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935A -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935A
KR20080110935A KR1020087028757A KR20087028757A KR20080110935A KR 20080110935 A KR20080110935 A KR 20080110935A KR 1020087028757 A KR1020087028757 A KR 1020087028757A KR 20087028757 A KR20087028757 A KR 20087028757A KR 20080110935 A KR20080110935 A KR 2008011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urface
magnetic
particles
surface material
anisotr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리 디. 올슨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8011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 B29C70/14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8Magnetic or para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된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를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중합성 물질에, 자성 입자를 재배향시키는 자장을 가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 결과 미감 패턴화 외관이 얻어진다.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 자장, 유동성 고체 표면재, 배향

Description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PROCESS FOR FORMING DECORATIVE PATTERNS BY ORIENTING MAGNETIC PARTICLES}
본 발명은 자성 수단에 의한 장식 충전제의 선택적 배향에 의해 장식 표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용도는 장식 고체 표면재의 제조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고체 표면재는 통상적인 의미로 해석되고, 중합체 수지 및 입자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균일한 비(非)겔 코팅된 비(非)다공성의 3차원 고체 물질을 나타내며, 이러한 물질은 기능 및 매력적인 외관 둘 모두가 필요한 주방 조리대, 싱크대, 벽 피복물 및 가구 표면재를 위한 건축업에 특히 유용하다. 고체 표면재의 널리 공지된 예로는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서 제조한 코리안(Corian)®이 있다. 지금까지 다수의 디자인 미감은 화강암 및 대리석과 같은 고체 표면재에서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2차원 외관을 갖는다.
대부분의 고체 표면재는 열경화 공정, 예컨대 시트 캐스팅, 셀 캐스팅, 사출 성형 또는 벌크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제품의 장식 품질은 복합물이 천연석과 유사하도록 안료 및 착색 입자를 혼입함으로써 매우 향상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패턴 범위는 이러한 물질의 제조에 현용되는 중간체 및 공정에 의해 제한된다.
고체 표면재는 다양한 적용에서 기능 및 장식 둘 모두의 목적을 만족시킨다. 고체 표면재에의 다양한 매력적이고/이거나 고유한 장식 패턴의 혼입은 고체 표면재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패턴은 하나의 제품을 다른 제품과 구별시키는 고유의 유용한 성질을 생성한다. 동일한 원리가 목재, 대리석 및 화강암과 같은 천연 물질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가구 구조물에서의 이들의 유용성은 특정 천연 패턴, 예를 들어 결(grain), 색상 변화, 맥, 층, 함유물 등에 의해 향상된다. 상업적으로 제조된 고체 표면재에는 종종 화강암 또는 대리석의 천연 패턴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의도된 장식 패턴이 혼입된다. 그러나, 실용성 및/또는 실행가능성의 한계로 인해, 특정 장식 패턴 및/또는 장식 패턴 종류는 이전에는 고체 표면재에 혼입되지 않았다.
전형적으로, 전통적인 고체 표면재 제조에서 이전에 성취된 장식 패턴은 다음의 3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i) 기존의 고체 표면 제품의 단색 또는 다색 단편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불규칙적 형상의 거시적인 입자를 생성한 다음, 이를 비(非)경화된 고체 표면 캐스팅 조성물 중의 다른 성분과 배합한다. 업계에서 "크런치(crunchy)"로서 공지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거시적인 장식 입자는 다양한 충전 및 비충전의 착색 또는 염색된 불용해성 또는 가교된 중합체 조각이다. 캐스팅 또는 성형 동안에 캐스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면, 불규칙적 형상 및 크기의 착색 함유물이 상이한 색상의 연속 매트릭스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내에 개재되어 있는 고체 표면재가 생성된다.
(ii) 제2 경화성 조성물의 색상이 제1 경화성 조성물과 상이한 제1 및 제2 경화성 조성물을 캐스팅하며, 여기서 이들 두 조성물이 단지 제한된 정도로 혼합되는 방식으로 제2 경화성 조성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고체 표면재에서, 상이한 색상의 도메인들은 평활한 형상을 갖고 색상 변화가 연속적인 영역에 의해 분리된다.
(iii)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 또는 가공함으로써 상이한 색상의 고체 표면 제품들을 제조한 다음, 이를 접착제로 접착시켜 다색의 인레잉(inlayed) 패턴 또는 디자인을 생성시킨다.
