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673A -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및 주입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및 주입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673A
KR20080114673A KR1020087006212A KR20087006212A KR20080114673A KR 20080114673 A KR20080114673 A KR 20080114673A KR 1020087006212 A KR1020087006212 A KR 1020087006212A KR 20087006212 A KR20087006212 A KR 20087006212A KR 20080114673 A KR20080114673 A KR 2008011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esealable
cardboard
base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377B1 (ko
Inventor
페릭스 볼리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에이지 filed Critical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8011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747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 B65D5/74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a major part of the container wall or membran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인 플렌지(4)와 견고한 인너 나사산(5) 및 아우터 나사산(6)을 가진 베이스 바디(1)와,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10)와 나사 캡과 같은 형상으로 된 스크류 리드(lid)(3)를 가진 개방 요소(2)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 요소(2)는 견고한 아우터 나사산(8)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바디(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개방 요소(2)의 아우터 나사산(8)의 하부 구간의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8F)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며, 상기 베이스 바디(1)의 인너 나사산(5)의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되는 부위에서 감소하거나 또는 끊긴다.
주입 요소, 용기 재료, 개방 요소

Description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및 주입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RECLOSABLE POURING ELEM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ID ELEMENT}
본 발명은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에 관한 것으로, 플렌지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둘 다 끊긴 데 없는 인너 나사산 및 아우터 나사산을 구비한 베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cutting edge) 등과 나사 뚜껑(lid)과 같이 형성된 스크류 캡을 구비한 개방 요소로 구성되고, 상기 개방 요소는 끊긴 데 없이 구성된(solidly constructed) 아우터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 요소는 상기 스크류 캡이 초기 사용시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주입 요소 아래 위치된 용기 재료 내에 개구부를 커팅한다.
여러 가지 형상의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는 실제로 공지되어 있다. 한편, 주입 요소는 용기의 초기 개방시에 제공되고, 여기에 관련된 형상물을 외측에서 미리 충진하여 폐쇄된 용기의 상부로 조립시킨다. 주입을 위하해 주입 개구부(나중에) 부근의 용기 재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취약부를 주로 형성한다. 이것은 재료의 관통구멍으로서 또는 인너 및 아우터 플라스틱 층이 얇으면 그 위에 플라스틱, 보통은 폴리에틸렌으로 커버되는 기 판(substrate)(판지; cardboard)에 주입을 위한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초기 개방시 사용자가 가하는 커팅력을 개방 작동력으로 변환시켜 주입을 위해 충분히 큰 주입용 개구부의 확실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선회 개방 요소를 가진 주입 요소 외에, 특히 두껑과 같은 스크류 캡을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 캡을 초기에 회전시킴으로써 링 형상의 개방 요소를 용기 재료 내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주입 요소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주입 요소는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1 088 7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것은 장착 플렌지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그 내부에 설치된 중공의 실린더형 개방 요소와 스크류 캡을 구비한 베이스로 구성되고, 주입 요소의 초기에 개방시 스크류 캡과 개방 요소 사이의 확실한 결합과 개방 요소의 나선(helical) 운동에 의해 주입용 개구부를 만들도록 상기 세 개의 부품 각각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런 종류의 세 주입 요소는 그들을 조립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어느 정도 적잖게 소요된다. 복잡한 조립에서 탈피한 공지의 주입 요소는 작은, 예를 들어 0.2 또는 0.25리터(ℓ) 만큼 작은 사이즈의 용기를 동시에 함께 사용하도록 임의로 형성될 수 없음이 확실하다. 이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용기는 비교적 좁은 헤드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용기의 제조시 주입용 개구부를 커버한 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공지된 세 부품의 주입 요소는 커버된 주입용 개구부만을 개방할 수 있다.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1 262 412호에는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이 끊긴 부위를 가진 개방 요소의 부근인 개방 요소의 벽에 개구부가 구비된 주입 요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통상 조립을 더 쉽게 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 아닌 "강요된 끊김(coerced interruption)"이다.
