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24B1 - Led조명등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Led조명등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224B1
KR100970224B1 KR1020090087075A KR20090087075A KR100970224B1 KR 100970224 B1 KR100970224 B1 KR 100970224B1 KR 1020090087075 A KR1020090087075 A KR 1020090087075A KR 20090087075 A KR20090087075 A KR 20090087075A KR 100970224 B1 KR100970224 B1 KR 10097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d lighting
fluid
led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이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동 filed Critical 이주동
Priority to KR102009008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6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 F21V29/59Cooling arrangements using liquid coolants with forced flow of the coo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1Optical design with conical or pyramida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중공인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를 수직 배치하고, 관수파이프 내에 제2금속부재(예: 제2히트파이프 등)를 삽입하며,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제1금속부재(예: 제1히트파이프 등)를 이용함으로써 LED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금속부재 및 제2금속부재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관수파이프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고열을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에 유입관 및 배출관을 구성하여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LED조명등의 보다 빠른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 내에, 양단이 개방된 삽입관을 형성하고, 이 삽입관과 관수파이프를 연결하는 순환관을 형성하며, 유체의 강제이송을 위한 유체순환펌프(65)를 구성함에 따라 밀폐된 관수파이프 내에서의 유체 순환이 가능해진다.
히트파이프, LED조명등, 냉각, 반사판

Description

LED조명등 냉각장치{Cooling device for LED lamp}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을 사용함에 있어, LED의 고출력에 의하여 발생된 고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수파이프 내에 제2금속부재(예: 제2히트파이프 등)를 삽입하고,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제1금속부재(예: 제1히트파이프 등)를 이용함으로써 LED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금속부재 및 제2금속부재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관수파이프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에 유입관 및 배출관을 구성하여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LED조명등의 보다 빠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발광 소자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발광 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고체 발광 표시 소자 중의 하나로,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광(光)을 발생하는 단색LED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백색 광 LED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LED의 응용 분야로는 일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발광원은 물론 백열 전구나 형광 램프,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조명 설비로 점차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 설비(이하, LED조명등이라 함), 예를 들어, LED가로등은 일반 형광등의 가로등과는 달리 점등 회로가 단순하고, 인버터 회로와 철심형 안정기가 불필요하며,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유지나 보수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ED가로등의 단점으로는 열적 스트레스로 인한 특성 열화 및 고장이 발생한다는 측면이다.
이는 LED를 동작시키기 위해 다수의 LED에 입력되는 전원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에 고장 및 특성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을 발생시키는 LED조명등을 최대한 빨리 냉각시킬 수 있는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중공인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를 수직 배치하고, 관수파이프 내에 제2금속부재(예: 제2히트파이프 등)를 삽입하며,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제1금속부재(예: 제1히트파이프 등)를 이용함으로써 LED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금속부재 및 제2금속부재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관수파이프로 전달되도록 하여,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고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에 유입관 및 배출관을 구성하여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LED조명등의 보다 빠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차단판을 구성하여, 유입관으로 유입될 유체가 배출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 내의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관수파이프 내에 양단이 개방된 삽입관을 형성하고, 이 삽입관과 관수파이프를 연결하는 순환관을 형성하며, 유체의 강제이송을 위한 유체순환펌프를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LED조명등 냉각장치 는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제1연결수단; 및 상기 제1연결수단 내에 위치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제2연결수단; 및 상기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조명등케이스(31); 상기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32);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34); 및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되는 반사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LED조명등(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제2금속부재(5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는 히트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제2금속부재(50)에 