이들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색상 또는 외관의 물질들을 혼합하여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은 상이한 색상의 조합에 무관한 특정 종류의 장식 패턴은 생성하지 않는다.
고체 표면재를 위한 새로운 부류의 미감은 미국 특허 제6,702,967호 (오버홀트(Overholt) 등)에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배향가능한 비등방성 입자가 있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조성물의 수많은 프래그먼트를 형성하고, 프래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여러 배향으로 배향된 입자들을 함유하는 응집 물질로 프래그먼트를 재형성함으로써, 패턴을 갖는 장식 표면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유동성 고체 표면재 중의 자성 비등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을 배향시키는 단계, 유동성 고체 표면재의 표면 영역 일부에 자장을 유도하여 자장 내에서 자성 입자들의 배향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유동성 고체 표면재를 고화시키 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성 비등방성 입자를 함유하는 고체 표면재의 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 양태 및 이점은 하기 설명,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배향된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를 함유한 물질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재배향된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 영역을 갖는 물질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질적으로 자성인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자장에 트래버싱시킬 때 생성된 패턴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를 배향시킴으로써 자성 비등방성 입자를 사용하여 고체 표면재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 중의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는, 배향가능한 입자의 적어도 일부는 통상적인 배향으로 존재하고, 특정 영역의 배향된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 (즉, 플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다양한 수단에 의해 후속적으로 재배향시켜 고체 표면재 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 중에 일반적으로 비(非)배향된 충전제를 포함하고, 특정 영역의 비배향된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 (즉, 플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다양한 수단에 의해 후속적으로 배향시켜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패턴은 고체 표면재 내의 인접 영역들간의 비등방성 입자 배향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다. 이 방법은, 입자 배향으로 인해 주위 빛이 인접 영역들과 차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의해 고체 표면재 내에 미감 3차원 외관을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고체 표면 조성물은, 공정 조건 하에서 유동성이고 고체 표면재로 형성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중합성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3,474,081호 (보스워쓰(Bosworth))에 개시된 바와 같은 캐스팅 시럽, 및 미국 특허 제3,528,131호 (두긴스(Duggins))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이동 벨트 상의 캐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성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6,203,911호 (웨버그(Weberg)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압축 성형 열경화성 제형을 제조 및 가공하고, 압축 성형 컴파운드를 압출 공정 단계에 통과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고체 표면 제형은, 압축 성형할 수 있는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중합성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6,476,111호 (뷰케민(Beauchemin) 등)의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 및 압출될 수 있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배향가능한 자성의 비등방성 미감 강화 입자는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합성 조성물 중에 포함된다. 비등방성 안료, 반사 입자, 섬유, 필름, 및 미분된 고체 (또는 염료)가 배향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미감 강화 입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강화 입자의 양, 및 재배향된 영역의 형상 및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생성된 고체 표면재의 투광성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러가지 색상, 반사율 및 투광성은 여러 양의 강화 입자, 충전제 및 착색제를 배합함으로써, 그리고 비등방성 충전제 입자가 재배향되는 정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는 본질적으로 자성이고 물질 가공 동안에 입자 배향을 촉진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종횡비를 갖고 물질 및 관찰자에 대한 배향에 따라 변하는 외관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로는, 물질 가공 동안에 입자 배향을 촉진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종횡비를 갖고, 물질 및 관찰자에 대한 배향에 따라 변하는 외관을 갖는 물질이 포함된다. 적합한 강화 입자의 종횡비는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금속성 플레이크 (20 내지 100), 운모 (10 내지 70), 금속화된 유리 섬유 (3 내지 25), 금속화된 아라미드 섬유 (100 내지 500)).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각도 의존성 반사율, 각도 의존성 색상 흡수/반사, 또는 가시적 형상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들 자성 입자는 판-유사 물질, 섬유 또는 리본일 수 있다. 종횡비는 입자의 최장 길이 대 두께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종횡비는 3 이상, 보다 일반적으로 20 이상일 것이다. 판-유사 물질은 제3 치수보다 두 치수가 상당히 더 크다. 판-유사 물질의 예로는 운모, 합성 운모, 금속 플레이크, 알루미나, 합성 물질, 예컨대 초박형 다층 간섭 플레이크 (예를 들어, 크로마플레이어(Chromaflair)® (플렉스(Flex) 제품))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판-유사 기재 표면을 다양한 금속 산화물 또는 안료로 코팅하여, 색상 및 광 간섭 효과를 제어하고 자성 성질을 부가한다. 일부 물질은 상이한 각도에서 상이한 색상으로 보인다. 자성 성질을 갖는 금속 플레이크가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자성 재배향을 위한 일례의 금속 플레이크로는 강철, 스테인레스강, 니켈 및 이들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금속-코팅 섬유는 다른 두 치수보다 한 치수가 상당히 더 크다. 섬유의 예로는 금속, 중합체, 탄소, 유리 및 세라믹이 포함된다. 리본은 다른 두 치수보다 한 치수가 상당히 더 크지만, 제2 치수가 제3 치수보다 더 크다. 리본의 예로는 금속 및 중합체 필름이 포함될 것이다.