또 다른 주입 요소는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1 571 0 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주입 요소에 존재하는 작용 물질(active material)과 연결하는 요소들로서 제공되는 개구부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개방 요소 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나사부 구간이 상기 개구부의 부근에서 끊기게 되지만 강요에 의해 된 것이고 개개의 부품이 쉽게 조립되게 하는 것이 아닌 것은 확실하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03/101843호에는 세 개의 부품 주입 요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방 요소가 나사 결합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실제 개방 작동은 천공 및 회전 운동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이에 따라 축 및 반경 이동을 과도하게 부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조립을 간단히 하도록 서두에 언급하고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주입 요소를 형성하고 정련하는 데 있고, 앞서 말한 취약부가 없는 음료 용기의 복합 재료를 안정적으로 천공하여 주입용 개구부를 충분히 크게 형성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주입 요소로서, 상기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은 적어도 하나의 부위인 하부 구간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겨져 상기 베이스의 인너 나사산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대응되는 부위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게 되는 바, 이것은 초기 조립시 상기 개방 요소를 나사 결합하고, 압박하거나 나사산에 과하게 압박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를 위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나사산을 눌러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 상기 개방 요소 및 베이스의 조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는 것이 동시에 형성된 결과, 개방 요소를 초기 조립시 베이스에 나사 결합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입요소의 나사산 구간들이 서로 대등하므로, 개방 요소가 먼저 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베이스로 이동, 즉 그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캡이 동시에 또는 나중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개방 요소를 베이스에 나사 결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캡이 초기 작동시 나사산을 강제 결합(bayonet-type engagement)하기 때문에, 상기 개방 요소는 회전되고, 간단한 방식으로 회전한 후에는, 서로 대등한 나사산들의 확실한 결합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 개방 요소의 커팅부의 나선형 타입 관통구멍이 용기 재료 내로 들어가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이 두 대향하는 부위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방식에서는 매우 양호한 토크 분배가 가능한 바, 개방 요소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베이스는 그 내부에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나사 구간을 또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상호 결합되는 두 나사산을 구비한 상기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초기 용기 재료를 커팅시 개방 요소의 커팅부에 충분히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나사산이 비교적 급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각 나사산은 적어도 540° (한바퀴 반(1ㅍ 번))만큼 개방 요소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상기 개방 요소가 캡이 초기에 나사 결합될 때 360° 이상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케이스에서 상기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이 나사산의 하부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상기 스크류 캡을 미리 회전시키고, 상기 개방 요소를 간단한 방식으로, 즉 네 개의 다른 나사산을 맞물림으로써 필요한 천공 및 커팅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가 판지/플라스틱 복합 재료를 천공하고 주입용 개구부를 커팅하는데 적합하도록 구비된다는 것이다. 상기 커팅부는 바람직하게는 용기 재료로 회전할 때 주입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커팅 길이는 완전한 원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팅부를 형성한 결과, 복합 용기의 찢어진 조각은 남아있는 복합 재료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다만 측면 내부 방향으로 선회되어 튜브 방식으로 돌출된 개방 요소에 의해 용기 내부로 들어가 거기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개방 요소의 분명한 전체 횡단면이 주입용 개구부로서 이용된다. 그것은 나사산의 축 길이보다 작은 커팅부의 축 길이에 의해서가 아니라 내측으로 동시에 구부러지는 커팅부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어서, 복합 재료의 찢어진 조각의 반경이 동일한 사이즈가 아니라 서서히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그 내부에 각각이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몇 개의 나사산 구간을 구비한다. 이들 나사산 구간의 배열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개방 요소 나사산의 감소되거나 또는 끊긴 구간에 축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배열된 나사산 구간을 지나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방 요소의 아우터 나사산과 상기 베이스의 인너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캡을 조작함으로써 개방 요소의 회전을 통해 단지 맞물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아래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지 않는 개방 요소용 베이스의 하부 구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방 요소의 나사산 또는 아우터 나사산은 적어도 하나의 제한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제한 스토퍼는 상기 개방 요소가 용기 내부로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한다.
후크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하여 개방 요소의 내측으로 분기되는 복수개의 돌기는 상기 개방 요소가 베이스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캡은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는 상기 캡의 상측에서 아래로 이어져 동축으로 벤딩 형성되며 상기 개방 요소의 내측에 있는 돌기와 톱니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각 경우에 상기 개방 요소는 스크류 캡이 나사 결합되지 않을 때 요컨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 단지 회전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상기 캡을 다시 나사 결합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가 내부로 이탈되므로, 상기 개방 요소는 그 각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설명에 따른 목적은 상기 스크류 캡이 미리 형성된 취약부를 가진 재료 연결부에 의해 조립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재료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과 상기 베이스의 플렌지에 연결된 장착 플레이트 사이를 연장한다.
