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264Y1 -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264Y1
KR200441264Y1 KR2020070002794U KR20070002794U KR200441264Y1 KR 200441264 Y1 KR200441264 Y1 KR 200441264Y1 KR 2020070002794 U KR2020070002794 U KR 2020070002794U KR 20070002794 U KR20070002794 U KR 20070002794U KR 200441264 Y1 KR200441264 Y1 KR 200441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
ear
transistor
butt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기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2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통화 버튼을 구비한 EAR-MIC와 접속시키기 위한 EAR-MIC 잭, EAR-MIC 잭과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키스캔(key scan)부를 포함하는 덱트(DECT) 단말기의 EAR-MIC 버튼 인식회로가 제공된다. EAR-MIC의 버튼이 눌린 경우, MIC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이미 켜져있는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제2 트랜지스터가 켜지는 것을 상기 키스캔부를 통해 CPU가 인식함으로써 버튼이 눌렸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트랜지스터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EAR-MIC의 통화 버튼 인식 회로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RF 방식에 따른 TDD 노이즈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키스캔, EAR-MIC, 노이즈, 덱트, 버튼 인식

Description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 및 단말기{CALL BUTTON RECOGNITION CIRCUIT AND TERMINAL FOR A LOW NOISE EAR-MIC USING A KEY SCANN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덱트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덱트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210: CPU
120, 220: EAR-MIC 잭
130, 230: C-Mike (condenser microphone)
240: 키스캔 부
본 고안은 덱트(DECT) 단말기의 EAR-MIC의 버튼 인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DD(Time Division Duplexing) RF 방식에 따른 TDD 노이즈에 영향을 많이 받는 덱트 단말기에서 TDD 노이즈를 차단하기에 적당하도록 키스캔 방식을 이용한 EAR-MIC의 저 잡음 버튼 인식 회로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덱트는 디지털 유럽 무선 전기 통신(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s)의 약어로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 ETSI)에서 승인하여 전 유럽에서 사용중인 시분할 다중 방식(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을 채용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편, 유럽형 디지털 무선 전화기는 가정용 무선 전화(CT1), 발신 전용 휴대 전화(CT2)에 이은 3 세대 무선 전화로 일컬어진다. 현재 상용화된 제품은 여러 대의 휴대 장치를 설치하여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홈 덱트와 본체에 2 개의 전화 라인을 연결해 사용하는 시스템 덱트의 2 종류가 있으며 향후 이동 전화와 같은 형태의 공중 이동 통신망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종래의 덱트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AR-MIC 바이어스 회로, EAR-MIC 잭(120), C-Mike(condenser microphone; 130), CPU(110)의 GPIO 포트를 이용한 EAR-MIC 폰의 통화버튼 인식회로 등을 포함한다. EAR-MIC 바이어스 회로는 저항(R1 및 R2) 및 커패시터(C1-C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소자들은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여 EAR-MIC 잭(120)에 접속되는 EAR-MIC에 안정적인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C-Mike(130)는 덱트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서, 사용자는 EAR-MIC 잭(120)에 EAR-MIC를 접속시켜 C-Mike(130) 대신 EAR-MIC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화버튼 인식회로는 저항(R4, R6) 및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거나 저항(R7) (도 1의 점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EAR-MIC 잭(120)에 접속된 EAR-MIC의 통화 버튼이 눌린 것을 CPU(110)가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EAR-MIC 잭(120)에 EAR-MIC를 꽂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EAR-MIC 잭(120)의 1번 핀과 GND가 단락된다. 