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784Y1 - 에어졸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졸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784Y1
KR200272784Y1 KR2020020002984U KR20020002984U KR200272784Y1 KR 200272784 Y1 KR200272784 Y1 KR 200272784Y1 KR 2020020002984 U KR2020020002984 U KR 2020020002984U KR 20020002984 U KR20020002984 U KR 20020002984U KR 200272784 Y1 KR200272784 Y1 KR 200272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joint
coupled
protective cover
metal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2000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784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졸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동자유롭게 결합되는 조인트노즐과, 상기 조인트노즐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축받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에어졸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결합되는 금속분무니들; 상기 분사노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끼움공을 구비한 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금속분무니들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홈부를 구비한 회동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등에 꽂아 사용되는 금속분사니들을 안전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분사니들이 보호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아이의 신체에 상해가 입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졸 분무장치{AIRSOLE INJECTING DEVICE}
본 고안은 에어졸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등에 꽂아 사용되는 금속분사니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금속분사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졸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매트리스, 소파, 액자 등에 각종 세균 및 벌레들이 서식하고 있고, 이러한 세균 및 벌레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각종 살균 및 살충제의 투여에 의하여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에어졸은 통상 분사에 의한 구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때 분사되는 살균 및 살충제는 침대 매트리스, 소파등의 외부에는 그 구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그 내부에 까지 살균 및 살충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침대 매트리스, 소파 등의 내부에 살균 및 살충제를 투여하기 위해서는 긴 스트로를 통하여 분무하는 기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손이 미치지 않는 구석을 구제하는데는 용이하였으나 침대 매트리스, 소파 등과 같이 층을 이루고 있거나 내부에 이에 준하는 물질이 차있는 경우에는 그 내부를 구제할 수 는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 구조는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8-4129호(고안의 명칭 : 삽입형 살균, 살충제 분무장치)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하부에 용기삽입부(112)를구성하고, 그 중앙에는 절곡단(114)을 통해 상하작동할 수 있도록 가압판(113)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부에 힌지공(117)이 형성된 한쌍의 힌지리브(115)와 가이드리브(116)를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한쌍의 끼움봉(미도시)과 그 안쪽에 끼움공(미도시)을 일체로 형성하여 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7)에는 ‘T’형조인트노즐(120)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축받이(미도시)를 삽입하여 힌지공(117)에서 상기 ‘T’형조인트노즐(120)이 회동자유롭게 작동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T’형조인트노즐(120)의 일단에는 타단에 방지판(135)이 형성된 ‘U’형축받이(132)가 형성된 ‘A’형조인트(130)를 결합하고, 상기 ‘U’형축받이(132)에는 일단에 호스(150)가 고정된 분사노즐(14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호스(150)의 타단에는 내부에 삽입공(162)이 형성된 니이들버턴노즐(160)의 일측공(163)에 결합되고 타측공(164)에는 끝단이 뾰족한 삽입단(172)과 다수의 분무공(174)이 형성된 금속분무니들(170)을 고정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금속분무니들(170)에는 사용상의 안전 및 분무공(174)으로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연질의 커버(180)내에 금속분무니들(170)을 내장되도록 하되 이의 중간부분을 절개한 절개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100)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용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100)를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용기삽입부(112)에 삽입 고정시키되, 용기(100)를 구성하고 있는 배출노즐(102)은 ‘T’형조인트노즐(120)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니이들버턴노즐(160)을 파지한 상태에서 금속분무니들(170)을 살균 또는 살충하고자 하는 부분 즉,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에 삽입단(172)을 삽입하되 상기 다수의 분무공(174)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에 충분히 삽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단(172)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에 삽입됨과 동시에 연질의 커버(180)는 절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판(113)을 가압하면 상기 용기(100)의 배출노즐(102)에 결합된 ‘T’형조인트노즐(120)이 배출노즐(102)을 가압시켜 밀폐된 배출노즐(102)을 개방시켜 준다.
