹삽입홈(55)을 구성하며, 상기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착구(52)를 구성하고,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한 후,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의 후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1파이프결합홈(11)을 구성하고, 교류(AC)전원을 직류(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컨버터(60)의 일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2파이프결합홈(62)을 구성하며, 상기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고리형태의 제1패킹(50)을 삽입하기 위한 제1패킹삽입홈(55)을 구성하고, 상기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에 고리형태의 제2패킹(63)을 삽입하기 위한 제2패킹 삽입홈(64)을 구성하며,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한 후,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하고, 제2패킹삽입홈(64)에 제2패킹(63) 삽입한 후, 제2패킹(6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2파이프결합홈(62)에 실리콘(90)을 도포하며,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 부분이,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결합되는 관수파이프(10)의 후방에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 및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하고, 방열판(70)을 대칭구조로 양분하되, 이 양분된 방열판(70)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제3파이프결합홈(75)을 구성하며, 제3파이프결합홈(75)에 고리형태의 제3패킹(73)을 삽입하기 위한 제3패킹삽입홈(79)을 구성하고, 제3패킹삽입홈(79)에 제3패킹(73)을 삽입한 후, 제3패킹(7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3파이프결합홈(75)에 실리콘(9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의 내측면에 반사판(35)을 구성하되, 반사판(35)은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로는 냉각수, 냉각유 또는 부동액 등과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기체 상태의 냉각가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나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형태로는 일례로서 히트 파이프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완충부재가 변형되어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일례로서 완충스포이트(41)이고,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80)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80)에 스포이트(spuit) 형태의 완충스포이트(41)를 구성하되,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관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일측은 조명등케이스(31)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고무주머니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타측은 조명등케이스(31) 내부를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일례로서 완충관(42)이고, 완충관(42)의 양단은 개방되어, 조명등케이스(31)를 관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일례로서 완충패드(43)이고,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80)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80)를 커버하도록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 완충패드(4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관수파이프(10) 내에 히트파이프(20)를 삽입하고, 관수파이프(10)와 히트파이프(20)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는 등의 구 성을 통하여,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되는 열이 히트파이프(20)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냉매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LED조명등(30)을 냉각할 수 있다.
추가로,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 및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하여 수냉과 더불어 공냉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LED조명등(30), AC-DC컨버터(60) 및 방열판(70)을 관수파이프(10)에 결합함에 있어 파이프결합홈과 패킹삽입홈을 구성하고 실리콘(90)을 도포하는 등을 통하여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성함에 따라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하여 조명등케이스(31)와 보호커버(14)사이의 실링이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LED조명등(30)이 관수파이프(10)에 설치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LED조명등 케이스의 후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에 히트파이프(20)가 설치된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LED조명등(30), 이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착구(52)가 형성된다.
LED조명등(30)은 조명등케이스(31), LED모듈(32), 보호커버(34) 및 반사판(35) 등으로 구성된다.
조명등케이스(3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확개(擴開))되는 형태이다.
또한,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에는 제1파이프결합홈(11)이 형성되어 관수파이프(10)와 결합되며, 부착구(52)와 볼트(53)결합을 위한 볼트결합공(54)이 구비된다.
LED모듈(32)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방출한다.
보호커버(34)는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반사판(35)이 형성되는데, 이 반사판(35)은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된다.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는 고리형태의 제1패킹(50)을 삽입하 기 위한 제1패킹삽입홈(55)이 구성된다.
부착구(52)는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부분이 휘어져 있으며 볼트결합공(5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 삽입후,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한다.
제1패킹(50)은 실리콘(90)이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간 긴밀유지 역할을 수행한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조명등케이스(31)의 제1파이프결합홈(11)의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하고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한 후, 관수파이프(10)를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결합시킨다. 이후, LED조명등(30)의 후방에서 부착구(52)를 이용하여 볼트(53)결합하면 도 1b 및 도 2b와 같은 형태가 된다.
그러면 제1패킹(50)과 실리콘(90)에 의하여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의 실리콘(90) 도포부분은 진공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관수파이프(10) 내에 위치한 냉매에 의하여 식힘정도(냉각효율)가 향상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관수파이프(10)의 구조 및 LED조명등(30)의 작동(ON)에 따른 히트파이프(20)의 온도분포와 냉매의 온도 분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히트파이프(20)를 포함한 관수파이프(10)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5는 관수파이프(10)의 구간별 냉매의 온도(a) 및 히트파이프(20)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관수파이프(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중공부(12)가 형성된 파이프이다.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은 밀폐된다.
