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603A -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 Google Patents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603A
KR20080112603A KR1020070061188A KR20070061188A KR20080112603A KR 20080112603 A KR20080112603 A KR 20080112603A KR 1020070061188 A KR1020070061188 A KR 1020070061188A KR 20070061188 A KR20070061188 A KR 20070061188A KR 20080112603 A KR20080112603 A KR 2008011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vegetation
block structur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섭
Original Assignee
덕풍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풍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풍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2603A/ko
Publication of KR2008011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 장소를 제공하여 벌이나 조류 등의 서식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조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방측에는 개구된 형태의 상부개구부(221)가 하단부에는 바닥부(222)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는 식생공간부(220)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면 측은 둥근 원호상 라운딩 되어 있으며 후방은 개구된 상태인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 전면 외주측면을 따라 양단부측에 통공(213)이 형성되어,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시공되는 웅벽 블럭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상면 후단부 일측으로 고정공(214)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측면 양단부 일측은 절개홈(211)이 타측은 돌출부(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식생공간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바닥부(222)에 체결공(222a)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발명은 옹벽블럭을 체결하는 데 있어 절개홈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각각의 옹벽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각각의 옹벽블럭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다수의 옹벽블럭이 체결되면 그 형상이 원호 형상을 이루어 미관상 미려한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몸체부, 절개홈, 돌출부, 식생공간부, 경사면

Description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The provisions and living thing breast wall block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를 나타낸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식생용 옹벽블럭을 후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설치된 상태의 사면 평면부를 나타낸 개괄적 정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7은 종래의 옹벽블럭 구조를 도시한 개괄적 사시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0; 옹벽블록 210; 몸체부
211; 절개홈 212; 돌출부
212a; 경사면 213; 통공
214; 고정공 220; 식생공간부
221; 상부개구부 222; 바닥부
222a; 체결공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 용이한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 장소를 제공하여 벌이나 조류 등의 서식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조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옹벽블럭을 체결하는 데 있어 절개홈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각각의 옹벽블럭이 체결되어 옹벽블럭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됨으로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다수의 옹벽블럭이 체결되면 그 형상이 원호 형상을 이루어 미관상 미려한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절성토 지반에 도로, 철도, 단지 공장 하천 등을 조성하는 데 있어 용지 제한을 받을 경우 토공량을 축소하면서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여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해 축조하는 토목구조물인데, 이러한 옹벽은 지형적 여건과 옹벽 시공 후 옹벽에 작용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게 되는바, 전통적으로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성토) 위해 거푸 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다음,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성형하기 때문에 비용 및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는 등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 응력의 확보가 용이치 않는 경우가 많고, 주로 그 시설물이 토사의 압력이 가해지는 반대편에 설치되므로,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또한 축벽 자체에 식물이나 조류 등이 서식하지 못하게 되는 환경을 제공하여, 주변 환경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건식 또는 습식프레스 공법에 의해 대량 제작되는 옹벽블럭을 현장에서 적층식으로 축조 하는 옹벽이 널리 시공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옹벽용으로 사용하는 블럭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드는 벽체(壁體)를 일컫는 것으로, 비교적 큰 돌을 이용하여 조적한 석축과는 달리 일률적인 크기를 갖도록 블럭을 상 방향에 대하여 상호 교호되도록 하며 그 중심이 엇갈리게 조적하여 옹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자연적인 공간미와 그 생태 조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대지형에 시공되는 옹벽 등에도 공간미는 살리면서도 안정적인 조적시공이 될 수 있는 블럭의 개선 및 시공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임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개발되는 옹벽 블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발생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깍아 낼 때 또는 해안 등을 메울 때 필요한 것으로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는 블럭쌓기 방식인,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지반 붕괴를 막는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게 되는 특수 콘크리트 옹벽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체를 만들 시에는 그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또한 축벽 자체가 