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058A -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058A
KR20160082058A KR1020140193973A KR20140193973A KR20160082058A KR 20160082058 A KR20160082058 A KR 20160082058A KR 1020140193973 A KR1020140193973 A KR 1020140193973A KR 20140193973 A KR20140193973 A KR 20140193973A KR 20160082058 A KR20160082058 A KR 2016008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mage
unit
illuminan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058A/ko
Priority to EP15158286.3A priority patent/EP2928269A1/en
Priority to US14/643,003 priority patent/US9668319B2/en
Publication of KR2016008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조명 산업은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명 산업과 관련하여, 광원, 발광 방식, 구동 방식, 효율 개선 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광원은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이 있다. 이러한 광원들이 사용된 조명은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백열전구 등의 저항성 광원은 효율이 낮고 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방전등은 고가이고, 고전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형광등은 수은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광원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 조명은 에너지 효율, 색의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에 장점이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선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가진다. 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는 백열 전구 및 형광등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무선 통신과 디지털 정보 기기를 기반으로 홈네트워킹과 인터넷 정보가전을 이용해 언제(anytime), 어디서(any-place)나, 어떤 기기(any-device)로도 컴퓨팅 이용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정 내에 구현하는 스마트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술과 조명을 결합하여, 조명과 단말기간 통신연결된 상태에서, 단말기로 조명을 제어하도록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다. 그러나, 단말기를 이용해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조명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로 구성된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바탕으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능동적인 조명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의 시선을 따라 획득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응시하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획득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조명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이 사용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이미지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이미지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를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100)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디바이스(100)란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재실자 및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소지하거나 착용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가 구비된 실내에 위치한 사람으로, 중복 또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이 사용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및 조명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
조명 장치(20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조명 장치(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한다. 조명 장치(200)는 수신한 상기 이미지를 바탕으로 조명의 턴온/턴오프, 조도, 색상, 색온도, 디밍(dimming) 등을 제어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통합 제어 유닛 및 복수의 조명 장치(200, 200a 내지 200l)를 포함한다. 도 1b에서 복수의 조명 장치는 12개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음을 명시한다.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유닛과 통신한다.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유닛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
통합 제어 유닛은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통합 제어 유닛은 디바이스(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한다. 통합 제어 유닛은 수신한 상기 이미지를 바탕으로 조명 장치(200, 200a 내지 200l)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101)과 제2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디바이스 제어부(180), 음향 출력 모듈(1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1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디바이스 제어부(1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 제어부(1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제어부(18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소정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6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디바이스(100)는 제1 카메라(160a) 및 제2 카메라(16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카메라(160a)가 디바이스 제어부(180)에 구비되고, 제2 카메라(160b)가 사용자의 한쪽 눈과 근접한 프레임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디바이스 제어부(1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123a, 1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1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및 조명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도 2에서 설명한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 광통신 수신부(115), 디바이스 입력부(120), 감지부(130), 디바이스 메모리(140), 디바이스 출력부(150) 및 디바이스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 사이 또는 디바이스(100)와 통합 제어 유닛(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디바이스(100)를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조명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방식은 저전력으로도 통신할 수 있고, 설비가 저렴하다. 따라서, 실내에서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하는 경우, 블루투스 방식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방식외에도, Wi-Fi 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하여 감지부(130)가 감지한 정보 또는 카메라(160)로 촬영된 이미지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는 조명 장치(200)를 제어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광통신 수신부(115)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통신 수신부(115)는 조명 장치(200)에 포함된 발광부(270)에 발광하는 광(light)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통신 수신부(115)는 발광부(270)에서 발광하는 광신호를 통해, 조명 장치(200)의 아이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수신부(115)는 렌즈부(미도시), 포토 다이오드(미도시), 증폭부(미도시) 및 복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미도시)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을 모은다. 예를 들면, 렌즈부(미도시)는 교통 표지판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 또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모을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미도시)는, 렌즈부(미도시)에 의해 집광된, 광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미도시)는 pn접합 포토 다이오드, p-i-n 포토 다이오드, Avalanch 포토 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증폭부(미도시)는, 포토 다이오드(미도시)에서 전환된 전기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미도시)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증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다양한 복조 방식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변환된 전기신호를 복조한다. 복조가 완료된 신호는 제어부(190)에 전달된다. 복조부(미도시)는 신호 복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복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미도시),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60) 또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여 제1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드는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서 획득된 공간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조명에 의해 빛을 제공받는 공간일 수 있다.
