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008B1 -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008B1
KR101729008B1 KR1020140040709A KR20140040709A KR101729008B1 KR 101729008 B1 KR101729008 B1 KR 101729008B1 KR 1020140040709 A KR1020140040709 A KR 1020140040709A KR 20140040709 A KR20140040709 A KR 20140040709A KR 101729008 B1 KR101729008 B1 KR 101729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module
wearable device
illumin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519A (ko
Inventor
이재명
라인환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008B1/ko
Priority to EP15158286.3A priority patent/EP2928269A1/en
Priority to US14/643,003 priority patent/US9668319B2/en
Publication of KR2015011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실내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 입력시, 상기 영상에서 구분된 제1 영역의 제1 조도 및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제2 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2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Ligh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실시 예는,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오면서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히 성장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성장에 따라서, 개인이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비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등이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조명 디바이스들도 통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하여 쉽게 제어될 수 있다. 기존에 조명 디바이스들은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온 측면이 있다. 기술발전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사용자가 취침 중에는 실내가 어두워서, 사물을 식별할 수 없고, 사용자가 시력이 나쁜 경우, 시력 보조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이동 단말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취침 중에 이동 단말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지근 거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들어, 이동 단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조명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 시선에 부합되는 영역의 조도에 따라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실내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 입력시, 상기 영상에서 구분된 제1 영역의 제1 조도 및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제2 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2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근접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제1, 2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영역의 제1 조도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2 조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2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2 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의 조도를 산출하여,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복수의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부심 및 어두움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눈부심 및 어두움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자동으로 조명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명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은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조명 시스템은 2개의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를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3개 이상의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s1, s2)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의 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영상의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s1, s2)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글라스(착용형 안경)인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에 대한 조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명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은,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및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에서 조사하는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 디바이스(110)는 제1 LED 모듈(112), 제1 구동모듈(114) 및 제1 송수신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 모듈(112)은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입력된 제1 전류(i1)의 크기에 따라 광의 밝기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LED 소자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발광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적어오 하나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14)은 제1 LED 모듈(112)로 제1 전류(i1)를 공급하여, 제1 LED 모듈(112)에서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14)은 외부 상용 전원, 예를 들면 110V ~ 220V의 교류 전원 입력 시, 설정된 제1 전류(i1)를 생성하여 제1 LED 모듈(1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모듈(114)은 제1 송수신모듈(116)의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모듈(114)은 제1 송수신모듈(116)에서 제1 제어신호(s1) 수신시, 제1 제어신호(s1)에 대응하는 제1 전류(i1)를 제1 LED 모듈(1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모듈(114)은 제1 송수신모듈(116)에서 제1 제어신호(s1) 미수신시, 제1 LED 모듈(112)로 설정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구동모듈(114)은 제1 LED 모듈(1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모듈(11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2 조명 디바이스(150)는 제1 조명 디바이스(110)와 동일하게, 제2 LED 모듈(152), 제2 구동모듈(154) 및 제2 송수신모듈(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LED 모듈(152)은 제1 LED 모듈(112)과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동모듈(154)은 제1 구동모듈(114)과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모듈(156)은 제1 송수신모듈(116)과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LED 모듈(152), 제2 구동모듈(154) 및 제2 송수신모듈(156)은 제1 구동모듈(112), 제1 구동모듈(114) 및 제1 송수신모듈(116)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지만, 제2 조명 디바이스(150)는 제1 조명 디바이스(110)와 제어 구성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입력모듈(210), 디스플레이모듈(215), 카메라모듈(220), 통신모듈(225) 및 제어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2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의 조도에 대한 기준조도범위(glu)를 설정입력할 수 있다.
즉, 입력모듈(210)은 터치입력 또는 압력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215)은 입력모듈(210)에서 입력된 상기 동작명령 및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215)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20)은 입력모듈(210)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이 닿는 실내 또는 실외 영상(es)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메라모듈(220)은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에 대한 움직임을 포착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영상(es)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모듈(220)은 상기 실내 또는 실외 영상(es)을 획득하는 CCD(Chage Couple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센서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모듈(220)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이미지 센서 외에 조도센서 및 자이로센서 등과 같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통신모듈(225)은 제어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25)은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설정된 현재조도를 제1, 2 송수신모듈(116, 156)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모듈(230)은 영역구분부(232), 조도산출부(234) 및 조도제어부(236)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구분부(232)는 카메라모듈(220)에서 획득한 영상(es)을 근접도에 따라 제1, 2 영역(es1, es2)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영역구분부(232)는 영상(es)에서 피사체 및 주변환경을 구분하고,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모듈(220)과의 상기 근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영역구분부(232)는 상기 근접도에 따라 카메라모듈(220)에 근접한 제1 영역(es1) 및 제1 영역(es1)보다 원거리에 있는 제2 영역(es2)으로 영상(es)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영역구분부(232)는 영상(es)을 설정된 근접도 산출 방법에 따라 제1, 2 영역(es1, es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영역구분부(232)는 2개의 제1, 2 영역(es1, es2)으로 구분하였으나, 영상(es)에서 구분된 영역에 대한 개수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조도산출부(234)는 영역구분부(232)에서 구분된 제1, 2 영역(es1, es2)의 색정보를 기반으로 제1 영역(es1)의 제1 조도(lu1) 및 제2 영역(es2)의 제2 조도(lu2)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조도산출부(234)는 제1 영역(es1)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 및 제2 영역(es2)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을 각각 설정된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제1, 2 조도(lu1, lu2)를 산출할 수 있다.