또한, 관수파이프(10)의 재질은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수명, 내구성 및 인장강도 등을 감안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수파이프(10) 내에는 히트파이프(Heat Pipe)(20)가 삽입된다.
히트파이프(20)는 관수파이프(10)처럼 내부가 중공이면서 양측이 밀폐된 구조로,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트파이프(20)는 그 내부의 밀폐된 진공 공간에서 순환하는 작동 유체(21)가 연속적으로 액체-증기간의 상변화(증발과 응축)할 때 동반되는 잠열(潛熱)을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킴으로써, 단일상의 작동 유체(21)를 이용하는 통상의 열전달기기에 비해 획기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히트파이프(20)의 재질은 일례로서, 동, 금, 알루미늄, 백금 등이 있다.
히트파이프(20)는 관수파이프(10) 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관수파이프(10)의 내주면에 가이드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와 히트파이프(20) 사이의 중공부(12)에 냉 매가 충진된다.
상기 냉매로는 냉각수, 냉각유 또는 부동액 등과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기체 상태의 냉각가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10)의 내측에 히트파이프(20)를 내장하고, 관수파이프(10)와 히트파이프(20) 사이에 냉각수나 부동액 같은 액상의 냉매를 충진한 상태에서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LED조명등(30)을 가동(ON)하면 LED조명등(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은 LED조명등(30)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부위의 관수파이프(10), 냉매를 거쳐 히트파이프(20)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도 5의 A구간이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게 되는 것이다.
히트파이프(20)의 일측으로 전달된 열은 히트파이프(20)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이동하게 된다. 히트파이프(20)의 특성상 전체가 고른 열 분포가 이루어지고, 이 열은 냉매로 전달된다. 대부분은 열은 냉매에서 식혀지고,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일부 방열되기도 한다.
도 5에서 그래프(a)는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냉매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A구간에서의 냉매온도는 LED조명등(30)과 바로 접촉된 관계로 가장 높은 온도분포를 가지고, LED조명등(30)에서 멀어질수록 냉매의 온도는 낮아진다.(실선 표시)
또한, 그래프(b)는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히트파이트 온도를 나타내는 것 으로, 히트파이프(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히트파이프(20)의 모든 구간에 걸쳐 일정한 온도분포를 가진다.(점선 표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히트파이프(20)를 일례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진 않는다.
즉, 히트파이프(20)처럼 내부가 중공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금속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a의 LED조명등(30)의 부착구 대신 AC-DC컨버터(60)를 장착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LED조명등(30), 이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결합하는 AC-DC컨버터(60)가 형성된다.
LED조명등(3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AC-DC컨버터(60)는 도 1a의 LED조명등(30)의 부착구(52)처럼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원래의 역할인 LED조명등(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AC)에서 직류(DC)로 변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AC-DC컨버터(60)는 내측에 AC-DC컨버터회로가 구현된 AC-DC컨버터모듈(미도시)이 구성된다.
AC-DC컨버터(60)의 일측은 LED조명등(30)의 조명등케이스(31) 후측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다시말하면, AC-DC컨버터(60)의 일측에는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2파이프결합홈(62)이 구성되고, 이 제2파이프결합홈(62)에는 고리형태의 제2패킹(63)을 삽입하기 위한 제2패킹삽입홈(64)이 구성된다.
또한, 제2패킹삽입홈(64)에 제2패킹(63)을 삽입한 후, 제2패킹(6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2파이프결합홈(62)에 실리콘(90)이 도포된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조명등케이스(31)의 제1파이프결합홈(11)의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하고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의 제2패킹삽입홈(64)에 제2패킹(63)을 삽입한 후, 제1파이프결합홈(11) 및 제2파이프결합홈(62)에 실리콘(90)을 도포한다. 그리고, 관수파이프(10)를 사이에 두고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과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이 관수파이프(10)에 결합되도록 한 후, 최종적으로 볼트(65)결합한다.
그러면 제1,2패킹(50)(63)과 실리콘(90)에 의하여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의 실리콘(90) 도포부분과, AC-DC컨버터(60)와 관수파이프(10) 사이의 실리콘(90) 도포부분은 진공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LED조명등(30)과 AC-DC컨버터(60)에서 발생된 열은 관수파이프(10) 내의 히트파이로 전달된다.
도 7a 및 도 7b는 방열판(70)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방열판(70)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을 구성하고,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한다.
방열판(70)은 대칭구조로 2개로 양분되고, 이 양분된 방열판(70)에는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3파이프결합홈(75)이 구성된다.