임의로는, 중합체 조성물은, 등방성도 아니고 자성도 아니고 미감도 아닌 입자상 또는 섬유상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전제는 순수 중합체 또는 순수 중합체들의 배합물에 비해 최종 물품의 경도, 강성도 또는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충전제는 최종 물품에 기타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충전제는 기타 기능적 성질, 예컨대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거나, 장식 목적을 만족시키고 미감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부 대표적인 충전제로는 알루미나, 알루미나 삼수화물 (ATH), 알루미나 일수화물,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바이엘(Bayer) 수화물, 붕규산염, 황산칼슘, 규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인회석, 유리 기포,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유리 플레이크, 유리 분말, 유리 스피어, 탄산바륨, 수산화바륨, 산화바륨, 황산바륨, 인산바륨, 규산바륨, 황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고령토,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납석(pyrophyllite), 운모, 석고, 실리카 (모래 포함), 세라믹 마이크로스피어, 세라믹 입자, 세라믹 휘스커, 분말 활석, 이산화티탄, 규조토, 목재 가루, 붕사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아울러, 충전제는 임의로는 사이징제, 예를 들어 오에스아이 스페셜티즈(OSI Specialties)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주 프렌들리 소재)로부터 실란 8 메타크릴레이트 A-174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실란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될 수 있다. 충전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5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인 작은 입자 형태로 존재하고, 중합성 조성물의 6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충전제 입자의 본성, 특히 굴절율은 최종 물품의 미감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충전제의 굴절율이 중합성 성분의 굴절율과 거의 일치하는 경우, 생성된 최종 물품은 반투명 외관을 갖는다. 굴절율이 중합성 성분의 굴절율을 벗어나는 경우, 생성된 외관은 보다 불투명하다. ATH의 굴절율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의 굴절율에 가깝기 때문에, 종종, ATH는 PMMA계를 위한 바람직한 충전제이다. 입자 크기가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인 충전제가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알루미나 (Al2O3)는 훼손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섬유 (예를 들어, 유리, 나일론, 아라미드 및 탄소 섬유)는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킨다. 몇몇 기능성 충전제의 예로는 산화방지제 (예컨대, 3차 또는 방향족 아민인 이르가녹스(Irganox)®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코포레이션(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에 의해 공급됨), 및 차아인산나트륨, 난연제 (예컨대,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미네랄 탄산염, 수화 미네랄 및 산화안티몬), UV 안정화제 (예컨대, 티누빈® (시바 게이기(Ciba Geigy)에 의해 공급됨), 방오염제, 예컨대 테플론(Teflon)®,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아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할 때, 비등방성의 입자상 충전제의 배향은, 배향된 비등방성 입자 (200)을 시트 (100)의 표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나타낸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합성 매트릭스의 층류 동안에 스스로 정렬하는 경향을 이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층류는 다수의 공정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중합성 조성물의 유변학적 본성에 좌우된다. 유동성 조성물은, 닥터 블레이드를 임의적으로 사용하여 이동 벨트 상에 캐스팅함으로써 배향된 비등방성의 입자상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압출가능한 비경화된 고체 표면 성형 조성물은 다이 구조에는 제한이 없이 다이 판을 통한 압출을 사용할 수 있다. 캘린더 롤이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 배향의 1차 수단으로서 사용되거나 부가물로서 부가될 수 있다. 추가의 캘린더링 단계는 비등방성 입자상 충전제의 배향 목적을 위한 것일 수 있거나, 임의의 기타 목적, 예컨대 물질 두께의 측정 또는 표면에의 텍스쳐(texture) 부가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등방성 입자의 70% 이상, 보다 일반적으로 90% 이상은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비등방성 입자의 선택적 재배향에 의해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 중에 미감이 생성된다. 재배향된 입자는 선택적 재배향 후 물질의 벌크와 동일한 배향을 갖지 않으며, 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상이해 보이는 재배향 영역 (400)을 초래한다. 선택된 재배향의 실제 방법은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의 본성 및 목적하는 미감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는 자성 성질을 갖고,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을 자장에 트래버싱시킴으로써 재배향된다.
