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143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143A
KR20150143143A KR1020140072287A KR20140072287A KR20150143143A KR 20150143143 A KR20150143143 A KR 20150143143A KR 1020140072287 A KR1020140072287 A KR 1020140072287A KR 20140072287 A KR20140072287 A KR 20140072287A KR 20150143143 A KR20150143143 A KR 2015014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e
user
control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726B1 (ko
Inventor
김정화
라인환
이규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7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Abstract

실시 예는,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시선이 고정 위치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간이 분할촬영되어 저장된 복수의 분할 영상 중 상기 영상과 매칭된 분할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분할 영상에 설정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Wearable device and lighting systerm includes the wearable device}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오면서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히 성장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성장에 따라서, 개인이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비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등이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조명 디바이스들도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에 의하여 쉽게 제어될 수 있다. 기존에 조명 디바이스들은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온 측면이 있다. 기술발전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사용자가 취침 중에는 실내가 어두워서, 사물을 식별할 수 없고, 사용자가 시력이 나쁜 경우, 시력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취침 중에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지근 거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 중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명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용이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시선이 고정 위치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간이 분할촬영되어 저장된 복수의 분할 영상 중 상기 영상과 매칭된 분할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분할 영상에 설정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시선이 고정 위치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디바이스로부터 설치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조명디바이스에 대해 산출한 영상가상위치와 상기 설치위치가 매칭되면,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임의의 공간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조명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조명디바이스 중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한 임의의 조명디바이스로 설정 입력된 사용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한 조명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조명디바이스과 통신을 위한 고유 ID를 추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 입력된 사용자 제어명령을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디바이스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명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 눈동자에 인접하게 안경형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눈동자로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더 직관적이며 능동적으로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조명 제어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화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는 형광등형 조명 디바이스 및 BLU형 조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조명 디바이스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는 실내 공간으로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및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은 고유 ID가 부여되며, 상기 고유 ID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두부 또는 얼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눈동자가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를 촬영하 여,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대한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대한 도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의 온/오프 및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고유 ID 및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을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으로 전송하여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안경형(글래스) 타입인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 예를 들면 케이스 및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프레임(201) 및 제1 프레임(201)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프레임(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2 프레임(201, 202)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제1, 2 프레임(201, 202)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2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모듈(25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모듈(250)은 사용자의 일측 두부 상의 위치하는 제2 프레임(202) 상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22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220)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220)이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20)은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모듈(220)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30)은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즉, 카메라모듈(230)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두부 또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es)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카메라모듈(230)이 제어모듈(250)에 포함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모듈(230)은 제1, 2 프레임(201, 202)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제어명령 및 동작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입력모듈(210a, 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모듈(210a, 210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205)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205)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205)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착용시, 음향출력모듈(205)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1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110)는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에 포함되며,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110)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 조명 디바이스(107)는 제1 발광모듈(132), 제1 구동모듈(134), 제1 송수신모듈(136) 및 제1 구동제어모듈(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모듈(132)은 임의의 공간, 즉 실내 공간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32)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색상의 광과 다른 색상이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evice)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LED 이외에 다르며 광을 방출수 있는 다른 소자일 수 있다.
제1 발광모듈(132)은 제1 구동모듈(134)로부터 공급되는 제1 구동전원(Idc1)에 의해 상기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에 따라 상기 광의 밝기, 즉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132)은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 즉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에 대한 조도가 조절된다.
제1 구동모듈(134)은 제1 구동제어모듈(138)로부터 입력된 제1 제어신호(L_sc1)에 따라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모듈(134)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을 변환하여 제1 구동전원(Idc1)을 출력하는 ac-dc 컨터버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제1 구동전원(Idc1)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dc 컨버터 또는 상기 dc-dc 컨버터는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다.
제1 송수신모듈(13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모듈(13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제1 고유 ID(ID_1) 및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를 수신하여, 제1 구동제어모듈(138)로 전달한다.
