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89A -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89A
KR20080109689A KR1020080104319A KR20080104319A KR20080109689A KR 20080109689 A KR20080109689 A KR 20080109689A KR 1020080104319 A KR1020080104319 A KR 1020080104319A KR 20080104319 A KR20080104319 A KR 20080104319A KR 20080109689 A KR20080109689 A KR 2008010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product
marke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중
Original Assignee
김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2008010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689A/ko
Publication of KR2008010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비치된 고객관계단말을 통해 고객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여 적극적인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객이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내방하여 업무를 볼 때 담당 직원의 서류처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투리 시간에 고객관계단말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고객이 자발적으로 고객관계단말을 조작하여 고객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의 조작 내역을 직원의 창구단말로 모니터링하여 고객의 관심분야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맞춤형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CRM, CEM, 영업점, 금융, 고객관계관리, 고객경험관리

Description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Marketing system us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Marke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비치된 고객관계단말을 통해 고객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여 적극적인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또는 고객경험관리(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CEM)가 금융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금융기관은 CRM 데이터 또는 CEM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공략할 고객을 선정하고 해당 고객들에게 DM 발송, 문자 전송 또는 전화통화를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고객관계관리(CRM)는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속 가치(lifetime value; LTV)를 극대화하려는 마케팅 기법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고객관계관리는 기업의 입장에서 고객의 거래패턴 등을 기계적으로 분석하여 고객 각각에게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극대화하여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마케팅 기법 이다.
고객경험관리(CEM)는 고객과의 모든 접점에서 고객의 경험들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함으로써 고객의 인식 형성과 충성도를 높이고 강화하는 마케팅 기법을 가리킨다. 여기서 고객의 경험은 거래 관계만을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CRM과는 비교되며, 거래관계 및 신속, 정확, 편리한 주문시스템 등의 이성적 경험과, 브랜드이미지, 매장 직원의 친절도 등을 통한 심리적 변화, 욕구 등을 반영한 감성적 경험을 포함한다.
한편, 금융기관에서는 CRM 데이터 또는 CEM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인터넷 뱅킹 사이트 등의 온라인 채널이나 영업점의 창구를 통해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나, 대개는 주먹구구식 방식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그치므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정확성이 떨어지는 CRM 데이터 또는 CEM 데이터를 이용하기보다 창구 직원의 개인의 역량에 따라 마케팅의 성과가 좌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진정한 고객관계관리를 위해서는 CRM 데이터 또는 CEM 데이터의 수집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을 수립해야 하며, 고객에게 직접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보다 관련성 있는 상품을 고객 상담시에 실시간으로 제안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영업점에 내방한 고객이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스스로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금융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고객의 반응을 모니터링하여 관심 분야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을 가능케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한 고객관심분야 및 고객의 자발적인 조작에 의해 수정된 고객정보를 본부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고객 정보의 갱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창구단말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고객관리운영서버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으로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의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며, 고객관계단말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마케팅지원서버;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상품광고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관심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고객관심정보 를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제공하는 고객관계단말; 및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전송받고, 그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창구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창구단말 및 상기 고객관계단말은 각각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고객관계단말이 상기 창구단말을 통해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는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고객 정보 변경을 위한 콘텐츠, 재무관리 상담을 위한 콘텐츠,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이벤트 응모를 위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심정보는 변경된 고객정보, 상담 과정에서 고객이 선택한 상품정보, 고객의 설문조사 응답내역 및 이벤트 응모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객관계단말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창구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연동모듈,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운영모듈, 및 상기 콘텐츠운영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이 입력 또는 선택한 정보를 파악하는 관심정보 수집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고객관리운영서버와 상품운영서버와 연결된 마케팅지원서버를 이용하여 마케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구단말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고객관리운영서버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금융활동이력으로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광고정보를 고객관계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계단말이 상기 상품 광고정보를 통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은, 상기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기 창구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광고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심상품의 