밀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ED조명등(30)의 LED(33)에서 출사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반사판(35)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커플링(41); 및 상기 LED조명등(30)과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암커플링(41)에 끼워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커플링(4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수커플링(42)을 구성하고; 상기 수커플링(42)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36)을 상기 조명등케이스(31)의 후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52); 및 상기 LED조명등(30) 내의 제1유체(21)가 관수파이프(1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5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 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제2연결부재(55); 및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도록 제2연결부재(55)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입관(5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되도록 관수파이프(10)를 연속적인 폐루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하기 위한 유체순환펌프(65)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서 유입관(52)과 배출관(53) 사이에 차단판(11)을 더 구성하여, 유입관(52)으로 유입될 제2유체(51)가 배출관(5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이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54)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을 밀폐하고; 양단이 개방된 삽입관(14)을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하며; 상기 삽입관(14)의 타측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순환관(15)을 구성하고;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유체순환펌프를 구성하여; 상기 삽입관(14)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삽입관(14)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고 양단이 밀폐된 구조의 관수파이프(10);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구조의 삽입관(14); 상기 삽입관(14)의 타측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순환관(15); 및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유체순환펌프(65);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삽입관(14)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삽입관(14) 내로 이동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여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간 유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에 열전달이 우수한 제1금속부재(20)를 더 구성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이 관수파이프(10)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를 수직 배치하고, 관수파이프 내에 제2금속부재(예: 제2히트파이프 등)를 삽입하며,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의 연결을 제1금속부재(예: 제1히트파이프 등)를 이용함으로써 LED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금속부재 및 제2금속부재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관수파이프로 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고열을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과 관수파이프 사이에 유입관 및 배출관을 구성하여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LED조명등의 보다 빠른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차단판을 구성함에 따라 유체가 배 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 내에, 양단이 개방된 삽입관을 형성하고, 이 삽입관과 관수파이프를 연결하는 순환관을 형성하며, 유체의 강제이송을 위한 유체순환펌프를 구성함에 따라 밀폐된 관수파이프 내에서의 유체 순환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의 분리사시도, 결합사시도, 분리단면도 및 결합단면도로서, 도 8 내지 도 10의 'A' 내지 'C'부분을 확대한 도면에 해당한다. 또한, 도 2c는 도 1 및 도 2의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반사판(35)을 포함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및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수파이프(10)는 내부가 중공이고, 그 중공부(12)에 제2유체(51)가 채워진다.
또한, 관수파이프(10)의 재질로는 일례로서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이 있으며, 수명, 내구성 및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수파이프(10)는 일례로서, 도 8에 도시한 가로등(1)에서의 지주(2) 상부에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는 지지대 역할의 파이프, 도 9의 조명등지지판(61)에 설치된 파이프, 또는 도 10의 어선(3)에 설치된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에 해당한다.
LED조명등(30)은 관수파이프(10)에 체결되어 빛을 출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형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 도 4 및 도 5와 같은 형태 등 2가지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LED조명등(30)은 도 1 및 도 2에서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하였고, 도 4 및 도 5에서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후자(後者)의 LED조명등(30) 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 설명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의 LED조명등(30)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상부 일부만 개방되고, 둘레 및 하부에는 다수의 LED(33)가 배치된다. 상기 개방된 LED조명등(30)의 상부에는 하기의 수커플링(42)이 연결된다.
또한, LED조명등(30)은 내부가 중공이고, 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진다.
본 발명은 LED모듈 구성시 플렉시블(Flexible) PCB기판을 사용하여 원기둥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LED조명등(30)은 가로등(1), 경기장 및 집어 등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LED조명등(30)은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된다. 즉, 하기 설명될 제1연결수단을 통해 LED조명등(30)이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체결된다.
