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65U -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 Google Patents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665U
KR20090000665U KR2020070011880U KR20070011880U KR20090000665U KR 20090000665 U KR20090000665 U KR 20090000665U KR 2020070011880 U KR2020070011880 U KR 2020070011880U KR 20070011880 U KR20070011880 U KR 20070011880U KR 20090000665 U KR20090000665 U KR 200900006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anel
bracket
hanger
bar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규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최익규
최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익규, 최종성 filed Critical 최익규
Priority to KR2020070011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665U/ko
Publication of KR20090000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식법으로 벽면에 타일패널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멀리온 바를 타일패널 고정부와 벽면측 브래킷부로 분리 이원하여 이들 간에 잔류하는 틈으로 대기와 브래킷-상부 레일에 의해 조성되는 내재 공간의 기압차 및 타일패널 시공면의 외부에서 도래하는 바람의 풍압으로 인하여 브래킷-상부 레일간의 내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타일패널 외부로 자연 배수되는 멀리온 바, 풍압으로 인한 타일패널의 파손방지 및 벽 또는 채널측 방수에 기여할 수 있는 멀리온 바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부 타일패널의 하단 지지용 레일 및 그 가스킷홈을 가진 행거와 하부 타일 패널의 상단 지지용 레일 및 그 가스킷홈을 가진 벽면 부착용 브래킷으로 분리하고 브래킷의 상단에 행거를 걸터앉히고 나사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해 고정토록 함으로써 행거의 하단과 브래킷의 하부 타일패널의 상단 지지용 레일 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으로 내재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자연 배수되도록 하고 타일패널의 높낮이 조절도 가능하게 하며, 도래하는 풍압이 타일패널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게 한 타일패널 부착용 멀리온 바를 특징으로 한다.
멀리온 바, 행거, 브래킷, 안장, 클립