광고정보를 상기 고객관계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은,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계 또는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고객 정보 변경을 위한 콘텐츠, 재무관리 상담을 위한 콘텐츠,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이벤트 응모를 위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심정보는 변경된 고객정보, 상담 과정에서 고객이 선택한 상품정보, 고객의 설문조사 응답내역 및 이벤트 응모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내방한 고객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담당직원의 응대를 받을 수 없는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접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재무설계, 이벤트 응모, 캠페인 정보, 설문조사 등의 다양한 금융 콘텐츠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분석하여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콘텐츠에 대한 고객 반응을 영업점 창구의 직원 단말로 실시간 모니터링함으로써 보다 시의적절하고 합리적으로 고객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객에게 금융기관의 마케팅 전략에 따른 고객 맞춤형 금융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금융기관"이라 함은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하는 제1금융권과 상호저축은행, 생명보험사, 화재보험사, 캐피탈, 카드회사, 증권회사 등으로 구성된 제2금융권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금융기관 등의 각 창구에서 직원의 업무처리를 기다리는 고객에게 고객관계단말을 통하여 고객성향에 따른 맞춤정보(상품정보, 광고정보 등)를 제공하고 제공된 정보에 대한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의 관심정보를 파악하여 정리하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마케팅지원서버(300), 고객관계단말(400) 및 창구단말(500)을 포함하며, 상품운영서버(100)와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상품정보DB(110) 및 고객정보DB(210)에 연결되고, 특히 고객관계단말(400) 및 창구단말(500)은 각각 별개로 마케팅지원서버(300)에 연결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품운영서버(100)는 해당 금융기관에서 취급하는 여신상품, 수신상품, 외환상품 및 파생상품의 명칭, 약관, 업무편람 등을 저장하는 상품정보 DB(110)를 이용하여 각종 조건에 부합하는 상품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한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고객관계관리(CRM) 또는 고객경험관리(CEM)를 위한 각종 고객정보가 저장된 고객정보 DB(210)를 이용하여 각종 조건에 부합하는 고객정보를 제공한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수집된 고객정보를 분석하여 각 고객을 특성별로 분류하고 고객별로 금융활동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최적화된 마케팅 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 금융활동이력이란 금융거래이력, 금융거래를 위한 상담이력, 금융기관이 주관하는 각종 행사 또는 이벤트 참여 이력, 금융거래에 따른 불만사항/건의사항/만족사항 접수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창구단말(500)로부터 고객정보가 통보되면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으로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의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다. 그리고, 고객관계단말(400)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해당 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다. 아울러,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자신이 분석한 고객성향정보, 고객관심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분석정보DB(310)에 저장하여 차후 금융기관의 다른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는 매일 금융기관 마감 시간 이후 변동된 고객분석정보를 정리하여 분석정보DB(310)에 저장하고 이를 금융기관의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케팅지원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마케팅지원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고객관리운영서버 연동모듈(310)은 창구단말 연동모듈(340)으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그 고객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쿼리하여 전송받는다.
분석모듈(320)은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서 전송받은 금융활동이력을 분석하여 해당 고객이 선호하는 금융상품 종류(예적부금 또는 투자상품), 금융상품 이 용시기(주가 반등/하락기, 금리 반등/하락기, 학기 초/학기 말, 특정 분기, 계절 등) 등을 파악한다.
상품운영서버 연동모듈(330)은 분석모듈(320)이 파악한 조건을 상품운영서버에 전송하면서 해당 조건에 상응하는 상품들에 대한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쿼리하여 전송받는다.
고객관계단말 연동모듈(350)은 주기적으로 또는 창구단말(50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쿼리에 의해 전송받은 상품 광고정보를 고객관계단말(400)에 다운로드한다. 창구단말(500)의 요청이라 함은 창구단말(500)이 특정 고객의 고객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한 것을 가리킨다.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창구단말(5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상품운영서버(100)에 더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마케팅지원서버(300)에서 직접 생성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마케팅지원서버(300)의 구성에서 콘텐츠생성모듈(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고객 정보 변경을 위한 콘텐츠, 재무관리 상담을 위한 콘텐츠,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이벤트 응모를 위한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고객관계단말(400)로 다운로드되어 실행된다.
고객관계단말(400)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특정 고객에 대한 상품 광고정보 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출력하거나 콘텐츠를 실 행하고, 각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마케팅지원서버(300)에 전송한다. 고객관계단말(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b는 고객관계단말(4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410)은 주기적으로 또는 창구단말(5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한다.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콘텐츠운영모듈(420)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다. 고객관계관리 콘텐츠의 일례로 고객 맞춤형 상품광고, 재무관리, 설문조사, 고객정보변경, 이벤트 수행 등을 들 수 있다. 예시된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운영하기 위한 모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품광고모듈(421)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맞춤형 상품광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이 특정 상품의 광고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고객에게 상품의 대표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카테고리 내에 속하는 상품들의 리스트를 출력하여 고객이 보다 쉽게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품들을 리스팅할 때 최근 판매실적이 우수한 순서나 금융 전문가들의 추천 순서 등으로 소팅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별도의 카테고리 선택 과정 없이 해당 고객에 대한 맞춤형 상품 광고임을 감안하여 관심 분야에 속하는 상품들만 화면에 곧바로 제시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고객관계단말을 이용하는 시간이 주로 자투리 시간임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진 개수의 고객 맞춤형 추천 상품만을 직관적으로 제시한다는 데 의 의가 있다.