충분한 경도를 가진 재료가 상기 개방 요소용 재료로 사용되고, 커팅부가 날까롭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주입용 개구부는 (약하지 않은) 복합 재료 내로 커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을 근거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전의 주입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주입 요소를 최종적으로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캡의 초기 개방 후 주입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반복하여 개방 후 주입 요소를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 위치에 있는 베이스 및 개방 요소를 절개하여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반복하여 개방 후 절개하여 도 6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것은 실질적으로 세 개의 다른 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베이스(1)와, 중공 실린더형 개방 요소(2)와, 스크류 캡(3)을 말한다. 상기 베이스(1)는 플렌지(4)로 둘러싸여 있고, 상세히 후술할 인너 나사산(5)을 구비한다.
상기 개방 요소(2)는 그 내부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후크 형상의 두 돌기(7)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7)를 통하여 개방시 필요한 회전토크를 상기 스크류 캡(3)에서 개방 요소(2)로 전달한다. 상기 개방 요소(2)의 외주면에는 또한 상세히 설명할 아우터 나사산(8)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우터 나사산(8)은 도 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간에서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나사산(8)의 감소 부위는 상기 개방 요소(2)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두 부위(8F)이다.
용기 내부로 나사 결합된 상기 개방 요소(2)가 상기 베이스(1)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상기 패키지 내부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한 스토퍼(9)는 상기 아우터 나사산(8)의 상단 각 케이스에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우터 나사산(8)은 각 케이스에서 180°만큼 치우쳐 있는 맞물리는 나사산(8A, 8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 요소(2)의 하단에는 도 4에 특히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10)를 구비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입 요소는 최종 조립된 상태를 투시하여 도시된다. 상기 스크류 캡(3)이 상기 베이스(1)에 확실 또는 불확실한 결합 상태에 있는 장착 플레이트(11)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스크류 캡(3)이 초기에 스크류되지 않은 주입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11)와 상기 스크류 캡(3)을 연결하는 재료 연결부(material bridge)(12)에 미리 형성된 취약부가 개방시 찢어진다는 것이다. 즉, 상세한 설명에서와 이 범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 요소는 찢어진 재료 연결부(12′)(도3 참조)인 세 개의 재료 연결부(12)를 구비한다.
도 4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1)가 상기 베이스(1)의 플렌지(4)에 바람직하고 확실하게 연결된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 단부까지 하향 형성된 두 개구홀(13)이 상기 플렌지(4) 내에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4)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11)에서 아래로 향하는 두 연결 마개(spigot)(14)(도 1 참조)가 고정되어 1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홀을 메운다(caulked).
도 4에서, 상기 스크류 캡(3)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 캡(3)의 뚜껑으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돌출되고 곡선이 형성된 동심 바 형상을 통하여 비틀림 강성 방향으로 회전 토크를 변환시킬 수 있고 내부를 향해서 방사상으로 편향될 수 있는 두 동심 구동 바(concentric driving bar)(15)가 구비된 것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개방 요소(2)의 내측에 후크 형상의 돌기(7)와 함께 이것(구동 바)을 구비한 결과, 초기 개방시 커팅부(10)를 형성한 개방 요소는 주입 요소 아래 위치된 용기 재료 내에 개구부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스크류 캡(3)이 폐쇄되면 상기 구동 바(15)는 상기 돌기(7)의 대응 경사면에 의해 내부를 향하여 벗어나게 되어 상기 개방 요소(2)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5는 반복된 개방으로 인해 상기 구동 바(5)가 그 길이의 때문에 상기 후크 형상의 돌기(7) 뒤에 맞물려 상기 개방 요소(2)가 초기 개방 후에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보다 개방 요소(2)를 용기 재료 내로 약간씩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그 끝단 위치에 있는 개방 요소(2)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개방 요소(2)는 다 시 한번 대략 180°를 완전히 회전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개방의 기능적 모드에 대하여 단면도를 가지고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서 상기 베이스(1)의 내부에서 하부 나사구간(5B)의 끝단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개방 요소(2)의 제한 스토퍼(9)(도 7 참조)에 상당하는 제한 스토퍼(16)가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 캡(3)에 의해 작동되는 개방 요소(2)는 주입 요소에서 분리되어 상기 용기 내부로 낙하될 수 없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이에 