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663U - 무대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663U
KR20090000663U KR2020070011875U KR20070011875U KR20090000663U KR 20090000663 U KR20090000663 U KR 20090000663U KR 2020070011875 U KR2020070011875 U KR 2020070011875U KR 20070011875 U KR20070011875 U KR 20070011875U KR 20090000663 U KR20090000663 U KR 20090000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opening
lamp
ligh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달
최연희
Original Assignee
김영달
최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달, 최연희 filed Critical 김영달
Priority to KR2020070011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663U/ko
Publication of KR20090000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7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rotating transparent or colored disks, e.g. gobo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8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filters or photoluminescent elements and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21V7/0033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with successive reflections from one reflector to the next or follo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대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도회장, 노래방, 주점과 같은 유흥업소뿐만 아니라 기타장소에서도 활용가능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대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와 상기 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과, 상기 개구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입사되는 빛을 상기 개구측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경과,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각거울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천장 하부로 재반사하는 제2반사경을 포함한다.
무대조명, 분위기연출, 유흥업소, 노래방

Description

무대조명장치{STAGE LIGH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무대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도회장, 노래방, 주점과 같은 유흥업소뿐만 아니라 기타장소에서도 활용가능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대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조명장치는 공연시설 또는 유흥업소 등과 같은 장소에서 무대에 빛을 조사(照射)하여 주위를 밝혀줄 뿐만 아니라 조명의 색상, 형상 및 움직임 등을 변화시켜, 한층 멋진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특수하게 제작된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실내공간에 음향기기와 조명장치가 구비된 무도회장, 노래방, 주점과 같은 유흥업소에서는 실내 분위기를 고조시켜 소비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무대조명장치의 종래기술로는 집중식 무대조명장치와, 등록실용신안 제3902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무대조명장치가 있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중식 무대조명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일명 "고보(gobo)"라고 불리우는 집중식 무대조명장치(200)는 내부에 조명램프를 구비하고,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무늬판에 빛을 조사하여 렌즈(201)를 통하여 무대에 다양한 무늬를 투영시키게 된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식 무대조명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회전식 무대조명장치(300)는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301)이 형성된 회전구체(302)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구체(302)는 그 내부에 조명램프를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색필터가 적용된 통공(301)을 통하여 무대 전면(全面)에 조명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집중식 무대조명장치(200)는 무대의 바닥 또는 벽면에 국부적(局部的)인 조명효과만을 가질 뿐이고, 또한 다양한 무대분위기의 연출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식 무대조명장치는 무대에 조사되는 조명의 모양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없고, 또한 다양한 무대분위기의 연출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대에 전면적(全面的)으로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가지는 빛을 조사하고, 무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대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와 상기 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과, 상기 개구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입사되는 빛을 상기 개구측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경과,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각거울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천장 하부로 재반사하는 제2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경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반사경에 반사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각거울은 색필터를 구 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2반사경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의 무늬홀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무늬판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상기 제1반사경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으로 입사되거나 상기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제1반사경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천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빛은 투과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빛은 반사하는 반투명경과, 상기 램프와 상기 반투명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과, 상기 개구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각거울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램프에서 상기 반투명경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상기 반투명경을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각거울은 색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반사경을 회전시키는 하부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의 무늬홀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무늬판을 회전시키는 상부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상기 반투명경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투명경을 투과하거나, 상기 반투명경에 입사되거나 또는 상기 반투명경에서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반투명경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는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가지는 빛을 무대에 전면적으로 조사하여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대의 분위기에 따라 무대에 조사되는 빛의 무늬의 종류와 무늬의 색을 자동으로 바꾸어 줌으로써 한층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무늬판의 일례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제2반사경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무대조명장치는 하우징(10)과, 램프(20)와, 무늬판(30)과, 제1반사경(40)과, 제2반사경(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일방향 화살표와 같이, 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제1반사경(40)에 입사되는 경로와 제1반사경(40)에서 제2반사경(50)으로 반사되는 경로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램프(20), 제1반사경(40) 및 제2반사경(50)을 배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하우징(10)은 하부에 개구(12)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램프(20), 무늬판(30), 제1반사경(40) 및 제2반사경(50) 등을 구비하게 된다. 하우징(10)은 무대조명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게 되므로, 설치되는 무대의 인테리어를 고려하여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은 천장고정쇠(14)를 통하여 무대의 천장(3)에 설치된다.
램프(2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고, 하우징의 개구(12)로 빛을 조사한다. 램프(20)는 백열전구, 할로겐램프, LED램프 등이 사용가능하다. 램프(20)는 램프 주위를 둘러싸고, 내부면이 거울인 램프커버(22)를 구비하여 빛을 확산시키지 않고 개구(12)로 직선 조사하도록 한다.
