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650A -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650A
KR20080108650A KR1020070056465A KR20070056465A KR20080108650A KR 20080108650 A KR20080108650 A KR 20080108650A KR 1020070056465 A KR1020070056465 A KR 1020070056465A KR 20070056465 A KR20070056465 A KR 20070056465A KR 20080108650 A KR20080108650 A KR 20080108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groove
b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웅
Original Assignee
박주웅
주식회사 엑스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웅, 주식회사 엑스머신 filed Critical 박주웅
Priority to KR102007005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8650A/ko
Publication of KR2008010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절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1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10), 안내부(110)에 의해 안내되는 판재(10)에 홈따기를 행하기 위한 홈따기부(130), 홈따기를 마친 판재(10)를 홈(11)이 따진 부위를 기준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150)를 포함하고, 홈따기부(130)는 하나 이상의 절곡면 중 절곡부의 절곡축과 교차하거나 또는 평행하지 않은 면에 홈따기를 행한다.
절곡, 장치, 판재, ㄴ형, ㄷ형, 홈따기, 안내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APPARATUS FOR BENDING BOARDS HAVING AT LEAST ONE BENT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홈따기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절곡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절곡부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판재가 절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전체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절곡되는 판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의 절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절곡장치의 요부 사시도; 및
도 11은 도 9의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절곡된 판재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 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절곡장치 110 : 안내부
111 : 지지판 112 : 롤러
130 : 홈따기부 131 : 상판
135 : 하판 138 : 홈따기정
150 : 절곡부 151 : 안내판
152a,152b : 상하부지지판 153a,153b : 상하부 회전체
158 : 노즐조립체 161a,161b : 상하부 절곡봉설치체
169 : 구동체 220 : 절곡부위 표시부
240 : 절단부
본 발명은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ㄴ" 또는 "ㄷ" 모양의 절곡부위를 갖는 절곡판재를 절곡할 수 있는 절곡판재용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평한 판재 등을 절곡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절곡장치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182069호의 「컷팅블레이드의 절곡시스템」을 이러한 장치 의 한 예로 들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곡장치는 절단된 판재(500)를 절곡부(30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00)와 안내부(200)의 상하단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301)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200)는 그 앞쪽에 판재(500)를 지지하는 몸체부(310)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310)는 중앙에 판재(500)가 실질적으로 안내되는 안내출구부(313)가 양측 모서리에 경사면(312)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안내출구부(313)의 상하에 한 쌍의 지지환부(315)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환부(315)는 절곡용 회전체(430)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수용부(318)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절곡부재(330)가 관통되어 안내되는 안내홈(316)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301)은 그 상하면에 몸체부(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430)가 지지환부(315)의 수용부(318)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430)는 외주면이 치차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를 관통하도록 절곡부재(330)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안내공(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지지프레임(301)에는 회전체(430)를 구동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절곡장치는 안내부(200)를 따라 안내된 판재(500)이 안내출구부(313)를 통해 2개의 절곡부재(300) 사이로 배출되고, 구동수단(400)에 따른 회전체(430)의 회전에 의해 절곡부재(3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출된 판재(500)이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절곡장치는 절곡되는 물체, 여기서는 판재가 평판형일 경우에 한해 우수한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즉, 절곡부위, 예를 들어, "ㄴ" 또는 "ㄷ"자 모양과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절곡부위를 갖는 물체를 절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ㄴ" 모양의 절곡부위를 갖는 판재를 절곡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축과 평행하지 않는 빗금친 부위들이 절곡되는 부위에서 A와 같이 서로 겹쳐지거나 찌끄러지는 등 절곡이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축과 평행하지 않는 부위의 일부를 홈따기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절곡부위를 갖는 판재의 절곡시 절곡축과 평행하지 않는 부위에 찌끄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와,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판재에 홈따기를 행하기 위한 홈따기부와, 홈따기를 마친 판재를 홈이 따진 부위를 기준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판재용 절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와,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판재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절곡부위 표시부와, 절곡부위가 표시된 판재에 홈따기를 행하기 위한 홈따기부와, 홈따기를 마친 판재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절곡부위 표시부는 판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잉크부가 마련되거나, 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곡장치들은 홈따기부가 하나 이상의 절곡면 중 절곡 기준축과 교차하는 면에 홈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재는 "ㄴ" 또는 "ㄷ"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판재는 각종 간판의 틀이 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광고문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L자형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절곡장치들은 또한 홈따기부가 삼각 기둥 형태의 홈따기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홈따기정은 피라미드 형태의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곡판재용 절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100)는 절곡하고자 하는 판재(10)를 절곡부(150)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10)와, 안내부(110)에 의해 절곡부(150)로 안내되는 판재(10)에 홈을 따기 위한 홈따기부(130)와, 홈따기를 마 친 판재를 홈이 따진 부위를 기준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150)를 포함한다.