토사의 압력을 이기도록 설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사의 압력으로부터 축벽을 보호하기 위한 축벽을 받치는 구조물이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등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후 옹벽의 미관을 고려한 블럭의 전면 개선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블럭 전면 형태만을 변경하는 형태이어서 여전히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녹지 주변에 시공지가 있는 경우에는 주변 환경과 조화도지 못함은 물론, 보는 사람들이 딱딱하고 경직된 콘크리트 이미지를 벗어날 수 없어 정서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지적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원인에 의해 출원 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 10-0712437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측이 둥근 원호상 라운딩 되어 내부로 식생공간부(130)가 상방측에는 상부개구부(131)가 하방측에는 하부개구부(132)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고 후방으로 개구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전면 외주측면을 따라 양단부측에 통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 후방측에 각각 고정공(121)을 갖는 고정결합편(120)이 형성되어,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시공되는 웅벽블럭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측면 단부에서 경사지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하는 경사면(111)을 이루고,
상기 몸체부(110) 하부측에 내측방으로 경사되는 하부내측경사면(114)을 갖는 연장부(113)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개구부(131)보다 하부개구부(132)의 개방 면적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기존의 옹벽블록의 단점을 상당부분 개선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옹벽블록은 각각의 옹벽블록을 체결하게 되면 옹벽블럭간에 틈새가 발생하여 틈새를 매우는 작업공정이 필요함으로 작업과정에서의 번잡성으로 인한 시공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옹벽블록을 적층시켜 쌓는 작업을 하게 될시 상.하 옹벽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올려놓는 작업으로 마무리가 되기 때문에 어느 한곳의 옹벽블록에 강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그곳의 옹벽블록이 이탈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게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생용 옹벽블럭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식물이나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식생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옹벽블럭에 돌출부와 절개홈을 구비하여 각각의 옹벽블럭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웅벽블럭간에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하는데 용이한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블럭을 쌓는 작업을 할 때 상.하 웅벽블럭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상방측에는 개구된 형태의 상부개구부(221)가 하단부에는 바닥부(222)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는 식생공간부(220)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면측은 둥근 원호상 라운딩 되어 있으며 후방은 개구된 상태인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 전면 외주측면을 따라 양단부측에 통공(213)이 형성되어,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시공되는 웅벽 블럭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상면 후단부 일측으로 고정공(214)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측면 양단부 일측은 절개홈(211)이 타측은 돌출부(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식생공간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바닥부(222)에 체결공(222a)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100)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를 나타낸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식생용 옹벽블럭을 후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설치된 상태의 사면 평면부를 나타낸 개괄적 정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식생용 옹벽블럭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7은 종래의 옹벽블럭 구조를 도시한 개괄적 사시도 이다.
도로를 개통하기 위해 산을 깍아내려 발생되는 절개지나 또는 성토지 등에 형성되는 사면의 보강 및 낙석, 사토의 유실 등의 방지와, 식생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옹벽블럭을 이용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단위로 되는 옹벽블럭(200)을, 몸체부(210) 전면측을 둥근 라운드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그 몸체부(210)의 외주면측으로 이어지는 단부 외측은 절개홈(211)과 돌출부(212)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절개홈(211)과 돌출부(212)에 통공(213)을 복수개 등간격 이격 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1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술한 바와 같이 둥근 원호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으로 식생공간부(220)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 후단부 일측으로 고정공(214)이 천공되어 있으며, 외주측면 양단부 일측은 절개홈(211)이 타측은 돌출부(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식생공간부(220)는 상방은 개구된 상태인 상부개구부(221)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다수의 체결공(222a)이 천공되어 있는 바닥부(222)로 구비되어 토양 등을 수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210)의 절개홈(211)과 돌출부(212)에는 통공(213)이 천공되어 각각의 옹벽블럭(200)이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가능하게 하였고, 이때 상기 돌출부(212)는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212a)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으로, 이는 옹벽블럭(200)을 체결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이렇게 체결된 옹벽블럭(200)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다른 작업공정을 하지 않아도 옹벽블럭(200)간의 체결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210)의 상면으로 고정공(214)을 천공하고 식생공간부(220)의 바닥부(222)에 체결공(222a)을 천공하여서 되는데, 이는 옹벽블럭(200)를 쌓아 올리는 작업을 할 시, 상.