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176A -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176A
KR20080108176A KR1020070056377A KR20070056377A KR20080108176A KR 20080108176 A KR20080108176 A KR 20080108176A KR 1020070056377 A KR1020070056377 A KR 1020070056377A KR 20070056377 A KR20070056377 A KR 20070056377A KR 20080108176 A KR20080108176 A KR 2008010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output unit
signal input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3295B1 (ko
Inventor
고준보
Original Assignee
고준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보 filed Critical 고준보
Priority to KR102007005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9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Abstract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기 위한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가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간이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송화부 및 수화부의 방향을 반대로 든 경우에도 소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전화기, 송수화기, 릴레이, 경사센서

Description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Convertible handset and telephone having the same}
도 1은 전형적인 종래 전화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감지부에 적용될 수 있는 경사 센서의 경사에 따른 출력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도 2의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갖는 전화기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경사 감지부 120 : 비교부
131, 132, 130 : 스위칭부 140, 145 : 소리 신호 입출력부
141, 146 : 스피커 142, 147 : 마이크
150 :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
Vref : 레퍼런스 전압 Vi : 경사 감지부의 출력 신호
Q1 : 스위칭 트랜지스터 R1, R2, R3 : 저항체
VDD : 전원 전압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화부 및 수화부의 기능 체인지가 가능한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논란의 여지가 있기는 하지만 1876년에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에 의해 발명된 후 무수한 발전을 거듭하여, 유선 전화기로부터 무선전화기,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으로 발전되어져 왔다.
도 1은 전형적인 종래의 전화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10)와 송수화기(20)를 구비하며, 전화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복수의 버튼(11) 및 하나의 후크 스위치(12)가 배치되어 있다. 후크 스위치(12)가 위치한 부분에는 후크 스위치(12)를 중심으로 하여 송수화기(2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송수화기(20)는 스피커(speaker)가 내장된 수화부(21)와 마이크(micro phone)가 내장된 송화부(22)를 구비하며, 코드(23)를 통해 전화기 본체(10)와 연결된다. 코드(23)의 일단은 송수화기(2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커넥터(24)를 통해 전화기 본체(10)의 커넥터(14)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송수화기(20)는 전화기 본체(10) 내의 메인 보드(main board)(미도시) 또는 피씨비(PCB;Printed Cirtuit Board)(미도시) 상에 배치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IO interface circuit)(미도 시)에 접속된다. 상기 메인 보드, PCB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는 본 발명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이 아니므로 그에 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하와 같은 불편함을 겪는다.
즉, 전화벨이 울리는 경우 무심코 송수화기(20)를 들어 응답을 하고자 할 경우, 송화부(22)가 귀(ear) 측으로 그리고 수화부(21)가 입(mouth) 측으로 향하도록 송수화기(20)를 반대 방향으로 들어 통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물론 송수화기(20)를 반대 방향으로 들었다는 사실을 곧바로 알아차린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흔히 통화 품질 이상이나 전화기의 고장이라고 판단을 한다거나 잘못 걸린 전화라고 판단하여 곧바로 끊어 버림으로써 중요한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화기를 반대 방향으로 들어 통화를 하고자 하여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송화부 및 수화부의 위치를 구별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시각적인 장애로 인해 송화부 및 수화부의 위치를 구별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 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기 위한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가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간이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화기는, 소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소리 신호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역할이 경사에 따라 변경되는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를 구비하되,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기 위한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가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간이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상기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는,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경사에 상응하는 경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사 감지부; 및 상기 경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사 신호가 레퍼런스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도시되고 한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convertible handset)의 구성도로서,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는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110, 120), 스위칭부(130),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50은 전화기 본체(미도시)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 기를 연결하기 위해 메인 보드(미도시)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110, 120)는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S1)를 생성한다.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110, 120)는 경사 감지부(110)와 비교부(120)를 구비한다. 또 다른 상태 변경 신호(S2)는 로우 레벨의 신호로서, 이는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미만으로 경사지는 경우의 신호이다.