감지부(130)는 디바이스(100) 내 정보, 디바이스(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30)는 조도 센서(131, illumination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터치 센서(touch sensor),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조도 센서(131)는 소정 공간에서 주위의 광에 의한 조도를 감지한다. 조도 센서(131)는 주변의 광량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소자를 포함한다. 조도 센서(131)는 상기 소자의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조도를 측정한다.
디바이스 메모리(140)는 디바이스(100)에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바이스 메모리(140)는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메모리(140)는 카메라(160)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미도시), 광 출력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음향으로 진입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카메라(160)는 제1 카메라(160a) 및 제2 카메라(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60a)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곳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160a)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60a)는 사용자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서 획득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조명에 의해 빛을 제공받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카메라(160b)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는 CCD 또는 CMOS일 수 있다.
한편, 카메라(160)는 소정 기간동안 소정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복수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간과 획득되는 이미지의 수는 설정값이다. 예들 들어,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카메라(160)는 10초간 50개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부(181,281,381)로 전달되어 이미지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60)는 동일한 피사체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0)는 공간에 대해 3초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적외선 광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160)에는 적외선 투과 필터가 장착된다. 적외선 광원은 피사체에 적외선을 조사한다. 카메라(160)는 적외선 투과 필터를 통해, 조사된 적외선의 주파수 성분만이 반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광원(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카메라(160)는 적외선의 주파수 성분만이 반영되어 해상도가 높은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한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이미지 처리부(181)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명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메모리(240), 알림부(250), 구동부(260), 발광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제어부(28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0)와 통신하여,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서 획득된 공간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조명 장치(200)에 의해 빛을 제공받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 또는 조도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한 디바이스(100)는 평균 휘도값 또는 조도값을 디바이스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부(2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방식외에도, Wi-Fi 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변환된 전자기 신호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감지부(130)를 구비한 디바이스(100)와 통신하여 감지부(130)가 감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조도 센서(131)가 감지한 주변환경의 조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카메라(16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공간일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조명 장치(200)에 의해 빛을 제공받는 공간일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발광부(270)의 밝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220)는 조명 장치(2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20)는 조명 장치(200)와는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또는 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가 조그 휠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조그 휠을 회전시켜 조명 장치(2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부(220)는 밝기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조명 장치(200)를 켜거나 끄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명 장치(200)의 전원의 인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조명 장치(200)의 조도가 증가하도록 선택한 경우 조도 증가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조명 장치(200)의 조도가 감소하도록 선택한 경우 조도 감소 신호를 생성한다. 즉,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조명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통신 보안을 위해 이용되는 기설정된 디바이스(100)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메모리(240)는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EEP-ROM 은 제어부(280)의 동작 중, 제어부(28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0)는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0)는 기준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산출된 조도값과 비교되어 발광부(270)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조도 기준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값은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통해, 조도 기준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 기준값은 통신을 통해 조명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알림부(250)는 조명 장치(200)와 디바이스(100)간의 통신연결 여부를 외부에 표시한다. 알림부(250)는 현재 조명 장치(200)가 디바이스(100)와 통신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추가적인 타 디바이스(100)의 연결 시도에 의한 조명 장치(200)의 제어 혼잡 및 사용자 설정의 조명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알림부(250)는 제1 모드에의 진입 여부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알림부(25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 연결되거나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모드에 진입 시, 스피커나 전구 등을 통해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260)는 제어부(280)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는다. 구동부(26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270)로 구동 전류를 인가한다. 구동부(260)에서 인가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발광부(27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260)는, 발광부(270)에서 발광되는 빛의 조도, 빛의 디밍(dimming), 빛의 색온도, 빛의 색상, 빛의 깜빡임을 제어한다.