재무관리모듈(422)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 및 금융활동이력을 바탕으로 자산내역과 부채내역을 산정하여 보여주고, 해당 고객에 대한 부채 상환 전략, 자산 배분 및 투자 전략, 미래 위험 분산 전략 등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재무관리를 위해 제시되는 전략들의 설명 내용에 유관 금융상품을 함께 추천함으로써 간접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지원서버(300)는 고객관계단말(400) 또는 창구단말(5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고객관리운영서버(100)에 문의하여 고객정보 및 금융활동이력 등 재무관리상담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송받는다. 이때, 고객관계단말(400)의 요청이라 함은 고객이 화면의 "재무관리" 메뉴를 선택한 경우를 가리키고, 창구단말(500)의 요청이라 함은 창구단말(500)로부터 고객정보가 마케팅지원서버(300)에 전송되는 경우를 가리킨다.
설문조사모듈(423)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설문 콘텐츠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한다. 이는 주로 금융기관의 정책 또는 전략적인 목적에 의해 특정 주제에 대한 고객의 견해를 묻기 위해 시행되거나, 고객의 관심 분야를 직접적인 방법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다.
정보변경모듈(424)은 영업점 창구에 요청하지 않고 고객 스스로 자신의 신상 정보 또는 금융거래 관련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고객의 본인 인증을 위한 전자서명 인증절차를 먼저 거치도록 하는 것이 보안상 바람직하다. 수정된 고객정보는 고객관리운영서버(200)의 고객정보 DB(210) 또는 계정계(도면에 미도시)에 반영된다.
이벤트 모듈(425)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이벤트 콘텐츠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한다. 이벤트 모듈(425)은 현재 진행중인 이벤트 정보를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이 그 자리에서 이벤트에 참여하며, 참여 결과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은 콘텐츠운영모듈(420)에 의해 제공되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이 입력 또는 선택한 사항들(이하, '고객관심정보'라 한다)을 파악하고,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410)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한다.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전송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다시 고객관리운영서버(200)으로 전송하여 고객정보 DB(210)이 갱신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은 상품광고모듈(421)에 의해 화면에 출력된 광고들 중 고객이 어떤 광고를 선택하여 상세 설명을 열어보았는지(관심 상품 분야), 해당 상품의 어떤 요소에 관심이 있는지(관심 요소) 등을 모니터링한다. 다시 말해, 고객이 선택한 광고의 상품이 여신상품, 수신상품, 외환상품 및 파생상품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여신상품이라면 부동산 담보대출, 동산 담보대출, 신용대출, 신용보증 담보대출 등 중에서 어디에 해당하는지, 수신상품이라면 예/적/부금 및 투자상품 등 중에서 어디에 해당하는지 등을 파악한다.