또한, 양분된 방열판(70)의 제3파이프결합홈(75)에는 각각 고리형태의 제3패킹(73)을 삽입하기 위한 제3패킹삽입홈(79)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3패킹삽입홈(79)에 제3패킹(73)을 삽입한 후, 제3패킹(7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3파이프결합홈(75)에 실리콘(90)을 도포한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도 7a와 같이 양분된 방열판(70)의 제3파이프결합홈(75)의 제3패킹삽입홈(79)에 제3패킹(73)을 삽입하고 제3패킹(7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3파이프결합홈(75)에 실리콘(90)을 도포한다. 이후, 관수파이프(10)를 사이에 두고 양분된 방열판(70)의 제3파이프결합홈(75)에 관수파이프(10)가 결합되도록 한 후, 볼트(65)결합한다. 최종적으로 송풍팬(71)을 설치하면 도 7b와 같은 형태가 된다. 미설명부호 76은 볼트이고, 77은 볼트결합공이며, 78은 너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과 부착구(52)가 함께 형성된 경우, LED조명등(30)과 AC-DC컨버터(60)가 함께 형성된 경우, 반쪽자리 2개의 방열판(70)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이 이루어졌지만 이에 한정하진 않는다, 즉,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AC-DC컨버터(60)와 부착구(52)가 함께 형성된 경우, LED조명등(30) 또는 AC-DC컨버터(60)와 반쪽자리 1개의 방열판(70)이 함께 형성된 경우 등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완충부재가 변형되어 LED조명등(3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량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일례로서 도 9의 완충스포이트(41), 도 10의 완충관(42) 및 도 11의 완충패드(43) 등이 있다.
압력 변화량은 일례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LED조명등(30) 내부압력에서 도 9의 (b) 또는 도 9의 (c)에 도시된 LED조명등(30) 내부압력을 뺀 값이다. 이 압력차는 도 9에 도시된 완충스포이트(41)의 고무주머니의 찌그러짐 정도를 보고 판별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완충관(42)의 찌그러짐 정도를 보고 판별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완충패드(43)의 휘어진 정도를 보고 판별할 수 있다.
이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완충부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LED조명등(30)의 단면도의 일실시예들이다.
먼저 도 9를 살펴보면,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80)를 형성한다. 그 절개부(80)에 스포이트(spuit) 형태의 완충스포이트(41)를 구성한다.
즉,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관(pipe)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일측은 조명등케이스(31)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고무주머니(rubber pocket)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타측은 조명등케이스(31) 내부를 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LED조명등(30) 내부는 일정 압력과 온도의 공기가 존재하는데, 일정압력은 LED조명등(30)의 최초 제작시 어느 정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느냐에 따 라 결정된다. 이때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는 일례로서, 상온 1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는 여름철과 겨울철 사이의 평균온도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LED조명등(30) 내부에 일정 압력과 온도의 공기가 존재한 상태가 LED조명등(30)의 최초 제작된 상태인데, 도 9 내지 도 11의 각 (a)와 같은 완충스포이트(41)의 고무주머니, 완충관(42) 및 완충패드(43)의 형태가 이에 해당한다.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 9의 (b)처럼 완충스포이트(41)의 고무주머니가 도 9의 (a)에 비해 찌그러지고,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도 9의 (c)처럼 완충스포이트(41)의 고무주머니가 도 9의 (a)에 비해 부풀려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일정공간(케이스)(11) 내에 있는 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 부피가 늘어나게 되며, 이로 인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상승된 압력은 대부분 연질의 고무주머니쪽으로 작용하여 고무주머니가 변형된다. 즉 도 9의 (b)처럼 고무주머니의 형태가 찌그러지면서 고무주머니 내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도 9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일정공간(케이스)(11) 내에 있는 공기의 분자운동이 위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하강한다. 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도 9의 (c)처럼 고무주머니가 팽창하면서 외부공기가 고무주머니 내로 유입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일직선 형태의 완충관(42)이 관통되도록 조명등케이스(31)의 일측 및 타측에 절개부(80)를 형성하였다.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 상승된 압력은 대부분 연질의 완충관(42)쪽으로 작용하여 도 10의 (b)처럼 완충관(42)의 형태가 찌그러지면서 완충관(42) 내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도 10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도 10의 (c)처럼 완충관(42)이 팽창하면서 외부공기가 완충관(42) 내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도 11에서는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80)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80)를 커버(cover)하도록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 완충패드(43)를 구성하였다.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 상승된 압력은 대부분 연질의 완충패드(43)쪽으로 작용하여 도 11의 (b)처럼 완충패드(43)가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조명등케이스(31) 내의 압력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완충패드(43)가 내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으로는 LED(33) 자체에서 발광하는 열이나 외부온도의 상승에 의한 것이다.