조도산출부(234)는 상기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상기 RGB 값에 대한 색상별 조도를 산출하고, 제1, 2 영역(es1, es2)에 대응하는 제1, 2 조도(lu1, lu2)를 산출할 수 있다.
조도제어부(236)는 조도산출부(234)에서 산출된 제1, 2 조도(lu1, lu2)를 입력모듈(210)에 의해 설정 입력된 기준조도범위(glu)와 비교한다.
즉,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도(lu1, lu2) 각각이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도(lu1, lu2)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으면, 제1, 2 영역(es1, es2)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조도제어부(236)는 선택된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모듈(210)가 10 ~ 20 을 갖는 기준조도범위(glu)을 입력하고, 조도산출부(234)가 제1 영역(es1)의 제1 조도(lu1)가 17이고, 제2 영역(es2)의 제2 조도(lu2)가 7로 산출하는 경우, 조도제어부(246)는 제1, 2 조도(lu1, lu2) 각각이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조도제어부(236)는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영역(es2)의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도록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조도제어부(236)는 선택된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1, 2 제어신호(s1, s2)가 전송되게 제어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조도제어부(236)는 기준조도범위(glu)의 평균조도, 즉 10 ~ 20 사이의 중간조도 또는 설정 면적당 조도 등의 설정된 방법에 따라 조도를 산출한다.
이때, 조도제어부(236)는 상기 평균조도와 제2 조도(lu2) 사이의 조도편차를 산출한다.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조도편차에 대응하는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전송되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조도제어부(236)는 제2 영역(es2)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현재조도를 전송받아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모듈(225)을 통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도제어부(236)는 디스플레이모듈(225)에 기준조도범위(glu), 제1, 2 조도(lu1, lu2) 및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 등과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프레임부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201)과 제2 프레임(2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2 프레임(201, 202)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제1, 2 프레임(201, 202)에는 도 2에 나타낸 제어모듈(230), 음향출력모듈(240)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2 프레임(201, 202)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2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모듈(23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제어모듈(230)은 일측 두부 상의 제2 프레임(202) 상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모듈(21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215)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모듈(215)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15)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모듈(215)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20)은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모듈(220)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카메라모듈(220)이 제어모듈(230)에 포함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모듈(220)은 제1, 2 프레임(201, 202)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입력모듈(210a, 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모듈(210a, 210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입력모듈(210a, 210b)은 도 2에 나타낸 입력모듈(21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240)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240)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착용시, 음향출력모듈(240)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입력모듈(210)에서 입력된 기준조도범위(glu)를 설정하고(S100), 사용자 시선에 대응되게 동작하는 카메라모듈(220)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es)을 획득한다.
즉, 입력모듈(2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대한 동작명령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실내 또는 실외 영상의 조도에 대한 기준조도범위(glu)를 설정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220)은 사용자가 입력모듈(210)을 통하여 사용자의 눈동자를 추적하여 상기 눈동자가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es)을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어모듈(230)이 영상(es)을 근접도에 따라 제1, 2 영역(es1, es2)으로 구분하고(S120), 제1 영역(es1)의 색정보에 따라 제1 조도(lu1) 및 제2 영역(es2)의 색정보에 따라 제2 조도(lu2)를 산출한다(S130).
즉, 제어모듈(230)은 영상(es)에서 피사체 및 주변환경을 구분한다.
제어모듈(230)은 상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모듈(220)과의 상기 근접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230)은 상기 근접도에 따라 카메라모듈(220)에 근접한 제1 영역(es1) 및 제1 영역(es1)보다 원거리에 있는 제2 영역(es2)으로 영상(es)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제1 영역(es1)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 및 제2 영역(es2)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을 각각 설정된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제1, 2 조도(lu1, lu2)를 산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1 조도(lu1)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판단하고(S140), 제1 조도(lu1)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면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50).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면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가 현재 조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16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140) 단계에서 제1 조도(lu1)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으면,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7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170) 단계에서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면, 기준조도범위(glu)의 평균조도와 제1 조도(lu1) 사이의 제1 조도편차를 산출한다(S180).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170) 단계에서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으면, 기준조도범위(glu)의 평균조도와 제1, 2 조도(lu1, lu2) 각각의 제1, 2 조도편차를 산출한다(S190).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150) 단계에서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으면, 기준조도범위(glu)의 평균조도와 제2 조도(lu2) 사이의 제2 조도편차를 산출한다(S20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S180), (S190) 및 (S200) 단계 중 어느 하나에서 산출된 상기 제1, 2 조도편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제어한다(S21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기준조도범위(glu), 제1, 2 조도(lu1, lu2) 및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 등과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220).