도 2에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10)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지지판(111)과, 지지판(111) 위에 2열 횡대로 마련되는 다수의 롤러(112)들을 갖는다. 도면에서 앞쪽에 위치한 열의 롤러(112a)들과 뒤쪽에 위치한 열의 롤러(112b)들은 판재(10)의 두께 t1과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각 롤러(112)들은 대경부(113) 및 이 대경부(113)에 비해 직경이 작은 소경부(114)를 갖는다. 소경부(114)는 롤러(112)의 하부에 형성되고, 높이는 판재(10)의 두께 t2와 거의 같고 마주하는 열의 롤러(112a,112b)의 소경부(114)와의 거리는 판재(10)의 폭인 W와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앞쪽에 위치한 열의 롤러(112a)들과 뒤쪽에 위치한 열의 롤러(112b)들은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판재(10)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3에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홈따기부(1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판(131), 하판(135) 및 홈따기정(138)을 갖는다.
상판(131)은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개방공(132), 바람직하게는 삼각모양의 개방공(132)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개방공(132)의 좌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롤러지지대(133)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각 롤러지지대(133)에는 롤러(134)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판(135)은 그 상면에 상판(131)의 롤러지지대(133)와 대응하게 또한 한 쌍 의 롤러지지대(136)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각 롤러지지대(136)에는 롤러(137)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홈따기정(138)은 도시하지 않은 작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판재(10)의 원하는 부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모양의 홈(11)을 따게 된다. 이때, 홈따기정(138)은 상판(131)에 형성된 개방공(132)을 통해 상판(131)을 관통하게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홈따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삼각기둥, 바람직하게는 말단이 피라미드 모양을 갖는 삼각기둥의 형태를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150)는 안내판(151), 상하부 지지판(152a,152b), 상하부 회전체(153a,153b), 노즐조립체(158), 상하부 절곡봉설치체(161a,161b) 및 구동체(169)를 포함한다.
안내판(151)은 홈따기부(130)에서 홈따기를 마친 판재(10)를 노즐조립체(158)쪽으로 안내하며, 판재(10)과 대응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안내로(151a)가 내부에 형성된다.
상하부 지지판(152a,1582b)은 안내판(151)의 상하단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안내판(151)의 앞쪽 부근에 위치하도록 노즐조립체(158)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설치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하부 회전체(153a,153b)는 구동체(169)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절곡봉(20a,20b)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지지판(152a)의 상면과 하부 지지판(152b)의 하면에 설치공과 동축선상에 각각 설치되며, 안쪽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154)들이 형성된다.
각 회전체(153a,153b)는 외주면의 상하부에 고정베어링(155)이 설치되고, 고정베어링(155)은 상하부 고정브라켓(156a,156b)에 의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베어링(155)은 고정브라켓(156a,156b)에 형성된 개방공(157)에 마주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각 회전체(153a,153b)는 고정브라켓(156a,156b)에 고정된 고정베어링(154)에 대해 회전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평상태 또는 수직상태의 흔들림이 전혀 없게 된다. 고정브라켓(156a,156b)은 회전체(153a,153b)의 높이의 약 절반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며 각 회전체(153a,153b)에 2개의 고정브라켓(153a,153b)이 설치된다. 고정브라켓(156a,156b)은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브라켓(156a) 또는 고정브라켓(156b)끼리 또는 지지판(152a,152b)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158)는 안내판(151)에서 나오는 판재(10)를 2개의 절곡봉(20a,20b)들 사이로 정밀하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10)를 도출시키는 노즐부(159) 및 노즐부(159)의 상하단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절곡봉설치체(161a,161b)의 하부(1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반중공의 원통부(160)를 갖는다. 노즐부(159)는 판재(10)와 대응하는 형상, 즉 "ㄴ" 모양의 홈을 가지며, 원통부(160)의 안쪽에는 절곡봉설치체(161a,161b)의 회전을 돕기 위해 베어링(163)이 설치된다. 또한, 원통부(160)는 회전체(153a,153b)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조립체(158)는 한 쌍의 노즐브라켓(164)에 의해 지지판(152a,152b)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노즐브라켓(164)은 원통부(160)와 대응하는 원호홈(147a)이 형성 되어 있어 노즐조립체(14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하부 절곡봉설치체(161a,161b)는 절곡봉(20a,20b)을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몸체(162) 및 몸체(16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판(165)을 갖는다. 몸체(162)에는 상하단을 관통하게 절곡봉(20a,20b)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다수의 설치공(166)들이 형성되고, 원판(165)에는 그 외주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키홈(167)들이 형성되어 있다. 키홈(167)은 절곡봉설치체(161a,161b)가 회전체(153a,153b)에 삽입되었을 때 회전체(153a,153b) 내벽에 형성된 키(154)와 삽입 결합을 이루어 회전체(153a,153b)의 회전력이 완전하게 절곡봉설치체(161a,161b)로 전달된다.