자장 강도가 표면의 국소적 부피에서 충전제 배향을 붕괴 또는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한 자장 강도는 중요하지 않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캐스팅 경화 동안에 장시간에 걸쳐 적용될 경우 35 가우스 이하의 자장이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250 가우스 이상의 자장은 1초 미만의 노출을 포함한 짧은 노출 시간에 사용된다. 대략 1초의 노출을 사용하는 1/2 인치 두께의 캐스팅 전체 두께를 통한 패턴 배향은, 중간 두께 자장 강도가 대략 250 가우스인 더 큰 자장으로 생성된다.
임의로는,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은 비등방성 입자의 재배향 후 텍스쳐링될 수 있다. 비경화된 고체 표면 조성물은 평탄화되어 평활한 텍스쳐가 제공되거나, 미감 또는 기능성 텍스쳐가 부가될 수 있다. 텍스쳐링의 바람직한 수단은 캘린더 롤에 의한 것이다.
임의의 표면 평탄화 또는 텍스쳐링 후, 비경화된 조성물을 고화시킨다. 비등방성 입자의 재배향 후 중합성 조성물의 고화는 어떠한 중합체계가 사용되는지에 따라 행해진다. 열경화 공정, 예컨대 시트 캐스팅, 셀 캐스팅, 사출 성형 또는 벌크 성형에 의해 제조된 대부분의 고체 표면재는, 열적으로 활성화될 때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여 목적하는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경화제를 사용할 것이다. 아크릴계 중합성 분획물을 경화시키기 위한 화학적으로 활성화되는 열적 개시 또는 완전한 온도-구동식 열적 개시를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계 둘 모두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실시양태, 예컨대 압출된 열가소성물질의 고화는 조성물을 유리 전이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예시로서 포함된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고 온도는 섭씨온도이다.
실시예 1
하기 성분들을 28 ℃의 온도에서 칭량 및 혼합하였다:
620 gm 알루미나 삼수화물 (ATH)
318.13 gm 시럽 (MMA 중의 PMMA (24%))
39.58 gm MMA 단량체
3.03 gm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
8.49 gm PMA 25 페이스트 (t-부틸퍼옥시 말레산)
1.56 gm 디옥틸 소듐 술포숙시네이트
0.68 gm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중의 인산화 히드록시에틸메타크 릴레이트 (85%)
9.96 gm 자성 특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플레이크
1분 동안 혼합한 후, 0.91 그램의 증류수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펌프 및 적합한 응축 증기 트랩을 사용하여 진공 (24-25인치 Hg) 하에서 탈기시켰다. 대략 3분 동안의 혼합 및 탈기 후, 2.58 그램의 수산화칼슘 슬러리 (시럽 중 34%) 및 1.33 그램의 에틸렌 글리콜 디머캡토아세테이트를 시린지를 사용 하여 첨가하였다. 45초의 추가의 혼합 및 탈기 후, 혼합물을 각형 디자인의 용기에 부어 대략 0.5 인치 두께의 층을 형성하였다. 용기는, AISI 301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된 0.040 인치 두께의 금속 바닥을 갖고, 붓기 전에 탈자화시켰다. 혼합한 물질을 혼합기로부터 옮기고 용기에 붓는데 대략 20초가 걸렸다.