발광부(270)는 기판 및 기판에 실장된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하며, 인가된 전원의 양에 따라 밝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는 전원에 따라 색온도가 변화될 수 있으며, 빨강(R), 초록(G), 파랑(B)의 조합으로 발광되는 빛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발광부(270)는 복수개의 LED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270)는 형광체와의 반응에 따른 백색 LED, 적색 LED, 녹색 LED 및 청색 LED의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발광부(270)는 구동부(260)로부터 구동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된다.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280)는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80)는 조명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부(26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발광부(270)를 제어하여 조명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수신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8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8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241)을 통해, 평균 휘도값에서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제어부(280)는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산출된 조도값과 메모리(24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2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컴퓨터 비전 기반으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81)는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280)는 이미지 처리부(281)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제어 신호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조도값은,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90)는 전원공급원과 연결되어 조명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90)는 사용되는 전원형태에 따라 직류-교류를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효율을 위해 절전회로나 일정크기의 정전류를 공급하는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200)에 근접하여 복수의 디바이스(100)가 위치하는 경우, 조명 장치(200)와 복수의 디바이스(100)간의 통신 연결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200)와 디바이스(100)간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디바이스(100)의 통신 연결 시도에 따른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0)는 연결요청 순서를 기준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제1 디바이스(100a)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200)로 연결신호를 송수신한 복수개의 디바이스(100) 중에서 가장 먼저 연결을 시도한 제1 디바이스(100a)와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이는 별도의 핀 코드 입력없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조명장치의 통신채널 형성 과정이 간단하여 소요시간이 적고 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 때, 제어부(280)는 제1 디바이스(100a)와 통신채널을 형성한 경우, 다른 디바이스(100b)의 연결신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도록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200)와 복수개의 디바이스(100a, 100b)의 연결로 인한 발광부(270) 제어의 혼선을 방지하고,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디바이스(100a)와의 통신채널 형성 후에도 다른 디바이스(100b)와 연결신호에 대해 응답하여 복수개의 통신채널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에 복수개의 디바이스로부터 연결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복수개의 디바이스(100)에서 핀 코드를 수신받아 메모리(240)에 저장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된 디바이스(100) 중에서 기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제1 디바이스(100a)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도록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240)는 무선 통신부(210)의 PIN 코드와 디바이스(100) 연결 우선순위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연결신호를 송신한 복수개의 디바이스(100)에 PIN 코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80)는 복수개의 디바이스(100)에서 전송한 핀 코드와 메모리(240)에 저장된 PIN 코드를 비교하여 핀 코드가 일치한 디바이스(100) 중에서 우선순위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200)는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제일 높은 제1 디바이스(100a)와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한편, 무선 통신부(210)는 PIN 코드가 일치하지 않은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응답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통신채널 형성방식은 통신채널 형성시 PIN 코드를 요구하므로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단 접속에 의해 발광부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b는 도 3a의 이미지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이미지 처리부(281)는 휘도 산출부(282), 조도 산출부(284) 및 제어 신호 생성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휘도 산출부(282)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휘도 산출부(282)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휘도 산출부(282)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전체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휘도 산출부(282)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 중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선택된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선택된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는, 휘도 산출부(282)는 Pixelrate-Mosaic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모자이크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모자이크 영역의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평균내어 평균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휘도 산출부(282)는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휘도 산출부(282)는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도 산출부(284)는, 휘도 산출부(282)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도 산출부(284)는 메모리(240)에 포함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241)과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85)는, 조도 산출부(284)에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구동부(260)로 입력되고, 구동부(260)는 구동 전류를 통해, 발광부(270)를 제어한다.
가령, 산출된 조도값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85)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85)는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령, 산출된 조도값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285)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조명 장치(200)에 이미지 처리부(281)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 연결한다(S410, S415).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간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417). 또는, 조명 장치(2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입력부(120)를 통해 제1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80)는 입력부(220)를 통해 제1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420). 즉, 사용자의 시선이 소정 영역에 일정 시간 머무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S425).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조명 장치(200)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S430). 조명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미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435). 다음, 조명 장치(2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440). 다음, 조명 장치(2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445). 다음, 조명 장치(200)는 산출된 조도값을 기초로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450).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S515).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517a). 제1 모드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 진입은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디바이스 입력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모드 진입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S530a). 여기서,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공간은 조명 장치(200)에 의해 빛을 제공받는 공간일 수 있다. 한편,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일 수 있다.
이미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535). 구체적으로, 개별 휘도값 측정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281)에 포함된 휘도 산출부(28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별 휘도값이 측정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540). 구체적으로, 평균 휘도값 산출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281)에 포함된 휘도 산출부(282)에서 수행될 수 있다.