경사 감지부(110)는 경사를 감지하여 그 경사에 상응하는 경사 신호를 출력하고, 비교부(120)는 상기 경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사 신호가 레퍼런스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상태 변경 신호(S1)를 출력한다. 경사 감지부(110)는 광센서가 될 수도 있고, 경사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센서에 대한 예는 등록실용신안 20-0428323호(공고일자:2006.10.11)에 개시된 광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센서에 대한 예는 등록실용신안 20-0195658호(공고일자:2000.09.01)에 개시된 경사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경사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비교부(120)에는 전형적인 비교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 증폭기를 사용한 비교 회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130)는 상기 상태 변경 신호(S1)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스피커(141)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마이크(147)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 고, 스위칭부(130)는 상기 상태 변경 신호(S1)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마이크(142)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스피커(146)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된다. 스위칭부(130)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리 신호 입출력부에 대응되게 제1 스위칭부(131) 및 제2 스위칭부(132)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는 스피커(141) 및 마이크(142)를 구비한다. 전화기가 작동되는 경우, 스피커(141)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고, 마이크(142)는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스피커(141)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통용되는 전화기의 송수화기 내의 스피커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무빙 코일형 다이내믹 스피커(moving coil type dynamic speak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42)도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통용되는 전화기의 송수화기 내의 마이크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콘덴서 마이크(condenser microphone)가 사용될 수도 있고 무빙 코일형 다이내믹 마이크(moving coil type dynamic microphone)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사용시 구체적 동작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상기 경사 감지부(110)에 도 4에서와 같은 출력 특성을 보이는 경사 센서(미도시)가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든다.
먼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들지 않은 상태, 즉 전화기 몸체(미도시)에 마련된 거치부 상에 놓여져 오프 후크(off-hook) 상태에 놓여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는 현재 상태(또는 아이들(idle) 상태라고도 함)를 유지한다.
여기서, 현재 상태는, 설명의 편의상, 코드가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와 상기 전화기 몸체(미도시) 간을 연결한다고 할 때,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스피커(141)와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마이크(147)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연결된 상태로 정의한다.
전화벨이 울리고,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귀측 그리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입측으로 향하도록 드는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즉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사용자의 귀측으로 향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사용자의 입측으로 향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상태 그대로 통화할 수 있다. 즉, 상기 현재 상태가 스피커(141) 및 마이크(147)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 즉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사용자의 입측으로 향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사용자의 귀측으로 향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에는 현재 상태 그대로는 통화가 불가능하다. 즉, 상기 사용자의 입측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스피커(141)가 향하고 있고, 귀측 에는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마이크가 향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경사 감지부(110), 비교부(120) 및 스위칭부(130)가 작동하여야 한다.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110, 120)는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S1)를 생성한다.
만약, 경사 센서(110)의 경사 각도에 따른 출력 신호가 도 4에서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고 가정하자. 경사 각도가 0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이 경우에는 레퍼런스 전압(2.5V) 이하의 전압을 상기 경사 센서(110)에서 출력하므로, 비교부(120)에서는 상태 변경 신호(S1)을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경사 각도가 0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보다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높거나 같은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전압(2.5V)은 상기 경사 센서(110)의 동작 특성과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와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간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을 반영한다. 상기의 경우, 레퍼런스 전압이 2.5V이고 그 경우에 0도를 이루지만, 이와는 달리 경사 각도가 10도인 경우를 레퍼런스 포지션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도 4에서의 출력전압 2.540V의 전압이 레퍼런스 전압이 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 전압은 비교부(120)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만약 레퍼런스 전압이 2.540V이고 레퍼런스 포지션이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경사 각도가 10도인 경우라면, 비교부(120)에서는 상태 변경 신호(S1)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S1)는 스위칭부(130)로 인가되어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마이크(142)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스피커(146)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귀가 입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는 통상적인 경우(코드가 연장되어 나온 부분이 입측으로 향하도록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송수화기를 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통상적인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든 경우라도 송화부와 수화부의 기능을 체인지함으로써 정상적으로 통화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통상적인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송수화기를 든 상태에서 다시 통상의 방향으로 송수화기를 전환하는 경우, 스위칭부(130)는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현재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즉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스피커(141)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마이크(147)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접속된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 경우에는 상태 변경 신호(S2)가 비교부(120)에서 출력된다.