제1연결수단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일례로서,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암커플링(41)과, 이 암커플링(41)에 체결되는 수커플링(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커플링(41)은 관수파이프(10)의 측면에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수커플링(42)은 LED조명등(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LED조명등(30)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암커플링(41)에 끼워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커플링(42)은 암커플링(41)과 마찬가지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데, 수커플링(42)의 내측에는 제1금속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즉, 제1금속부재(20)는 관수파이프(10)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금속부재(20)는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수커플링(42)보다 약간 더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수커플링(42)에서 제1금속부재(20)를 약간 더 돌출시키는 이유는 암커플링(41)에 수커플링(42)이 체결되었을 때,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관수파이프(10) 내의 제1유체(21) 또는 하기 설명될 제2금속부재(50)에 닿도록 하기 위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 내에 제2금속부재(50)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제2금속부재(50)는 제1금속부재(20)에 의해 LED조명등(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제1유체(21)를 통해 제1금속부재(20)로 전달되고, 다시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금속부재(50)로 전달되며, 다시 제2금속부재(5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제2유체(51)를 통해 관수파이프(10)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발산(發散)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금속부재(20)와 제2금속부재(50)가 밀착형성되지 않고 소정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제2금속부재(50)와 접촉하지 않고 제2유체(51)에 접촉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열의 전달경로는 제1금속부재(20)-> 제2유체(51)->제2금속부재(50)가 된다.
이러한 열 전달 과정을 통해 일부 열이 제1금속부재(20) 및 제2유체(51) 등에 의해 빼앗기게 되므로 실제 제2금속부재(50)에 전달된 열의 온도는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보다 낮다.
상기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는 히트파이프처럼 내부가 중공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 서, 히트파이프를 적용하는 경우, 히트파이프 내부의 밀폐된 중공부에는 하기 설명될 작동유체가 채워진다.
제2금속부재(50)는 관수파이프(10) 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는데, 이를 위해 관수파이프(10)의 내주면에 가이드부재(13)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ED조명등(30) 내에 채워지는 제1유체(21)와 관수파이프(10) 내에 채워지는 제2유체(51)가 같을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1유체(21) 및 제2유체(51)로는 냉각수, 냉각유 또는 부동액 등과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기체 상태의 냉각가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c처럼 LED조명등(30)의 LED(33)에서 출사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반사판(35)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관수파이프(10)의 구간별 제2유체(51)의 온도(a) 및 제2히트파이프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3은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의 일례로서 히트파이프(Heat Pipe)를 적용한 것에 해당하므로, 제1금속부재와 제1히트파이프는 동일한 도면부호인 20을 사용하고, 마찬가지로 제2금속부재와 제2히트파이프도 동일한 도면부호인 50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에서의 관수파이프(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중공부(12)가 형성된 파이프이고, 양단이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10)는 도 8과 같은 가로등(1)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되는 제2히트파이프(50)는 관수파이프(10)처럼 내부가 중공이면서 양측이 밀폐된 구조로,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히트파이프(50)는 그 내부의 밀폐된 진공 공간에서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연속적으로 액체-증기간의 상변화(증발과 응축)할 때 동반되는 잠열(潛熱)을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킴으로써, 단일상의 작동유체를 이용하는 통상의 열전달기기에 비해 획기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수파이프(10)와 제2히트파이프(50) 사이의 중공부(12)에 제2유체(51)가 충진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양단이 밀폐된 관수파이프(10)의 내측에 제2히트파이프(50)를 내장하고, 관수파이프(10)와 제2히트파이프(50) 사이에 냉각수나 부동액 같은 액상의 제2유체(51)를 충진한 상태에서 관수파이프(10)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하게 된다.(LED조명등 설치구조는 도 1 및 도 2 설명부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LED조명등(30)을 가동(ON)하면 LED조명등(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은 LED조명등(30) 내의 제1유체(21)를 통해 제1금속부재(20)인 제1히트파이프로 전달되고, 다시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금속부재(50)인 제2히트파이프의 일측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제2히트파이프의 일측에 해당하는 관수파이프(10) A구간의 제2유체(51)의 온도가 가장 높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히트파이프(20)에 의해 제2히트파이프(50)의 일측으로 전달된 열은 제2히트파이프(50)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이동하게 된다.(실선화살표로 표기)
제2히트파이프(50)의 특성상 전체가 고른 열 분포가 이루어지고, 이 열은 제2유체(51)로 전달된다.(점선화살표로 표기) 이때, 대부분은 열은 제2유체(51)에서 식혀지고, 나머지 열은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기도 한다.