반하여, 그것은 끝단 위치에 남게 되고, 커팅부(10)에 의해 형성되지만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복합 재료 조각이 아래 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개방 요소(2)의 완벽하고 뚜렷한 횡단면(cross section)을 쏟아붓는 데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플렌지(4)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둘 다 끊긴 데 없는 인너 나사산(5) 및 아우터 나사산(6)이 구비된 베이스(1)와,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10)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가 형성된 뚜껑(lid)과 같이 형성된 스크류 캡(3)을 구비한 개방 요소(2)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요소(2)는 끊긴 데 없이 구성된 아우터 나사산(8)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 요소(2)는 상기 캡(3)이 초기에 작동될 때, 주입 요소 아래 위치된 용기 재료의 개구를 커팅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의 아우터 나사산(8)의 하부 구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8F)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고 상기 베이스(1)의 인너 나사산(5)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대응되는 부위에서 감소하거나 끊겨 있어서, 초기 조립시 상기 개방 요소(2)를 나사산(5, 8)에 나사 결합하거나 압박하거나 과도하게 압착하지 않고 위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의 아우터 나사산(8)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구간(8F)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의 아우터 나사산(8)은 맞물리는 두 나사산(8A, 8B)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나사산(8A, 8B)은 적어도 540°로 상기 개방 요소(2)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의 아우터 나사산(8)은 하부 나사산(8A, 8B)에 있는 각 케이스에서 감소되거나 또는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의 각각의 아우터 나사산(8)은 그 상단에 적어도 하나의 제한 스토퍼(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10)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재료를 천공하고 주입용 개구부를 커팅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10)는 용기 재료를 회전시킬 때 주입용 개구부를 커팅 길이가 완전한 원의 길이보다 더 작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는 그 내부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나사 구간(5A, 5B)이 각 케이스마다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 스토퍼(16)는 아래로 나사 결합되지 않는 상기 개방 요소(2)용 상기 베이스(1)의 하부 부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요소(2)는 그 내부의 상부에 분포된 복수개의 돌기(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캡(3)은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15)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바(15)는 상기 스크류 캡(3)의 상측에서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고 아래 방향으로 동심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돌기(7)와 톱니 방식으로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스크류 캡(3)은 미리 형성된 취약부를 가진 재료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1)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연결부(12)는 상기 스크류 캡(3)과 장착 플레이트(11) 사이를 잇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11)는 상기 베이스(1)의 플렌지(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음에 상기 개방 요소가 위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로 반경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스크류 캡은 동시에 또는 나중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에 포장된 음료용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KR1020087006212A 2006-03-31 2007-03-29 재밀봉 가능한 주출 요소 및 주출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KR101360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5525.4 2006-03-31
DE102006015525A DE102006015525B3 (de) 2006-03-31 2006-03-31 Wiederverschließbares Ausgießelement für in Karton/Kunststoff-Verbundpackungen abgefüllte flüssige Lebens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PCT/EP2007/053046 WO2007113215A1 (de) 2006-03-31 2007-03-29 Wiederverschliessbares ausgies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673A true KR20080114673A (ko) 2008-12-31
KR101360377B1 KR101360377B1 (ko) 2014-02-07

Family

ID=3813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212A KR101360377B1 (ko) 2006-03-31 2007-03-29 재밀봉 가능한 주출 요소 및 주출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959032B2 (ko)
EP (1) EP1931571B1 (ko)
KR (1) KR101360377B1 (ko)