동시에, CPU(110)의 GPIO 포트를 직접 이용한 회로에서는(도 1의 점선 부분) GPIO 포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의 전환을 바로 인식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1)를 사용한 회로에서는 BJT(Bipolar Juntion Transistor) (Q1)이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CPU(110)의 GPIO 포트에서는 로우에서 하이로의 전환을 인식함으로써 CPU(110)가 EAR-MIC의 버튼이 눌려진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TDD RF방식을 사용하는 덱트 단말기에 있어서, 전원, GND, CPU등의 각 구성요소는 TDD 노이즈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그 중 노이즈에 가장 민감한 CPU의 MIC단에 전원이나 CPU의 GPIO 포트를 직접 연결하면 덱트 규격인 ETSI또는 TBR38에서 요구하는 TX 노이즈 사양(TX Noise spec)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TDD RF 방식에 따른 TDD 노이즈에 영향을 많이 받는 덱트 단말기에서 키-스캔을 이용한 EAR-MIC의 저 잡음 버튼 인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통화버튼을 구비한 EAR-MIC와 접속시키기 위한 EAR-MIC 잭, EAR-MIC 잭과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키스캔부(key-scan part)를 포함하는 덱트(DECT) 단말기의 통화버튼 인식회로가 제공된다. 통화버튼이 눌린 경우, EAR- MIC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이미 켜져있는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제2 트랜지스터가 켜지는 것을 상기 키스캔부를 통해 단말기의 CPU가 인식함으로써 통화버튼이 눌렸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덱트 단말기(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덱트 단말기(200)는 덱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CPU(예컨대, Vega Chip(U1))(210), 통화버튼을 구비한 EAR-MIC와 접속시키기 위한 EAR-MIC 잭(220), EAR-MIC 잭(220)과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Q3), 제1 트랜지스터(Q3)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2 트랜지스터(Q2)와 연결되고 기능 및 번호를 다이얼하는 키스캔부(key-scan part; 240)를 포함한다.
CPU(210)는 크게 TDMA TDD방식의 RF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음성 송수신 및 링톤, 키톤 등을 제어하는 오디오부(도시되지 않음), 각 기능등을 제어하는 디지털 IN, OUT 포트인 GPIO부, EAR-MIC에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한 VREF 포트, 내장 마이크 또는 스피커나 EAR-MIC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MICN, EAR, MICP 포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오디오부는 음성을 송출하는 TX부와 수신하는 RX부를 포함한다. 단말기(200)에 EAR-MIC를 꽂은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왔 을 때, EAR-MIC의 버튼을 누르면 EAR-MIC 잭(220)의 1번 단자가 GND와 단락된다. EAR-MIC의 버튼은 다이얼링, 통화 종료 등의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BJT(Q3)는 CPU(210)의 VREF 핀에서 공급되는 MIC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이미 켜져있는(ON) 상태이다. EAR-MIC 잭(220)의 1번 단자가 GND와 단락 상태가 되어, BJT(Q2)의 베이스(base) 전류가 BJT(Q3), 저항(R8)을 통해 흐르게 되면서 BJT(Q2)가 온 되고 이를 키스캔부(220)를 통해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EAR-MIC의 버튼이 눌린 경우 EAR-MIC 잭(220)의 1번 단자가 GND와 단락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BJT(Q3)에 전류가 흘러 BJT(Q2)가 켜지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떤 회로 구성도 사용될 수 있어서, 반드시 EAR-MIC 잭(220)에서 GND와의 단락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키스캔부(220)는 단말기에서 소정의 기능 실행 및 번호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데, CPU(210)는 키스캔부(220)의 행과 열 각각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키스캔부(220)의 어느 부분이 눌렸는지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키스캔부(220)에는 모든 키가 할당되어 있지는 않으므로 할당되지 않은 남은 키에 BJT(Q2)를 연결하여 BJT(Q2)가 켜질 때 해당 키가 단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키가 선택되었음을 CPU(210)가 인식함으로써 EAR-MIC의 버튼이 눌렸음을 알 수 있다. 