제1 구동제어모듈(138)은 제1 송수신모듈(136)로부터 전달된 제1 고유 ID(ID_1)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에 따라 제1 구동모듈(134)로 제1 제어신호(L_sc1)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1 구동제어모듈(138)은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이 발광모듈(132)에 대한 온 설정 명령이면, 제1 발광모듈(132)로 제1 구동전원(Idc1)이 공급되게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L_sc1)을 출력한다.
또한, 제1 구동제어모듈(138)은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이 제1 발광모듈(132)에 대한 오프 설정 명령이면, 제1 발광모듈(132)로 공급되는 제1 구동전원(Idc1)이 차단되게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L_sc1)을 출력한다.
또한, 제1 구동제어모듈(138)은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이 조도범위 설정 명령이면, 상기 조도범위 설정명령이 설정된 기준조도범위보다 높으면 제1 발광모듈(132)로 공급되는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을 기준전원레벨보다 높게 변환되게 제1 제어신호(L_sc1)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1 구동제어모듈(138)은 상기 조도범위 설정명령이 상기 기준조도범위보다 낮으면 제1 발광모듈(132)로 공급되는 제1 구동전원(Idc1)의 전원레벨을 기준전원레벨보다 낮게 변환되게 제1 제어신호(L_sc1)를 출력한다.
또한, 제2 조명 디바이스(110)는 제2 발광모듈(152), 제2 구동모듈(154), 제2 송수신모듈(156) 및 제2 구동제어모듈(15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조명 디바이스(110)는 제1 조명 디바이스(107)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서로 다른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조명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제1 조명 디바이스(107)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바, 동일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2 발광모듈(152)은 제2 구동모듈(154)로부터 공급되는 제2 구동전원(Idc2)에 의해 상기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2 구동전원(Idc2)의 전원레벨에 따라 상기 광의 밝기, 즉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2 발광모듈(152)은 제2 구동전원(Idc2)의 전원레벨, 즉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에 대한 조도가 조절된다.
제2 구동모듈(154)은 제2 구동제어모듈(158)로부터 입력된 제2 제어신호(L_sc2)에 따라 제2 구동전원(Idc2)의 전원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송수신모듈(15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송수신모듈(15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제2 고유 ID 및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2)를 수신하여, 제2 구동제어모듈(158)로 전달한다.
제2 구동제어모듈(158)은 제2 송수신모듈(156)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고유 ID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2)에 따라 제2 구동모듈(154)로 제2 제어신호(L_sc2)를 출력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고유 ID는 상술한 제1 고유 ID와 다르며,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이 다른 고유 ID로 설정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고유 ID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포함된 송수신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 접속 주소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입력모듈(210), 디스플레이모듈(220), 카메라모듈(230), 통신모듈(24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2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 및 실내 공간에 광을 방출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110)를 제어하는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 sc2)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모듈(210)은 터치입력 또는 압력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입력모듈(210)은 도 2에서 나타낸 입력모듈(210a, 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20)은 입력모듈(210)에서 입력된 상기 동작명령 및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 sc2)이 입력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220)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30)은 입력모듈(210)의 동작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모듈(230)은 제어모듈(250)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카메라모듈(230)은 사용자 시선에 따라 대응하게 동작하여 임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30)은 사용자 시선, 즉 사용자 눈동자를 추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눈동자로 적외선을 투과하고 상기 사용자 눈동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시선을 추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와 연동되어 추적된 상기 사용자 시선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제1, 2 조명 디바이스(130, 1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위치되면, 제어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조명 디바이스(13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es)을 촬영한다.
이후, 카메라모듈(230)은 영상(es)을 제어모듈(250)로 전달한다.
통신모듈(240)은 제어모듈(250)로부터 입력된 제1 고유 ID를 이용하여 제1 조명 디바이스(107)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40)은 제어모듈(250)로부터 입력된 제2 고유 ID를 이용하여 제2 조명 디바이스(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2)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제어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송수신모듈(136, 156)로 현재 조명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1, 2 송수신모듈(136, 156)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 조명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모듈(2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모듈(250)은 저장부(252), 영역매칭부(254) 및 모듈제어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52)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30, 150)가 설치된 상기 실내 공간을 분할촬영된 복수의 분할 영상(es_p) 및 복수의 분할 영상(es_p) 각각에 설정된 복수의 고유 ID(ID_p)를 저장한다.
