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446U -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 Google Patents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446U
KR20090001446U KR2020070013260U KR20070013260U KR20090001446U KR 20090001446 U KR20090001446 U KR 20090001446U KR 2020070013260 U KR2020070013260 U KR 2020070013260U KR 20070013260 U KR20070013260 U KR 20070013260U KR 20090001446 U KR20090001446 U KR 200900014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ing
prevention unit
trigger
injection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승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승일
Priority to KR2020070013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446U/ko
Publication of KR20090001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4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05B12/0024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 B05B12/0026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to inhibit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제 등의 분사를 위한 스프레이의 분사 트리거의 트리거링 조작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ing)할 수 있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TRIGGER TYPE SPRAY HAVING AN ANTI-TRIGGERING UNIT}
본 고안은 분사 트리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잠금(locking)할 수 있는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또는 분무 장치는 살충제나 살균제 및 방향제나 기타 약제의 분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스프레이의 하우징의 일 측에는 분사 트리거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분사 트리거를 당기면 하우징의 내부의 약제 등이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게 된다. 상기 분사 트리거는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그러나, 스프레이를 잘 보관하지 못하면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스프레이를 만지다가 분사 트리거를 누르게 될 우려가 있다. 분사 트리거가 당겨지면 노즐을 통하여 하우징 내부의 약제가 분사되어 어린아이들의 신체가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사 트리거의 작동을 필요에 따라 잠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를 통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분사 트리거의 작동을 제어하여 약제의 분사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분사 트리거의 잠금을 위한 조작을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달성할 수 있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는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분사노즐이 배치되는 분사헤드; 상기 분사헤드에 트리거링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리거링 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분사되게 분사 트리거; 및 상기 분사헤드 또는 하우징에 조작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분사 트리거의 트리거링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링 방지 유닛은,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의 트리거링 경로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트리거링을 차단하는 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분사헤드 또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링 형상 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대한 회전 조작시의 미끄럼을 완화하는 미끄럼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는 분사 트리거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외부 충격에 의해 작동하거나 판단 능력이 없는 어린 아이들이 아무런 제약 없이 분사 트리거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불필요한 약제의 분사나 어린 아이 등이 약제 등의 분사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분사 트리거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경우라도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제거하지 않고 간편하게 회전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로, 트리거링 방지 유닛의 분실 가능성이 없고 사용의 편리성 또한 저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스프레이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에 미끄럼완화부를 구비함에 따라, 분사 트리거의 잠금 상태 변경을 위한 트리거링 방지 유닛에 대한 회전 조작 시의 미끄럼이 완화되어 사용자의 원활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의 보관을 위한 상태를 일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프레이의 사용을 위한 상태를 일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는 하우징(10)과, 분사헤드(20)와, 분사 트리거(30) 및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약제 등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대체로 원통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약제는 살충제, 방충제, 향수 등의 종류에 무관하게 스프레이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분사헤드(20)는 하우징(10)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분사헤드(20)의 내측에는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서 연장하는 스템(stem)이 배치된다. 스템에 대해서는 분사노즐이 연결되고, 분사노즐의 일 단부는 분사구(21) 측으로 지향된다.
분사 트리거(30)는 분사헤드(20)의 일 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사용자가 분사 트리거(30)를 당김 또는 트리거링(triggering) 조작하게 되면, 분사 트리거(30)는 분사노즐을 개방하여 내부 공간의 약제 등이 스템 및 분사노즐을 거쳐서 분사구(2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한다.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은 분사헤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차단돌기(42)는 스프레이의 보관 상태에서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도 1 참조). 이상과 달리, 트리거링 방지 유닛(40) 은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스프레이의 사용 상태에서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차단돌기(42)가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 경로에서 이탈하게 된다.그 결과로, 사용자가 분사 트리거(30)를 트리거링 조작하는데 장애가 없어진다(도 2 참조).
상기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도 1의 분사헤드(20)와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은 몸체(41)와 차단돌기(42)를 포함한다.
몸체(41)는 대략 링 형상을 가져서 분사헤드(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차단돌기(42)는 몸체(41)의 일 부분에서 돌출 형성된다.
몸체(41)의 내주에는 원형의 그루브(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43)에 대응하여, 분사헤드(20)의 외주에는 원형으로 돌출한 회전링(2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링(22)은 그루브(43)에 삽입되어,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을 회전시키더라도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이 분사헤드(2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내주에는 내부돌기자리홈(46)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리홈(46)에 대응하여, 분사헤드(20)의 내주에는 내부돌기(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돌기(23)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차단돌기(42)가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 경로에 위치하는 각도에 형성되어, 자리홈(46)에 삽입 됨에 따라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이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몸체(41)의 외주에는 요철이 형태의 미끄럼완화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완화부(45)에 의하여,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을 사용 상태와 보관 상태 사이에서 회전시킴에 있어서, 사용자의 미끄럼이 완화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관 상태에서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차단돌기(42)는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자리홈(46) 및 내부돌기(23)에 의하면, 차단돌기(42)는 상기 경로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로, 차단돌기(42)를 변형 또는 파손시킬 정도의 힘이 주어지지 않는 이상, 차단돌기(42)는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을 차단하여 분사 트리거(30)가 약제를 분사할 정도로 트리거링 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보관 상태에서는 유아나 어린 아이들이 분사 트리거(30)를 당긴다고 하여도 약제가 분사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로, 분사 트리거(30)의 작동으로 분사되는 약제에 유아 등이 노출되는 위험이 없어지거나 감소 된다.
사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몸체(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몸체(41)가 회전됨에 따라 차단돌기(42)는 분사 트리거(30)의 트리거링 경로에서 벗어나서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로, 분사 트리거(30)를 트리거링 조작함에 제약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 전환 과정에서,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을 분사헤드(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회전만 시키면 된다. 그에 따라,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을 착탈하 는 경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의 분실 등의 염려도 없게 된다. 나아가, 트리거링 방지 유닛(40)이 분사헤드(20)에 상기 돌출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정한 힘이 필요로 하기에, 유아 등이 임의로 조작하기 어렵게 한다.
상기와 같은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의 보관을 위한 상태를 일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스프레이의 사용을 위한 상태를 일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사헤드와 트리거링 방지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하우징 20: 분사헤드
30: 분사 트리거 40: 트리거링 방지 유닛