무늬판(30)은 소정모양의 무늬홀(32)이 형성된 판으로서, 램프(20)와 하우징의 개구(12)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램프(20)에서 무늬홀(32)을 통과한 빛은 조사된 빛은 소정모양을 가지게 되고, 하우징의 개구(12)로 조사된다. 이때, 무늬판(30)과 개구(12) 사이의 광 경로상에 원통형의 광커버(16)가 설치되어, 빛이 광커버(16)을 따라 직선 조사하게 된다.
제1반사경(40)은 하우징(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바(bar) 형상의 제1반사경지지대(42)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우징의 개구(12)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반사경지지대(42)는 철사 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반사경(40)은 램프(20)에서 개구(12)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다시 하우징의 개구(12)로 반사하도록 배치된다.
제2반사경(50)은 복수개의 조각거울(52)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개구(12)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이때 제2반사경의 조각거울(52)은 각각 제1반사경(4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재반사하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반사경(50)은 볼록한 형태로 조각거울(52)들이 부착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조각거울(52)에서 재반사된 빛이 무대조명장치(1)를 중심으로 하여 360°로 무대에 전면적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각거울(52) 들로부터 재반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를 가진 빛은 각각 무대 전면에 조사되어 전체적으로 무늬패턴을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무대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이다.
제1반사경렌즈(45)는 제1반사경(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반사경(40)으로 입사되거나,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반사경렌즈(45)는 제1반사경(4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반사경(50)로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 의하면 제1반사경렌즈(45)는 볼록렌즈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된 제1반사경렌즈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지도록 적절한 형태의 렌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반사경의 조각거울(52) 각각에 다양한 종류의 색필터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을 알록달록하게 하여 좀더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제1모터(60)는 제2반사경(50)을 회전시키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다. 제1모터(60)는 직류 또는 교류모터가 사용가능하지만, 제2반사경(50)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스텝모터와 같은 직류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반사경(50)은 하우징(10)에 내장된 제어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되고, 결국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의 위치와 색을 바꾸어 줄 수 있어, 한층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모양의 무늬홀(32)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의하면 무늬판회전축(34)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다양한 모양의 무늬홀(32)을 형성시킨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c영역은 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무늬판(30)에 입사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c영역 안에 형성된 무늬홀(32)의 모양을 가지는 무늬가 무대에 조사되고, 전체적으로 무늬패턴을 이루게 된다.
제2모터(70)는 무늬판의 회전축(34)에 연결되어 무늬판(30)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다른 모양의 무늬홀(32)을 무늬판의 c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무대에 조사되는 무늬패턴의 모양을 바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층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제2모터(70)는 상술된 제1모터(60)와 같이 스텝모터와 같은 직류모터를 사용하고, 제어회로(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센서(80)는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무대상의 음향기기 등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하고, 음향신호를 발생시킨다. 하우징(10) 내부에 내장된 제어회로(미도시)는 음향센서(80)에서 발생하는 음향신호의 강약에 따라 상술된 제1모터(60) 또는 제2모터(7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대조명장치(1)는 무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인식하여 무대분위기에 맞도록 조명효과를 연출하고, 이에 따라 무대분위기가 고조된다. 한편, 제어회로(미도시)의 구성은 연출하려고 하는 무대분위기에 맞도록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1)는 무대의 천정(3)에 천정고정쇠(14)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램프(20)가 켜지면 램프에 의해 조사된 빛은 램프커버(22)에 의하여 하우징의 개구(12)로 직진하게 되고, 무늬판(30)의 무늬홀(32)을 통과하게 된다.
무늬판(30)을 통과한 빛은 소정모양을 갖게 되고, 원통형상의 광커버(16)를 통하여 하우징의 개구(12) 하측에 이격설치된 제1반사경(40)에서 반사되고, 상기 개구(12)에 위치하는 제2반사경(50)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일방향 화살표와 같이, 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제1반사경(40)에 입사되는 경로와 제1반사경(40)에서 제2반사경(50)으로 반사되는 경로가 소정각도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제1반사경(40)의 상부에 설치된 제1반사경렌즈(45)는 제1반사경(4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제1반사경(4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각거울(52)로 이루어지는 제2반사경(50)에 의해 재반사되어 무대조명장치(1)를 중심으로 하여 360°로 무대에 전면적으로 조사된다. 이때 소정모양을 가지는 빛은 각각의 조각거울(52)에 의해 서로 다른 각도로 재반사되기 때문에 무대에 조사된 빛은 전체적으로 무늬패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조각거울(52) 각각은 다양한 종류의 색필터를 구비하므로 알록달록한 무늬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을 참고하 면 하우징(10) 하부에 이격설치되는 제1반사경(40)에 의하여 무대조명장치(1) 하측의 무대에 일부 비조명영역(b)이 발생하고, 비조명영역을 둘러싸는 조명영역(a)이 발생하게 된다.
