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06B1 -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06B1
KR101202206B1 KR1020110061493A KR20110061493A KR101202206B1 KR 101202206 B1 KR101202206 B1 KR 101202206B1 KR 1020110061493 A KR1020110061493 A KR 1020110061493A KR 20110061493 A KR20110061493 A KR 20110061493A KR 101202206 B1 KR101202206 B1 KR 10120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d
led lighting
heat
wa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이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라 filed Critical 이소라
Priority to KR102011006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열이 관수파이프 내의 냉매 및/또는 관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방열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과, 어선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여, LED조명등에서 방출된 광이 수면의 일정한 위치에 조사되도록 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LED조명등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냉매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 및 후측에 상기 관수파이프의 외형 형태의 파이프결합홈이 형성되고, 다수의 LED가 구비된 LED조명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 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관수파이프를 구성하며; 상기 관수파이프와 수직지지대간 연결부위에서, 상기 관수파이프가 수직지지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수파이프의 외주면에 LED조명등을 다수 고정설치하며; 상기 관수파이프와 연결된 무게추를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이다.

Description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heat-exchange system of LED lamp}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 및 이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열이 관수파이프 내의 냉매 및/또는 관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방열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과, 어선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여, LED조명등에서 방출된 광이 수면의 일정한 위치에 조사되도록 한 상기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기/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발광 소자들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발광 소자로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고체 발광 표시 소자 중의 하나로,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광(光)을 발생하는 단색LED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백색 광 LED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LED의 응용 분야로는 일반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용 발광원은 물론 백열 전구나 형광 램프,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조명 설비로 점차 그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 설비(이하, LED조명등이라 함), 예를 들어, LED가로등은 일반 메탈 할로겐등의 가로등과는 달리 점등 회로가 단순하고, 인버터 회로와 철심형 안정기가 불필요하며, 전력 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유지나 보수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LED가로등의 단점으로는 열적 스트레스로 인한 특성 열화 및 고장이 발생한다는 측면이다.
이는 LED를 동작시키기 위해 다수의 LED에 입력되는 전원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에 고장 및 특성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고열을 발생시키는 LED조명등을 최대한 빨리 냉각시킬 수 있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LED조명등을 어선에 설치하여 집어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방향 구면상으로 조사되는 종래의 집어등에서 발생되지 않았던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어선에 수직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수직지지대 위에 다수열의 수평지지대를 설치하며, 그 수평지지대의 양단에는 LED패널이 설치되는데, 어선의 롤링이나 피칭, 특히 롤링 상태에서 LED광의 직진성 때문에 광 조사방향이 바뀌게 되어 집어등으로서의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이것은 예컨대 선박으로부터 30m~50m 이상 떨어진 수면에는 롤링에 따라 '빛이 도달되었다 도달되지 않았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어 균일한 집어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요약하면, 집어등의 빛은 넓은 범위에 산재된 어류를 선박의 어로활동, 즉 포획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집결시키기 위한 것이나 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특성상 한정된 각도에서만 집광이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은 어선의 롤링 발생시 균일한 집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하는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고열이 관수파이프 내의 냉매 및/또는 관수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여, LED조명등에서 방출된 광이 수면의 일정한 위치에 조사되도록 한 상기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다수의 LED조명등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집광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 위에 1열뿐만 아니라 2열의 관수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2열의 관수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 이 2열의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각도를 동시 제어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냉매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및 후측에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형 형태의 파이프결합홈(37)이 형성되고, 다수의 LED(33)가 구비된 LED조명등(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조명등(30)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32); 및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면에서 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결합홈(37)의 내측에 체결공(36)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36)에 체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수커플링(42)을 구성하되, 상기 수커플링(42)은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커플링(42)의 내측에는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제2금속부재(50)를 형성하고; 상기 수커플링(42)이 체결공(36)에 체결될 때,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이 