상기한 배출노즐(102)의 개방에 의해 용기(100)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은 배출되면서 ‘T’형조인트노즐(120)을 통해 ‘A’형조인트(130), 분사노즐(140)의 분사공(142), 호스(150), 니이들버턴노즐(160), 금속분무니들(170)의 분무공(174)을 통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로 분무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무장치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에 분무되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내에 서식하고 있는 진드기 및 기타 세균을 구제할 수 있으나, 금속분무니들(170)을 감싸고 있는 커버(180)가 연질로 형성되어 있어 금속분무니들(170)의 삽입단(172)에 의해 커버(180)가 파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중 금속분무니들(170)에 의해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이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기술적 과제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등에 꽂아 사용하는 분사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분사장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금속분무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힌지공에 회동자유롭게 결합되는 조인트노즐과, 상기 조인트노즐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축받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에어졸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 결합되는 금속분무니들; 상기 분사노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끼움공을 구비한 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금속분무니들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홈부를 구비한 회동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분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에어졸 분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에어졸 분무장치에서 몸체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졸 분무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보호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5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평상시 에어졸 분무장치가 분무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몸체
28 : 힌지공 30 : 조인트노즐
40 : 조인트 42 : 축받이
50 : 분사노즐 60 : 금속분무니들
70 : 보호커버 71 : 결합부
72 : 끼움공 74 : 회동부
75 : 삽지홈부 80 : 탄성부재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졸 분무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용기(10), 몸체(20), 조인트노즐(30), 조인트(40), 분사노즐(50), 금속분무니들(60), 보호커버(70) 및 탄성부재(80)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77)는 분사노즐(50)과 보호커버(70)에 설치되는 힌지핀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10)는 내부에 세균 및 벌레를 구제할 수 있는 내용물이 저장된다.
몸체(20)는 원통형상으로 하부에 용기(10)가 결합될 수 있게 용기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절곡단(미도시)을 통해 상하작동할 수 있도록 가압판(24)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하부에 힌지공(28)이 형성된 한쌍의 힌지리브(26)와 가이드리브(27)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노즐(30)은 ‘T’자형으로써 돌출축받이(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축받이는 상기 조인트노즐(30)이 힌지공(28)에 회동자유롭게 작동하도록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조인트(40)는 ‘A’자형으로써, 일단이 상기 조인트노즐(3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방지판(45)이 형성된 축받이(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받이(42)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분사노즐(50)은 상기 축받이(42)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힌지핀(77)이 끼워질 수 있게 결합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분무니들(60)은 분사노즐(5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내경에 다수의 분무공(62)과 끝단이 뾰족한 삽입단(64)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커버(70)는 분사노즐(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끼움공(72)을 구비한 결합부(7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금속분무니들(60)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홈부(75)를 구비한 회동부(7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탄성부재(80)는 상기 보호커버(70)와 상기 분사노즐(50)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10)를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용기삽입부(22)에 삽입 고정시키되, 용기(10)를 구성하고 있는 배출노즐(12)에 조인트노즐(30)을 끼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노즐(30)에는 조인트(40)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40)의 축받이(42)에는 분사노즐(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50)에는 금속분무니들(60)의 일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분사노즐(50)에 보호커버(70)의 결합부(71)를 힌지핀(77)으로 힌지 결합시키면 된다. 즉, 분사노즐(50)에 결합부(71)를 위치시킨 다음 힌지핀(77)을 보호커버(70)의 끼움공(72)과 분사노즐(50)의 결합공(54)에 관통 설치하면 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0)과 보호커버(70)의 연결부위 일측에는 탄성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에어졸을 살균 및 살충하고자 하는 부위에 분사시켜주면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어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a인 상태에서 보호커버(7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준다. 그러면 이 보호커버(70)의 회동에 의해 도 5b와 같이 결합부(71)가 힌지핀(77)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금속분무니들(60)이 외부로 노출되고, 탄성부재(80)는 서로 엇갈리게 된다.
상기한 보호커버(7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금속분무니들(60)이 외부로 노출되면 이 금속분무니들(60)의 삽입단(64)을 살균 또는 살충하고자 하는 부분 즉,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삽입단(64)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에 삽입될 때 보호커버(70)는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표면에 걸리면서 금속분무니들(60)의 외주연을 따라 분사노즐(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판(24)을 가압하면 상기 용기(10)의 배출노즐(12)에 결합된 조인트노즐(30)이 배출노즐(12)을 가압시켜 밀폐된 배출노즐(12)을 개방시켜 준다.