단말기에 존재하고 있던 키스캔부(240)를 활용함으로써, CPU(210)의 GPIO포트에서 직접 전압의 전환을 인식하여 버튼이 눌렸음을 판별하도록 하는 종래의 경우보다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후 통화가 이루어지면 CPU(210)의 MICN 및 MICP 단자에는 직접적으 로 전원이나 GPIO 포트가 연결되지 않고 노이즈 없는 MIC 바이어스 전압만 저항(R9)과 BJT(Q3)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노이즈를 유기시키지 않고 EAR-MIC의 버튼의 누름을 인식하게 된다. BJT(Q3)은 MIC 바이어스 전압이 BJT(Q2)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키스캔부(220)의 오동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저항(R8)은 BJT(Q2)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어 주변의 전기적인 충격(ESD등)에 BJT(Q2)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종래에는 -59 ~ -61dB 정도였던 노이즈 특성을 예컨대, -68 ~ -70dB로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른 많은 기타 실시예들도 또한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소자들의 수치 및 배치는 본 고안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따라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TDD RF 방식을 사용하는 덱트 단말기에 EAR-MIC 의 버튼 기능을 적용함에 있어, 잡음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잡음규격을 규제하는 ETSI또는 TBR38 등의 덱트 형식승인에서 요구하는 잡음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3)

  1. EAR-MIC 버튼 인식회로로서,
    EAR-MIC와 인식회로를 접속시키기 위한 EAR-MIC 잭;
    상기 EAR-MIC 잭과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키스캔(key scan)부
    를 포함하고,
    상기 EAR-MIC의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켜진 상태에서(on)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켜지고, 이를 상기 키스캔부를 통해 인식하는 EAR-MIC 버튼 인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인 EAR-MIC 버튼 인식회로.
  3. EAR-MIC 버튼 인식회로를 포함하는 덱트(DECT) 단말기로서,
    상기 EAR-MIC 버튼 인식회로는,
    EAR-MIC와 인식회로를 접속시키기 위한 EAR-MIC 잭;
    상기 EAR-MIC 잭과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키스캔부 - 상기 키스캔부는 상기 단말기의 CPU에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EAR-MIC의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켜진 상태에서(on)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켜지고, 이를 상기 키스캔부를 통해 상기 CPU가 인식하도록 하는 덱트(DECT) 단말기.
KR2020070002794U 2007-02-16 2007-02-16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KR200441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794U KR200441264Y1 (ko) 2007-02-16 2007-02-16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794U KR200441264Y1 (ko) 2007-02-16 2007-02-16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264Y1 true KR200441264Y1 (ko) 2008-08-04

Family

ID=4163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794U KR200441264Y1 (ko) 2007-02-16 2007-02-16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2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ja) 送受信機
US6594366B1 (en) Headset/radio auto sensing jack
KR10066351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어-마이크 폰을 위한 이어폰 마이크바이어스 전원 공급회로
KR100506283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이용한이어-마이크로폰 연결 장치
US6615059B1 (en) Mobile terminal interface
US20060276165A1 (en) Dual m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396267B1 (ko)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 상태 확인 방법
KR200441264Y1 (ko) 키스캔을 이용한 저 노이즈 ear­mic 버튼 인식회로및 단말기
GB2365266A (en) Fixed telephone structurally adapted for use of cellular phones
KR100893295B1 (ko)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CN106652994B (zh) 一种实现主动降噪的终端配件及终端组件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082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393812B1 (ko) 리모콘 스위치 증가장치 및 방법
CN111899721B (zh) 一种语音交互终端和智能家居的通信方法
KR200259992Y1 (ko) 이동전화와 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구비한 전화기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1005408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어_핸즈프리 신호 처리 장치
KR100897186B1 (ko) 키 입력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254448Y1 (ko) 전화기 음량 조절 장치
JP200106099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応答方法の変更方法
JP3585109B2 (ja) 高周波結合回路
KR890004366Y1 (ko) 온-후크 다이얼링 및 보류용 송출 전화기
KR940004459B1 (ko) 자동차전화기의 쌍방향 통신을 위한 핸드프리 회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