이처럼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가 상승 및 하강하더라도 압력 변화량의 대부분을 완충부재, 즉 완충스포이트(41)의 고무주머니, 완충관(42) 또는 완충패드(43)가 최소화시킴에 따라 조명등케이스(31)와 보호커버(14)사이의 실링이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LED조명등(30) 및 방열판(70)이 LED가로등(1)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가로등(1)은 지면과 수직으로 솟아 있는 지주(2)와, 지주(2) 상부에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는 관수파이프(10)와, 관수파이프(10)의 일단에 위치한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의 타단에 위치한 방열판(7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관수파이프(10) 및 그 내부에 위치한 히트파이프(20)는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대로 휘어지게 제작할 수도 있다.
LED조명등(30)은 다수의 LED(33)가 LED모듈(32)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기반으로 발광되며, LED조명등(30)의 아래쪽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의 보호커버(34)가 씌워지고, 위쪽은 부착구(52)가 씌워져 LED조명등(30) 내부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먼지, 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관수파이프(10) 내의 냉매에 의해 대부분 식 혀지지만, 본 발명의 방열판(70)을 더 구비함으로써 더욱 빨리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3은 LED조명등 케이스의 후면도,
도 4a 및 도 4b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한 관수파이프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관수파이프의 구간별 냉매의 온도(a) 및 히트파이프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도 1a의 LED조명등의 부착구 대신 AC-DC컨버터를 장착한 분리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방열판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방열판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LED조명등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LED조명등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LED조명등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LED조명등 및 방열판이 LED가로등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LED가로등 2: 지주
10: 관수파이프 11: 제1파이프결합홈
12: 중공부 13: 가이드부재
20: 히트파이프 21: 유체
30: LED조명등 31: 조명등케이스
32: LED모듈 33: LED
34: 보호커버 35: 반사판
41: 완충스포이트 42: 완충관
43: 완충패드 50: 제1패킹
52: 부착구 53: 볼트
54: 볼트결합공 55: 제1패킹삽입홈
60: AC-DC컨버터 62: 제2파이프결합홈
63: 제2패킹 64: 제2패킹삽입홈
65: 볼트 66: 볼트결합공
70: 방열판 71: 송풍팬
73: 제3패킹 75: 제3파이프결합홈
76: 볼트 77: 볼트결합공
78: 너트 79: 제3패킹삽입홈
80: 절개부 90: 실리콘

Claims (10)

  1.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관수파이프(10)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을 밀폐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금속부재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의 후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1파이프결합홈(11)을 구성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를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부착구(52)를 구성하여,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 및 부착구(52)가 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고리형태의 제1패킹(50)을 삽입하기 위한 제1패킹삽입홈(55)을 구성하며;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한 후,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3.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관수파이프(10)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을 밀폐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금속부재 사이의 공간을 냉매로 충진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의 후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1파이프결합홈(11)을 구성하고;
    교류(AC)전원을 직류(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AC-DC컨버터(60)의 일측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제2파이프결합홈(62)을 구성하며;
    상기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고리형태의 제1패킹(50)을 삽입하기 위한 제1패킹삽입홈(55)을 구성하고;
    상기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에 고리형태의 제2패킹(63)을 삽입하기 위한 제2패킹삽입홈(64)을 구성하며;
    제1패킹삽입홈(55)에 제1패킹(50)을 삽입한 후, 제1패킹(50)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1파이프결합홈(11)에 실리콘(90)을 도포하고;
    제2패킹삽입홈(64)에 제2패킹(63) 삽입한 후, 제2패킹(6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2파이프결합홈(62)에 실리콘(90)을 도포하며;
    AC-DC컨버터(60)의 제2파이프결합홈(62) 부분이, LED조명등(30)의 제1파이프결합홈(11)에 결합되는 관수파이프(10)의 후방에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위치의 관수파이프(10)에 방열판(70) 및 이 방열판(70)을 냉각시키는 송풍팬(71)을 구성하고;
    방열판(70)을 대칭구조로 양분하되, 이 양분된 방열판(70)에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제3파이프결합홈(75)을 구성하며;
    제3파이프결합홈(75)에 고리형태의 제3패킹(73)을 삽입하기 위한 제3패킹삽입홈(79)을 구성하고;