그런 다음, 캐스팅을 자장에 트래버싱시켜 선형 패턴을 생성시켰다. 자장은, 1215 강철로 제조된 직경 0.5 인치 × 내부 코어 길이 1.27 인치의 2개의 전자석을 사용하여 생성시켰다. 전자석 코일은 4,000회 회전으로 이루어져 있고, 코일 권취 밀도는 대략 3200 회전/인치이고 코일 저항은 150 옴이었다. 코일 외부 직경은 대략 1과 5/16 인치였다. 원주형 전자석들의 중심선들을 정렬시키고, 코어의 연부는 캐스팅 용기 바닥 및 부은 캐스팅 상부에서 0.060 인치 이격시켰다. 전자석 코일은 반대 극성으로 권취하였고 0.5 암페어의 직류로 작동시켰다. 전자석을 캐스팅 주위에 위치시키고, 전력을 켜고, 전자석을 1초 당 대략 4.6 인치의 속도로 캐스팅에 가로질러 트래버싱시켰다. 수산화칼슘 슬러리 및 에틸렌 글리콜 디머캡토아세테이트를 주입하고 대략 120초 후 전력을 켰다. 전자석의 이동을 멈추고 선형 트래버스 끝에 전류를 껐다. 이어서, 전자석을 용기에서 멀리 떨어뜨리고, 캐스팅 상부 및 캐스팅 용기 하부에 절연물을 놓고, 캐스팅을 경화시켰다.
전자석 트래버스로 캐스팅의 밝은 바탕에 비해 어두운 밴드의 선형 패턴이 생성되었다. 패턴은 전자석 트래버스의 중심선과 함께 정렬된 대략 0.4 인치 폭의 어두운 선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2개의 바탕 착색 선들은 0.4 인치의 어두운 중심선과 대략 0.15 인치 폭으로 평행하였다. 2개의 보다 어두운 착색 선들은 0.15 인 치의 선들과 대략 0.2 인치 폭으로 평행하였다. 전자석 트래버스의 양쪽 말단 지점 주위의 패턴들은 반원형이다. 반원형 패턴에는 말단 중심 주위의 주변 반원형 고리와 함께 어두운 중심; 및 0.15 인치의 방사상 폭의 바탕 착색 내부 고리 및 0.2 인치 방사상 폭의 어두운 외부 고리가 있다. 비록 색상들간의 경계는 모호하거나 도 3에 나타난 것보다 덜 뚜렷하지만, 이 도면은 생성되는 일반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된 금속 바닥 용기를 탈자화시킨 후 실시예 1에 기재된 전자석계 및 이동-트래버스 순서를 사용하여 자화시켰다. 캐스팅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수행한 바와 동일한 방식 및 순서로 칭량, 혼합 및 탈기시켰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혼합을 멈춘지 대략 20초 후 혼합물을 상기 자화된 용기로 부었다. 캐스팅 상부 및 캐스팅 용기 하부 상에 절연물을 놓고 캐스팅을 경화시켰다.
용기에 부여된 자장은 캐스팅 내에서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선형 입자 재배향 패턴을 생성하기에 충분하였다.

Claims (6)

  1. (a) 유동성 고체 표면재 중의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을 배향시키는 단계,
    (b) 유동성 고체 표면재의 표면 영역 일부에 자장을 유도하여 자장 내에서 자성 성질을 갖는 입자들의 배향을 변화시키는 단계, 및
    (c) 유동성 고체 표면재를 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성 성질을 갖는 비등방성 입자 함유 고체 표면재의 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 표면재가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고체 표면재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비등방성 입자의 종횡비가 3 이상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자성 성질을 갖는 비등방성 입자가 강철, 스테인레스강, 니켈 및 이들의 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a) 유동성 고체 표면재 중의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의 적어도 대부분을 배향 시키는 단계,
    (b) 유동성 고체 표면재의 표면 영역 일부에 자장을 유도하여 자장 내에서 자성 입자들의 배향을 변화시키는 단계,
    (c) 유동성 고체 표면재의 표면을 텍스쳐링하는 단계, 및
    (d) 유동성 고체 표면재를 고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성의 비등방성 입자 함유 고체 표면재의 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087028757A 2006-04-26 2007-04-24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20080110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12,178 US20070251603A1 (en) 2006-04-26 2006-04-26 Novel surface aesthetics employing magnetic particles
US11/412,178 2006-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935A true KR20080110935A (ko) 2008-12-19

Family

ID=3860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757A KR20080110935A (ko) 2006-04-26 2007-04-24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251603A1 (ko)
EP (1) EP2010371B1 (ko)
JP (1) JP5183624B2 (ko)
KR (1) KR20080110935A (ko)
CN (1) CN101432125A (ko)
AU (2) AU2007243373A1 (ko)
CA (1) CA2646148A1 (ko)
MX (1) MX2008013509A (ko)
NZ (1) NZ570737A (ko)
WO (1) WO200712727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53B1 (ko) * 2009-02-27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자성반응물질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19354B2 (en) 2007-09-19 2014-02-13 Viavi Solutions Inc. Anisotropic magnetic flakes
WO2009135506A1 (en) * 2008-05-07 2009-11-12 Actega Rhenania Gmbh Magnetic pigment coatings, laminate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RU2545882C2 (ru) * 2009-12-23 2015-04-1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Визуально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е и ориент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US8523236B2 (en) 2011-02-07 2013-09-03 Jenny Leary Magnetic field surface image method, kit and product