Claims (5)

  1.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분사노즐이 배치되는 분사헤드;
    상기 분사헤드에 트리거링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리거링 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분사되게 분사 트리거; 및
    상기 분사헤드 또는 하우징에 조작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분사 트리거의 트리거링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방지 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의 트리거링 경로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트리거링을 차단하는 차단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분사헤드 또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 요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대한 회전 조작시의 미끄럼을 완화하는 미끄럼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KR2020070013260U 2007-08-08 2007-08-08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KR200900014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60U KR20090001446U (ko) 2007-08-08 2007-08-08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60U KR20090001446U (ko) 2007-08-08 2007-08-08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446U true KR20090001446U (ko) 2009-02-12

Family

ID=4129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260U KR20090001446U (ko) 2007-08-08 2007-08-08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4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42B1 (ko) * 2009-11-27 2011-05-19 주식회사 승일 잠금가능한 분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42B1 (ko) * 2009-11-27 2011-05-19 주식회사 승일 잠금가능한 분사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94431T3 (es) Autoinyector con medio de retención de recipiente que puede desactivarse mediante una protección de seguridad
RU2701359C1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жидкости
TW201642917A (zh) 藥物輸送裝置
CN101854965A (zh) 具有可通过防护罩的运动定位在激活位置的触发装置和激活位置的指示的自动注射装置
AU7377898A (en) Total release actuator for an aerosol can
US10384022B2 (en) Hand-held dose-dispensing pressurized spray inhaler with child restraint capability
KR20090001446U (ko) 트리거링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트리거형 스프레이
KR200446439Y1 (ko) 슬라이드형 누름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스프레이
ES2799583T3 (es) Cierre de seguridad para contenedor
SI21605A (sl) Razpršilnik s sprožilcem, varen za otroke
JP6276600B2 (ja) トリガー式スプレイヤー
KR10063214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90001445U (ko) 회전형 누름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스프레이
EP3554589B1 (en) Needlestick prevention device
JP6267415B2 (ja) 薬剤放散装置
JP2000070791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ロック装置
US11975180B2 (en) Needle stick protection device
KR20220106420A (ko) 휴대용 약액 도포구
JP3512220B2 (ja) 徐放性を有するエアゾール装置
KR200272783Y1 (ko) 에어졸 분무장치
KR200272784Y1 (ko) 에어졸 분무장치
JP7406270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JP5841058B2 (ja) 噴射装置
JP4557592B2 (ja) エアゾール装置
JP7244052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