파이프결합홈(37)에 밀착형성되면서 제2금속부재(50)의 일단이 LED모듈(32) 또는 LED모듈(32)의 중공부(16)에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파이프(10)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제1금속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에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수파이프(10)의 타측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면브라켓(43)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완충부재가 변형되어 LED조명등(30) 내부의 압력 변화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 사이를 연결하는 제2금속부재(50)를 구성하여,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이 제2금속부재(50)를 통해 관수파이프(10)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에 LED모듈(32)을 안착하기 위한 LED모듈안착부(39)가 구성되고; 상기 LED모듈안착부(39)를 파이프결합홈(37)과 관수파이프(10)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LED모듈(32)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파이프결합홈(37)에 결합된 관수파이프(10) 내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LED모듈안착부(39)가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모듈(32)과 LED모듈안착부(39) 사이에 히트파이프(85)를 배치하되, 상기 히트파이프(85)는 상기 LED모듈안착부(39)와 수직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모듈안착부(39)와 상기 히트파이프(85)의 교차부분에, 상기 히트파이프(85)의 중앙부분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모듈(32)과 LED모듈안착부(39) 사이에 히트파이프(85)를 배치하는 것 대신에 LED조명등(30) 내에 냉매를 채워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에는 냉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중공인 내부에 냉매가 채워지는 관수파이프(10); 및 외주면에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을 포함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공을 구성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가 상기 LED조명등(30)의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외주면에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3) 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기 관수파이프(10)를 구성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에서, 상기 관수파이프(10)가 수직지지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다수 고정설치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된 무게추(22)를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어선(3)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10)가 무게추(22)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3) 위에 수직지지대(11)를 구성하고, 상기 수직지지대(11)와 수직되게 어선(3)의 양측으로 2열의 관수파이프(10)를 구성하되, 상기 2열의 관수파이프(10)간 상기 수평지지대(12)에 의하여 연결시키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수평지지대(12)간 연결부위 또는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에서, 상기 관수파이프(10)가 수평지지대(12) 또는 수직지지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2열의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다수 고정설치하되, 각 열에 위치한 LED조명등(30)에서 조사된 광이 어선(3) 외측을 향하도록 LED조명등(30)을 배치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된 무게추(22)를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어선(3)의 롤링(Rolling) 발생시 2열의 관수파이프(10)가 무게추(22)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 사이에 연결파이프(17)를 설치하여 폐루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선(3)의 롤링에 따른 상기 무게추(22)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냉매가 유동중인 관수파이프의 외주면에 LED조명등을 밀착형성시키고, 관수파이프 내에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금속부재를 구성함에 따라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고열을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수파이프 및 냉매 등을 통해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LED조명등에서 방출된 광이 수면의 일정한 위치에 조사되어 집광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다수의 LED조명등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그 집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 위에 2열의 관수파이프를 설치하여 이 2열의 관수파이프에 설치된 LED조명등의 조사각도를 동시 제어함에 따라 집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한 관수파이프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관수파이프의 구간별 냉매의 온도(a) 및 제1히트파이프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선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어선의 간략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은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및 후면브라켓(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수파이프(10)는 내부에 중공부(16)가 형성된 파이프로서, 중공부(16)에 냉매가 충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중공부(16) 내부의 냉매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수파이프(10)의 재질로는 일례로서 알루미늄, 구리, 철 등이 있으며, 수명, 내구성 및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수파이프(10)는 일례로서, 가로등에서의 지주 상부에 지면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있는 지지대 역할의 파이프, 또는 하기의 어선(3) 위에 설치된 파이프 등으로서 사용된다.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LED조명등(30)과, 이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면브라켓(43)이 형성된다.
LED조명등(30)은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에 체결되어 빛을 출사하는 장치로, 조명등케이스(31), LED모듈(32) 및 보호커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등케이스(31)는 일례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이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확개(擴開)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에는 파이프결합홈(37) 및 제1볼트결합공(45a)이 구비된다.
파이프결합홈(37)은 관수파이프(10)의 외형 형태대로 구성된다. 즉, 관수파이프(10)가 원형이면 파이프결합홈(37)은 반원형이고, 관수파이프(10)가 사각형이면 파이프결합홈(37)은 디귿자형('ㄷ'자형)이 된다.
또한,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에는 고리형태의 패킹(46)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삽입홈(38)이 구성된다.