영역매칭부(254)는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된 영상(es)이 입력되면, 저장부(252)에 저장된 복수의 분할 영상(es_p) 및 복수의 고유 ID(ID_p)를 전달받는다.
실시 예에서, 영상(es)에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11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후, 영역매칭부(254)는 복수의 분할 영상(es_p) 중 영상(es)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영상에 설정된 제1, 2 고유 ID(ID_1, ID_2)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영역매칭부(254)는 제1, 2 고유 ID(ID_1, ID_2) 중 적어도 하나를 모듈제어부(258)로 전달한다.
모듈제어부(258)는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카메라모듈(230)에서 영상(es)이 촬영되게 제어하고,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된 영상(es)이 영역매칭부(254)로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220)에 제1, 2 조명 디바이스(13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모듈제어부(258)는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13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 sc2)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받는다.
모듈제어부(258)는 제1, 2 사용자 제어명령(sc1, sc2) 중 적어도 하나 및 제1, 2 고유 ID(ID_1, ID_2)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과 제1 고유 ID(ID_1)를 출력하고,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2) 및 제2 고유 ID(ID_2)를 출력한다.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그룹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조명 제어 화면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화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조명 제어 화면은 하나의 실시 예이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낸 조명 제어 화면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에 대한 제1 사용자 제어 명령(sc1)이 입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며, 제2 조명 디바이스(110)에 대한 제2 사용자 제어 명령(sc2)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모듈(220)은 제어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제1 조명 디바이스(107)에 대하여 입력모듈(210)을 통해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이 입력되는 조명 제어 화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상기 조명 제어 화면에는 디바이스명 블록(300), 현재상태블록(310), 현재조도블록(320), 설정상태블록(330), 설정조도블록(340) 및 설정완료블록(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명 블록(300)은 제어모듈(250)에 의해 영상(es)에 포함된 조명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제1 조명 디바이스(107)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한다.
현재상태블록(310)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의 현재 상태가 온 상태인지 또는 오프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현재조도블록(310)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의 현재 상태가 온 상태이면, 제1 조명 디바이스(107)에서 방출되는 광의 밝기에 대한 현재 조도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제1 조명 디바이스(107)의 현재 상태 및 현재 조도는 제1 송수신모듈(136)에서 통신모듈(240)로 전송되거나, 또는 제어모듈(250)이 영상(es)의 색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설정상태블록(330)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의 현재 상태를 변경 설정하는 블록으로써, 사용자의 제스쳐 또는 입력모듈(210)을 통해 설정된다.
설정조도블록(340)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의 현재 조도를 변경 설정하는 블록으로써, 사용자가 제1 조명 디바이스(107)에서 방출되는 광에 대한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완료블록(350)은 설정상태블록(330) 및 설정조도블록(340)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완료하거나, 현재상태를 유지하고 화면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블록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제어모듈(250)은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실내 공간의 특정 영역에 고정 위치하는지 판단하고(S110), 상기 특정 영역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es)을 카메라모듈(230)에서 촬영되게 제어한다(S120).
즉, 제어모듈(250)은 복수의 센서(미도시)들로부터 입력된 센서값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실내 공간의 특정 영역으로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제어모듈(250)은 사용자 시선이 상기 소정시간동안 상기 특정 영역에 고정위치하면, 카메라모듈(230)을 동작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es)이 촬영되게 제어한다.
(S120) 단계 이후, 제어모듈(250)은 카메라모듈(230)로부터 전달된 영상(es)에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미도시)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S130),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영상(es)에 포함되면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모듈(220)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즉, 제어모듈(250)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중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영상(es)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모듈(250)은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모듈(220)에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S140) 단계 이후, 제어모듈(250)은 디스플레이모듈(22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조명 제어 화면에서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설정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을 획득하며(S150), 저장부(252)에 실내 공간을 분할촬영하여 저장된 복수의 분할 영상 중 영상(es)과 매칭되는 임의의 분할 영상에 설정된 고유 ID를 추출하고(S160), 상기 고유 ID 및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통신모듈(240)을 통하여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제어한다(S170).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도 5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전송된 고유 ID 및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고유 ID 및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210).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ID가 설정긴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는지 확인하고(S220), 상기 고유 ID가 상기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발광모듈을 동작시킨다(S230).
