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454U -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454U
KR20090000454U KR2020070011476U KR20070011476U KR20090000454U KR 20090000454 U KR20090000454 U KR 20090000454U KR 2020070011476 U KR2020070011476 U KR 2020070011476U KR 20070011476 U KR20070011476 U KR 20070011476U KR 20090000454 U KR20090000454 U KR 200900004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derwater
main body
signal
underwat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399Y1 (ko
Inventor
이용업
Original Assignee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파티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70011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9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 촬영기에 일정한 각도 및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카메라와 조명등의 위치가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조명등 점등 시 빛의 간섭에 의해 촬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조명등 및 개별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및 구동시켜 원하는 방향의 위치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 중 특정영상만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구비하되, 매우 간단한 구조로 그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시킨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중 촬영기는 반원구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중앙에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2 내지 제4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기 제2 내지 제4카메라부의 사이사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조명등이 내장되어 각 방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 내지 제4조명부로 구성된 것이다.
수중, 카메라, 촬영기, 다방향, 영상, GPS

Description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Underwater photography device capable of acquisition of image for multi-direction}
본 고안은 수중의 환경을 다 방향에서 촬영하여 외부에서 그 촬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 촬영기에 일정한 각도 및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카메라와 조명등의 위치가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조명등 점등 시 빛의 간섭에 의해 촬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조명등 및 개별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및 구동시켜 원하는 방향의 위치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 중 특정영상만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구비하되, 매우 간단한 구조로 그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시킨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수중 촬영 장치는 수중 촬영기에 여러 방향으로 카메라를 설치하고, 정확하게는 정면과, 측면의 다수 곳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카메라가 위치 한 방향을 촬영토록 한 것이며, 이때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 정보는 선박 또는 수중이 아닌 위치에 있는 제어수단의 모니터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상기 수중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위치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중 촬영기에는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센서와, 제어수단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GPS(위성항법장치) 수신기능을 구비하여, 현재 수중 촬영기의 수심과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촬영된 수중 동영상 정보와 함께 수중에 대한 유용한 정보(수중지역 관측, 수색, 자원정보조사, 스쿠버 다이빙의 환경조사 등)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중촬영장치는 수중 촬영기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카메라와, 각 카메라가 촬영할 위치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점등시 조명등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간섭현상으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의 품질이 좋지 않게 되는, 즉 선명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 수중촬영기의 예를 들면, 수중 촬영기의 전면과 측면의 다수 곳에 카메라를 설치하되, 해당 카메라와 연동되는 조명등을 카메라와 가까운 위치에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구동(촬영)시 조명등의 강한 불빛이 카메라의 전방을 비추어 촬영에는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다른 수중 촬영기의 경우, 카메라의 렌즈가 위치한 둘레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이는 촬영품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중 촬영기에 일정한 각도 및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카메라와 조명등의 위치가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조명등 점등 시 빛의 간섭에 의해 촬영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조명등 및 개별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및 구동시켜 원하는 방향의 위치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 중 특정영상만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구비하되, 매우 간단한 구조로 그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시킨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중으로 입수되어 다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위치별로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수중 촬영기와, 상기 수중촬영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카메라별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은 물론 수중촬영기의 위치좌표 및 수심을 산출하여 그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다 방향 수중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 촬영기는 반원구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중앙에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2 내지 제4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기 제2 내지 제 4카메라부의 사이사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조명등이 내장되어 각 방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 내지 제4조명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중촬영기의 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영상신호와, 수심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심 위치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제어부로 입력하여 주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조명등 점, 소등신호, 밝기조절신호, 카메라 구동신호 등을 신호 처리하여 수중촬영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중 촬영기로부터 입력되는 각 카메라별 촬영 영상정보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수중촬영기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을 분할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에 의하여 분할화면 중 한 화면만을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중 촬영기에 일정한 각도 