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343A -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343A
KR20080111343A KR1020070059628A KR20070059628A KR20080111343A KR 20080111343 A KR20080111343 A KR 20080111343A KR 1020070059628 A KR1020070059628 A KR 1020070059628A KR 20070059628 A KR20070059628 A KR 20070059628A KR 20080111343 A KR20080111343 A KR 2008011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height
fixed
outer leg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태
Original Assignee
최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태 filed Critical 최신태
Priority to KR102007005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1343A/ko
Publication of KR2008011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고정통공이 형성되는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다리로 분할 설치되어 상단은 책걸상의 상판이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일단이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각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책상 및 걸상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장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단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 1커버가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제 2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제 1커버의 삽입공을 통해 고정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및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걸림구를 이용하여 외측다리에 삽입되는 내측다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낮이를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측다리, 내측다리, 걸림구, 절곡부, 고정하우징, 눈금표시부.

Description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Vertically adjustable device for desks and chair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책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책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가 도시된 일부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걸상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책상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걸림구가 외측다리의 외면에 걸쳐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그부, 20 : 외측다리,
20a : 고정통공, 30 : 내측다리,
30a : 결합공, 32 : 눈금표시부,
40 : 고정하우징, 41 : 제 1커버,
41a : 삽입공, 42 : 제 2커버,
50 : 걸림구, 51 : 절곡부,
52 : 연장부, 53 : 돌기부,
60 : 스프링, 70 : 와셔.
본 발명은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걸림구를 이용하여 외측다리에 삽입되는 내측다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낮이를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걸상은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업무용이나 학습용 등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학교나 학원에서 학생들이 책걸상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높이가 정해져 규격화된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성장속도에 따라 체격이 급격하게 변하는 학생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학생들이 체격에 맞지 않는 책걸상을 사용하게 되면 자세가 불안정하여 학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자세 를 장시간 유지할 겨우 신체 각 부위에 무리를 주어 성장기 학생들의 발육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책걸상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하,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지지프레임(121)이 고정된 외측다리(120)와 상단에 받침프레임(131)이 고정된 내측다리(130)로 분할 설치되고, 좌, 우로 이격되어 각 레그부(100)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내측다리(130)가 외측다리(12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분할된 내측다리(130)의 전방에는 수직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결합공(130a)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외측다리(120)중 상단부에 하나의 고정통공(120a)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다리(130)가 상,하 이동시에 각 결합공(130a) 중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이 고정통공(120a)과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각 외측다리(120)의 전방에 고정통공(120a)을 감싼 상태로 스프링 하우징(140)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140)에는 양측에 수평상태로 연통되는 하우징 구멍(14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140)에는 그 전방쪽 끝단부가 하우징 구멍(1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스토퍼핀(142)이 수평상태로 끼워져 상기 스토퍼핀(142) 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측다리(120)에 형성된 고정통공(120a)을 통해 내측다리(1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으로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핀(142)이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내측다리(1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도록 하며, 상기 각 스토퍼핀(142) 중 스프링 하우징(140)의 내측부에는 스토퍼핀(142)과 함께 이동되도록 돌기(143)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스토퍼핀(142)에 끼워진 상태로 코일스프링(144)이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핀(142)이 코일스프링(144)에 의해 항상 후방쪽인 내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받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핀(142)의 전방쪽 끝단에는 스프링 하우징(140)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로 손잡이(14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145)를 통해 스토퍼핀(142)을 전,후방쪽인 내,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책상에 설치된 높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이 아닌 걸상에 높이 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높이 조절장치를 이용해 책걸상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책상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로 조절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스토퍼핀(142)이 스프링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44)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후방쪽인 내측(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고, 상기 각 스토퍼핀(142)이 후방쪽인 내측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후방쪽인 내측 끝단이 각 레그부(100)의 외측다리(120)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0a)을 통해 내측다리(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130a) 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하나의 결합공(130a)으로 완전히 끼워지게 된다. 즉,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내측다리(130)는 스토퍼핀(142)에 의해 하부 이동이 정지된 상태로 외측다리(120)에 록킹됨에 따라 책상판(200)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가장 높게 위치된다.