도 3은 도 2의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감지부(110)에 적용될 수 있는 경사 센서의 경사에 따른 출력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2의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갖는 전화기의 사 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칭부(131)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스피커(141)가 전화기 본체(미도시) 내의 메인보드(200)에 탑재된 수화 앰프(210)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어져 있고(즉, 제1 스위칭부(131)에서의 접점 3 및 6이 접점 4 및 7에 연결되어져 있음), 제2 스위칭부(132)는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마이크(147)가 송화 앰프(220)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어져 있다(즉, 제2 스위칭부(132)에서의 접점 3 및 6이 접점 4 및 7에 연결되어져 있음).
상기 상태가 앞서 현재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로 정의되어졌다. 여기서, 경사 감지부(110)의 출력 신호(Vi)가 소정의 레퍼런스 전압(Vref)보다 높은 경우에는 비교기는 하이 레벨의 전압(VDD)을 출력 단자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의 출력 단자의 전압(Vo)이 상태 변경 신호(도 2의 S1)이다.
상태 변경 신호(S1)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는 경우 스위칭부들(131, 132)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레이들이 턴온되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스위칭부들(131, 132)의 접점 3이 5에 연결되고 접점 6이 8에 연결됨으로써,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마이크(142)가 송화 앰프(220)에 접속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스피커(146)가 수화 앰프(210)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은 도 3에서는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tor)가 예시되어져 있지만, 출력 단자의 전압(Vo)의 레벨에 따라 스위치 기능이 가능한 소자면 충분하므로 다른 소자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OSFET가 사용되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들(131, 132)이 스위칭되는 경우는 전화기의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반대 방향으로 들게 되는 경우로, 경사 감지부(110)의 출력 신호(Vi)의 특성은 도 4에 예시된 그래프로써 앞서 이미 설명되었다.
도 3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VDD는 비교부(120) 및 경사 감지부(110)의 동작을 위한 전원 전압이고, R1는 레퍼런스 전압의 설정을 위한 가변 저항이고, R2는 비교회로에 요구되는 전원 전압(VDD)과 출력단(Vo) 사이의 저항이다. 그리고, R3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비교부(120) 사이의 저항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의 구체적 사용 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온 후크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야 하는데(S10), 도 2 및 도 3에서는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판단을 위한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만약 온 후크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들지 않은 경우라면, 아이들 상태를 유지한다(S20). 만약 온 후크 상태라면,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어떠한 방향으로 들었는지를 판단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경사 감지부(110)에서 경사 각도를 감지한다(S30).
그리고, 경사 감지 결과에 따라, 비교부(120)에서는 감지된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레퍼런스 경사각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40).
만약 감지된 경사각이 레퍼런스 경사각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귀측으로 향하게 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입측으로 향하게 든 상태이므로 아이들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S5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송화부와 수화부의 기능을 체인지한다(S60).
왜냐하면, 기능 체인지 이전에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수화부 기능을 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송화부 기능을 하도록 유지되는 상태이지만, 사용자가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를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입측으로 향하게 그리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귀측으로 향하게 들었으므로, 기능의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제1 스위칭부(131) 및 제2 스위칭부(132)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레이가 비교부(120)에서 출력되는 상태 변경 신호(S1)에 의해 제어되고 절환되어져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의 마이크(142)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의 스피커(146)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150)에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통화 중인 상황에서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1 스위칭부(131) 및 제2 스위칭부(132)를 구성하는 각각의 릴레이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송화부 기능을 유지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수화부 기능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S70).
그리고, 사용자가 송화부와 수화부의 방향을 바꾸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80), 사용자가 송화부와 수화부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는 재차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수화부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송화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을 체인지한다(S60). 만약, 사용자가 송화부와 수화부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그 상태대로 통화하는 경우에는 오프 후크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100), 그 결과에 따라, 오프 후크 상태인 경우 즉 통화 종료인 경우에는 다시 아이들 상태로 변경(S90)한다. 만약 오프 후크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릴레이는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140)가 송화부 기능을 유지하고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145)가 수화부 기능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S70).