제1볼트결합공(45a)은 조명등케이스(31)의 파이프결합홈(37)에 관수파이프(10)가 안착된 상태에서, 후면브라켓(43)을 조명등케이스(31)에 볼트결합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물론 후면브라켓(43)에도 상기 제1볼트결합공(45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볼트결합공(45b)이 형성된다.
LED모듈(32)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방출한다.
보호커버(34)는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후면브라켓(43)은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그 중앙부분이 휘어져 있다.
본 발명은 패킹삽입홈(38)에 패킹(46)을 삽입한 후, 고리형태의 패킹(46)의 내측에 실리콘(47)을 도포한다.
패킹(46)은 실리콘(47)이 패킹(46)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간 긴밀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조명등케이스(31)의 파이프결합홈(37)의 패킹삽입홈(38)에 패킹(46)을 삽입하고 패킹(46)의 내측에 실리콘(47)을 도포한 후, 관수파이프(10)를 파이프결합홈(37)에 결합시킨다. 이후, LED조명등(30)의 후방에서 후면브라켓(43)을 이용하여 볼트(44) 결합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가 파이프결합홈(37)에 밀착형성되고 패킹(46)과 실리콘(47)에 의하여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의 실리콘(47) 도포부분은 진공상태가 됨에 따라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관수파이프(10) 내에 있는 냉매에 의하여 빨리 냉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패킹(46)을 단일패킹으로 구성하였지만, 2중 또는 3중 등 다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수파이프(10)의 구조 및 LED조명등(30)의 작동(ON)에 따른 냉매의 온도와 제1금속부재(20)인 제1히트파이프의 온도 분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제1금속부재(20)인 제1히트파이프를 포함한 관수파이프(10)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관수파이프(10)의 구간별 냉매의 온도(a) 및 제1금속부재(20)인 제1히트파이프의 온도(b)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수파이프(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내부에 중공부(16)가 형성된 파이프이다.
또한, 상기 관수파이프(10)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양단이 밀폐된 구조일 수도 있지만, 내부에 있는 냉매가 계속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하나의 순환파이프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관수파이프(10) 내에는 제1금속부재(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금속부재(2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금속부재(20)는 히트파이프(Heat Pipe)처럼 내부가 중공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제1금속부재(20)의 일례로서 제1히트파이프를 적용한 것으로, 제1히트파이프는 제1금속부재와 동일한 도면부호인 20을 사용하기로 한다.
제1히트파이프(20)는 일례로서, 관수파이프(10)처럼 내부가 중공이면서 양측이 밀폐된 구조로,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히트파이프(20)는 그 내부의 밀폐된 진공 공간에서 순환하는 작동유체가 연속적으로 액체-증기간의 상변화(증발과 응축)할 때 동반되는 잠열(潛熱)을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킴으로써, 단일상의 작동유체를 이용하는 통상의 열전달기기에 비해 획기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1히트파이프(20)는 관수파이프(10) 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는데, 이를 위하여 관수파이프(10)의 내주면에 가이드부재(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수파이프(10)와 제1히트파이프(20) 사이의 중공부(16)에 냉매가 충진된다.
상기 냉매로는 냉각수, 냉각유 또는 부동액 등과 같은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기체 상태의 냉각가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의 내측에 제1히트파이프(20)를 내장하고, 관수파이프(10)와 제1히트파이프(20) 사이에 냉각수나 부동액 같은 액상의 냉매를 충진한 상태에서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LED조명등(30)을 가동(ON)하면 LED조명등(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은 LED조명등(30)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부위의 관수파이프(10)에 전달되고 다시 냉매를 거쳐 제1히트파이프(20)의 일측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도 4의 A구간이 냉매의 온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제1히트파이프(20)의 일측에 전달된 열은 제1히트파이프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이동하게 된다. 제1히트파이프의 특성상 전체가 고른 열 분포가 이루어지고, 이 열은 냉매로 전달된다. 대부분은 열은 냉매에서 식혀지고,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일부 방열되기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이 관수파이프(10) 내의 냉매 및/또는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외부로 방열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도 4에서 그래프(a)는 관수파이프(10)의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냉매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수파이프(10)의 A구간에서의 냉매온도는 LED조명등(30)과 접촉된 관계로 가장 높은 온도분포를 가지고, LED조명등(30)에서 멀어질수록 냉매온도는 낮아진다.(실선 표시)
또한, 그래프(b)는 관수파이프(10)의 A구간 내지 C구간에서의 제1히트파이트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히트파이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빠른 시간 내에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제1히트파이프의 모든 구간에 걸쳐 일정한 온도분포를 가진다.(점선 표시)
한편,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LED조명등(30) 내부의 온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완충부재가 변형되어 LED조명등(3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변화량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로, 도 2의 LED조명등(30)의 열교환시스템에서 후면브라켓(43)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 파이프결합홈(37) 내측에 체결공(36)을 형성하고,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의 연결수단과 LED조명등(30)에서 발생한 열을 관수파이프(10)로 전달하는 제2금속부재(50)를 구성한 것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은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연결수단 및 제2금속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수파이프(10) 및 LED조명등(3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그 차이가 있는 연결수단 및 제2금속부재(50)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연결수단은 관수파이프(10)와 LED조명등(30)을 연결하기 위해 구성하는 것으로, 수커플링(42)과, 이 수커플링(42)을 끼워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공(36)은 LED조명등(30)의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결합홈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결공(36)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된다.