이때, 상기 조인트노즐(30)은 돌출축받이가 힌지공(28)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으므로 배출노즐(12)을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시키게 되므로 배출노즐(12)의 개방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리브(27)는 조인트노즐(30)이 회동할 때 외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해 준다.
상기한 배출노즐(12)의 개방에 의해 용기(10)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은 배출되면서 조인트노즐(30)을 통해 조인트(40), 분사노즐(50), 금속분무니들(60)의 분무공(62)을 통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의 내부로 분무되어져 구제작업이 이루어 진다.
사용이 완료되어 금속분무니들(60)을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에서 이탈시키면 이탈과 동시에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커버(70)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지고, 상기 보호커버(70)가 복귀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금속분무니들(60)은 회동부(74)의 삽지홈부(75)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도 5a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5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금속분무니들(6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평상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24)을 가압하게 되면용기(10)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은 조인트노즐(30)을 통과하면서 조인트(40), 분사노즐(50)의 분사공(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면서 구제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분사노즐에 본 고안을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분사노즐에 호스의 일단을 설치하고, 호스의 타단에는 종래와 같이 니이들버턴노즐을 설치하며 이 니이들버턴노즐에 본 고안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에어졸 분무장치에 따르면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등에 꽂아 사용되는 금속분사니들을 안전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분사니들이 보호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어린아이의 신체에 상해가 입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힌지공(28)에 회동자유롭게 결합되는 조인트노즐(30)과, 상기 조인트노즐(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인트(40)와, 상기 조인트(40)의 축받이(4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노즐(50)로 이루어진 에어졸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50)에 결합되는 금속분무니들(60);
    상기 분사노즐(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끼움공(72)을 구비한 결합부(7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금속분무니들(60)이 삽입될 수 있게 삽지홈부(75)를 구비한 회동부(7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보호커버(70);
    상기 보호커버(70)와 상기 분사노즐(5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 분무장치.
KR2020020002984U 2002-01-30 2002-01-30 에어졸 분무장치 KR200272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84U KR200272784Y1 (ko) 2002-01-30 2002-01-30 에어졸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84U KR200272784Y1 (ko) 2002-01-30 2002-01-30 에어졸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784Y1 true KR200272784Y1 (ko) 2002-04-19

Family

ID=7311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984U KR200272784Y1 (ko) 2002-01-30 2002-01-30 에어졸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7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3804B2 (ja) 投与装置
JP4970124B2 (ja) 害虫用捕獲具、及びこの害虫用捕獲具を備えた吸引装置
KR200272784Y1 (ko) 에어졸 분무장치
KR200272783Y1 (ko) 에어졸 분무장치
US7967011B2 (en) Inhalation device
KR200273798Y1 (ko) 에어졸 분무장치
WO1998046280A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chemical
KR200187199Y1 (ko) 삽입형 살균,살충제 분무장치
JP3230015U (ja) 呼気浄化器
US6233866B1 (en) Plant attachment device for killing obnoxious plants
JP3944304B2 (ja) 範囲限定噴射用のエアゾール装置
CN209572964U (zh) 一种捕鼠装置
JPH0236369Y2 (ko)
JPH10151199A (ja) 薬剤の噴霧装置
JP3841835B2 (ja) 消毒用エタノール入りスプレー式容器
JP2002255265A (ja) 全量噴射式エアゾール用噴射装置
KR102489010B1 (ko) 소독지 케이스
JP2002080080A (ja) 連続自動噴射が可能なエアゾール容器
KR20120106418A (ko) 휴대용 살균 소독장치
JP2004026278A (ja) ロングノズル付き噴射容器
KR200203306Y1 (ko) 약제병이 부착된 분무기(aerosol)
JP3890363B2 (ja) 連続自動噴射が可能なエアゾール容器
KR200433428Y1 (ko) 분사식 살충제용 집게
JP2000247383A (ja) 自動噴射可能なエアゾール容器
JP5648899B2 (ja) 筒状ゴキブリ捕獲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