더욱이, 상기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외측다리(120)는 연결프레임(122)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외측다리(120)와 내측다리(130)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각 외측다리(120)만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학생이나 학원생)가 신체적인 조건이나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더 낮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내측다리(13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데, 상기 내측다리(13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힘에 의해 스토퍼핀(142)을 전방쪽인 외측으로 최대한 잡아당겨야 한다.
즉, 상기 스토퍼핀(142)의 전방쪽 끝단에 고정된 손잡이(145)를 통해 상기 스토퍼핀(142)을 전방쪽인 외측(도면상 우측)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면 상기 각 스토퍼핀은 스프링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스프링(144)을 압축시키면서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토퍼핀(142)의 내측 끝단 부분이 내측다리(130)에 형성된 아래쪽의 결합공(130a)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측 다리(130)의 록킹이 해제되어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상기 내측다리(130)가 일단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책상판(200)에 하방으로의 누름력을 부여하면, 상기 책상판과 함께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내측다리(13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내측다리(13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순간에 각 내측다리(130)에 형성된 결합공(130a) 중 가장 아래의 결합공(130a)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이 각 외측다리(120)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통공(120a)과 계속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이 고정통공(120a)과 일치된 상태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높이라고 할 경우, 더 이상 책상판(200)을 하방으로 누르지 않고 전방쪽인 외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각 스토퍼핀(142)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상기 각 스토퍼핀(142)은 코일스프링(144)에 의해 복원력을 받아 다시 후방쪽인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내측다리(13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30a) 중 외측다리(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통공(120a)과 일치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결합공(130a)으로 완전히 끼워지므로 상기 내측다리(130)이 스토퍼핀(142)에 의해 외측다리(120)에 다시 완전 록킹되면서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판(200)과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최초 상태보다 적정 높이만큼 낮아져 책상의 높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는, 책걸상의 높이 조절시 각 레그부(100)를 이루는 내측다리(130)의 록킹 상태를 일단 해제시, 각 스토퍼핀(142)을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145)와 책상판(200)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사용자가 각 스토퍼핀(142)을 동시에 잡아당긴 상태에서 책상판을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끌어 당기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시에 한 사람이 아닌 두사람이 공동으로 작업해야 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측다리의 결합공 삽입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걸림구를 한번에 결합공에 삽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걸림구를 이용하여 외측다리에 삽입되는 내측다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낮이를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다리의 후면에 눈금표시부를 표시함으로써, 내측다리의 결합공 삽입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걸림구를 한번에 결합공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다리에 구비된 걸림구를 회전시켜 결합공에 삽입하기 전 또는 이탈시킨 상태에서 내측다리의 외면에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여 내측다리의 무게를 지탱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내측다리가 자중에 의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상단부에 고정통공이 형성되는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다리로 분할 설치되어 상단은 책걸상의 상판이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일단이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각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책상 및 걸상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장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단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 1커버가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제 2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제 1커버의 삽입공을 통해 고정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및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다리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공이 수직하게 이격 형성되고, 눈금표시부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외측다리의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갖는 책상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의 걸림구가 외측다리의 외 면에 걸쳐진 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에 고정통공(20a)이 형성되는 외측다리(20)와, 상기 외측다리(20)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30a)이 형성된 내측다리(30)로 분할 설치되어 상단은 책걸상의 상판이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레그부(10) 및, 일단이 상기 외측다리(20)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40)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각 결합공(30a)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구(50) 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걸림구(50),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 1커버(41) 및 제 2커버(42)와 스프링(60), 와셔(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구(50)는 상기 결합공(30a)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51)와, 상기 절곡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52)와, 상기 절곡부(51)와 연장부(52)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곡부(51)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1)와 연장부(52)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부(53)는, 상기 절곡부(5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52)가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내측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삽입공(41a)이 형성된 제 1커버(41)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타단에는 제 2커버(42)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하우징(40)은 상기 외측다리(20)의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하우징(40)을 상기 외측다리(20)의 내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 하우징(40)이 