도 3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그래프(a)는 관수파이프(10)의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제2유체(51)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A구간에서의 제2유체(51)의 온도는 제1히트파이프(20)의 일단과 접촉된 관계로 가장 높은 온도분포를 가지고, LED조명등(30)에서 멀어질수록 제2유체(51)의 온도는 점점 낮아진다.
또한, 점선으로 표시한 그래프(b)는 관수파이프(10)의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제2히트파이트(50)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히트파이프(5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제2히트파이프(50)의 모든 구간에 걸쳐 일정한 온도분포를 갖는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제2연결수단 및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관수파이프(10) 및 제1금속부재(2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단지 차이가 있는 LED조명등(30) 및 제2연결수단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LED조명등(30)은 조명등케이스(31), LED모듈(32), 보호커버(34) 및 반사판(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등케이스(31)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확개(擴開))되는 형태이다.
또한,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에는 수커플링(42)을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36)이 구비된다.
이 체결공(36)을 통해 수커플링(42)이 LED조명등(30)에 체결될 때, 수커플링(42)의 내측에 구비된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LED모듈(32) 또는 LED모듈의 중공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LED모듈(32)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출사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의 LED모듈(32)은 도 1 및 도 2의 LED모듈(32)과 그 형태만 다를 뿐 내부가 중공인 구조는 동일하다. 다시 말하면 도 1 및 도 2의 LED모듈(32)의 형태는 내부가 중공인 원기둥 형태인 반면, 도 4 및 도 5의 LED모듈(32)의 형태는 내부가 중공인 육면체 형태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LED모듈(32)의 중공부에는 제1유체(21)가 채워진다.
보호커버(34)는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반사판(35)이 형성되는데, 이 반사판(35)은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의 유체 교환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a에서 점선화살표(…>)는 관수파이프를 순환하고 있는 차가운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고, 실선화살표(―>)는 LED조명등에 의해 데워진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며, 일점쇄선화살표(-·>)는 차가운 유체와 데워진 유체가 혼합된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한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LED조명등(30), 관수파이프(10),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조명등(30) 및 관수파이프(1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에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이 구성되는데, 유입관(52)은 관수파이프(10) 내에 유동(流動)중인 제2유체(51)를 LED조명등(30)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역할을 하는 파이프이고, 배출관(53)은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제1유체(21)를 관수파이프(10) 내로 배출시키는 통로역할을 하는 파이프이다.
유체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관수파이프(10) 내에 유동(流動)중인 차가운 유체(제2유체)(51)가 유입관(52)을 통해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고,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유체(제1유체)(21)는 배출관(53)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배출된다. 또한, LED조명등(30)으로부터 배출된 제1유체(21)는 관수파이프(10) 내에서 유동(流動)중인 제2유체(51)와 혼합(일점쇄선화살표로 표기)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유체(21) 및 제2유체(51)가 동일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1유체(21)가 액체상태의 물질이면 제2유체(51)도 액체상태의 물질을 적용하고, 제1유체(21)가 기체상태의 물질이면 제2유체(51)도 기체상태의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이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54)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ED조명등(30), 제1연결부재(54),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체로 구성된 LED조명등(30), 제1연결부재(54),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을 관수파이프(10)에 체결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 내에서 유입관(52)과 배출관(53) 사이에 차단판(11)을 더 구성하여, 유입관(52)으로 유입될 제2유체(51)가 배출관(5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의 유체 교환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b에 도시한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LED조명등(30), 관수파이프(10), 제2연결부재(55) 및 유입관(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조명등(30) 및 관수파이프(10)에 대한 설명은 도 6a에서 언급된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연결부재(55)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가 연통되도록 연결한다.