또한, 고객이 부동산 담보대출을 선택한 경우 세부적으로 선택하여 알아본 항목이 "담보 가능한 부동산의 종류(건물, 나대지, 아파트, 공장 등)"인지, "대출 금리의 종류(변동/고정 금리, OO년 거치 00년 상환)"인지, 아니면 "상세 대출금리" 인지 등을 파악한다.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은 재무관리모듈(422), 설문조사모듈(423), 정보변경모듈(424) 및 이벤트모듈(425)이 각각 재무상담, 설문조사, 고객정보변경, 이벤트 참가을 위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410)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한다.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전송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다시 고객관리운영서버(200)으로 전송하여 고객정보 DB(210)이 갱신되도록 한다.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은 고객의 다양한 관심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을 통해 수집된 정보 중 특히 고객관심상품은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410)에 의해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되는데, 이를 수신한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창구단말(500)로 재전송하여 창구직원이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창구단말(500)은 고객관계단말(400)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토대로 마케팅지원서버(300)가 분석한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창구 직원이 해당 고객의 관심상품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단말(5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c는 창구단말(5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510)은 고객이 상담창구에 제출한 신분증 또는 각종 신청서에 기재된 고객정보(이를테면 주민등록번호)를 보고 창구 직원이 고객정 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된 고객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하면서 고객 분석을 요청하는 한편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고객관계단말(400)로 다운로드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리고,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52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20)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관심상품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창구 직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에 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금융기관 본부 전산실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마케팅지원서버(300)는 금융기관에서 직접 설치 운영할 수도 있으나 금융기관과 계약한 별도의 사업자가 운영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각종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마케팅지원서버(300)를 별도로 운영하는 경우 금융기관의 상품운영서버(100) 또는/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대한 접속 로드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금융기관의 기존 상품운영서버(100) 또는/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0)를 그대로 두고 마케팅지원서버(300)를 상기 각 서버에 연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어 기술적 측면이나 영업모델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고객관계단말(400) 및 창구단말(500)은 각 영업점의 각 창구에 배치되며, 상품운영서버(100) 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0)와 마케팅지원서버(300)는 보안을 위해 전용망 또는 사설보안망(VPN)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에서는 고객관계단말이 제공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고객 맞춤형 금융상품 광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금융 콘텐츠의 다른 예에 의하더라도 고객관계단말에서 수집되는 고객관심정보의 종류만이 상이할 뿐 그 외의 과정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객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자기 차례가 되면 영업점 창구로 와서 담당 직원과 상담을 시작한다. 고객이 자신의 신분증을 제시하여 본인임을 증명하면, 창구 직원은 신분증의 고객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성명)를 창구단말(500)에 입력한다.
창구단말(500)은 입력된 고객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하고(S101),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전송받은 고객정보를 다시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전송하면서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한다(S102). 금융활동이력이란 고객이 해당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해왔던 금융거래(여신, 수신, 외환 거래 등), 재무관리상담, 설문조사 응대, 이벤트 참가 등의 이력을 총칭한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로부터 금융활동이력을 전송받은 마케팅지원서버(300)는 그로부터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고(S104),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해당 고객의 성향에 부합하리라 예상되는 금융상품(들)을 쿼리하는 한편, 쿼리에 의해 검색된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를 전송받는다(S105, S106). 상기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는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창구단말(500)로 전송되며, 창구단말(50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창구 고객에게 맞춤형 상담을 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는 상품운영서버(100)에서 창구단말(5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미도시).
그리고, 검색된 금융상품(들)의 광고정보는 고객관계단말(40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S105, S107).
광고정보를 수신한(S107) 고객관계단말(400)은 해당 고객에 대한 맞춤형 상품 광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반응을 기다린다. 고객은 창구 직원과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창구 직원이 서류 작성, 창구 단말 조작, 현금 계수 등으로 부득이하게 기다려야 하는 자투리 시간에 고객관계단말(400)의 화면에 출력된 상품 광고를 확인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을 선택한다.
고객관계단말(400)은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할 때마다 또는 일정한 주기로,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하고(S108, S109), 마케팅지원서버(300)는 그 상품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품 상세정보를 창구단말(500)로 전송하여(미도시)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즉, 창구단말(500)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상담 직원으로 하여금 고객이 관심을 보이는 상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직원은 고객과의 상담이 다시 진행될 때 고객의 관심 상품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관계단말(400)로부터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마케팅지원서버(300)는 이를 재 분석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관련 상품 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재요청하고, 이를 각각 창구단말(500) 및 고객관계단말(400)로 실시간으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S104~S107 단계가 다시 반복되어 창구 고객이 선택한 정보에 맞는 상품정보가 해당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마케팅지원서버(300), 고객관계단말(600) 및 창구단말(700)을 포함하며, 상품운영서버(100)와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상품정보DB(110) 및 고객정보DB(210)에 연결되고, 특히 고객관계단말(400)은 창구단말(500)을 통하여 마케팅지원서버(300)에 연결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마케팅지원서버(600), 고객관계단말(700) 및 창구단말(800)을 포함하며, 특히 고객관계단말(700)은 창구단말(800)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600)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에서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마케팅지원서버(600)는 창구단말(700)로부터 고객정보가 통보되면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으로 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다. 그리고, 고객관계단말(400)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해당 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다. 아울러, 마케팅지원서버(600)는 자신이 분석한 고객성향정보, 고객관심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분석정보DB(610)에 저장하여 차후 금융기관의 다른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는 매일 금융기관 마감 시간 이후 변동된 고객분석정보를 정리하여 분석정보DB(310)에 저장하고 이를 금융기관의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케팅지원서버(6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마케팅지원서버(6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고객관리운영서버 연동모듈(610), 분석모듈(620), 상품운영서버 연동모듈(630)은 실시예 1의 고객관리운영서버 연동모듈(310), 분석모듈(320), 상품운영서버 연동모듈(330)과 각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창구단말 연동모듈(640)은 창구단말(700)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고객관리운영서버 연동모듈(610)으로 전달하여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창구단말(700)의 요청 시 상품운영서버(100)에의 쿼리에 의해 전송받은 상품 상세정보 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창구단말(700)을 통해 고객관계단말(800)에 다운로드한다. 창구단말(700)의 요청이라 함은 창구단말(700)이 특정 고객의 고객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가리킨다.