수커플링(42)은 상기 체결공(36)에 끼워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며, 파이프 형태를 갖는다.
또한, 수커플링(42)은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데, 수커플링(42)과 관수파이프(10)는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형태의 수커플링(4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금속부재(50)가 구성된다. 즉, 제2금속부재(50)는 수커플링(42)과 마찬가지로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구성된다.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금속부재(50)는 수커플링(42)보다 길이방향으로 약간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공(36)을 통해 수커플링(42)이 LED조명등(30)에 체결될 때, 제2금속부재(50)의 일단이 LED모듈(32) 또는 LED모듈(32)의 중공부(16)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ED모듈(32)의 중공부(16)는 조명등케이스(31)와 LED모듈(32) 사이의 공간을 말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36)을 통해 수커플링(42)이 LED조명등(30)에 체결될 때,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이 파이프결합홈(37)에 밀착형성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 설명부분을 참조한다.
제2금속부재(50)는 제1금속부재(20)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히트파이프처럼 내부가 중공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조명등케이스(31)의 패킹삽입홈(38)에 패킹(46)을 삽입하고 패킹(46)의 내측에 해당하는 파이프결합홈(37) 부분에 실리콘(47)을 도포하며,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이 파이프결합홈(37)에 밀착되도록 수커플링(42)을 체결공(36)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LED조명등(30)은 LED모듈(32)에서 발생된 열이 제2금속부재(50)를 통해 관수파이프(10) 내로 전달되기도 하지만 파이프결합홈(37)에 밀착된 관수파이프(10)에 직접 전달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최대한 빨리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의 일측 외주면에는 LED조명등(30)이 형성되고, 관수파이프(1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면브라켓(43)이 형성된다.
LED조명등(30)은 조명등케이스(31), LED모듈안착부(39) 및 LED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등케이스(31)는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이고 전방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 비어 있는 부분에는 LED모듈(32) 등이 설치된다.
또한,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에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시키는 AC-DC컨버터(83)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에는 관수파이프(10)가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파이프결합홈(37)이 구성된다.
파이프결합홈(37)은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조명등케이스(31)의 후측의 정중앙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LED모듈안착부(39)는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돌출된 부분에 LED모듈(32)이 안착된다.
LED모듈안착부(39)는 조명등케이스(31)의 길이방향, 즉 관수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부는 평평하게 구성된다.
또한, LED모듈안착부(39)는 파이프결합홈(37)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LED모듈(또는 LED조명등)에서 발생된 열이 최단거리로 파이프결합홈(37)을 통해 파이프결합홈(37)과 결합된 관수파이프(10)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LED모듈(32)은 LED모듈안착부(39)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방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LED조명등(30)은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보호커버는 개방되어 있는 조명등케이스(31)의 전방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LED조명등(30)은 광이 전방으로 확산(擴散)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를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관수파이프(10)가 파이프결합홈(3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일례로서, LED조명등(30)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체결볼트(81)와, 상기 관수파이프(10)를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LED조명등(3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후면브라켓(43)과, 상기 체결볼트(81)에 결합되는 너트(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면브라켓(43)은 중앙부분이 벤딩(bending)되고, 양 가장자리가 평평하게 구성된다.