또한, 제2연결부재(55)의 내측에는 유입관(52)이 위치하며, 이 유입관(52)은 제2연결부재(55) 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55)의 내측벽과 유입관(52)의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LED조명등(30) 내의 유체(제1유체)(21)가 관수파이프(10)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연결부재(55) 및 LED조명등(3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수파이프(10)에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체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관수파이프(10) 내에 있는 유동(流動)중인 차가운 유체(제2유체)(51)가 유입관(52)을 통해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고,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유체(제1유체)(21)는 제2연결부재(55)의 내측벽과 유입관(52)의 외측벽 사이의 통로를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배출된다. 또한, LED조 명등(30)으로부터 배출된 제1유체(21)는 관수파이프(10) 내에서 유동(流動)중인 제2유체(51)와 혼합(일점쇄선화살표로 표기)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도시 되어 있지만 유동중인 제2유체(51)가 유입관(52)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로,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이 밀폐된 구조에서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데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겠다.
즉, 도 7에 도시한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관수파이프(10), 삽입관(14), 순환관(15), 유체순환펌프(65) 및 LED조명등(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조명등(30)은 도 1 내지 도 4에 설명된 LED조명등(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수파이프(10)는 양단이 밀폐된 구조이기는 하지만, 타측에는 두 개의 홀이 형성된다.
이 홀은 순환관(15)을 관통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이 홀을 통해 순환관(15)이 삽입관(14)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한다.
삽입관(14)은 관수파이프(1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양단이 개방된 구조이고, 그 타단은 순환관(15)의 일단과 연결된다.
순환관(15)은 삽입관(14)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함에 있어, 순환관(15)의 일부는 관수파이프(10)의 외측에 위치한다.
유체순환펌프(65)는 삽입관(14) 내의 유체(제2유체)(51)가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이동하도록 펌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유체(51)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삽입관(14) 내에 있는 제2유체(51)는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유입되고, 다시 삽입관(14) 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가로등(1), 경기장의 타워, 어선(3)의 집어등 설치대 등에 설치된다.
이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가로등(1)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등(1)은 지면과 수직으로 솟아 있는 지주(2), 지주(2) 상부에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는 관수파이프(10), 및 관수파이프(10)에 설치된 LED조명등(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수파이프(10) 및 그 내부에 위치한 제2금속부재(50) 및/또는 삽입관(14)은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대로 휘어지게 제작할 수도 있다.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제1유체(21) -> 제1금속부재(20) -> 제2금속부재(50) 및/또는 삽입관(14) -> 제2유체(51) -> 관수파이프(1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관수파이프(10) 내에 제2금속부재(50)와 삽입 관(14)을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관(14)을 구성하는 경우, 도 7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순환관(15) 및 유체순환펌프(65)도 함께 구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를 이용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빠르게 이송시킴으로써 LED조명등(30)의 빠른 냉각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LED조명등(3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경기장의 타워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이다.
야구나 축구와 같은 스포츠경기를 야간에 진행하기 위해 경기장의 일측에 다수의 LED조명등(30)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LED조명등(30)을 설치하기 전에 도 9와 같은 형태의 조명등지지판(61)이 설치된다.
즉, 도 9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기둥형태인 조명등지지판(61)이 세워지고, 이 조명등지지판(61)에 관수파이프(1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되도록 관수파이프(10)를 연속적인 폐루프(閉 Loop)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수파이프(10)를 조명등지지판(61)에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고정구(62)가 설치된다.
파이프고정구(62)는 오메가(Ω) 형태로,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유체공급탱크(64)는 관수파이프(10) 내로 제2유체(51)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 된다.
본 발명에서는 관수파이프(10) 내에 있는 제2유체(51)를 강제순환하기 위한 유체순환펌프(65)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ED조명등(30)이 관수파이프(10)에 설치된다. 즉, 도 9에서 탑 형태로 세워진 2개의 조명등지지판(61) 사이에 LED조명등(30)이 위치하며, 이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되는 고열은 관수파이프(10) 내에 흐르는 제2유체(51)에 의해 냉각된다.
LED조명등(30)이 관수파이프(10)에 설치된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 설명부분을 참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중(63)에 냉각관(67)이 매설된다.