CN (1) CN101316763B (ko)
AR (1) AR060261A1 (ko)
AT (1) ATE455709T1 (ko)
AU (1) AU2007233787B2 (ko)
BR (1) BRPI0702840B1 (ko)
CA (1) CA2603142C (ko)
DE (2) DE102006015525B3 (ko)
EA (1) EA013270B1 (ko)
ES (1) ES2339892T3 (ko)
MX (1) MX2007015315A (ko)
PL (1) PL1931571T3 (ko)
TW (1) TWI404657B (ko)
WO (1) WO2007113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892B1 (ko) * 2005-11-18 2006-12-11 노희권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DE102006016113B3 (de) * 2006-04-04 2007-08-23 Sig Technology Ag Wiederverschließbares Ausgießelement für Karton/Kunststoff-Verbundpackungen
WO2012085153A2 (de) * 2010-12-21 2012-06-28 Capartis Ag Ausgiess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usgiessers und behälterverschluss umfassend einen derartigen ausgiesser
DE102011075481A1 (de) * 2011-05-09 2012-11-15 Robert Bosch Gmbh Verbundfolie für Verpackungsbehält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bundfolie sowie Verpackungsbehälter
DE102011080151A1 (de) * 2011-07-29 2013-01-31 VITA PAK UG (haftungsbeschränkt) Verpackungssystem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CA2825226C (en) 2012-08-22 2016-11-29 Meadwestvaco Corporation Paper-based container li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D739239S1 (en) * 2013-02-13 2015-09-22 Sulzer Mixpac Ag Cap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KR101381356B1 (ko) * 2013-10-28 2014-04-04 주식회사 청아람 음료용기용 캡슐캡
US10609939B2 (en) * 2013-12-16 2020-04-07 Monarch Media, Llc Coconut water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11317647B2 (en) * 2014-12-02 2022-05-03 Monarch Media, Llc Coconut water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60345619A1 (en) * 2014-12-02 2016-12-01 Monarch Media Llc. Coconut remov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D834404S1 (en) * 2015-11-30 2018-11-27 Cisco Technology, Inc. Screw
US10752398B2 (en) 2016-05-31 2020-08-25 Sig Technology Ag Pouring element for a composite packaging and composite packaging having a pouring element
DE102016110046A1 (de) 2016-05-31 2017-11-30 Sig Technology Ag Ausgieß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ßelement
EP3251965A1 (de) 2016-05-31 2017-12-06 SIG Technology AG Ausgiess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sselement
GB201615069D0 (en) * 2016-09-06 2016-10-19 Mars Inc Nozzle
US10676261B2 (en) 2017-09-07 2020-06-09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assembly
BR102018004125A2 (pt) * 2018-03-01 2018-11-06 Icmatech Inovações Tecnológicas Ltda Me dispositivo para abertura automática de recipiente provido de elemento selante
EP3599183A1 (de) 2018-07-23 2020-01-29 SIG Technology AG Verbundpackung mit einem ellipsenartigen überbeschichteten loch und karton/kunststoff-verbundmaterial und einen zuschnitt daraus und ein ausgiesselement zur verwendung mit einer solchen verbundpackung
ES2967986T3 (es) 2018-07-23 2024-05-06 Sig Services Ag Envase de material compuesto que comprende un orificio elíptico revestido
DE102018117707A1 (de) * 2018-07-23 2020-01-23 Sig Technology Ag Verbundpackung mit einem ellipsenartigen überbeschichteten Loch und Karton/Kunststoff-Verbundmaterial und einen Zuschnitt daraus und ein Ausgießelement zur Verwendung mit einer solchen Verbundpackung
EP3994078A4 (en) * 2019-07-05 2023-08-09 Liqui-Box Corporation PROBE
BR112022005550A2 (pt) * 2019-09-25 2022-06-21 Easy Plast S R L Dispositivo de abertura/fechamento para um recipiente para produtos derramáveis e método de fechamento/abertura de um recipiente para produtos derramávei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6896B2 (en) * 1987-06-30 1991-11-14 Toppan Printing Co. Ltd. Spout for liquid containers
EP1088765A1 (en) * 1999-10-01 2001-04-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Reseal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DK1088764T3 (da) * 1999-10-01 2004-11-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Lukbar åbningsindretning til forseglede emballager af hældbare födevarer