외측다리(20)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요인들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40)에 결합된 제 1커버(41)의 삽입공(41a)을 통해 상기 연장부(52)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 하우징(4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걸림구(50)의 연장부(52) 외면에 스프링(60) 및 와셔(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60)의 전면은 상기 제 1커버(41)의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셔(70)는 상기 스프링(60)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측다리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공(30a)이 수직하게 이격 형성되고, 눈금표시부(32)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측다리(30)의 후면에 눈금표시부(32)를 표시함으로써, 내측다리(30)의 결합공(30a) 삽입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걸림구(50)의 절곡부(51)를 한번에 결합공(30a)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의 결합 및 작동 과정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측다리(2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 하우징(40)의 전방에 제 2커버(42)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걸림구(50)의 절곡부(5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52)를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구(50)의 돌기부(53) 내측으로 상기 제 1커버(41)를 끼운 다음, 상기 제 1커버(41)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장부(52)의 외면에 스프링(60) 및 와셔(70)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커버(41)를 상기 고정 하우징(40)의 일단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50)의 절곡부(51)를 통해 상기 외측다리(20)의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잡아 당기면 상기 고정 하우징(40) 내부의 스프링(60)이 압축되면서 상기 연장부(52)는 후방으로 이동됨과 함께, 상기 절곡부(51)가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50)를 회전시켜 상기 내측다리(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30a)에 삽입하기 전 또는 이탈시킨 상태에서 외측다리(30)의 외면에 걸쳐놓아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므로 사용자는 혼자서도 자유로워진 양손으로 상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절곡부(51)의 끝단을 상기 외측다리(20)의 고정통공(20a)과 겹 쳐지는 결합공(30a) 위치에 삽입하여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판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절곡부(51)의 끝단이 고정통공(20a)을 통과하여 결합공(30a)으로 삽입되도록 외측다리(20)의 외면에 걸쳐놓은 걸림구(5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의 상기 걸림구(5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건드리는 매우 작은 힘으로도 반대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상판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다리(30)의 후면에서 상기 눈금표시부(32)가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눈금표시부(32)를 통해 결합공(30a)의 삽입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걸림구(50)를 통해 한번에 결합공(30a)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걸림구를 이용하여 외측다리에 삽입되는 내측다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낮이를 혼자서도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측다리의 후면에 눈금표시부를 표시함으로써, 내측다리의 결합공 삽입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걸림구를 한번에 결합공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다리에 구비된 걸림구를 회전시켜 결합공에 삽입하기 전 또는 이탈시킨 상태에서 외측다리의 외면에 걸쳐놓아 고정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므로 혼자서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을 외측다리의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고정 하우징이 외측다리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요인들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고정통공이 형성되는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내측다리로 분할 설치되어 상단은 책걸상의 상판이 고정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레그부 및, 일단이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각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책상 및 걸상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는 상기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절곡부와 연장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단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제 1커버가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제 2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제 1커버의 삽입공을 통해 고정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및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다리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공이 수직하게 이격 형성되고, 눈금표시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외측다리의 내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20070059628A 2007-06-18 2007-06-18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2008011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28A KR20080111343A (ko) 2007-06-18 2007-06-18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628A KR20080111343A (ko) 2007-06-18 2007-06-18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43A true KR20080111343A (ko) 2008-12-23

Family

ID=4036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628A KR20080111343A (ko) 2007-06-18 2007-06-18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13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05B1 (ko) 2018-12-27 2019-08-12 (주)야흥금속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705B1 (ko) 2018-12-27 2019-08-12 (주)야흥금속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10698C (en) Adjustable desk platform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80111343A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206630224U (zh) 一种超薄升降桌
CN210540083U (zh) 一种实现趴睡的旋转座椅
CN210353708U (zh) 一种学生宿舍床上、地面两用抽拉桌
KR10097943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100010202U (ko)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JP4489401B2 (ja) 簡易便器の肘掛け構造
KR20090121953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0404497B1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200336885Y1 (ko) 학생용 가구의 지주 높이 조절장치
KR100456722B1 (ko) 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책걸상
CN209235376U (zh) 增高台
KR200364129Y1 (ko) 책상 과 걸상의 높낮이 조절 장치
TWI589252B (zh) 躺椅裝置
KR100838328B1 (ko) 책,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90015215A (ko) 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102653059B1 (ko) 승강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