냉각관(67)은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되며, 일례로서 나선형태로 꼬여진 구조를 가진다. 이런 구조로 형성한 것은 흙과의 접촉면을 최대화하여 관수파이프(10) 및 제2유체(51)의 열 손실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냉각관(67)의 형태가 나선형태로 꼬아진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하진 않는다. 즉, 냉각관(67)의 형태를 구형파나 삼각파 형태의 구조로도 설계 가능하다. 이처럼 냉각관(67)의 형태는 흙과의 접촉면을 최대화하는 구조이면 좋다.
또한, 지중(63)에는 제2유체(51)가 채워진 유체탱크(68)를 매설할 수도 있는데, 이 유체탱크(68)는 냉각관(67)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LED조명등(30)에 의해 가열된 제2유체(51)는 유체탱크(68)에 유 입되어 1차적으로 냉각된 후, 냉각관(67)으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냉각된다.
제2유체(51)의 순환경로를 살펴보면, 유체공급탱크(64)에 있는 제2유체(51)는 유체순환펌프(65)의 펌핑작용에 의해 관수파이프(10)를 따라 순환하여 LED조명등(30)을 냉각시킨다. LED조명등(30)을 통과한 제2유체(51)는 가열되어 소정온도 이상이 되며, 이 가열된 제2유체(51)는 지중(63)에 매설된 냉각관(67) 및/또는 유체탱크(68)를 거쳐 가열 이전 상태의 제2유체(51)로 냉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어선(3)의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에 설치된 집어등을 도 1 내지 도 5의 LED조명등(30)으로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즉, 도 10의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는 도 1의 관수파이프(10)에 해당하고, 도 10의 집어등은 도 1의 LED조명등(30)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집어등인 LED조명등(30)을 냉각시키기 위해 기존 어선(3)에 설치된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인 관수파이프(10)를 이용한다. 다시 말하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귿자('ㄷ'자) 형태의 관수파이프(10)를 형성하고, 그 관수파이프(10) 내부를 중공상태로 한다.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에 LED조명등(30)을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한다.
또한, 관수파이프(10)의 내부에는 제2유체(51)가 들어가며, 이 제2유체(51)는 유체순환펌프(65)에 의해 강제순환된다.
이에 따라 관수파이프(10) 내로 제2유체(51)가 강제순환됨에 따라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된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빼앗음으로써 LED조명등(30)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된 냉각관(67)을 해수(海水)에 침수한다. 이로써 해수에 의해 냉각관(67) 내의 제2유체(51)가 냉각된다.
관수파이프(10) 내로의 제2유체(51) 공급은 유체공급탱크(64)에서 이루어지고, 이 유체공급탱크(64)를 통해 관수파이프(10) 내의 공기(Air)가 빠져나가기도 한다.