상기 후면브라켓(43)의 평평한 부분에는 볼트결합공(84)이 형성되는데, 이 볼트결합공(84)을 통하여 후면브라켓(43)이 체결볼트(81)에 결합된다. 이후, 너트(82)를 이용하여 조이면 관수파이프(10)를 기준으로 관수파이프(10)의 일측 외주면에는 LED조명등이 밀착형성되고, 관수파이프(10)의 타측 외주면에는 후면브라켓(43)이 밀착형성된다.
본 발명은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에 고리형태의 패킹(46)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삽입홈(38)이 구성된다.
상기 패킹삽입홈(38)에 패킹(46)을 삽입한 후, 패킹(46)의 내측에 해당하는 파이프결합홈(37)에 실리콘을 도포하거나 방열테이프를 부착한다. 이는 열 전달을 우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파이프결합홈(37) 내에 형성된 패킹삽입홈(38)에 패킹(46)을 삽입하고 패킹(46)의 내측에 해당하는 파이프결합홈(37)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관수파이프(10)를 파이프결합홈(37)에 결합시킨다. 이후, LED조명등(30)의 후방에서 후면브라켓(43)을 이용하여 체결볼트(81)에 체결한 후, 너트(82)결합한다.
그러면 패킹(46)과 실리콘에 의하여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 사이의 실리콘 도포부분은 진공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LED조명등(30)에서 발생된 열은 관수파이프(10) 내에 위치한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다.
한편, 본 발명은 LED모듈(32)과 LED모듈안착부(39) 사이에 다수의 히트파이프(85)를 배치하되, 상기 히트파이프(85)는 상기 LED모듈안착부(39)와 수직방향으로 구성한다. 즉, LED모듈안착부(39)의 상부면에는 LED모듈안착부(39) 또는 관수파이프(10)와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히트파이프(Heat Pipe)(400)가 배치되고, 상기 히트파이프(85)의 상측에는 LED모듈(32)이 배치된다.
히트파이프(85)는 내부가 중공이면서 양측이 밀폐된 구조로,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히트파이프(85)를 병렬로 연이어 연결한 후, 양단이 밀폐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히트파이프(85)를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LED모듈안착부(39)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히트파이프(Heat Pipe)(85)를 배치하고, 상기 히트파이프(85)의 상측에 LED모듈(32)이 배치된 상태에서,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에 냉매가 채워진 관수파이프(10)를 결합하고, 후면브라켓(43)을 이용하여 LED조명등(30)이 관수파이프(10)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추가로, 본 발명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에 AC-DC컨버터(83)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LED조명등(30)을 가동(ON)하면 LED조명등(30)의 LED모듈(32) 및 AC-DC컨버터(83)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히트파이프(85)로 전달된다.
상기 히트파이프(85)는 특성상 전체가 고른 열 분포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발생된 열은 히트파이프(85)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LED모듈안착부(39)를 통하여 관수파이프(10)에 전달되어, 관수파이프(10) 내의 냉매에 의하여 냉각된다
대부분은 열은 냉매에서 식혀지고, 관수파이프(10)를 통해 일부 방열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관수파이프(10)를 통하여 열 냉각이 주로 이루어지므로 히트파이프(85)의 양 가장자리로 전달된 열은 히트파이프(85)의 중앙 부분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히트파이프(85) 대신 내부가 채워진 봉 형태의 금속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 이외에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LED(33)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외주면에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한 LED조명등(30);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급관을 통해 냉각수가 LED조명등(30) 내측으로 공급되면 이 냉각수는 LED조명등(30) 및 LED(33)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데, 여기서 냉각수는 소정 온도로 상승하게 되며, 이 상승된 온도를 갖는 냉각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어선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어선의 간략 종단면도로, 도 13은 파도가 전혀 일지 않아 어선의 롤링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 및 도 15는 어선의 롤링에 따라 어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에서와 같이, 어선(3)의 롤링이 발생하여도 LED조명등(30)의 조사방향은 도 13처럼 여전히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선(3) 위에 설치되는 관수파이프(10)가 도 9 내지 도 10처럼 1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11처럼 2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도 관수파이프(10)가 2열로 구성된 것에 해당한다.