평균 휘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545). 구체적으로, 조도값 산출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281)에 포함된 조도 산출부(28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550-1, S550-3, S550-5). 제어부(28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550-2, S550-4, S550-6). 구체적으로, 조도값을 기초로하는 제어 신호는 이미지 프로세서(281)에 포함된 제어 신호 생성부(285)에서 생성되어 출력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S550-1), 제어부(2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가 유지되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550-2).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S550-3), 제어부(2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550-4).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S550-5), 제어부(2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550-6).
이후에, 제어부(280)는 제1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S559), 제1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제1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80)는 S530a 단계로 회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모드 종료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디바이스 입력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제1 모드 종료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한다(S510).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517b). 제1 모드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520). 즉, 사용자의 시선이 소정 영역에 일정 시간 머무는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S525).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조명 장치(200)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S530b).
이후에,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제1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S531), 제1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제1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S520 단계로 회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모드 종료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디바이스 입력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이미지 처리부 및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바이스 메모리(140)는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1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1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메모리(140)는 기준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산출된 조도값과 비교되어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조도 기준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값은 디바이스 입력부(120)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수신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제어 신호는,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메모리(140)에 저장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141)을 통해, 평균 휘도값에서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산출된 조도값과 디바이스 메모리(14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생성된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컴퓨터 비전 기반으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81)는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b는 도 6a의 이미지 처리부의 블럭도이다.
휘도 산출부(182)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휘도 산출부(182)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조도 산출부(184)는, 휘도 산출부(182)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도 산출부(184)는 메모리(140)에 포함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141)과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무선 제어 신호 생성부(185)는, 조도 산출부(184)에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무선 제어 신호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조명 장치(200)로 전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디바이스(100)에 이미지 처리부(181)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10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 연결한다(S710, S715).
디바이스(100)와 조명 장치(200)간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717). 또는, 조명 장치(2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720).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S725).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735). 다음,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740). 다음,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745).
디바이스(100)는 조도값을 기초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746).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생성된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한다(S747).
조명 장치(200)는 무선 제어 신호를 기초로 발광부(270)를 제어한다(S750).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28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S715). 여기서, 디바이스(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글래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717a).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제어부(28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750). 여기서, 무선 제어 신호는,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할 수 있다.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된 후, 제어부(280)는 무선 제어 신호를 기초로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S750).
이후에, 제어부(280)는 제1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S751), 제1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제1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80)는 S747a 단계로 회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조명 장치(200)와 통신한다(S710).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S717b).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720).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S725).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735). 구체적으로, 개별 휘도값 측정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181)에 포함된 휘도 산출부(182)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별 휘도값이 측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740). 구체적으로, 평균 휘도값 산출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181)에 포함된 휘도 산출부(182)에서 수행될 수 있다.
평균 휘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745). 구체적으로, 조도값 산출 동작은, 이미지 프로세서(181)에 포함된 조도 산출부(18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746-1, S746-3, S746-5).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746-2, S746-4, S746-6). 구체적으로, 조도값을 기초로 하는 무선 제어 신호는 이미지 프로세서(281)에 포함된 무선 제어 신호 생성부(185)에서 생성되어 출력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S746-1),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746-2).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S746-3),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746-4).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S746-5),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746-6).
이후에,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한다(S747b).
이후에,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제1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S748), 제1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한다. 제1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 제어부(180)는 S720 단계로 회귀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조명 장치(20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일 수 있다.
도 9b에서 참조부호 910, 920은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지시한다.
이미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920)에 포함된 각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조명 장치(200)는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조명 장치(2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전체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조명 장치(2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 중 임의의 픽셀(예를 들면, FX10, FX 20,... FX10n)을 선택하여, 선택된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선택된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조명 장치(2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명 장치(200)는 메모리(240)에 포함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241)과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2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이후에, 조명 장치(200)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발광부(27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2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조명 장치(200)는 공간(900)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가 유지되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조명 장치(200)는, 공간(900)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조명 장치(200)는, 공간(900)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조명 장치(20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조명 장치(200)는 제1 모드에 진입한다. 제1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900)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910)를 획득한다.