또한,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ID가 상기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지 않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상기 고유 ID에 대한 ID 오류를 송신한다(S240).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중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제1, 2 조명 디바이스(107 ~ 110)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번호가 중복되지 않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도면번호로 설명한다.
또한,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 조명 디바이스(430)는 도 3에 나타낸 제1 조명 디바이스(107)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며, 서로 중복되는 특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 조명 디바이스(430)는 제1 발광모듈(432), 제1 구동모듈(434), 제1 송수신모듈(436) 및 제1 구동제어모듈(4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432)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색상의 광과 다른 색상이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발광모듈(432)은 제1 구동모듈(434)로부터 공급되는 제1 구동전원(Idc11)에 의해 상기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1 구동전원(Idc11)의 전원레벨에 따라 상기 광의 밝기, 즉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모듈(432)은 제1 구동전원(Idc11)의 전원레벨, 즉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에 대한 조도가 조절된다.
제1 구동모듈(434)은 제1 구동제어모듈(438)로부터 입력된 제1 제어신호(L_sc11)에 따라 제1 구동전원(Idc11)의 전원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모듈(43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모듈(43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로부터 전송된 제1 고유 ID 및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를 수신하여, 제1 구동제어모듈(438)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1 송수신모듈(436)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제1 설치 위치(lo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500) 또는 실내 공간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구동제어모듈(438)은 제1 송수신모듈(436)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1 고유 ID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에 따라 제1 구동모듈(434)로 제1 제어신호(L_sc11)를 출력한다.
제1 구동제어모듈(438)은 제1 구동제어모듈(13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조명 디바이스(450)는 제2 발광모듈(452), 제2 구동모듈(454), 제2 송수신모듈(456) 및 제2 구동제어모듈(458)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조명 디바이스(450)는 제1 조명 디바이스(430) 또는 도 3에서 설명한 제2 조명 디바이스(110)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서로 다른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조명 디바이스(450)는 상술한 제1 조명 디바이스(430) 또는 도 3에 나타낸 제2 조명 디바이스(110)에서 자세하게 설명한 바, 동일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2 발광모듈(452)은 제2 구동모듈(454)로부터 공급되는 제2 구동전원(Idc12)에 의해 상기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2 구동전원(Idc12)의 전원레벨에 따라 상기 광의 밝기, 즉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제2 발광모듈(452)은 제2 구동전원(Idc12)의 전원레벨, 즉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광에 대한 조도가 조절된다.
제2 구동모듈(454)은 제2 구동제어모듈(458)로부터 입력된 제2 제어신호(L_sc12)에 따라 제2 구동전원(Idc12)의 전원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송수신모듈(45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송수신모듈(45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로부터 전송된 제2 고유 ID 및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12)를 수신하여, 제2 구동제어모듈(458)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2 송수신모듈(436)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위치에 대하여 설정된 제2 설치 위치(lo2)를 웨어러블 디바이스(500) 또는 실내 공간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구동제어모듈(458)은 제2 송수신모듈(456)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2 고유 ID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12)에 따라 제2 구동모듈(454)로 제2 제어신호(L_sc12)를 출력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고유 ID는 상술한 제1 고유 ID와 다르며,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이 다른 고유 ID로 설정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고유 ID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포함된 송수신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IP 주소, 접속 주소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입력모듈(510), 디스플레이모듈(520), 카메라모듈(530), 통신모듈(540), GPS모듈(560) 및 제어모듈(5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5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 및 실내 공간에 광을 방출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를 제어하는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1, sc12)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모듈(510)은 터치입력 또는 압력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입력모듈(510)은 도 2에서 나타낸 입력모듈(210a, 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520)은 입력모듈(510)에서 입력된 상기 동작명령 및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1, sc12)이 입력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520)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530)은 입력모듈(510)의 동작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모듈(530)은 제어모듈(550)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카메라모듈(530)은 사용자 시선에 따라 대응하게 동작하여 임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530)은 사용자 시선, 즉 사용자 눈동자를 추적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눈동자로 적외선을 투과하고 상기 사용자 눈동자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시선을 추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와 연동되어 추적된 상기 사용자 시선이 향하는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530)은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위치되면, 제어모듈(5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es1)을 촬영한다.