먼저, 관수파이프(10)를 1열로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선(3) 위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지지대(1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11)와 수직방향, 즉 어선(3)의 현측으로 관수파이프(10)가 설치된다.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조명등(30)이 고정설치되는데, 이 LED조명등(30)은 어선(3)의 내측이 아닌 외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LED조명등(30)의 구조, LED조명등(30)과 관수파이프(10)간 결합관계 등은 앞의 설명부분을 참조한다.
또한, 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에서는 관수파이프(10)가 수직지지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인 제2조인트부(26)에는 베어링(27)이 구성되어 관수파이프(10) 및 이 관수파이프(10)와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수파이프(10)에는 무게추(22)가 중력(연직,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관수파이프(10)와 제1와이어(24)간에는 제1조인트부(23)에 의하여 고정설치되고, 제1와이어(24)는 제2와이어(25)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25)는 무게추(22)와 연결된다.
제1와이어(24)는 제2와이어(25)보다 두껍게 구성하며, 제1,2와이어(24)(25)는 강체(剛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2와이어(24)(25)의 두께를 동일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4 및 도 15처럼 어선(3)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10)가 무게추(22)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도 13처럼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된다. 즉, 상기 무게추(22)는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므로 롤링 발생시 일시적으로 관수파이프(10)와 함께 소정각도 롤링되었다가 다시 중력방향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 무게추(22)는 관수파이프(10)의 길이에 따라 2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으며, 1개 설치되는 경우 관수파이프(10)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어선(3)의 롤링에 의하여 어선(3)은 물론 어선(3) 위에 설치된 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및 무게추(22) 등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14 및 도 1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와이어(24)(25)에 의해 매달려 있는 무게추(22)는 수직방향(연직방향, 중력방향)으로 향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인 중력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22)의 제1와이어(24)와 제1조인트부(23)를 통해 연결된 관수파이프(10) 및 이 관수파이프(10)와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도 무게추(22)의 회전각도만큼 회동하게 한다.
상기 관수파이프(10) 및 LED조명등(30)의 회동은 제2조인트부(26)에서 이루어지는데, 제2조인트부(26)에 설치된 베어링(27)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1)는 그 위치에 고정된 채 관수파이프(10) 및 LED조명등(30)만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관수파이프(10)에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 및 유지하게 된다.(도 13 참조)
미설명부호 4는 해수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어선(3)의 롤링에 따른 상기 무게추(22)의 롤링거리(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11) 등과 같은 지지물에 브라켓(53)을 고정시키는데, 이 브라켓(53)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54)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홀(54)은 무게추(22) 및 이 무게추(22)와 연결된 제1와이어(24) 또는 제2와이어(25)의 롤링거리(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무게추(22)의 롤링거리(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은 무게추(22)의 과도한 롤링(이동)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내지 도 10 설명부분에서 설명된 관수파이프(10)를 2열로 구성한 것에 해당한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선(3) 위에는 1개 이상의 수직지지대(11)가 구성되고, 이 수직지지대(11)와 수직되게 어선(3)의 양측(양 현측)으로 2열의 관수파이프(10)가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어선(3)의 일측열에 구성되는 관수파이프(10)를 '제1관수파이프'라 명명하고, 타측열에 구성되는 관수파이프(10)를 '제2관수파이프'라 명명하기로 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가 평행한 방향으로, 어선(3)의 양측(양 현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 사이에는 수평지지대(12)가 설치되는데, 이 수평지지대(12)에 의하여 제1,2관수파이프(10)가 일정간격(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2관수파이프(10)와 수평지지대(12)간 연결부위 또는 제1,2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에서는 제1,2관수파이프(10)가 수평지지대(12) 및/또는 수직지지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2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 또는 제1,2관수파이프(10)와 수평지지대(12)간 연결부위인 제2조인트부(26)에는 베어링(27)이 구성되어 관수파이프(10) 및 이 관수파이프(10)와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만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조인트부(26)가 제1,2관수파이프(10), 수직지지대(11), 및 수평지지대(12)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1,2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LED조명등(30)이 고정설치된다.