이미지(910)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900)에 대한 이미지(910)에 포함된 각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에,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조명 장치(200)에 전송한다.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된 후, 조명 장치(200)는 무선 제어 신호를 기초로 발광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통합 제어 장치(300) 및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 및 조명 장치(200a, 200b,...,200n)에 대해, 도 2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 및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통합 제어 장치(300)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
이하, 통합 제어 장치(300)에 포함되는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 또는 복수의 조명 장치(200, 200a 내지 200n)와 통신한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블루투스 방식외에도, Wi-Fi 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변환된 전자기 신호를 통해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감지부(130)를 구비한 디바이스(100)와 통신하여 감지부(130)가 감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조도 센서(131)가 감지한 주변환경의 조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통합 제어 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통신 보안을 위해 이용되는 기설정된 디바이스(100)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EEP-ROM 은 제어부(280)의 동작 중, 제어부(28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는 기준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산출된 조도값과 비교되어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조도 기준값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값은 통합 제어 장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100)를 통해, 조도 기준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도 기준값은 통신을 통해 통합 제어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전달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한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수신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도 산출부(382)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휘도 산출부(382)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휘도 산출부(382)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전체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휘도 산출부(382)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 중 임의의 픽셀을 선택하여, 선택된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선택된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는, 휘도 산출부(382)는 Pixelrate-Mosaic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일정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모자이크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모자이크 영역의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평균내어 평균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휘도 산출부(382)는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할 수 있다. 휘도 산출부(382)는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조도 산출부(384)는, 휘도 산출부(382)에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도 산출부(384)는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에 포함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341)과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385)는, 조도 산출부(384)에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가령, 산출된 조도값이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에 저장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385)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385)는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령, 산출된 조도값이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에 저장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385)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가 동영상인 경우,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는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진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c)에 할당된 아이디를 기초로,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c)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제1 아이디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제1 아이디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디 정보는, 제1 조명 장치(200a)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즉, 광통신을 통해, 제1 조명 장치(200a)의 아이디 정보가 디바이스(1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200a)는 자신의 제1 아이디 정보를, 사람의 눈에 인지되지 않을 정도의 점멸을 통해 발신할 수 있다. 이경우, 디바이스(100)는 광통신 수신부(115)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이 향한 공간에 위치한 제1 조명 장치(200a)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1 아이디 정보를 통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 연결한다(S1110, S1115).
디바이스(100)와 통합 제어 장치(300)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S1117). 또는,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입력부(120)를 통해, 제2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제2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1120). 즉, 사용자의 시선이 소정 영역에 일정 시간 머무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S1125).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통합 제어 장치(300)에 상기 이미지를 전송한다(S1130). 통합 제어 장치(300)는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미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1135). 다음,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1140). 다음,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1145).
다음,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다(S1146).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150).
구체적으로,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가 유지되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도 12는 본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제4 실시예는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의 구성에 있어, 제3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디바이스(100), 통합 제어 장치(300) 및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 통합 제어 장치(300) 및 조명 장치(200a, 200b,...,200n)에 대해,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 및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개별 휘도값이 측정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평균 휘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에,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 또는 복수의 조명 장치(200, 200a 내지 200n)와 통신한다.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31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수신된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제어 신호는,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바탕으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n)는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진다.
한편,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 ...200c)에 할당된 아이디를 기초로, 복수의 조명 장치(200a, 200b,...200c)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380)는 제1 아이디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아이디 정보는, 디바이스(100)에서,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제1 조명 장치의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즉, 디바이스(100)는 통합 제어 장치(300)와 통신 연결한다(S1310, S1315).
디바이스(100)와 통합 제어 장치(300)간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S1317). 또는,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1320).
만약, 기설정된 시간 이상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S1325).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포함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S1335). 다음,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S1340). 다음,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S1345).
디바이스(100)는 제1 조명(200a)에 대응하는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다(S1346). 여기서, 제1 조명(200a)은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조명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1 아이디 정보를,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제1 조명 장치의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조명 장치(200a)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347).
구체적으로,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생성된 무선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한다(S1348).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조명 장치(200a)에 전송한다(S1350).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디바이스(1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미지는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공간(1400)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일 수 있다.
도 14b에서 참조부호 1410, 1420은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지시한다.
