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090U - 버스바 - Google Patents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090U
KR20090001090U KR2020070012567U KR20070012567U KR20090001090U KR 20090001090 U KR20090001090 U KR 20090001090U KR 2020070012567 U KR2020070012567 U KR 2020070012567U KR 20070012567 U KR20070012567 U KR 20070012567U KR 20090001090 U KR20090001090 U KR 200900010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ody portion
bridge
pres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2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090U/ko
Publication of KR20090001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0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51)에 장착되고, 판상의 금속재질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몸체부(71)와; 상기 몸체부(71)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71)의 절곡된 부분과 인접한 상기 몸체부(71)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모서리부(77)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브릿지(79,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에 버스바의 모서리부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브릿지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쉽게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버스바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정션박스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버스바, 보강브릿지

Description

버스바{Bus bar}
본 고안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정션박스 등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버스바(Bus bar)는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용량을 갖는 도체로,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like point)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버스바는 주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에 구비되어 여러 지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공통 도체로 많이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버스바(10)에는 정션박스의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몸체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버스바(10)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절곡된 부분은 모서리부(13)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단자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15)는 상기 몸체부(11)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대단자 또는 퓨즈 등 과 결합된다. 즉, 상기 단자부(15)에 의해 상기 버스바(10)가 상대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0)에는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부(13)는 절곡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상태이므로 상기 버스바(10)의 다른 부분보다 외력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모서리부(13)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버스바(10)가 소성변형되기 쉽다. 이때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바(10)의 모양을 바로잡기 위하여 변형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버스바(10)에 외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버스바(10)에 크랙이 발생되기 쉽고, 심할 경우 상기 버스바(10)의 모서리부(13)가 파괴되어 상기 정션박스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서리부(13)에 엠보형상을 둘 수도 있으나 상기 엠보형상에 의해 상기 정션박스 내부에서 상기 버스바(10)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버스바(10)가 외력에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강브릿지가 구비되는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우징에 장착되고, 판상의 금속재질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과 인접한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모서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는 횡단면이 'ㅡ'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는 횡단면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절결되어 형성되는 간섭회피부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의 모서리부에 상기 버스바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브릿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보강브릿지가 상기 모서리부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어 상기 버스바가 쉽게 소성변형되지 않고, 상기 버스바에 크랙이 쉽게 발생되지 않으므로 버스바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결 과적으로 정션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버스바가 정션박스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버스바가 정션박스에 장착된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정션박스에 대해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정션박스(50)의 골격은 하우징(5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70)를 비롯하여 퓨즈나 릴레이 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51)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의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51)에는 버스바장착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55)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70)의 몸체부(7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은 버스바(70)의 몸체부(71)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는 간섭회피부(57)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57)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70)의 보강브릿지(79)와 대응되는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내측면 일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절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57)는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게 형성되어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 삽입될 때 보강브릿지(79)와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내측면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회피부(57)는 보강브릿지(79)의 일면과 접촉되는 정도의 깊이로 절결된다. 이는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서 버스바(7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는 록킹부(59)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5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70)의 걸림편(78)이 걸어진다. 상기 록킹부(59)는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편(78)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59)의 양측에는 탄성변형슬릿(6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61)은 상기 버스바장착부(53)와 접하는 상기 록킹부(59)의 양측면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릿(61)에 의하여 상기 록킹부(59)는 일종의 외팔보형상이 된다.
상기 록킹부(59)가 연장된 선단쪽에는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으로 돌출되는 걸림턱(6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3)은 버스바(7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63)의 선단에는 버스바(7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6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65)은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63)의 선단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51)에는 버스바(70)가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70)의 외관과 골격은 몸체부(7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71)는 상기 하우징(51)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51)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71)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70)에는 상기 몸체부(71)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부(7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3)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버스바 및 상대단자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상기 몸체부(7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부(73)에는 체결공(7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74)에는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73)가 상대단자 및 상기 하우징(5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버스바(70)에는 절곡부(75)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75)는 상기 몸체부(7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7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절곡부(75)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단자부(76)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76)는 상기 절곡부(75)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대단자 또는 퓨즈 등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71)의 절곡된 부분을 모서리부(77)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모 서리부(77)는 상기 몸체부(71)와 연결부(73) 및 절곡부(75)가 연결되는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70)에는 걸림편(7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78)은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절곡부(75)의 하단이 소정폭만큼 절개되고 상기 걸림턱(63)을 향하여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78)은 상기 걸림턱(63)에 걸어져 상기 버스바(70)가 상기 걸림턱(6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편(78)이 상기 걸림턱(63)에 걸어진 모습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스바(70)의 모서리부(77)에는 보강브릿지(79)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몸체부(71)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모서리부(77)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버스바(70)의 다른부분보다 외력에 약한 상기 모서리부(77)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모서리부(77)로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하여 상기 모서리부(77)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브릿지(79)는 그 횡단면이 대략 'ㅡ'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연결부(73)및 절곡부(75)를 상기 몸체부(71) 쪽으로 지지하여 상기 모서리부(77)를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간섭회피부(57)와 대응되는 폭과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없이 상기 하우징(51)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 장착되면, 상기 보강브릿지(79)와 상 기 간섭회피부(57)의 대응되는 면을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서 상기 버스바(70)가 유동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70)에 형성되는 보강브릿지(79')는 그 횡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모서리부(77)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몸체부(7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브릿지(79')는 상기 모서리부(77)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버스바(70)의 소성변형 및 크랙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 형성되는 간섭회피부(57)는 상기 보강브릿지(79')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간섭회피부(57)는 상기 보강브릿지(79')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스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하우징(51)에 버스바(7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70)의 몸체부(71)를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된 버스바장착공간(55)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 기 버스바(70)의 일측이 상기 걸림턱(63)의 경사면(65)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걸림턱(63)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70)의 걸림편(78)이 상기 걸림턱(63)을 타고 넘게 된다.
즉, 상기 버스바(70)의 걸림편(78)이 상기 버스바장착부(53)의 걸림턱(63)을 완전히 타고 넘어 상기 걸림편(78)의 하단이 상기 걸림턱(63)에 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스바(70)의 하단 즉, 상기 걸림편(78)이 상기 걸림턱(63)에 지지되어 상기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70)를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7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버스바(70)는 보강브릿지(79)가 다른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성에 약한 모서리부(77)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므로 쉽게 소성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장착부(53)에는 간섭회피부(57)가 형성되므로, 상기 버스바(7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70)는 보강브릿지(79)를 구비하더라도 간섭없이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7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55)에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70)의 단자부(76)가 상대퓨즈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대퓨즈 또는 릴레이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작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버스바가 정션박스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버스바가 정션박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정션박스 51:하우징
53:버스바장착부 55:버스바장착공간
57:간섭회피부 59:록킹부
61:탄성변형슬릿 63:걸림턱
65:경사면 70:버스바
71:몸체부 73:연결부
74:체결공 75:절곡부
76:단자부 77:모서리부
78:걸림편 79,79':보강브릿지