LED조명등(30)은 각 열에 위치한 LED조명등(30)에서 조사된 광이 어선(3)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2관수파이프(10)에는 무게추(22)가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2관수파이프(10)와 제1와이어(24)간에는 제1조인트부(23)에 의하여 고정설치되고, 제1와이어(24)는 제2와이어(25)와 연결되며, 제2와이어(25)는 무게추(22)와 연결된다.
상기 무게추(22)는 각 관수파이프(10)의 길이에 따라 2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으며, 1개 설치되는 경우 각 관수파이프(10)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어선(3)의 롤링(Rolling) 발생시 제1,2관수파이프(10)가 무게추(22)에 의하여 회동이 동시에 이루어져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된다. 즉, 상기 무게추(22)는 항상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므로 롤링 발생시 일시적으로 제1,2관수파이프(10)와 함께 소정 각도 동시에 롤링되었다가 다시 중력방향으로 동시에 되돌아오게 된다.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어선(3)의 롤링에 의하여 어선(3)은 물론 어선(3) 위에 설치된 제1,2관수파이프(10), LED조명등(30) 및 무게추(22) 등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와이어(24)(25)에 의해 매달려 있는 무게추(22)는 수직방향(연직방향, 중력방향)으로 향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인 중력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22)의 제1와이어(24)와 제1조인트부(23)를 통해 연결된 제1,2관수파이프(10) 및 이 제1,2관수파이프(10)와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도 무게추(22)의 회전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2관수파이프(10) 및 LED조명등(30)의 회동은 제2조인트부(26)에서 이루어지는데, 제2조인트부(26)에 설치된 베어링(27)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1)는 그 위치에 고정된 채 제1,2관수파이프(10) 및 LED조명등(30)만 회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2관수파이프(10)에 고정설치된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 및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 사이에 연결파이프(17)를 설치하여 폐루프(Closed Loop, 閉Loop)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1관수파이프(10)의 일단과 제2관수파이프(10)의 일단 사이에 하나의 연결파이프(17)를 구성하고, 제1관수파이프(10)의 타단과 제2관수파이프(10)의 타단 사이에 다른 하나의 연결파이프(17)를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관수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17) 사이에는 이음부재(18)를 구성하여 제1,2관수파이프(10)의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음부재(18)의 형태 및 구조는 연결파이프(17)가 고정된 채 제1,2관수파이프(10)만 회동이 이루어지면 어떠한 형태 및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관수파이프(10) 및 연결파이프(17) 내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 내로 냉매(냉각수, 냉각유 등)가 순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제1,2관수파이프(10)에 설치된 LED조명등(30)의 빠른 냉각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파이프(17)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어선(3)의 양 현측뿐만 아니라 전후방에서의 어획작업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가 평행하게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제1관수파이프(10)와 제2관수파이프(10)는 어선(3)의 구조 및 사용 형태에 따라 평행구조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어선
4: 해수면
10: 관수파이프
11: 수직지지대
12: 수평지지대
13: 가이드부재
16: 중공부
17: 연결파이프
18: 이음부재
20: 제1금속부재
22: 무게추
23: 제1조인트부
24: 제1와이어
25: 제2와이어
26: 제2조인트부
27: 베어링
30: LED조명등
31: 조명등케이스
32: LED모듈
33: LED
34: 보호커버
36: 체결공
37: 파이프결합홈
38: 패킹삽입홈
39: LED모듈안착부
42: 수커플링
43: 후면브라켓
44: 볼트
45a: 제1볼트결합공
45b: 제2볼트결합공
46: 패킹
47: 실리콘
50: 제2금속부재
53: 브라켓
54: 가이드홀
61: LED패널
81: 체결볼트
82: 너트
83: AC-DC컨버터
84: 볼트결합공
85: 히트파이프

Claims (15)

  1. 어선(3) 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지지대(11)와, 상기 수직지지대(1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관수파이프(10)를 구성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수직지지대(11)간 연결부위에서, 상기 관수파이프(10)가 수직지지대(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다수 고정설치하며;
    상기 관수파이프(10)와 연결된 무게추(22)를 중력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어선(3)의 롤링(Rolling) 발생시 관수파이프(10)가 무게추(22)에 의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LED조명등(30)의 조사 방향이 롤링 이전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의 후측에는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외형 형태의 파이프결합홈(37)이 형성되며,
    상기 LED조명등(30)은 조명등케이스(31)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다수의 LED(33)가 배치되어 전원공급시 전방으로 빛을 출사하는 LED모듈(32)을 포함하고,