하 옹벽블럭(200)간에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 있는 옹벽블럭(200)의 체결공(222a)에 볼트(B)를 삽입하고 하단에 있는 옹벽블럭(200)의 고정공(214)에 너트(N)로 체결하는 것으로, 상.하 옹벽블럭(200)이 체결되어져 결과적으로 옹벽블럭(200) 전체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어느 한곳에 과다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부(222)에 천공된 체결공(222a)은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봐오 같이 등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하여 옹벽블럭(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경사가 완만한 곳과 경사가 급한 곳에 맞게 웅벽블럭(200)을 쌓아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옹벽블럭(200)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경사지인 사면, 절개지, 성토지 등(이하 사면이라 통칭함)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옹벽블럭(200)을 배열 배치하여 상.하 웅벽블럭(200)를 체결하고, 이와같은 일련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옹벽블럭(200)과 옹벽블럭(200)이 접하는 접면의 고정 결합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200) 몸체부(210)의 절개홈(211)과 돌출부(212)에 천공되는 각각의 통공(213)간을 볼트(B) 및 너트(N) 등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과정을 전후열에 걸쳐 반복 수행하게 되며, 전열과 후열은 상호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치를 달리하며 교호 형성되도록 하여, 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아울러, 식생공간부(220)내 각종 식물이나 곤충 등의 서식처를 충분히 제공하게 되어, 사면 녹지공간으로서의 활용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절개지 또는 성토지 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옹벽블럭(200)의 적층되는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하 웅벽블럭(200)을 체결하여 축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생용 옹벽블럭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식물이나 곤충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식생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옹벽블럭에 돌출부와 절개홈을 구비하여 각각의 옹벽블럭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웅벽블럭간에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하는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블럭을 쌓는 작업을 할 때 상.하 웅벽블럭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블럭을 체결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게 되어 미관상 미려한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방측에는 개구된 형태의 상부개구부(221)가 하단부에는 바닥부(222)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는 식생공간부(220)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면측은 둥근 원호상 라운딩 되어 있으며 후방은 개구된 상태인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 전면 외주측면을 따라 양단부측에 통공(213)이 형성되어, 사면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시공되는 웅벽 블럭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상면 후단부 일측으로 고정공(214)이 천공되어 있고, 외주측면 양단부에 일측은 절개홈(211)이 타측은 돌출부(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과,
    상기 식생공간부(2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바닥부(222)에 체결공(222a)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외주측면의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212)는 일정각도 테이퍼진 경사면(212a)으로 이루어져, 옹벽블럭(200)을 체결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222)에 천공된 체결공(222a)을 일정간격 이격 되게 다수 형성하여, 옹벽블럭(100)을 적층시켜 쌓아 올리는 데 있어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20070061188A 2007-06-21 2007-06-21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20080112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88A KR20080112603A (ko) 2007-06-21 2007-06-21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88A KR20080112603A (ko) 2007-06-21 2007-06-21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603A true KR20080112603A (ko) 2008-12-26

Family

ID=4037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188A KR20080112603A (ko) 2007-06-21 2007-06-21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40B1 (ko) * 2009-07-28 2012-01-04 천연건설(주) 식생블럭 고정 보강구조
KR101259053B1 (ko) * 2012-11-16 2013-04-26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140B1 (ko) * 2009-07-28 2012-01-04 천연건설(주) 식생블럭 고정 보강구조
KR101259053B1 (ko) * 2012-11-16 2013-04-26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강용 식생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80112603A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101281910B1 (ko) 친환경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JP5513067B2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KR100872836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390304Y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KR100712437B1 (ko)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JP2003119787A (ja) 構造物の緑化構造
KR100696297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20080014176A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JPS6011168Y2 (ja) 法面用土留壁構造体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200420352Y1 (ko) 식생형 옹벽블록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745010B1 (ko) 철근 콘크리트 옹벽
KR200352883Y1 (ko) 친환경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
KR101103140B1 (ko) 식생블럭 고정 보강구조
KR200341409Y1 (ko)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