구동체(169,M)는 상부 회전체(153a)를 회전시킬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M) 및 모터축에 고정되게 결합된 원통형 기어(171)를 갖는다. 원통형 기어(171)는 회전체(153a)의 외주면 형성된 기어들과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통형 기어(171)와 회전체(153a)가 벨트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절곡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안내부(110)에 2열 횡대로 마련된 롤러(112)들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얻어 회전하게 되면, 롤러(112)들 사이로 판재(10)가 안내되기 시작한다.
안내부(110)에 의해 안내되는 판재(10)는 홈따기부(130)에서 소정 위치에 홈(11)이 따진다. 이때, 홈따기부(130)에 마련된 홈따기정(138)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판재(10)에 홈을 따게 된다.
홈따기를 마친 판재(10)는 절곡부(150)로 안내된다. 이렇게 안내된 판재(10)들은 안내판(151)의 앞쪽에 위치한 노즐조립체(158)를 통해 2개의 절곡봉(20a,20b) 사이로 도출된다. 절곡봉(20a,20b) 사이로 판재(10)가 도출되면, 구동체(169)가 작동하여 회전체(153a)를 회전시키게 된다. 절곡봉(20a,20b)이 설치된 절곡봉설치체(161a)는 회전체(153a)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절곡봉(20a,20b)이 회전하면서 판재(10)를 절곡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와 같은 작동 상태를 도 6a 및 도 6b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판재(10)의 안내부터 구동체(169)의 작동 등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절곡축에 직교하게(또는 교차하게) 따진 홈(11)을 기준으로 판재(10)가 절곡되기 때문에 절곡축과 교차하는(평행하지 않은) 판재의 면이 절곡시 찌그러지거나 하는 문제 없이 판재(10)가 깔끔하게 절곡된다.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는 판재가 자동으로 절곡되게 설계되었으며 이는 판재가 단단한 재질인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판재가 부드러운 재질인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판재를 수작업을 통해 절곡할 수 있다.
도 7의 절곡장치(200)는 안내부(110), 절곡부위 표시부(220), 홈따기부(130), 절단부(240)를 포함하며, 안내부(110)와 홈따기부(130)는 앞선 실시예의 절곡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절곡부위 표시부(220)는 안내부(110)와 홈따기부(130) 사이에 마련된다. 표 시부(220)는 지지판(221)의 밑면에 안내레일(223)이 형성되고 이 안내레일(22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표시막대(225a,225b)들이 설치된다. 표시막대(225a,225b)들은 도시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 판재(10)쪽과 그 반대쪽으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표시막대(225a,225b)들의 안쪽면에는 판재(10)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잉크부(227)가 마련된다. 잉크부(227)는 판재에 잉크를 분사하거나 잉크를 접촉하여 묻히는 방식을 갖는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잉크부(227) 대신에 핀부가 표시막대(225a,225b)에 마련될 수 있다. 핀부는 판재와 접촉하여 판재 표면에 압흔을 생기게 함으로써 절곡부위를 표시하는 방식을 갖는다. 이때, 핀의 강도를 달리함으로써 판재의 재료에 따라 판재에 생기는 압흔의 깊이를 달리할 수 있다.
절단부(240)는 홈따기부(130) 다음에 마련된다. 절단부(240)는 판재(1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241)과 절단시 판재(10)를 받쳐주는 받침블록(243)을 갖는다. 절단날(241)의 끝단은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만들어져 절단을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절곡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안내부(110)에 2열 횡대로 마련된 롤러(112)들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얻어 회전하게 되면, 롤러(112)들 사이로 판재(10)가 안내되기 시작한다. 다음, 안내부(110)에 의해 안내되는 판재(10)는 절곡부위 표시부(220)를 거치면서 양측면에 잉크나 핀에 의해 절곡부위(도면에서는 절곡선)가 표시된다. 다 음, 절곡부위가 표시된 판재(10)는 홈따기부(130)에서 소정 위치에 홈(11)이 따진 후, 절단부(240)를 거치면서 절단날(241)에 의해 원하는 길이로 절단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판재(10)는 작업자에 의해 표시된 절곡부위를 따라 절곡되게 된다.