이후, 카메라모듈(530)은 영상(es1)을 제어모듈(550)로 전달한다.
통신모듈(540)은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540)은 제어모듈(550)로부터 제1 고유 ID 및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이 입력되면, 상기 제1 고유 ID를 이용하여 제1 조명 디바이스(4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모듈(54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조명 디바이스(450)로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12)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통신모듈(540)은 제어모듈(5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 현재 조명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 조명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모듈(55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모듈(540)은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서 전송되는 설치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각각에 포함된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부터 제1, 2 설치위치(lo1, lo2)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GPS 모듈(560)는 GPS 위성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lo)를 전송받아 제어모듈(550)로 전달한다.
제어모듈(550)은 저장부(552), 위치 산출부(554), 위치매칭부(555), ID 추출부(556) 및 모듈제어부(55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552)는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별 고유 ID(ID_p1)이 저장되어 있다.
위치 산출부(554)는 카메라모듈(530)에서 촬영된 영상(es1)에 대한 촛점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GPS모듈(560)로부터 전달된 현재위치(lo)을 임의의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영상(es1)에 포함된 제1, 2 조명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이격거리는 제1 조명디바이스(430)와 상기 기준위치 사이의 제1 이격거리 및 제2 조명디바이스(450)와 상기 기준위치 사이의 제2 이격거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위치 산출부(554)는 상기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현재위치(lo)에서 상기 제1, 2 이격거리 중 적어도 하나만큼 위치 이동시켜, 제1, 2 조명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가상위치는 제1 조명디바이스(430)에 대한 제1 영상가상위치(lo_v1) 및 제2 조명디바이스(450)에 대한 제2 영상가상위치(lo_v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위치 매칭부(555)는 통신모듈(540)에서 수신한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각각의 제1, 2 설치 위치(lo1, lo2)와 제1, 2 영상가상위치(lo_v1, lo_v2)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확인한다.
즉, 위치 매칭부(555)는 제1 가상 위치(lo_v1)와 제1 설치 위치(lo1)가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매칭는지 확인하고, 제2 가상 위치(lo_v2)와 제2 설치 위치(lo2)가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실시 예에서, 통신모듈(540)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설치 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의 제1, 2 설치 위치(lo1, lo2)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위치 매칭부(555)는 상기 복수의 설치 위치와 제1, 2 영상가상위치(lo_v1, lo_v2)와 각각 비교하여, 결과적으로 매칭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를 확인할 수 있다.
ID 추출부(556)는 위치 매칭부(555)에서 제1 영상가상위치(lo_v1)와 제1 설치 위치(lo1)가 매칭되면 저장부(552)에서 제1 설치 위치(lo1)에 설정된 제1 고유 ID(ID_11)를 추출한다.
또한, ID 추출부(556)는 위치 매칭부(555)에서 제2 영상가상위치(lo_v2)와 제2 설치 위치(lo2)가 매칭되면 저장부(552)에서 제2 설치 위치(lo2)에 설정된 제2 고유 ID(ID_12)를 추출한다.
모듈제어부(558)는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카메라모듈(530)에서 영상(es1)이 촬영되게 제어하고, 카메라모듈(530)에서 촬영된 영상(es1)이 위치 산출부(554)로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520)에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듈제어부(558)는 카메라모듈(530)로부터 영상(es1)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550)에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모듈제어부(558)는 입력모듈(510)을 통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u_in11, u_in12)를 전달받는다.
모듈제어부(558)는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u_in11, u_in12) 중 적어도 하나 및 ID 추출부(556)에서 추출된 제1, 2 고유 ID(ID_11, ID_12)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2 조명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게 통신모듈(540)을 제어한다.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를 그룹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을 온 또는 오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제어모듈(550)은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실내 공간의 특정 영역에 고정 위치하는지 판단하고(S310), 상기 특정 영역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es1)을 카메라모듈(530)에서 촬영되게 제어한다(S320).