창구단말(700)은 고객관계단말(800)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마케팅지원서 버(600)가 분석하여 파악해낸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창구 직원이 해당 고객에 대한 관심상품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단말(7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b는 창구단말(7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710)은 고객이 상담창구에 제출한 신분증 또는 각종 신청서에 기재된 고객정보(이를테면 주민등록번호)를 보고 창구 직원이 고객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된 고객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600)로 전송하고 고객 분석을 요청하는 한편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해줄 것을 요청한다.
고객관계단말 연동모듈(730)은 마케팅지원서버(6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고객관계단말(800)에 다시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고객관계단말(800)로부터 고객관심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다시 마케팅지원서버(600)에 전송하여 그를 토대로 고객관심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한다.
디스플레이 모듈(720)은 마케팅지원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맞춤형 상품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창구 직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에 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객관계단말(800)은 창구단말(700)을 경유하여 마케팅지원서버(600)로부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콘텐츠에 대한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관심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고객관심상품을 창구단말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600)로 전송한다. 고객관계단말(8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c는 고객관계단말(8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창구단말 연동모듈(810)은 주기적으로 또는 창구단말(7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창구단말(700)을 경유하여 마케팅지원서버(600)로부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한다.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콘텐츠운영모듈(820)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다. 고객관계관리 콘텐츠의 일례로 고객 맞춤형 상품광고, 재무관리, 설문조사, 고객정보변경, 이벤트 수행 등을 들 수 있으며, 각 콘텐츠를 운영하기 위한 상품광고모듈(821), 재무관리모듈(822), 설문조사모듈(823), 정보변경모듈(824), 이벤트 모듈(825)은 실시예 1의 상품광고모듈(421), 재무관리모듈(422), 설문조사모듈(423), 정보변경모듈(424), 이벤트 모듈(425)과 동일하다.
관심정보 수집모듈(830)은 콘텐츠운영모듈(820)에 의해 제공되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이 입력 또는 선택한 사항들(또는 '고객관심정보')을 파악하고, 창구단말 연동모듈(810)을 통해 창구단말(700)을 경유하여 마케팅지원서버(600)로 전송한다.
관심정보 수집모듈(430)은 재무관리모듈(422), 설문조사모듈(423), 정보변경모듈(424) 및 이벤트모듈(425)이 각각 재무상담, 설문조사, 고객정보변경, 이벤트 참가을 위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마케팅지원서버 연동모듈(410)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300)로 전송한다. 마케팅지원서버(600)는 전송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다시 고객관리운영서버(200)으로 전송하여 고객정보 DB(210)가 갱신되도록 하며, 마케팅지원서버(600) 는 전송받은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한다.
관심정보 수집모듈(830)은 고객의 다양한 관심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상품운영서버(100),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금융기관 본부 전산실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마케팅지원서버(300)는 금융기관에서 직접 설치 운영할 수도 있으나 금융기관과 계약한 별도의 사업자가 운영할 수도 있다. 상품운영서버(100) 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0)와 마케팅지원서버(600)는 보안을 위해 전용망 또는 사설보안망(VPN)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에서는 고객관계단말에서 제공하는 금융 콘텐츠를 맞춤형 금융상품 광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S201 내지 S205는 실시예 1의 S101 내지 S105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창구단말(700)은 고객관리운영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금융활동이력을 통해 분석한 고객 성향을 이용하여 마케팅지원서버(300)가 상품운영서버(100)에 쿼리한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전송받고(S206), 이 중 광고정보를 다시 고객관계단말(800)에 전송한다(S206).