CN2457071Y (zh) * 2000-11-25 2001-10-31 黄翔 螺旋助推插入开启式瓶盖
EP1262412B1 (en) * 2001-05-29 2006-08-0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Clos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RU2288146C2 (ru) * 2001-06-27 2006-11-27 Берикап Холдинг Гмбх Затвор с пробойником
GB0125296D0 (en) * 2001-10-20 2001-12-12 Rexam Containers Ltd Pouring spout feature
AU2003222713A1 (en) * 2002-05-31 2003-12-19 Sig Technology Ltd.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connection pieces closed by a film material
AU2003233906A1 (en) * 2002-06-20 2004-01-06 Sig Technology Ltd.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or bottle nozzles for sealing with film material
JP4442796B2 (ja) * 2003-01-24 2010-03-31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容器および包装容器に取付けられる注ぎ栓
EP1608561B1 (de) * 2003-03-21 2009-06-17 Bericap Holding G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behältnis aus laminiertem papier oder karton
DE60311274T2 (de) * 2003-11-18 2007-08-3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Wiederverschliessbare Öffnungsvorrichtung für Packungen aus versiegelter Folie für ausgiessbare Nahrungsmittel
DE102004008268A1 (de) * 2004-02-20 2005-09-15 Emil Jacoby Obst- und Gemüseverwertung, Weingroßhandlung in Auggen, GmbH Vorrichtung zum Öffnen eines Behälters sowie Verfahren zum Festfügen eines Wirkstoffes an einer solchen Vorrichtung
JP4573571B2 (ja) * 2004-05-14 2010-11-04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容器開封装置
TWI356795B (en) * 2004-11-15 2012-01-21 Sig Technology Ltd Flat self-opening closure for combipacks or for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60261A1 (es) 2008-06-04
TW200824981A (en) 2008-06-16
CN101316763B (zh) 2011-03-16
BRPI0702840A (pt) 2008-04-01
CA2603142C (en) 2015-03-17
EA013270B1 (ru) 2010-04-30
PL1931571T3 (pl) 2010-08-31
CN101316763A (zh) 2008-12-03
MX2007015315A (es) 2008-02-11
AU2007233787A1 (en) 2007-10-11
EA200702015A1 (ru) 2009-04-28
AU2007233787B2 (en) 2014-01-23
ES2339892T3 (es) 2010-05-26
ATE455709T1 (de) 2010-02-15
DE102006015525B3 (de) 2007-08-02
KR101360377B1 (ko) 2014-02-07
US7959032B2 (en) 2011-06-14
DE502007002668D1 (de) 2010-03-11
EP1931571B1 (de) 2010-01-20
CA2603142A1 (en) 2007-10-11
BRPI0702840B1 (pt) 2017-12-19
WO2007113215A1 (de) 2007-10-11
TWI404657B (zh) 2013-08-11
US20090020558A1 (en) 2009-01-22
EP1931571A1 (de)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4673A (ko) 재밀봉 가능한 주입 요소 및 주입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
KR101360378B1 (ko) 판지/플라스틱 복합 용기로 포장된 유동 식품용 재밀봉 가능한 주출 요소
AU2005304245B2 (en) Flat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nozzles or bottle necks to be closed by film material
US5735426A (en) Fitment-closure assembly for gable-topped carton
JP2001106249A (ja) 注出可能な食品製品の密封パッケージ用の閉鎖可能な開口装置
KR20080114672A (ko) 복합 판지/플라스틱 패키징용 재밀봉식 주입 요소
JP2010521381A (ja) 材料解放スパウト
CA2698997C (en) Self-opening closure with air inlet channel for composite packaging or for container necks to be sealed with foil material
US20070108153A1 (en) Drinking and pouring closure with a piercing cutter devic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container and bottle spouts sealed with a film material
MXPA02000587A (es) Cierres de abastecimiento.
JP2019517432A (ja) 複合包装体のための注ぎ口要素および注ぎ口要素を有する複合包装体
EP0502716B1 (en) Spout fitment closure plug
US20190144158A1 (en) Pouring Element for a Composite Packaging and a Composite Packaging with a Pouring Element
CN114746343A (zh) 纸板/塑料复合包装件的带有用于牢固地紧固螺旋盖的锚环的可重新密封的倾倒元件
JP4967017B2 (ja) 開口装置、その開口装置に使用するねじ式キャップ、およびその開口装置の形成方法
WO2008072981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amper evident seals
EP0855985A1 (en) Pouring device for a container
AU2008241632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amper evident s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