즉, 제어모듈(550)은 복수의 센서(미도시)들로부터 입력된 센서값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500)가 실내 공간의 특정 영역으로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지 확인한다.
이후, 제어모듈(550)은 사용자 시선이 상기 소정시간동안 상기 특정 영역에 고정위치하면, 카메라모듈(530)을 동작시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영상(es1)이 촬영되게 제어한다.
(S320) 단계 이후, 제어모듈(550)은 카메라모듈(530)로부터 전달된 영상(es1)에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미도시)의 포함여부를 판단하고(S330),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영상(es1)에 포함된 경우, GPS 모듈(560)로부터 전달된 현재위치(lo)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에 대한 이격거리를 산출한다(S340).
즉, 제어모듈(550)은 영상(es1)을 영상처리함으로써, 영상(es1) 내에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모듈(550)은 영상(es1)을 구현하는 복수의 픽셀들에 대한 조도 분포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에 대한 포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550)은 GPS 모듈(560)로부터 전달된 현재위치(lo)를 영상(es1) 내에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 사이의 이격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S340) 단계 이후, 제어모듈(550)은 상기 이격거리 및 현재위치(lo)를 기반으로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하고(S350), 통신모듈(540)에서 수신한 복수의 설치위치 중 상기 영상가상위치와 매칭되는 설치위치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360), 상기 영상가상위치와 매칭되는 상기 설치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설정된 고유 ID를 저장부(552)에서 추출한다(S370).
즉, 제어모듈(550)은 산출된 이격거리를 현재위치(lo)에서 좌표 또는 위치 이동시켜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에 대한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모듈(550)은 통신모듈(540)에서 수신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복수의 설치위치 중 상기 영상가상위치와 매칭되는 설치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제어모듈(550)은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설정된 고유 ID를 저장부(552)에서 추출한다.
(S370) 단계 이후, 제어모듈(550)은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모듈(520)에 디스플레이한다(S380).
제어모듈(550)은 제어모듈(550)은 디스플레이모듈(52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조명 제어 화면에서 입력모듈(510)을 통하여 설정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을 획득하며(S390), 고유 ID 및 사용자 제어 명령이 통신모듈(240)을 통하여 상기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제어한다(S400).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가 도 8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에서 전송된 고유 ID 및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중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송수신모듈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 또는 외부로 설치위치를 송신한다(S410).
이후,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로부터 전송된 고유 ID 및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420).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ID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는지 확인하고(S430), 상기 고유 ID가 상기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발광모듈을 동작시킨다(S440).
또한, 임의의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고유 ID가 상기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지 않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로 상기 고유 ID에 대한 ID 오류를 송신한다(S450).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구성에 대한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제어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 도면 번호를 적용하며,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중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제1, 2 조명 디바이스(101 ~ 110)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번호가 중복되지 않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도면번호로 설명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도 7에 나타낸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와 다른 동작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 추가 설명을 한다.
즉, 제1 조명 디바이스(430)에 포함된 제1 송수신모듈(436)은 제1 설치위치(lo1) 및 제1 고유 ID(ID_21)을 전송하며, 제2 조명 디바이스(450)에 포함된 제2 송수신모듈(456)은 제2 설치위치(lo2) 및 제2 고유 ID(ID_22)를 실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는 제1, 2 발광모듈(432, 452)의 온 또는 오프 상태 여부에 무관하게 제1, 2 설치 위치(lo1,lo2) 및 제1, 2 고유 ID(ID_21, ID_22)를 실내 공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500)는 입력모듈(510), 디스플레이모듈(520), 카메라모듈(530), 통신모듈(540), GPS모듈(560) 및 제어모듈(5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5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 및 실내 공간에 광을 방출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를 제어하는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1, sc12)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모듈(510)은 터치입력 또는 압력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입력모듈(510)은 도 2에서 나타낸 입력모듈(210a, 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520)은 입력모듈(510)에서 입력된 상기 동작명령 및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sc11, sc12)이 입력되기 위한 조명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카메라모듈(530)은 입력모듈(510)의 동작명령에 따라 동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스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530)은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위치되면, 제어모듈(5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es1)을 촬영한다.