    상기 관수파이프(10)의 일측외주면에 LED조명등(30)의 파이프결합홈(37)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수파이프(10)의 타측외주면에 LED조명등(3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후면브라켓(43)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에 LED모듈(32)을 안착하기 위한 LED모듈안착부(39)가 구성되고,
    상기 LED모듈안착부(39)를 파이프결합홈(37)과 관수파이프(10)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LED모듈안착부(39)가 조명등케이스(31)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 내에 냉매를 채워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중공인 상기 관수파이프(10)의 내부에 냉매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등(30)은 외주면에 LED(33)가 구비된 LED모듈(32)을 포함하고,
    상기 LED조명등(30)의 내측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LED조명등(30)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61493A 2011-06-24 2011-06-24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KR10120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93A KR101202206B1 (ko) 2011-06-24 2011-06-24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93A KR101202206B1 (ko) 2011-06-24 2011-06-24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206B1 true KR101202206B1 (ko) 2012-11-21

Family

ID=4756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93A KR101202206B1 (ko) 2011-06-24 2011-06-24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020A (zh) * 2014-03-27 2015-09-30 玉晶光电股份有限公司 集鱼灯装置及其系统
KR20200110917A (ko) 2019-03-18 2020-09-28 이주동 집어등 빛 그림자 조절장치
KR20210096779A (ko) *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애버드 무전극 램프를 이용한 집어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451B1 (ko) * 2009-09-15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20063B1 (ko) * 2010-03-08 2011-03-07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35100B1 (ko) * 2010-07-15 2011-05-19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451B1 (ko) * 2009-09-15 2010-07-16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20063B1 (ko) * 2010-03-08 2011-03-07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035100B1 (ko) * 2010-07-15 2011-05-19 이주동 Led조명등 냉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020A (zh) * 2014-03-27 2015-09-30 玉晶光电股份有限公司 集鱼灯装置及其系统
KR20200110917A (ko) 2019-03-18 2020-09-28 이주동 집어등 빛 그림자 조절장치
KR20210096779A (ko) *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애버드 무전극 램프를 이용한 집어등
KR102386388B1 (ko) 2020-01-29 2022-04-14 주식회사 애버드 무전극 램프를 이용한 집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218B2 (en) Surface mounted light fixture and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same
KR101020063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US8480264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heat dissipation system
US8866406B2 (en) Lighting system having a multi-light source collimator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US8506135B1 (en) LED light engine apparatus for luminaire retrofit
US9383088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 having a packaged heat spreader
KR100970451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CN103925559A (zh) 用于发光二极管光源的散射器
US20140063793A1 (en) Sealed led light fixture for use in food processing applications
KR101345690B1 (ko) Led집어등장치
US20150061498A1 (en) Temperature Controlled High Output LED Lighting System
KR101202206B1 (ko) Led조명등의 열교환시스템을 이용한 조사방향 자동제어시스템
KR100970224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EP3076072A1 (en) Led lighting fixture
KR101035100B1 (ko) Led조명등 냉각장치
KR101370382B1 (ko) Led 집어등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장치
KR101149795B1 (ko) 엘이디 등기구 구조체
KR20130114818A (ko) 조명기구 및 이 조명기구의 조사 방향 자동제어시스템
KR101159038B1 (ko) 조명등기구 방열장치
KR20130060392A (ko) Led 투광등
KR20120118742A (ko) 방열효과를 개선한 냉열식 led 투광기
US96448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ield repairable light fixture with a housing that dissipates heat
CN218599673U (zh) 一种相变散热的大功率led灯
CN215982441U (zh) 可水冷的线性光源及照明系统
CN104728619B (zh) 一种反光面led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