광고정보를 수신한 고객관계단말(800)은 해당 고객에 대한 맞춤형 상품 광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반응을 기다린다. 고객은 창구 직원과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창구 직원이 서류 작성, 창구 단말 조작, 현금 계수 등으로 부득이하게 기다 려야 하는 자투리 시간에 고객관계단말(800)의 화면에 출력된 상품 광고를 확인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을 선택한다.
고객관계단말(800)은 고객의 입력 또는 선택을 모니터링하고(S207),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를 창구단말(700)을 통해 마케팅지원서버(6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마케팅지원서버(600)는 해당 상품(들)의 상세정보를 창구단말(700)에 전송하여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S208). 즉, 창구단말(700)은 고객 맞춤형 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직원은 고객과의 상담이 다시 진행될 때 고객의 관심 상품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관계단말(800)로부터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마케팅지원서버(600)는 이를 재 분석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관련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재요청하고, 이를 각각 창구단말(700) 및 고객관계단말(800)로 실시간으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S204~S206 단계가 다시 반복되어 창구 고객이 선택한 정보에 맞는 상품정보가 해당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운영서버(10), 고객관리운영서버(20), 고객관계단말(30) 및 창구단말(40)을 포함하며, 특히 고객관계단말(30) 및 창구단말(40)은 각각 별개로 상품운영서버(10) 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에 연결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및 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에서 상품운영서버(100)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마케팅지원서버에서 행하는 고객성향분석(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 생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창구단말(300)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분석하여 고객성향을 파악하고, 고객성향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여, 상세정보는 창구단말(30)로 전송하고 광고정보는 고객관계단말(40)로 전송한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마케팅지원서버에서 행하는 고객성향분석(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 생성) 기능을 창구단말에서 행할 수도 있다. 즉, 창구단말(30)은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고객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을 분석하여 고객성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고객성향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되, 상세정보는 창구단말(30) 자신에게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 광고정보는 고객관계단말(40)로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 또한,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또는 상품운영서버(100)를 경유하여 고객관계단말(40)로부터 고객관심상품이 전송되면, 미리 전송받은 고객성향상품의 상세정보 중에서 고객관심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 력하여 창구 직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객관계단말(40)은 창구단말(30) 또는 고객관리운영서버(200)로부터 광고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광고에 대한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한 고객관심상품을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고객관리 DB(210)를 갱신하는 한편,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또는 창구단말(30)이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 상품광고정보를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또는 창구단말(30)로부터 전송받는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마케팅지원서버에서 행하는 고객성향분석(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 생성) 기능을 창구단말에서 행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고객관계단말에서 제공하는 금융 콘텐츠를 맞춤형 금융상품 광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금융 콘텐츠의 다른 예에 의하더라도 고객관계단말에서 수집되는 고객관심정보의 종류만이 상이할 뿐 그 외의 과정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객은 금융기관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자기 차례가 되면 영업점 창구로 와서 담당 직원과 상담을 시작한다. 고객이 자신의 신분증을 제시하여 본인임을 증명하면, 창구 직원은 신분증의 고객정보(주민등록번호 또는 성명)를 창구단말(30)에 입력한다.
창구단말(30)은 입력된 고객정보를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전송하면서 금 융활동이력을 요청한다(S301). 금융활동이력이란 고객이 해당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해왔던 금융거래(여신, 수신, 외환 거래 등), 재무관리상담, 설문조사 응대, 이벤트 참가 등의 이력을 총칭한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로부터 금융활동이력을 전송받은(S302) 창구단말(30)은 그로부터 고객의 성향을 분석하고(S303),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해당 고객의 성향에 부합하리라 예상되는 금융상품(들)을 쿼리하는 한편, 쿼리에 의해 검색된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는 창구단말(30) 자신에게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S304, S305), 검색된 금융상품(들)의 광고정보는 고객관계단말(40)에 전송해줄 것을 요청한다(S304, S306).
광고정보를 수신한 고객관계단말(40)은 해당 고객에 대한 맞춤형 상품 광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반응을 기다린다. 고객은 창구 직원과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창구 직원이 서류 작성, 창구 단말 조작, 현금 계수 등으로 부득이하게 기다려야 하는 자투리 시간에 고객관계단말(400)의 화면에 출력된 상품 광고를 확인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을 선택한다.