이후, 카메라모듈(530)은 영상(es1)을 제어모듈(550)로 전달한다.
통신모듈(540)은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540)은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제1, 2 설치위치(lo1, lo2) 및 제1, 2 고유 ID(ID_21, ID_22)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540)은 제어모듈(550)로부터 제1 고유 ID(ID_21) 및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이 입력되면, 제1 고유 ID(ID_21)를 이용하여 제1 조명 디바이스(43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 제어명령(sc11)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모듈(54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조명 디바이스(450)로 제2 고유 ID(ID_21)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제어명령(sc12)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통신모듈(540)은 제어모듈(55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 현재 조명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부터 전송된 상기 현재 조명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모듈(55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모듈(540)은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 각각에서 전송되는 설치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각각에 포함된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부터 제1, 2 설치위치(lo1, lo2)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GPS 모듈(560)는 GPS 위성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lo)를 전송받아 제어모듈(550)로 전달한다.
제어모듈(550)은 위치 산출부(554), 위치매칭부(555) 및 모듈제어부(558)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산출부(554)는 카메라모듈(530)에서 촬영된 영상(es1)에 대한 촛점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GPS모듈(560)로부터 전달된 현재위치(lo)을 임의의 기준위치로 설정하고, 영상(es1)에 포함된 제1, 2 조명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위치 산출부(554)는 상기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500)의 현재위치(lo)에서 제1, 2 이격거리(d1, d2) 중 적어도 하나만큼 위치 이동시켜, 제1, 2 조명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가상위치는 제1 조명디바이스(430)에 대한 제1 영상가상위치(lo_v1) 및 제2 조명디바이스(450)에 대한 제2 영상가상위치(lo_v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위치 매칭부(555)는 통신모듈(540)에서 수신한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각각의 제1, 2 설치 위치(lo1, lo2)와 제1, 2 영상가상위치(lo_v1, lo_v2)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확인한다.
즉, 위치 매칭부(555)는 제1 가상 위치(lo_v1)와 제1 설치 위치(lo1)가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매칭는지 확인하고, 제2 가상 위치(lo_v2)와 제2 설치 위치(lo2)가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실시 예에서, 통신모듈(540)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101 ~ 112)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설치 위치를 수신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의 제1, 2 설치 위치(lo1, lo2)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위치 매칭부(555)는 상기 복수의 설치 위치와 제1, 2 영상가상위치(lo_v1, lo_v2)와 각각 비교하여, 결과적으로 매칭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듈제어부(558)는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카메라모듈(530)에서 영상(es1)이 촬영되게 제어하고, 카메라모듈(530)에서 촬영된 영상(es1)이 위치 산출부(554)로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520)에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모듈제어부(558)는 카메라모듈(530)로부터 영상(es1)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모듈(550)에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모듈제어부(558)는 입력모듈(510)을 통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430, 4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된 제1, 2 사용자 제어 명령(u_in11, u_in12)를 전달받는다.