유체순환펌프(65)를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관수파이프(10)의 수평(가로)부분은 유체공급탱크(64)에 의해 일정량의 제2유체(51)가 채워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공급탱크(64) 내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유체공급탱크(64) 내의 제2유체(51)의 양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알림은 경고등이나 경고음 등을 통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냉각관(67)을 해수에 직접 침수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선(3)상에 설치된 해수조(미도시) 내에 침수시킬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는 해수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LED조명등 냉각장치의 분리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2c는 도 1 및 도 2의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반사판을 포함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관수파이프의 구간별 제2유체의 온도(a) 및 제2히트파이프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의 LED조명등 냉각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와 LED조명등 사이의 유체 교환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와 LED조명등 사이의 유체 교환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수파이프 내의 유체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가로등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 면,
도 9는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경기장의 타워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LED조명등 냉각장치가 어선의 집어등 설치용 파이프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로등
2: 지주
3: 어선
4: 해수면
10: 관수파이프
11: 차단판
12: 중공부
13: 가이드부재
14: 삽입관
15: 순환관
20: 제1금속부재
21: 제1유체
30: LED조명등
31: 조명등케이스
32: LED모듈
33: LED
34: 보호커버
35: 반사판
36: 체결공
41: 암커플링
42: 수커플링
50: 제2금속부재
51: 제2유체
52: 유입관
53: 배출관
54: 제1연결부재
55: 제2연결부재
61: 조명등지지판
62: 파이프고정구
63: 지중
64: 유체공급탱크
65: 유체순환펌프
67: 냉각관
68: 유체탱크

Claims (20)

  1.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것으로,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암커플링(41)과, LED조명등(3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41)에 체결되는 수커플링(42)을 포함하는 제1연결수단; 및
    상기 제1연결수단의 수커플링(42)의 내측에 위치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2.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제2연결수단; 및
    상기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조명등케이스(31);
    상기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32);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34); 및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반사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도록 4개의 경사된 판의 조합에 의한 4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구성되는 반사판(35)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수단은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에 체결공(36)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36)을 통하여 수커플링(42)이 LED조명등(30)에 체결될 때, 수커플링(42)의 내측에 구비된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LED모듈(32) 또는 LED모듈의 중공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LED조명등(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제2금속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부재(20) 및 제2금속부재(50)는 히트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부재(20)의 일단이 제2금속부재(50)에 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의 LED(33)에서 출사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확산시키는 반사판(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커플링(41); 및
    상기 LED조명등(30)과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상기 암커플링(41)에 끼워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커플링(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의 수커플링(42)을 구성하고;
    상기 수커플링(42)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36)을 상기 조명등케이스(31)의 후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9.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52);
    상기 LED조명등(30) 내의 제1유체(21)가 관수파이프(1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53); 및
    상기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이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제1연결부재(5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0.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55); 및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LED조명등(30) 내로 유입되도록 제2연결부재(55)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입관(52)을 포함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55)의 내측벽과 유입관(52)의 외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LED조명등(30) 내의 유체(제1유체)(21)가 관수파이프(1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되도록 관수파이프(10)를 연속 적인 폐루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하기 위한 유체순환펌프(65)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서 유입관(52)과 배출관(53) 사이에 차단판(11)을 더 구성하여, 유입관(52)으로 유입될 제2유체(51)가 배출관(5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 제1연결부재(54), 유입관(52) 및 배출관(53)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52)은 제2연결부재(55) 내의 중앙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6. 제1항 또는 제7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양단을 밀폐하고;
    양단이 개방된 삽입관(14)을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하며;
    상기 삽입관(14)의 타측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순환관(15)을 구성하고;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유체순환펌프(65)를 구성하여;
    상기 삽입관(14)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삽입관(14)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7.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LED조명등(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제2금속부재(50)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LED조명등(30)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전달하는 제2금속부재(50)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19. LED조명등 냉각장치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제1유체(21)가 채워지고, 다수의 LED(33)를 구비한 LED조명등(30);