통화가 종료된 오프 후크 상태인 경우에는 아이들 상태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통상적인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들어 통화를 시도하고자 하여도 어려움없이 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유선 전화기에서 뿐만 아니라 무선 전화기, 휴대폰 및 송수화기가 사용되는 다양한 응용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를 제공함으로써 송화부 및 수화부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든 경우에도 소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를 제공함으로써 송 화부 및 수화부의 위치를 구별하기 어려운 환경이나 시각적인 장애가 있어 송화부 및 수화부의 위치를 구별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기 위한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가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간이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송수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는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경사에 상응하는 경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사 감지부; 및
    상기 경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사 신호가 레퍼런스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송수화기.
  3.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화기에 있어서:
    소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소리 신호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역할이 경사에 따라 변경되는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에 연결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를 구비하되,
    상기 컨버터블 송수화기는,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 및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 또는 입력하기 위한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가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 간이 설정된 레퍼런스 포지션 이상으로 경사지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태 변경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가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상태 변경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마이크 및 상기 제2 소리 신호 입출력부의 스피커가 상기 입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에 접속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 신호 생성부는
    경사를 감지하여 상기 경사에 상응하는 경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사 감지부; 및
    상기 경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사 신호가 레퍼런스 전압보다 큰 경우에 상태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20070056377A 2007-06-09 2007-06-09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KR10089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377A KR100893295B1 (ko) 2007-06-09 2007-06-09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377A KR100893295B1 (ko) 2007-06-09 2007-06-09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176A true KR20080108176A (ko) 2008-12-12
KR100893295B1 KR100893295B1 (ko) 2009-04-17

Family

ID=4036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377A KR100893295B1 (ko) 2007-06-09 2007-06-09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297A (zh) * 2012-05-03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话终端及电话终端的手柄
US9628605B2 (en) 2014-11-19 2017-04-18 Samsung Diplay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438B1 (ko) * 1997-12-20 2000-12-15 구자홍 기울임 감지기 및 기울임 감지가 가능한 리모콘
KR20000013385U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전화기 송수화기의 양방향 통화장치
KR20050023718A (ko) * 2003-09-02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겸용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이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4297A (zh) * 2012-05-03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话终端及电话终端的手柄
WO2013163873A1 (zh) * 2012-05-03 2013-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话终端及电话终端的手柄
EP2672680A1 (en) * 2012-05-03 2013-12-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Telephone terminal and handset thereof
EP2672680A4 (en) * 2012-05-03 2014-02-12 Huawei Tech Co Ltd TELEPHONE TERMINAL AND HANDSET
US9628605B2 (en) 2014-11-19 2017-04-18 Samsung Diplay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295B1 (ko) 200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1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KR20040065469A (ko) 휴대용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이용한이어-마이크로폰 연결 장치
KR100893295B1 (ko)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0688296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010028528A (ko) 휴대용 통신기의 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드 자동 전환 방법
KR1003658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셋 감지장치
JP2011254324A (ja) 電話装置
JP4328186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347105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잭에 의한 자동 통화 회로
KR200259992Y1 (ko) 이동전화와 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구비한 전화기
JP200106099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応答方法の変更方法
KR200441264Y1 (ko)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KR200262640Y1 (ko)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JP2005217695A (ja) 耳掛け式通話装置
JPH0654044A (ja) 携帯電話端末装置および発呼データ登録方法
KR100372862B1 (ko) 다수의 스피커 및 스피커 전환 제어 장치를 구비한무선전화기
KR200299965Y1 (ko) 전화기용 이어셋 연결장치
JP2004180087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10016666A (ko) 사용자 접촉 감지에 의한 착신 표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23703Y1 (ko) 전화기의 통화 종료장치
KR200289970Y1 (ko) 유선 또는 무선이어폰 버튼에 의한 유선전화기훅크스위치 동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