Description

타일패널 설치용 멀리온 바 {A MULLION BAR FOR FIXING TILE PANEL}
본 고안은 벽면에 건식법으로 타일패널을 부착할 때 사용하는 멀리온 바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참고가 된 종래의 멀리온 바(등록실용신안 제370209호)를 도 1에 예시한다. 이 선행기술의 멀리온 바는 상부 타일패널(1a)의 저면과 하부 타일패널(1b)의 상면에 그 폭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2a,2b)에 각각 끼워서 설치된 자세를 안정시키는 상,하부 레일(3a,3b)이 벽 또는 벽에 부착된 채널(A)에 부착되는 브래킷(4)의 외면에 일체상으로 형성된 단일체형이며, 브래킷(4)의 외면에서 상부 레일(3a)의 위쪽과 하부 레일(3b)의 아래 쪽에는 보안유지용 가스킷(5a,5b)을 끼워서 레일식으로 끼워서 고정하는 가스킷홈(6a,6b)이 부여된 행거-브래킷 단일체형이다.
이러한 구조의 브래킷-레일 일체형 멀리온 바를 사용하여 벽에 타일패널을 시공하면 상부 레일과 상부 가스킷 사이에 존재하는 내재 공간(B)은 안팎의 기압차와 외부의 풍압에 기인하여 상부 타일패널의 뒷면과 거기에 맞닿은 가스킷 사이의 틈 및 상부 레일홈과 상부 레일 사이의 밀봉되지 아니한 틈으로 빗물이 스며들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벽 외부로 부터 상기한 내재 공간으로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임하면 경시적으로 콘크리트벽의 백화현상에서 비롯되는 석회가 타일패널의 표면으로 번져서 타일패널의 의장적 시공미가 훼손되고, 고인 물에 먼지가 섞여 부패하고 악취를 풍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식법으로 벽면에 타일패널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멀리온 바를 타일패널 고정부와 벽면측 브래킷부로 분리 이원하여 이들 간에 잔류하는 틈으로 대기와 브래킷-상부 레일에 의해 조성되는 내재 공간의 기압차 및 타일패널 시공면의 외부에서 도래하는 바람의 풍압으로 인하여 브래킷-상부 레일간의 내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타일패널 외부로 자연 배수되는 멀리온 바, 풍압으로 인한 타일패널의 파손방지 및 벽 또는 채널측 방수에 기여할 수 있는 멀리온 바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과제는, 상부 타일패널의 하단 지지용 레일 및 그 가스킷홈을 가진 행거와 하부 타일패널의 상단 지지용 레일 및 그 가스킷홈을 가진 벽면 부착용 브래킷으로 분리하고 브래킷의 상단에 행거를 걸터앉히고 나사로 행거의 높낮이를 조절해 고정토록 함으로써 행거의 하단과 브래킷의 하부 타일 패널의 상단 지지용 레일 상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으로 내재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자연 배수되도록 하고 타일패널의 높낮이 조절도 가능하게 하며, 도래하는 풍압이 타일 패널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한 타일패널 부착용 멀리온 바로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타일패널의 부착 지지수단을 행거와 브래킷에 의한 조립구조로 형성하므로서 먼저 브래킷을 고정한 후 행거를 걸어주는식으로 간편히 조립하여 신속 간편 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멀리온 바의 내재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자연 배수가 가능하므로 내재 공간의 습기에서 비롯되는 벽면의 백화가 타일패널의 외면으로 표출되지 않아 시공미가 유지되고, 유입 빗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도 근절된다.
또, 안장에 대한 클립의 높낮이를 나사 체결의 정도로써 상부 타일패널의 수평 높이 맞추기도 가능하다.
(실시예)
도 2에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멀리온 바는 행거(20)와 브래킷(30)으로 분리되어 있다.
행거(20)는 브래킷(30)에 의지하여 상부 타일패널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단에는 상부 타일패널의 하단에 주어진 레일홈에 끼워 거는 레일(21)과 외부 가스킷 지지용 가스킷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 상단에는 상부 타일패널의 내면에 대한 수밀 보안용 가스킷을 장전하는 가스킷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뒤쪽으로는 브래킷(30)의 상단에 걸터앉힌 자세를 안정시키는 클립(24)도 형성되어 있다.
행거(20)의 가스킷홈(22) 저면에서 클립(24)의 저면까지의 높이는 브래킷(30)의 안장(31) 상면에서 수평부(32)의 상면까지 높이보다는 약간 짧게 형성하여 시공 후에도 행거(20)의 저면과 브래킷(30)의 수평부(32) 사이에 자연 배수용 틈(50)이 남도록 한다.
이 같은 구조의 행거(20)에 있어서는 직벽부(26)가 탄성을 갖게 돼 외부에서 도래하는 풍압에 탄력적으로 부응함으로써 풍압으로 인한 상부 타닐패널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도 이롭다.
브래킷(30)은 건축구조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상기한 행거(20)를 걸터앉혀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클립(24)이 걸쳐지는 안장(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의 수평부(32)에는 하부 타일패널(1b)의 상부 레일홈(2b)에 끼워 거는 레일(33)과 하부 타일의 내면에 대한 수밀보안용 가스킷(5b)을 장전하는 가스킷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안장(31)에 대한 클립(24)의 고정과 벽면에 대한 브래킷(30)의 부착 편의를 고려하여 고정공(25)과 부착공(35)은 미리 뚫는 것이 편리하다.
본 고안의 멀리온 바를 사용한 타일패널의 시공요령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앞서 시공된 하부 타일패널(1b)의 상단 레일홈(2b)에 레일(33)을 끼우고 벽 또는 벽에 부착된 채널(A)에 브래킷(30)을 밀착시킨 다음 부착공(35)에 보울트(40)를 끼워 체결한다. 가스킷(5b)은 가스킷홈(34)에 미리 끼운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행거(20)의 클립(24)을 안장(31)에 내리 끼워 걸터 앉히고 고정공(25) 마다 나사(41)를 끼워 체결하는 것으로 브래킷(30)에 대한 행거(20)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가스킷(5a)은 가스킷홈(23)에 미리 끼운다.
이어서, 레일(21)에 상부 타일패널(1a)의 레일홈(2a)을 내리 꽂고 가스킷홈(22)에 외부 가스킷(5c)을 끼워 상하 타일패널(1a,1b)간의 수밀 보안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타일패널을 시공하면 행거(20)의 저면과 브래킷(30)의 수평부(32) 상면 사이에는 미세하지만 좁은 틈(50)이 존재하게 된다. 이 틈(50)이 있기 때문에 내재 공간(B)으로 침투한 빗물의 자연 배수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벽 또는 채널(A)쪽으로 빗물이 누수되지 않아 방수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부 타일패널(1a)의 높낮이 및 경사각도는 나사(41)의 체결정도로 조절한다. 아울러, 하부 타일패널(1b)의 레일홈(2b)에 가스킷을 부가하여 하부 타일패널(1b)에 작용하는 풍압의 분산을 꾀함으로써 상부 타일패널(1a)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다.
도 1은 종래 멀리온 바의 시공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행거-브래킷 분리형 멀리온 바의 사시도
도 3은 채널에 대한 브래킷의 부착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멀리온 바를 사용하여 하부 및 상부 타일 패널을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
20: 행거 24: 클립
30: 브래킷 31: 안장
50: (침투 빗물 자연 배수용) 틈
B: 내재 공간