음향센서(80)는 무대에서 발생하는 음향기기 등의 음향을 감지하고, 제어회로(미도시)는 음향센서(80)에서 전달되는 음향신호의 강약에 따라 제1모터(60) 또는 제2모터(70)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가변제어하게 된다. 제1모터(60)가 소정각도 회전하여 제2반사경(50)이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조각거울(52)의 위치 및 색필터의 종류가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무대에 형성된 무늬패턴의 위치와 색이 바뀌게 된다. 또한, 제2모터(70)가 소정각도 회전하여 무늬판(30)이 회전함에 따라 램프(20)에서 무늬판(30)을 통과하는 빛의 모양이 바뀌게 되고, 무대에 형성된 무늬패턴의 형태가 바뀌게 된다.
결국, 무대조명장치(1)는 무대에 전면적으로 다양한 색을 가지는 무늬패턴을 형성시키고, 무대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강약에 따라 무대에 연출되는 무늬패턴의 위치, 색 및 형태를 변화시켜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일부구성의 구조와 빛의 일부 전달경로가 다르다. 이하 제1실시예와 다른 제2실시예만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와, 무늬판(30)과, 제2반사경(50)과, 제1반사경(40)이 동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2반사경(50)은 하우징의 개구(12)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중앙에 관통홀(51)이 형성되어 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관통홀(51)을 통하여 제1반사경(40)에 반사하게 된다. 그리고, 제1반사경(40)에서 반사된 빛은 제2반사경(50)에서 재반사된다. 이때 제1반사경(40)에서 반사되는 빛은 확산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제2반사경(50)에서 재반사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일방향 화살표는 램프에서 조사된 빛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반사경의 복수개의 조각거울(52)은 관통홀(51)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조각거울(52)은 제1반사경(4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천장 하부로 재반사하게 된다. 또한, 중앙에 관통홀(51)이 형성된 제2반사경(50)은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태로 조각거울(52)들이 부착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조각거울(52)에서 재반사된 빛이 무대조명장치(1)를 중심으로 하여 360°로 무대에 전면적으로 조사된다. 이때, 도 4의 a는 조명영역에 해당하고, b는 비조명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제2반사경(50)은 램프(20)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는 관통홀(51)이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다른 회전구조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반사경(50)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고정판(18)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의 회전통(54)을 구비하고, 회전통 외주면에는 종동기어(5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통의 종동기어(56)와 맞물리는 구동기어(62)는 고정판(18)에 의해 지지되는 제1모터(60)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원통형의 광커버(16)가 제2반사경의 회전통(54) 내부에 설치되어 램프(20)에서 무늬판(30)을 통과한 빛이 확산되지 않고 제2반사경의 관통홀(51)을 통과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는 하우징(10) 내부에 램프(20), 제2반사경(50), 모터(60, 70) 등을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제2반사경(50)이 하우징의 개구(12)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대조명장치(1)의 디자인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제1실시예와 다른 제3실시예만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는 반투명경(90)을 사용하고, 하우징의 개구(12)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반사경(100)을 구비한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반투명경(90)은 일방투명경 또는 매직미러(magic mirror)라고도 불리우며, 유리의 한쪽 면에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반사율을 50% 정도로 하여 만든다. 반투명경(90)은 증착면이 하우징(10) 내부에 오도록 하우징의 개구(12) 전면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빛은 투과하게 되고,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빛은 반사하게 된다.