즉,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도(lu1, lu2) 각각이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조도제어부(236)는 제1, 2 조도(lu1, lu2)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으면, 제1, 2 영역(es1, es2)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조도제어부(236)는 선택된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조도제어부(236)는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영역(es2)의 제2 조도(lu2)가 기준조도범위(glu)에 속하도록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조도제어부(236)는 선택된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1, 2 제어신호(s1, s2)가 전송되게 제어한다.
제어모듈(230)은 제1, 2 제어신호(s1, s2)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모듈(225)을 통하여,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도제어부(236)는 디스플레이모듈(225)에 기준조도범위(glu), 제1, 2 조도(lu1, lu2) 및 제1, 2 조명 디바이스(110, 150)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 등과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조명 디바이스
150: 제2 조명 디바이스
200: 웨어러블 디바이스

Claims (18)

  1. 실내로 광을 조사하는 제1, 2 조명 디바이스; 및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 입력시, 상기 영상에서 구분된 제1 영역의 제1 조도 및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의 제2 조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2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영상을 상기 제1, 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2 영역의 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조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2 조도가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을 상기 카메라모듈과의 근접도에 따라 상기 제1, 2 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구분부;
    상기 제1, 2 영역의 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조도를 산출하는 조도산출부; 및
    상기 제1, 2 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조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CCD(Chage Couple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센서인 조명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하는 조명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구분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산출된 상기 카메라모듈과의 근접도에 따라 상기 제1, 2 영역으로 구분하는 조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산출부는,
    상기 제1, 2 영역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을 설정된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상기 제1, 2 조도를 산출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제어부는,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지 않는 상기 제1, 2 조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준조도범위의 평균조도 사이의 조도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조도편차에 따라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기준조도범위를 설정 입력하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1, 2 조도 및 상기 기준조도범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각각은,
    LED 모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LED 모듈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조절하여, 상기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 시스템.
  14.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모듈과의 근접도에 따라 상기 영상을 제1, 2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영역의 제1 조도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2 조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2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제1, 2 조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도록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제1,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조도범위를 설정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조도 및 상기 기준조도범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산출 단계는,
    상기 제1, 2 영역의 색정보에 포함된 RGB 값을 설정된 RGB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하여 상기 제1, 2 조도를 산출하는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기준조도범위에 속하지 않는 상기 제1, 2 조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준조도범위의 평균조도 사이의 조도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조도편차에 따라 상기 제1, 2 조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140040709A 2014-04-04 2014-04-04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72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09A KR101729008B1 (ko) 2014-04-04 2014-04-04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EP15158286.3A EP2928269A1 (en) 2014-04-04 2015-03-09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643,003 US9668319B2 (en) 2014-04-04 2015-03-10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09A KR101729008B1 (ko) 2014-04-04 2014-04-04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19A KR20150115519A (ko) 2015-10-14
KR101729008B1 true KR101729008B1 (ko) 2017-04-21

Family

ID=5435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709A KR101729008B1 (ko) 2014-04-04 2014-04-04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67B1 (ko) * 2018-02-20 2024-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KR102338560B1 (ko) * 2018-06-27 2021-12-15 나이앤틱, 인크. 장치 위치 측정을 위한 다중 동기화 통합 모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5548A (ja) * 2006-09-27 2008-04-10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
JP2009087834A (ja) * 2007-10-02 2009-04-23 Panasonic Corp 照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5548A (ja) * 2006-09-27 2008-04-10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
JP2009087834A (ja) * 2007-10-02 2009-04-23 Panasonic Corp 照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19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1269B2 (en) Brightness control for an augmented reality eye-mounted display
US9690371B2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US9360672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11140319B2 (en) Eye-tracking module with scenario-based mode switching function
US9740009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mounted display
US9474131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having image processor
US9668319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34071B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77011B (zh) 光照感知增强方法、计算机程序产品、头戴式计算装置和照明系统
US9655212B2 (en) Light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US11216066B2 (en) Display device, le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1729008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0672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1694161B1 (ko)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JP6275672B2 (ja) 電子機器および支援方法
US12067909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dynamic brightness ranges for passthrough display content
KR20160082058A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TWI502298B (zh) 穿戴式裝置及應用其之照明系統
JP2017147098A (ja) 照明システム
CN116529806A (zh) 具有针对低光条件的显示器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