    중공인 내부에 제2유체(51)가 채워지고 양단이 밀폐된 구조의 관수파이프(10);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구조의 삽입관(14);
    상기 삽입관(14)의 타측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순환관(15); 및
    관수파이프(10) 내의 제2유체(51)를 순환시키는 유체순환펌프(65);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삽입관(14) 내의 제2유체(51)가 순환관(15)을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이동하고 다시 삽입관(14) 내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를 연결하는 것으로, 관수파이프(10)와 연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암커플링(41)과, LED조명등(3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암커플링(41)에 체결되는 수커플링(42)을 포함하는 제1연결수단; 및
    상기 제1연결수단의 수커플링(42)의 내측에 위치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1금속부재(20);를 포함하여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간 유체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에 열전달이 우수한 제1금속부재(20)를 더 구성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이 관수파이프(10)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20090087075A 2009-09-15 2009-09-15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75A KR100970224B1 (ko) 2009-09-15 2009-09-15 Led조명등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075A KR100970224B1 (ko) 2009-09-15 2009-09-15 Led조명등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224B1 true KR100970224B1 (ko) 2010-07-16

Family

ID=4264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075A KR100970224B1 (ko) 2009-09-15 2009-09-15 Led조명등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922B1 (ko) 2012-05-08 2013-07-12 김대수 간접 수냉식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311761B1 (ko) 2013-03-05 2013-09-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체 순환방식의 엘이디 집어등 방열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엘이디 집어등
WO2013151380A1 (ko) * 2012-04-06 2013-10-10 주식회사 지앤씨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기 어셈블리
WO2013180379A1 (ko) * 2012-05-30 2013-12-05 Kim Daesoo 간접 수냉식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2148934B1 (ko) * 2020-01-20 2020-08-28 (주)하나룩스 냉각모듈을 통해 발열성능을 제고한 led 조명등
US11268674B2 (en) * 2018-01-30 2022-03-08 HELLA GmbH & Co. KGaA Headlight for a vehicle with a cooling device for a semiconductor illumin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012A1 (en) 2003-09-26 2007-08-16 Advanced Thermal Device Inc.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apparatus and heat dissipating method therefor
KR20090001809U (ko) * 2009-01-16 2009-02-25 주식회사 썬라이팅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090024876A (ko) * 2007-09-05 2009-03-10 길성환 수냉식 엘이디 램프
KR100911708B1 (ko) 2009-01-23 2009-08-10 이주동 냉각관이 매설된 led조명등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012A1 (en) 2003-09-26 2007-08-16 Advanced Thermal Device Inc.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apparatus and heat dissipating method therefor
KR20090024876A (ko) * 2007-09-05 2009-03-10 길성환 수냉식 엘이디 램프
KR20090001809U (ko) * 2009-01-16 2009-02-25 주식회사 썬라이팅 냉각장치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0911708B1 (ko) 2009-01-23 2009-08-10 이주동 냉각관이 매설된 led조명등용 냉각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80A1 (ko) * 2012-04-06 2013-10-10 주식회사 지앤씨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기 어셈블리
KR101447186B1 (ko) * 2012-04-06 2014-11-03 주식회사 지앤씨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기 어셈블리
KR101285922B1 (ko) 2012-05-08 2013-07-12 김대수 간접 수냉식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WO2013180379A1 (ko) * 2012-05-30 2013-12-05 Kim Daesoo 간접 수냉식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311761B1 (ko) 2013-03-05 2013-09-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액체 순환방식의 엘이디 집어등 방열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엘이디 집어등
US11268674B2 (en) * 2018-01-30 2022-03-08 HELLA GmbH & Co. KGaA Headlight for a vehicle with a cooling device for a semiconductor illuminant
KR102148934B1 (ko) * 2020-01-20 2020-08-28 (주)하나룩스 냉각모듈을 통해 발열성능을 제고한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224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20063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0970451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805933B1 (ko) 광학 안내체 및 통합된 열 안내체를 구비한 고체 조명
KR100944986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JP2011502342A (ja) パワー発光ダイオードが内蔵された照明灯の冷却装置
US20120218757A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JP5961645B2 (ja) Led集魚灯装置
JP2010192152A (ja) 照明装置
CN103392243A (zh) 流体冷却式照明元件
CN205640615U (zh) 一种水冷式led路灯
KR101285102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11708B1 (ko) 냉각관이 매설된 led조명등용 냉각장치
KR20110062822A (ko) 대류순환을 이용한 방열구조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US20160209022A1 (en) Heated lens lighting arrangement
JP2010129178A (ja) 液冷式led照明装置
KR101035100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151550B1 (ko) 땅속의 냉기를 이용한 발광램프용 수랭식 방열장치
JP5764749B2 (ja) ランプ
KR101237283B1 (ko) 수냉식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60206B1 (ko) 조명 장치
KR100883905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1406836B1 (ko) 수냉식 냉각수단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KR101202206B1 (ko)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CN217928323U (zh) 发光装置及发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