위 두 공정을 통해 제작된 판재(10)가 적용되는 일례를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8에 예시된 제품은 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판으로, "ㄴ"자형 단면을 갖는 사각 프레임(1) 위에 광고문구 등이 인쇄된 광고판(2)이 얹혀지고, 광고판(2)은 역시 "ㄴ"자형 단면을 갖는 L자형 플랜지(3)에 의해 프레임(1)에 고정된다. L자형 플랜지(3)는 프레임(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과 L자형 플랜지(3)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5)을 관통하게 조여지는 다수의 볼트 또는 나사(6)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프레임(1)에 고정되게 체결된다. 여기서, 사각 프레임(1)과 L자형 플랜지(3)는 "ㄴ"자형 단면을 갖는 판재들로 상술한 공정을 통해 절곡되어 제작되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절곡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절곡장치에 따르면, 절곡축과 평행하지 않는 부위의 일부를 홈따기함으로써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절곡부위를 갖는 판재의 절곡시 절곡축과 평행하지 않는 부위에 찌끄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판재에 홈따기를 행하기 위한 홈따기부; 및
    상기 홈따기를 마친 판재를 홈이 따진 부위를 기준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2.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판재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절곡부위 표시부;
    상기 절곡부위가 표시된 판재에 홈따기를 행하기 위한 홈따기부; 및
    상기 홈따기를 마친 판재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위 표시부는 상기 판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잉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위 표시부는 상기 판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절곡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따기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곡면 중 절곡 기준축과 교차하는 면에 상기 홈따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ㄴ" 또는 "ㄷ" 모양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각종 간판의 틀이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광고문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L자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따기부는 삼각 기둥 형태의 홈따기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따기정은 피라미드 형태의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장치.
KR1020070056465A 2007-06-11 2007-06-11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KR20080108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465A KR20080108650A (ko) 2007-06-11 2007-06-11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465A KR20080108650A (ko) 2007-06-11 2007-06-11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650A true KR20080108650A (ko) 2008-12-16

Family

ID=4036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465A KR20080108650A (ko) 2007-06-11 2007-06-11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86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7B1 (ko) * 2009-07-16 2010-01-06 (주)다산에이디 핸들 전동절곡기
KR20110071238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서울레이저발형시스템 금속 스트립 벤딩장치
KR101628683B1 (ko) 2015-08-31 2016-06-09 (주)알루코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KR101656271B1 (ko) 2015-08-31 2016-09-22 (주)알루코 지그의 밀림이 방지된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67B1 (ko) * 2009-07-16 2010-01-06 (주)다산에이디 핸들 전동절곡기
KR20110071238A (ko) * 2009-12-21 2011-06-29 주식회사 서울레이저발형시스템 금속 스트립 벤딩장치
KR101628683B1 (ko) 2015-08-31 2016-06-09 (주)알루코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KR101656271B1 (ko) 2015-08-31 2016-09-22 (주)알루코 지그의 밀림이 방지된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8650A (ko) 하나 이상의 절곡면을 갖는 판재용 절곡장치
US4528763A (en) Sign having changeable displays
KR20110071238A (ko) 금속 스트립 벤딩장치
CN212445587U (zh) 一种持续性薄膜打孔装置
JP4517203B2 (ja) ペットボトル用圧潰装置及びその孔明け兼用圧潰ローラ
US3129486A (en) Needle punching machines
CN210414790U (zh) 打孔设备
KR100997376B1 (ko)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장치
JP2818137B2 (ja) フリーサイズロールフオーミング装置
KR20090103833A (ko) 채널간판용 프레임 커팅장치
KR20120104877A (ko) 파이프 절단장치
CN202400652U (zh) 塑料膜收卷装置
JP2006224264A (ja) 芯材に巻かれた樹脂フィルムロールの切断装置
KR10090589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및 방법
CN214905506U (zh) 一种展示范围广的展览装置
KR200451025Y1 (ko) 스페이서바의 벤딩부
KR20040087097A (ko) 회전 광고판
KR20120129171A (ko) 다중회전중심이 형성된 절곡장치
KR0185159B1 (ko) 전시물 교체장치
KR100913403B1 (ko) 유리 스크랩 파쇄 장치
CN220690638U (zh) 一种印刷品检测装置
CN213444673U (zh) 一种由光栅控制的高精度送料装置
CN209954734U (zh) 一种保护膜分切机
KR101077299B1 (ko) 회전형 기계식 현수막 게시대
JPH01205821A (ja) 冷間ロール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