Claims (3)

  1. 하단에는 상부 타일패널용 레일(21)이, 그리고 상단에는 상부 타일패널용 가스킷홈(23) 및 브래킷 안장(31)에 걸터앉힐 클립(24)이 형성된 상부 타일패널용 행거(20)와;
    하단의 수평부(32)에 하부 타일패널용 레일(33) 및 가스킷홈(34)이, 그리고 상단에는 상기 행거(20)의 클립(24)이 걸터앉는 안장(31)이 형성된 브래킷(30);의 결합으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패널 설치용 멀리온 바.
  2. 제1항에 있어서, 브래킷의 안장(31)에 얹혀지는 행거(20)를 나사(41)로 수평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일패널 설치용 멀리온 바.
  3. 제1항에 있어서, 행거의 하단부와 브래킷의 수평부(32)사이에 배수용 틈(50)을 갖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일패널 설치용 멀리온 바.
KR2020070011880U 2007-07-19 2007-07-19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KR200900006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80U KR20090000665U (ko) 2007-07-19 2007-07-19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80U KR20090000665U (ko) 2007-07-19 2007-07-19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65U true KR20090000665U (ko) 2009-01-22

Family

ID=4129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880U KR20090000665U (ko) 2007-07-19 2007-07-19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665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6948A (zh) * 2012-11-23 2013-02-20 易科美德(天津)环保建材有限公司 低碳板装饰墙面快装连接构件及其低碳板装饰墙面快装方法
KR101280201B1 (ko) * 2011-03-28 2013-06-28 황동진 내, 외장 패널 결합구조
KR101294363B1 (ko) * 2011-03-31 2013-08-06 박왕규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1477585B1 (ko) * 2014-05-08 2014-12-30 (주)한신산업 물의 흐름을 이용한 오픈조인트 방식의 외벽 패널 구조체
KR20160090639A (ko) 2015-01-22 2016-08-01 유창현 내외장재 설치 장치
CN105986652A (zh) * 2015-02-13 2016-10-05 唐硕度 陶瓷薄板保温一体板的连接挂件
KR102474848B1 (ko) * 2021-09-07 2022-12-05 김성범 건축물 외장금속패널 시공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201B1 (ko) * 2011-03-28 2013-06-28 황동진 내, 외장 패널 결합구조
KR101294363B1 (ko) * 2011-03-31 2013-08-06 박왕규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CN102936948A (zh) * 2012-11-23 2013-02-20 易科美德(天津)环保建材有限公司 低碳板装饰墙面快装连接构件及其低碳板装饰墙面快装方法
KR101477585B1 (ko) * 2014-05-08 2014-12-30 (주)한신산업 물의 흐름을 이용한 오픈조인트 방식의 외벽 패널 구조체
KR20160090639A (ko) 2015-01-22 2016-08-01 유창현 내외장재 설치 장치
CN105986652A (zh) * 2015-02-13 2016-10-05 唐硕度 陶瓷薄板保温一体板的连接挂件
KR102474848B1 (ko) * 2021-09-07 2022-12-05 김성범 건축물 외장금속패널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0665U (ko) 타일패널 설치용 트랜섬 바
US10202763B2 (en) Perimeter wall
CA3025015A1 (en) Curtain wall.
KR101312528B1 (ko) 커튼월 고정장치
JP5500946B2 (ja) 手摺
CN106088927A (zh) 装配式房屋pc构件上集成门窗系统及其安装方法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140070927A (ko) 태양광모듈 고정용 베이스레일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70209Y1 (ko)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KR102270482B1 (ko)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US20230295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choring curtainwalls
KR20120019923A (ko) 커튼월 고정장치
EP2787145B1 (en) Balcony railing structure
KR102015433B1 (ko) 커튼월
JP371629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横目地構造
JP4240288B2 (ja) 支柱体
JP4706370B2 (ja) 外壁開口部用役物
JP3982681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足場支持構造
CN210768295U (zh) 一种用于推拉门上的吊轨
JP3670136B2 (ja) 手摺りの支持構造
JPS642883Y2 (ko)
JP3991335B2 (ja) 水切構造
JP2000234394A (ja) 免震建物
EP2787143A1 (en) Lower profile for balcony rai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