고객관계단말(40)은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할 때마다 또는 일정한 주기로,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를 창구단말(30)로 전송하여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즉, 창구단말(30)은 상품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전송받은 상품 상세정보 중에서 상품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고객이 관심을 보이는 상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직원은 고 객과의 상담이 다시 진행될 때 고객의 관심 상품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관계단말(40)로부터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창구단말(30)은 이를 재 분석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관련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재요청하여 상품 상세정보를 전송받고, 상품광고정보를 고객관계단말(40)로 실시간으로 다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즉, S303~S306 단계가 다시 반복되어 창구 고객이 선택한 정보에 맞는 상품정보가 해당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은 상품운영서버(10), 고객관리운영서버(20), 고객관계단말(30) 및 창구단말(40)을 포함하며, 특히 고객관계단말(30)은 창구단말(40)을 통해 상품운영서버(10) 및 고객관리운영서버(20)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3과 차이가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에서 상품운영서버(100)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다. 고객관리운영서버(200)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마케팅지원서버에서 행하는 고객성향분석(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 생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창구단말(300)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분석하여 고객성향을 파악하고, 고객성향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품운 영서버에 요청하여, 이를 창구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마케팅지원서버에서 행하는 고객성향분석(또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 생성) 기능을 창구단말에서 행할 수도 있다. 즉, 창구단말(50)은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고객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을 분석하여 고객성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고객성향에 상응하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한다. 또한, 고객관계단말(60)로부터 고객관심상품이 전송되면, 미리 전송받은 고객성향상품의 상세정보 중에서 고객관심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창구 직원이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객관계단말(60)은 창구단말로부터 광고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광고에 대한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한 고객관심상품을 고객관리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고객관리 DB(210)를 갱신하는 한편, 고객관리운영서버(200) 또는 창구단말(30)이 상품운영서버(100)에 요청한 상품광고정보를 창구단말(30)을 통하여 전송받는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에서는 고객관계단말에서 제공하는 금융 콘텐츠를 맞춤형 금융상품 광고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S401 내지 S404는 실시예 3의 S301 내지 S304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창구단말(50)은 고객관리운영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금융활동이력을 통해 분석한 고객 성향을 이용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해당 고객의 성향에 부합하리라 예상되는 금융상품(들)을 쿼리하는 한편, 쿼리에 의해 검색된 금융상품(들)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창구단말(50) 자신에게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고(S404), 전송받은 광고정보를 다시 고객관계단말(60)에 전송한다(S406).
광고정보를 수신한 고객관계단말(60)은 해당 고객에 대한 맞춤형 상품 광고를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반응을 기다린다. 고객은 창구 직원과 상담을 진행하는 동안 창구 직원이 서류 작성, 창구 단말 조작, 현금 계수 등으로 부득이하게 기다려야 하는 자투리 시간에 고객관계단말(60)의 화면에 출력된 상품 광고를 확인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상세히 알아보고자 터치스크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을 선택한다.
고객관계단말(60)은 고객이 특정 상품을 선택할 때마다 또는 일정한 주기로(S407),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를 창구단말(500)로 전송하여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S408). 즉, 창구단말(50)은 상품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전송받은 상품 상세정보 중에서 상품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의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고객이 관심을 보이는 상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창구직원은 고객과의 상담이 다시 진행될 때 고객의 관심 상품을 우선적으로 소개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관계단말(60)로부터 고객이 선택한 상품들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창구단말(50)은 이를 재 분석하여 상품운영서버(100)에 관련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재요청하고, 이 중 상품광고정보를 고객관계단말(40)로 실시간으 로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S403~S406 단계가 다시 반복되어 창구 고객이 선택한 정보에 맞는 상품정보가 해당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지원서버, 고객관계단말 및 창구단말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지원서버, 창구단말 및 고객관계단말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예에 의한 마케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13)

  1. 창구단말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고객관리운영서버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고, 수신된 금융활동이력으로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의 광고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며, 고객관계단말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마케팅지원서버;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상품광고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고, 고객의 대응을 모니터링하여 고객관심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고객관심정보를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제공하는 고객관계단말; 및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전송받고, 그 상세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창구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 및 상기 고객관계단말은 각각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계단말은 상기 창구단말을 통해 상기 마케팅지원서버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는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더 요청하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는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고객 정보 변경을 위한 콘텐츠, 재무관리 상담을 위한 콘텐츠,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이벤트 응모를 위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심정보는 변경된 고객정보, 상담 과정에서 고객이 선택한 상품정보, 고객의 설문조사 응답내역 및 이벤트 응모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계단말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창구단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마케팅지원서버로부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연동모듈,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운영모듈, 및