및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개별 카메라와 조명등의 위치가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조명등 점등 시 빛의 간섭에 의해 촬영(동영상 정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수중 촬영기의 조명등 및 개별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및 구동시켜 원하는 방향의 위치만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 중 특정영상만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수중 촬영기를 매우 간단한 구조 제작할 수 있어 그 제조단 가를 크게 절감시킨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는 수중으로 입수되어 다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위치별로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수중 촬영기(100)와, 상기 수중촬영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카메라별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은 물론 수중촬영기의 위치좌표 및 수심을 산출하여 그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제어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중 촬영기(100)는 다수개의 카메라(101)와, 다수개의 조명등(102)과, 수중촬영기(100)의 현재 위치(수심)를 검출하는 수심센서(103)를 내장한다.
여기서 수중 촬영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촬영기(100)는 반원구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선단부(120)와, 상기 선단부(120)의 중앙에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101)가 내장되어 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카메라부(131)와,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101)가 내장되어 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2 내지 제4카메라부(132~135)와, 상기 본체(110)의 측면 상기 제2 내지 제4카메라부(132~135)의 사이사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조명등(102)이 내장되어 각 방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 내지 제4조명부(141~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카메라부(131~135)와 제1 내지 제4 조명부(141~144)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홈 형상으로 구성되며,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투명부재(유리 또는 합성수지 투명판)를 밀봉 결합하여, 방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카메라부(131~135)의 내부에는 각 개별 카메라(101)가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10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1a) 및 하우징(101b)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소형 CCTV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조명부(141~144)의 내부에는 각 개별 조명등(102)이 설치되는데, 상기 조명등(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2a) 상에 복수개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102b)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제2 내지 제5 카메라부(132~135)와 상기 제1 내지 제4 조명부(141~144)가 서로 독립적으로 등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조명부(141~144)를 통해 조명등(102)이 발광되더라도 빛의 조사 영역이 제1 내지 제5 카메라부(131~135)의 가까운 전면을 포함하지 않게 되어 카메라(101)를 통한 피사체의 촬영 시 빛의 간섭에 의한 영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구가하게 된다.
또한 수중촬영기(100)의 내부에는 수심센서(103)가 장착되어 수중촬영기(100)가 수중으로 내려간 위치를 검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수단(200)으로 전송하여 준다.
한편, 제어수단(200)은 상기 수중촬영기(100)와 전원공급 및 신호 전송용 케이블(150)을 통해 연결되며,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키입력부(240) 및 GPS수신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수중촬영기(100)의 각 카메라(101)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영상신호와, 수심센서(103)를 통해 검출된 수심 위치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제어부(220)로 입력하여 주고,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된 조명등(102) 점, 소등신호, 밝기조절신호, 카메라(101) 구동신호 등을 신호 처리하여 수중촬영기(100)로 전송하여 준다.
상기 제어부(22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한 중앙제어회로로서, 상기 수중 촬영기(100)로부터 입력되는 각 카메라(101)별 촬영 영상정보가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GPS를 통해 현재 장비의 위치 값과, 상기 수심센서(103)로부터 제공되는 수중카메라(100)의 수심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수중촬영기(100)를 통해 촬영된 장소의 위치와 수심을 정확하게 저장 또는 표시하여준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출력제어에 따라 수중촬영기(100)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을 분할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에 의하여 분할화면 중 한 화면만을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도 있다.
상기 키입력부(240)는 상기 제어부(220)로 수중촬영기(100)의 구동제어에 필요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키 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GPS수신부(250)는 GP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의 위치를 제어부(2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준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PC 또는 노트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와 온라인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격에서 현지의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 된 본 고안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수중 관측이 필요한 장소에 수중촬영기(100)를 입수시키고 본 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키입력부(240)를 통해 영상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수중촬영기(100)의 촬영동작이 수행된다.
4개의 조명등(102)은 점등되고, 5개의 카메라(101)는 촬영 동작 개시되어 각 카메라별로 각 위치에서 수중의 환경이 촬영되어 진다.
이때 취득되는 각 카메라별 영상신호는 케이블(150) 및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부(220)에 입력되고, 이 신호는 다시 표시부(230)를 통해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수중촬영기(100)가 위치한 장소의 주변을 영상으로 확 인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수중촬영기(100)가 위치한 수심을 수심센서(103)를 통해 검출하고, 또 GPS수신부(250)를 통해 현재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어, 이 값들이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30)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수중촬영기(100)의 수심과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등(102)을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으며, 카메라(101) 역시 선택에 따라 구동 또는 중지 등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되어, 필요한 부분의 영상만을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촬영기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및 조명등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중 촬영기 101: 카메라
102: 조명등 103: 수심센서
110: 본체 120: 선단부
131~135: 제1 내지 제5카메라부 141~144: 제1 내지 제4조명부
150: 케이블 200: 제어수단
210: 인터페이스부 220: 제어부
230: 표시부 240: 키입력부
250: GPS수신부