이후, 모듈제어부(558)는 위치 매칭부(555)에서 제1, 2 설치위치(lo1, lo2)가 제1, 2 가상여상위치(lo_v1, lov2)와 매칭되면, 제1, 2 고유 ID(ID_21, ID_22)를 이용하여 제1, 2 송수신모듈(436, 456)로 제1, 2 사용자 제어명령(sc11, sc12)가 전송되게 통신모듈(54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시선이 고정 위치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공간이 분할촬영되어 저장된 복수의 분할 영상 중 상기 영상과 매칭된 분할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분할 영상에 설정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사용자 시선에 따라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고유 ID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사요자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조명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화면은,
    상기 조명디바이스의 온/오프 설정메뉴 및 조도 설정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은,
    상기 온/오프 설정메뉴에 대한 온/오프 설정명령 및 상기 조도 설정메뉴에 대한 조도범위 설정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복수의 고유 ID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복수의 분할 영상 중 상기 영상과 매칭된 상기 분할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분할 영상에 설정된 상기 고유 ID를 추출하는 영역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조명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고, 상기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시선이 상기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하는지 시간을 카운트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임의의 공간에서 사용자 시선이 고정 위치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조명디바이스로부터 설치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조명디바이스에 대해 산출한 영상가상위치와 상기 설치위치가 매칭되면, 상기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현재위치를 수신하는 GPS모듈;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모듈; 및
    상기 사요자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조명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PS모듈은,
    상기 현재위치를 GPS 위성 또는 위치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디바이스가 설치된 상기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영상가상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의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위치매칭부;
    상기 영상가상위치와 상기 설치위치가 매칭되면, 상기 설치위치에 설정된 상기 고유 ID를 추출하는 ID 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조명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고, 상기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상기 영상에 대한 촛점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임의의 기준위치에서 상기 조명디바이스 사이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현재위치에서 상기 이격거리만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매칭부는,
    상기 영상가상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가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조명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고유 ID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디바이스가 설치된 상기 영상가상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영상가상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의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위치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동안 고정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상기 영상이 촬영되게 제어하며, 상기 영상이 촬영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조명제어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고, 상기 고유 ID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이 상기 조명디바이스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임의의 공간으로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조명디바이스; 및
    상기 복수의 조명디바이스 중 사용자 시선이 소정시간 동안 고정 위치한 임의의 조명디바이스로 설정 입력된 사용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조명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디바이스는,
    상기 광을 방출하는 발광모듈;
    상기 발광모듈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모듈;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모듈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고유 ID가 설정된 기준 고유 ID와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명령은,
    상기 발광모듈에 대한 온/오프 설정명령 및 조도범위 설정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모듈은,
    상기 온/오프 설정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도범위 설정명령이 설정된 기준조도범위보다 높으면 상기 구동전원의 전원레벨을 기준전월레벨보다 높이고, 상기 조도범위 설정명령이 상기 기준조도범위보다 낮으면 상기 구동전원의 전원레벨을 상기 기준전원레벨보다 낮게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140072287A 2014-06-13 2014-06-1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60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287A KR101606726B1 (ko) 2014-06-13 2014-06-1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287A KR101606726B1 (ko) 2014-06-13 2014-06-1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43A true KR20150143143A (ko) 2015-12-23
KR101606726B1 KR101606726B1 (ko) 2016-03-28

Family

ID=5508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287A KR101606726B1 (ko) 2014-06-13 2014-06-13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387A (ko) * 2016-10-27 2018-05-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418478A (zh) * 2019-07-26 2019-11-05 广东工业大学 基于cnn的节能灯控方法及装置
WO2024010198A1 (ko) * 2022-07-08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류에 기반하는 객체의 선택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4478A1 (en) * 2011-05-20 2012-11-22 Eye-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gaze tracking scene reference lo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4478A1 (en) * 2011-05-20 2012-11-22 Eye-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gaze tracking scene reference lo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387A (ko) * 2016-10-27 2018-05-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 카메라 통신을 이용하는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418478A (zh) * 2019-07-26 2019-11-05 广东工业大学 基于cnn的节能灯控方法及装置
WO2024010198A1 (ko) * 2022-07-08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류에 기반하는 객체의 선택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726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548B2 (en) System and method to assist users having reduced visual capability utilizing lighting device provided information
US9411160B2 (en) Head mounted display,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and image display system
US9805262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92453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9483875B2 (en)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encoding beacons
CN104144353B (zh) 基于智能电视的多区域环境光管理控制方法
US9360672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1117834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97927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201602916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US20160063327A1 (en) Wearable Device To Display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EP2536259A3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to capture image
US20190285896A1 (en) Transmission-typ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typ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typ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US9668319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0672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180023785A (ko)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2767845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with encoding beacons
US11216066B2 (en) Display device, le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CN110389447B (zh) 透射型头部佩戴型显示装置、辅助系统、显示控制方法和介质
US9319980B1 (en) Efficient digital image distribution
JP2018207151A (ja) 表示装置、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694161B1 (ko)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JP2017049449A (ja) 電子機器および支援方法
US9866823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1729008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