    제3패킹삽입홈(79)에 제3패킹(73)을 삽입한 후, 제3패킹(73)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3파이프결합홈(75)에 실리콘(90)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ED조명등(30)의 내측면에 반사판(35)을 구성하되, 반사판(35)은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부재는 히트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완충부재가 변형되어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완충부재는 완충스포이트(41)이고,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80)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80)에 스포이트(spuit) 형태의 완충스포이트(41)를 구성하되,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관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일측은 조명등케이스(31)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고무주머니 형태인 완충스포이트(41)의 타측은 조명등케이스(31) 내부를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완충부재는 완충관(42)이고,
    완충관(42)의 양단은 개방되어, 조명등케이스(31)를 관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완충부재는 완충패드(43)이고,
    조명등케이스(31)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80)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80)를 커버하도록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 완충패드(4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20090075254A 2009-08-14 2009-08-14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54A KR100970452B1 (ko) 2009-08-14 2009-08-14 Led조명등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54A KR100970452B1 (ko) 2009-08-14 2009-08-14 Led조명등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452B1 true KR100970452B1 (ko) 2010-07-16

Family

ID=4264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254A KR100970452B1 (ko) 2009-08-14 2009-08-14 Led조명등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4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726B1 (ko) 2012-12-28 2014-0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압력보상기 일체형 유적식 수중 led 램프
US20140029248A1 (en) * 2012-07-30 2014-01-30 Jacob Dyson Lamp
KR101435949B1 (ko) * 2013-12-10 2014-09-02 성홍석 투광등
KR102011497B1 (ko) 2019-04-19 2019-08-16 (주)은성하이텍 엘이디 조명기구의 승강식 방열 구조
KR20210127019A (ko) 2020-04-13 2021-10-21 강형석 승강식 방열 구조형 엘이디 조명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84B1 (ko) 2007-09-10 2008-08-25 주식회사 썬라이팅 파워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조명등의 냉각장치
KR20090001809U (ko) * 2009-01-16 2009-02-25 주식회사 썬라이팅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090003067U (ko) * 2009-02-05 2009-03-27 주식회사 썬라이팅 공랭 및 수냉식 냉각구조를 가진 터널등
KR20090107890A (ko) * 2008-04-10 2009-10-14 이인숙 냉각장치가 구비된 조명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84B1 (ko) 2007-09-10 2008-08-25 주식회사 썬라이팅 파워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조명등의 냉각장치
KR20090107890A (ko) * 2008-04-10 2009-10-14 이인숙 냉각장치가 구비된 조명등
KR20090001809U (ko) * 2009-01-16 2009-02-25 주식회사 썬라이팅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090003067U (ko) * 2009-02-05 2009-03-27 주식회사 썬라이팅 공랭 및 수냉식 냉각구조를 가진 터널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29248A1 (en) * 2012-07-30 2014-01-30 Jacob Dyson Lamp
KR101350726B1 (ko) 2012-12-28 2014-01-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압력보상기 일체형 유적식 수중 led 램프
KR101435949B1 (ko) * 2013-12-10 2014-09-02 성홍석 투광등
KR102011497B1 (ko) 2019-04-19 2019-08-16 (주)은성하이텍 엘이디 조명기구의 승강식 방열 구조
KR20210127019A (ko) 2020-04-13 2021-10-21 강형석 승강식 방열 구조형 엘이디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063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US8092054B2 (en) LED illuminating device and light engine thereof
KR100970451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20120096500A (ko) 대형 led 조명장치
US10487997B2 (en) Modular in-grade fixture with heat pipes
US20110057552A1 (en) Heat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JP2008027910A (ja) 放熱強化式高出力ledランプ
KR100970452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US20100219734A1 (en) Apparatus for cooling leds in a bulb
US9360202B2 (en) System for actively cooling an LED filament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052187A1 (en) Heat-Dissipating Lighting System
CN101788112A (zh) 三维散热大功率led照明装置
JP2010114060A (ja) Led照明器具
KR101149795B1 (ko) 엘이디 등기구 구조체
CN216346170U (zh) 一种可快速散热的led灯
CN207394640U (zh) 无需金属散热器的led路灯
WO2016163919A1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1089672B1 (ko) 고출력 엘이디 소자의 실장 기대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565973B1 (ko) 엘이디조명장치
WO2017219504A1 (zh) 一种大功率led灯
KR101202419B1 (ko) Led 조명장치
KR101038098B1 (ko) 일체형 led 형광등 조명기구
CN201599753U (zh) 一种挤压成型led隧道灯
CN207621708U (zh) 无需金属散热器的主动散热led灯
KR101561253B1 (ko) 듀얼 방열 구조를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