반사경(100)은 하우징(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바(bar)형상의 반사경지지대(42')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우징의 개구(12)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반사경(100)은 복수개의 조각거울(102)로 이루어져 각각 램프(20)에서 무늬판(30), 광커버(16), 및 반투명경(100)을 거쳐 입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다시 반투명경(100)으로 반사하게 된다. 반사경(100)은 도 6에 의하면 오목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볼록한 형태도 가능하고, 오목 또는 볼록한 형태로 조각거울(102)들이 부착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조각거울(102)에서 반사된 빛이 반투명경(100)에 서로 다른 각도로 입사하게 된다. 반투명경(100)에 서로 다른 각도로 입사하는 각각의 빛은 재반사되어 무대조명장치(1)을 중심으로 하여 360°로 무대에 전면적으로 조사된다. 이때, 조각거울(102) 각각에 다양한 종류의 색필터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을 알록달록하게 하여 좀더 다양한 무대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6에서 a는 조명영역을 나타내고, b는 비조명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반투명경렌즈(92)는 반투명경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투명경(90)을 투과하거나, 반투명경에 입사되거나 또는 반투명경에서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반투명경렌즈(92)는 적절한 무대에 조사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패턴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모터(60')는 반사경(100)을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상부모터(70')는 무늬판(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80)와, 음향센서에 의해 수신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하부모터(60') 또는 상부모터(7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는 하우징(10) 내부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반투명경(90)을 하우징의 개구(12)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무대조명장치(1)의 디자인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에 사용되는 무늬판의 일례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제2반사경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조명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중식 무대조명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식 무대조명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대조명장치 3 : 천장
10 : 하우징 12 : 개구면
14 : 천장고정쇠 16 : 광커버
18 : 고정판 20 : 램프
22 : 램프커버 30 : 무늬판
32 : 무늬홀 40 : 제1반사경
45 : 제1반사경렌즈 50 : 제2반사경
52 : 조각거울 54 : 회전통
60 : 제1모터 60' : 하부모터
70 : 제2모터 70' : 상부모터
80 : 음향센서 90 : 반투명경
92 : 반투명경렌즈 100 : 반사경

Claims (15)

  1. 천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와 상기 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과,
    상기 개구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입사되는 빛을 상기 개구측으로 반사하는 제1반사경과,
    상기 개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각거울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천장 하부로 재반사하는 제2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경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반사경에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거울은 색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경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제1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의 무늬홀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무늬판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제2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경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반사경으로 입사되거나 상기 제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제1반사경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9. 천장에 설치되고,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빛은 투과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빛은 반사하는 반투명경과,
    상기 램프와 상기 반투명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램프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되는 소정모양의 무늬홀이 형성된 무늬판과,
    상기 개구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개의 조각거울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램프에서 상기 반투명경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빛을 서로 다른 각도로 상기 반투명경을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거울은 색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사경을 회전시키는 하부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모터 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판의 무늬홀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무늬판을 회전시키는 상부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센서와,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가변시키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경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투명경을 투과하거나, 상기 반투명경에 입사되거나 또는 상기 반투명경에서 반사되는 빛의 경로를 조절하는 반투명경렌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조명장치.
KR2020070011875U 2007-07-18 2007-07-18 무대조명장치 KR20090000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75U KR20090000663U (ko) 2007-07-18 2007-07-18 무대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875U KR20090000663U (ko) 2007-07-18 2007-07-18 무대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63U true KR20090000663U (ko) 2009-01-22

Family

ID=4129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875U KR20090000663U (ko) 2007-07-18 2007-07-18 무대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66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36B1 (ko) * 2010-03-08 2012-04-26 김두환 광반도체 조명기구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CN110552527A (zh) * 2019-10-09 2019-12-10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舞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36B1 (ko) * 2010-03-08 2012-04-26 김두환 광반도체 조명기구
KR101270894B1 (ko) * 2012-09-06 2013-06-05 한국과학기술원 스탠드형 조명기구
CN110552527A (zh) * 2019-10-09 2019-12-10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舞台
CN110552527B (zh) * 2019-10-09 2023-12-26 上海灿星文化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舞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1110C (zh) 火焰模拟装置及其组件
CN1222226A (zh) 火焰模拟装置及其组件
JP4701509B2 (ja) 照明器具
JP2010272358A (ja) 反射笠
KR20090000663U (ko) 무대조명장치
JP3779472B2 (ja) 照光式操作・表示装置
US2677297A (en) Rhythmic decorative lighting apparatus
TW520417B (en) Ceiling fan with light assembly
JP6240492B2 (ja) 装飾照明装置
JP3127008U (ja) オルゴール玩具
TW520416B (en) Ceiling fan with light assembly
CN210831785U (zh) 一种动态幕墙灯
JP4491327B2 (ja) 照明器具
US11959630B2 (en) Lighting device with motorised collimation control
WO2012056498A1 (ja) 電子機器の電飾装置
GB2357829A (en) Lamp with a light source and reflector which are displaceable relative to each other to generate a varying lighting effect
CN219367466U (zh) 一种动态多图案效果娱乐灯具
JP2009295531A (ja) 照明器具
JP2004119287A (ja) トイレ用照明器具
JP2858248B1 (ja) 装飾用照明器具
KR101772041B1 (ko) 싸이키 조명과 메인 조명이 일체로 형성된 노래방 조명기기
JPH0766681B2 (ja) 縦型照明装置
JP2571899Y2 (ja) 埋込型照明器具
EP1236194B1 (en) Adjustable 3d multicolor wave generator system
JP2011009059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