FR2985422B1 (fr) * 2012-01-10 2014-08-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lide a effets magnetiques
CN108451097A (zh) * 2018-03-23 2018-08-28 泉州冠拓鞋材有限公司 磁粉保健鞋面及其制作方法
US20230264395A1 (en) * 2022-02-18 2023-08-24 Kohler Co. Molded solid surfaces including ferrous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4081A (en) * 1966-03-14 1969-10-21 Du Pont Methyl methacrylate polyme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3528131A (en) * 1968-12-19 1970-09-15 Du Pont Cast simulated marble building product and its manufacture
JPH01259916A (ja) * 1988-04-11 1989-10-17 Toshiba Corp 成形用着色材料
JPH05192964A (ja) * 1992-01-22 1993-08-03 Kyushu Hitachi Maxell Ltd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パターン表出方法
US6103361A (en) * 1997-09-08 2000-08-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tterned release finish
US6203911B1 (en) * 1998-06-17 2001-03-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set volatile monomer molding compositions
US6649256B1 (en) * 2000-01-24 2003-11-18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 including particles oriented generally along an article surface and method for making
DE10013617A1 (de) * 2000-03-18 2001-09-20 Hans Ausse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s mit mindestens einer marmorierten und/oder farbigen Sichtfläche
US20020160194A1 (en) * 2001-04-27 2002-10-31 Flex Products, Inc. Multi-layered magnetic pigments and foils
US6702967B2 (en) * 2001-07-27 2004-03-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decorative surface material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US6476111B1 (en) * 2001-08-01 2002-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rudable highly filled thermoplastic sheet composition
EP1493590A1 (en) * 2003-07-03 2005-01-05 Sicpa Holding S.A.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magnetically induced design in a coating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EP1648680B1 (en) * 2003-07-25 2009-02-25 Applied Effects Laboratories Limited A method for forming a moulding comprising magnetic particles
JP2005306992A (ja) * 2004-04-21 2005-11-04 Dainippon Ink & Chem Inc 機能性硬化膜
US7588817B2 (en) * 2005-03-11 2009-09-15 Jds Uniphase Corporation Engraved optically variable imag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53B1 (ko) * 2009-02-27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자성반응물질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46148A1 (en) 2007-11-08
EP2010371A2 (en) 2009-01-07
WO2007127275A3 (en) 2007-12-21
AU2007243373A1 (en) 2007-11-08
JP2009535451A (ja) 2009-10-01
WO2007127275A2 (en) 2007-11-08
NZ570737A (en) 2011-04-29
CN101432125A (zh) 2009-05-13
MX2008013509A (es) 2008-10-28
EP2010371B1 (en) 2012-07-11
US20070251603A1 (en) 2007-11-01
AU2012203256A1 (en) 2012-06-21
JP5183624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0935A (ko) 자성 입자를 배향시킴으로써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AU2002322760B2 (en) Decorative surface material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86003B1 (ko) 공압출 공법을 활용한 투명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US7638189B2 (en)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transparent chip using co-extru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U2002322760A1 (en) Decorative surface material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070254106A1 (en) Novel aesthetics in surfaces employing deformation and magnetic means
WO2007145408A1 (en) Artificial marble containing chip with transparent and light reflecting material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090018064A (ko) 고체 표면재의 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0805636B1 (ko) 깊이감과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하는 고비중화 광반사칩,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EP1414652B1 (en) 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2002361646A (ja) 人造大理石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