Claims (3)

  1. 수중으로 입수되어 다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위치별로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수중 촬영기와, 상기 수중촬영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카메라별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은 물론 수중촬영기의 위치좌표 및 수심을 산출하여 그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다 방향 수중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 촬영기는 반원구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중앙에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전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카메라가 내장되어 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2 내지 제4카메라부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기 제2 내지 제4카메라부의 사이사이에 90°간격으로 방수 처리를 거쳐 조명등이 내장되어 각 방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제1 내지 제4조명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중촬영기의 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영상신호와, 수심센서를 통해 검출된 수심 위치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제어부로 입력하여 주고,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조명등 점, 소등신호, 밝기조절신호, 카메라 구동신호 등을 신호 처리하여 수중촬영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중 촬영기로부터 입력되는 각 카메라별 촬영 영상정보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수중촬영기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을 분할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선택에 의하여 분할화면 중 한 화면만을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 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카메라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개별 카메라는 소형 CCT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PC 또는 노트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KR2020070011476U 2007-07-12 2007-07-12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KR200443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76U KR200443399Y1 (ko) 2007-07-12 2007-07-12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476U KR200443399Y1 (ko) 2007-07-12 2007-07-12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54U true KR20090000454U (ko) 2009-01-15
KR200443399Y1 KR200443399Y1 (ko) 2009-02-10

Family

ID=4129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476U KR200443399Y1 (ko) 2007-07-12 2007-07-12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9620A (zh) * 2017-11-22 2018-03-16 江林伟 应用于多组相临网箱之间水产养殖用的水下监控结构
KR20190000888U (ko) * 2017-09-29 2019-04-08 브이알프로주식회사 수중 가상현실 카메라용 하우징 장치
KR20230001800U (ko) 2022-03-04 2023-09-12 조현수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선박용 수중 cctv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80B1 (ko) 2011-09-2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90323B1 (ko) * 2018-08-13 2020-03-17 최승찬 수중 촬영 장치
KR20200064210A (ko) 2018-11-28 2020-06-08 주식회사 서틴스플로어 수중 360 vr 영상 촬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88U (ko) * 2017-09-29 2019-04-08 브이알프로주식회사 수중 가상현실 카메라용 하우징 장치
CN107809620A (zh) * 2017-11-22 2018-03-16 江林伟 应用于多组相临网箱之间水产养殖用的水下监控结构
CN107809620B (zh) * 2017-11-22 2019-12-06 宿州速果信息科技有限公司 应用于多组相临网箱之间水产养殖用的水下监控结构
KR20230001800U (ko) 2022-03-04 2023-09-12 조현수 무선전력전송을 이용한 선박용 수중 cctv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399Y1 (ko) 200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943B1 (en) Inspection camera devices and methods
KR200443399Y1 (ko) 다방향 영상획득이 가능한 수중 촬영장치
CN102736363A (zh) 照明装置
EP3825494B1 (en) Pool cleaning robot and a method for imaging a pool
KR101508290B1 (ko) 주야간 감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상 감시시스템
JP2011134058A (ja) 光学式自己位置検知装置及び方法
US11493932B2 (en) Pool cleaning robot and a method for imaging a pool
JP2010257742A (ja) 照明システム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85242A1 (ja)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方法
JP2018147751A (ja) 照明システム
KR102078160B1 (ko) 수중 원격 무인시스템
KR20140085851A (ko) 줌배율에 따른 적외선 엘이디 디밍기능을 가진 카메라
KR20110101779A (ko) 적외선 감시 카메라
KR20150143143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TW202202934A (zh) 水下鏡頭之機械式生物附著防止裝置
JP2005094080A (ja) 監視カメラの照明装置及び監視カメラ、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111432517A (zh) 可视化灯光控制系统及方法
JP2006316993A (ja) 危険領域の防護装置
JP2014082585A (ja) 状態監視装置及び状態監視プログラム
KR101184560B1 (ko) 전방향 탐색이 가능한 열영상 감지 시스템
KR20120061119A (ko) 다방향 수중 촬영 시스템
KR20150143985A (ko) 양식장 모니터링을 위한 휴대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049616A (ja) 雲台カメラ
JP6349227B2 (ja) 気体の漏洩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