이미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미지(1420)에 포함된 각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전체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전체 픽셀 중 임의의 픽셀(예를 들면, FX10, FX 20,... FX10n)을 선택하여, 선택된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합하여 선택된 픽셀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340)에 포함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341)과 평균 휘도값을 비교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추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준데이터이다. 휘도 대비 조도 산출 테이블(341)은 실험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다음,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특징점(1415)을 기초로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가 유지되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통합 제어 장치(3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통합 제어 장치(300)는 디바이스(100)와 통신한다.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통합 제어 장치(300)는 제2 모드에 진입한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카메라(160)를 통해, 공간(1400)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1410)를 획득한다.
이미지(1410)를 획득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간(1400)에 대한 이미지(1410)에 포함된 각 픽셀(FX1, FX2,...,FXn)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한다. 디바이스(100)는 이미지에서 측정된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한다.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기초하여,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한다.
디바이스(100)는 제1 조명(200a)에 대응하는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제1 조명(200a)은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조명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1 아이디 정보를,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제1 조명 장치의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조명 장치(200a)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조도값이 산출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디바이스(100)는 조도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과 동일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유지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조도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0)는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생성된 무선 제어 신호를 통합 제어 장치(300)에 전송한다.
통합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조도값을 기초로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제1 조명 장치(200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1 조명 장치(200a)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디바이스
110 : 디바이스 무선 통신부
120 : 디바이스 입력부
130 : 감지부
140 : 디바이스 메모리
150 : 디바이스 출력부
180 : 디바이스 제어부
200 : 조명 장치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40 : 메모리
250 : 알림부
260 : 구동부
270 : 발광부
280 : 제어부
290 : 전원공급부
300 : 통합 제어 장치
310 : 통합 제어 장치 통신부
340 : 통합 제어 장치 메모리
380 : 통합 제어 장치 제어부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 비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별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산출부;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하는 조도 산출부; 및
    상기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경우, 상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조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평균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도값을 기초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상기 평균 휘도값 또는 상기 조도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조명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기준으로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는 조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값은,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명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비전 기반으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별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는 휘도 산출부;
    상기 평균 휘도값을 기초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하는 조도 산출부; 및
    상기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기준값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조도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공간에 빛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도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경우, 상기 공간에 제공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상기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휘도 대비 조도값 산출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평균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조도값을 기초로 상기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조명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조명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공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조명 장치.
  17.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개별 휘도값을 기초로 평균 휘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장치 중,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로 구성된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서 검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제1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아이디 정보는, 상기 제1 조명 장치의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되는 조명 시스템.
  20.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조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공간에 대한 이미지의 각 픽셀의 개별 휘도값을 바탕으로 산출된 평균 휘도값에 대응되는 조도값에 기초하는 조명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제1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아이디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조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아이디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 조명 장치의 특징점 정보 또는 상기 제1 조명 장치의 점멸 주파수를 기초로 획득되는 조명 시스템.
KR1020140193973A 2014-04-04 2014-12-30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82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73A KR20160082058A (ko) 2014-12-30 2014-12-30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15158286.3A EP2928269A1 (en) 2014-04-04 2015-03-09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643,003 US9668319B2 (en) 2014-04-04 2015-03-10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973A KR20160082058A (ko) 2014-12-30 2014-12-30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58A true KR20160082058A (ko) 2016-07-08

Family

ID=5650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973A KR20160082058A (ko) 2014-04-04 2014-12-30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0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54A (ko) * 2017-06-29 2019-01-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 장치 및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154A (ko) * 2017-06-29 2019-01-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 장치 및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8269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74131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having image processor
KR102023611B1 (ko) 홍채 인식 및 근접 센싱 가능한 단말 장치 및 방법
US9968417B2 (en) Hands-free lighting system
US9648703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37476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32475B2 (en) Grooming system with adaptive lighting and operating method
US9655212B2 (en) Light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JP2006208997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11216066B2 (en) Display device, le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170014357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207151A (ja) 表示装置、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82058A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080303643A1 (e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KR10160672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US201902588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729008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15172353A1 (zh) 具有可调节发光阵列的智能可穿戴设备
CN108664881A (zh) 用于乘员感测的装置和方法
KR101694161B1 (ko)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KR20170082040A (ko) 조명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220305567U (zh) 灯光组件、手柄及头戴式设备
JP2020120275A (ja) 盗撮カメラ検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72420B1 (ja) 情報処理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8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17

Effective date: 2018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