    상기 콘텐츠운영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이 입력 또는 선택한 정보를 파악하는 관심정보 수집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8. 고객관리운영서버와 상품운영서버와 연결된 마케팅지원서버를 이용하여 마케팅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구단말로부터 고객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고객관리운영서버에 해당 고객의 금융활동이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금융활동이력으로부터 고객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품의 상세정보 및 광고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상품의 광고정보를 고객관계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계단말이 상기 상품 광고정보를 통해 수집한 고객관심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심상품의 상세정보를 상기 창구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심정보를 분석하여 고객관심상품을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관심상품의 광고정보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관심상품의 광고정보를 상기 고객관계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상기 상품운영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정보에 상응하는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관계관리 콘텐츠는 고객 정보 변경을 위한 콘텐츠, 재무관리 상담을 위한 콘텐츠,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이벤트 응모를 위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관심정보는 변경된 고객정보, 상담 과정에서 고객이 선택한 상품정보, 고객의 설문조사 응답내역 및 이벤트 응모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KR1020080104319A 2008-10-23 2008-10-23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80109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19A KR20080109689A (ko) 2008-10-23 2008-10-23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19A KR20080109689A (ko) 2008-10-23 2008-10-23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42A Division KR20100045243A (ko) 2008-10-23 2008-10-23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89A true KR20080109689A (ko) 2008-12-17

Family

ID=4036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19A KR20080109689A (ko) 2008-10-23 2008-10-23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6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14B1 (ko) * 2011-06-03 2013-04-29 주식회사 우리은행 문화 콘텐츠의 관객수 연동 예금 및 홍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293691B1 (ko) * 2011-08-19 2013-08-06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핀패드를 활용한 고객 관리 방법
WO2014129965A1 (en) * 2013-02-22 2014-08-28 Lim Xian Liang Sales leads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KR101589210B1 (ko) * 2014-11-07 2016-02-18 윤성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행사 가이드 정보 알림 방법 및 행사 관리 서버
KR20180123892A (ko) * 2017-05-10 2018-11-20 (주)퍼스트정보 트렌드분석서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트렌드분석방법 및 트렌드분석방법에 포함된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포함된 컴퓨터프로그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14B1 (ko) * 2011-06-03 2013-04-29 주식회사 우리은행 문화 콘텐츠의 관객수 연동 예금 및 홍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293691B1 (ko) * 2011-08-19 2013-08-06 주식회사 오렌지아이티 핀패드를 활용한 고객 관리 방법
WO2014129965A1 (en) * 2013-02-22 2014-08-28 Lim Xian Liang Sales leads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KR101589210B1 (ko) * 2014-11-07 2016-02-18 윤성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행사 가이드 정보 알림 방법 및 행사 관리 서버
KR20180123892A (ko) * 2017-05-10 2018-11-20 (주)퍼스트정보 트렌드분석서버,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트렌드분석방법 및 트렌드분석방법에 포함된 단계를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포함된 컴퓨터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3520A1 (en) System for Analyzing Patterns
US2019022089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with Users via Social Networking Sites
KR101731189B1 (ko)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US200903273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sumption network
US20120123824A1 (en) Personalized Interactive Network Wit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JP5327113B2 (ja) 情報提供サーバ、及び、当該情報提供サーバ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JPH1026928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商品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00115694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42674B2 (ja) パーソナルデータ信託システム、及びパーソナルデータ信託プログラム
US20030187876A1 (en) Office counter work supporting system
KR20080109689A (ko)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06608A (ko) 영업점 시스템
Stone et al. Interactive marketing, customer information and marketing research
KR20100045243A (ko) 고객관계관리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320A (ko) 빅데이터 기반을 통한 고객 투자성향 맞춤 종목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108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보험가입 및 관리 서비스방법
KR20200100964A (ko) 지역 기반 사업자 및 소비자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M577145U (zh) Customized service system
KR20020038000A (ko) 고객 선호도 조사와 타깃마케팅을 위한 웹사이트 운영시스템
US20230306519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wicka et al. The CRM system and its role in raising th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Roy et al. Customer knowledge management (CKM) in the e-business environment: cases from Swedish banks
KR20000050077A (ko) 인터넷 보험취급 서비스 중개 방법
Momanyi Cross-Network Mobile Money Transfer Adoption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Murang’a Municipality
KR20240001807A (ko)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반 부동산 담보대출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