Claims (4)

  1. 하우징에 장착되고, 판상의 금속재질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과 인접한 상기 몸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모서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강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릿지는 횡단면이 'ㅡ'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릿지는 횡단면이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릿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 절결되어 형성되는 간섭회피부에 밀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KR2020070012567U 2007-07-26 2007-07-26 버스바 KR200900010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67U KR20090001090U (ko) 2007-07-26 2007-07-26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567U KR20090001090U (ko) 2007-07-26 2007-07-26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090U true KR20090001090U (ko) 2009-02-02

Family

ID=4129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567U KR20090001090U (ko) 2007-07-26 2007-07-26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0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95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원진비엠티 부스바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95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원진비엠티 부스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360B2 (en) Terminal lock device for screw lock terminal
CN110994504B (zh) 电气连接箱及其接地连接结构
JP5809793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7206197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の車体への組付方法
KR20090001090U (ko) 버스바
JP5080155B2 (ja)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JP2005168178A (ja) 電気接続箱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JP5030225B2 (ja) 電気接続箱
US20110232960A1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JP2004208429A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JP201122920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3498663B2 (ja) 縦型バスバーを有する電気接続箱
KR200448593Y1 (ko) 커넥터
JP570301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アース接続構造
KR200439559Y1 (ko) 정션박스
KR100948131B1 (ko) 버스바 고정구조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JP2009100578A (ja) 電気接続箱
JP432996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702758B2 (ja) 電気接続箱
KR20100118440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KR100673609B1 (ko) 조인트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
KR100912951B1 (ko)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