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640Y1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2640Y1 KR200262640Y1 KR2020010032054U KR20010032054U KR200262640Y1 KR 200262640 Y1 KR200262640 Y1 KR 200262640Y1 KR 2020010032054 U KR2020010032054 U KR 2020010032054U KR 20010032054 U KR20010032054 U KR 20010032054U KR 200262640 Y1 KR200262640 Y1 KR 2002626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lephone
- connection
- case
- handset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선전화기와 상기 이동전화기에 연결하여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유선전화기 및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와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단자 및 상기 이동전화기의 이어마이크폰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전화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광고를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고부착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통화버튼과 상기 통화버튼의 클릭에 의해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이동전화기 또는 상기 송수화기와 상기 유선전화기를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품질문제와 상기 이동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선전화기와 상기 송수화기 및 상기 이동전화기에 연결되어 상기 송수화기의 연결배선을 상기 유선전화기 또는 상기 이동전화기의 연결배선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유선전화기 및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내에서 이동전화를 사용할 때는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작은 소리로 통화하거나 사무실 밖으로 이동하여 통화하는 것이 보편화되어있는데, 이는 이동전화기의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상기 마이크에 사용자의 음성과 함께 입력되는 주변소음이 상기 음성과 함께 증폭되어 상기 수신부로 출력되는 피드백현상에 의해 신호대잡음비(S/N비)가 낮아지는 통화품질 저하로 인해 사용자가 보다 큰 소리를 내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판되고 있는 이어마이크폰 등의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들은 마이크가 사용자의 입 근처에 오도록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기는 통화중일 때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해롭다는 연구결과도 나와있어,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통화품질의 문제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전화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전화기와 유선전화기 및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연결하여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품질문제와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면에 광고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동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상기 광고부착부의 광고를 보도록 광고 효과를 갖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1 - 케이스 12 - 광고부착부
13 - 거치대 21 - 제1전화단자
22 - 제2전화단자 23 - 제3전화단자
30 - 스위치부 31 - 통화버튼
32 - 후크신호검출부 33 - 링신호검출부
34 - 연결제어부 40 - 유선전화기
41 - 송수화기단자 42 - 송수화기
50 - 이동전화기 51 - 이어마이크폰단자
본 고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와 연결되는 제1전화단자와 상기 제1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1연결배선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단자와 연결되는 제2전화단자와 상기 제2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2연결배선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이어마이크폰단자와 연결되는 제3전화단자와 상기 제3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3연결배선,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통화버튼과, 상기 통화버튼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화버튼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제2연결배선 및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통화버튼의 클릭에 의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하고 상기 통화버튼이 클릭되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연결제어부로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전화단자의 제2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유선전화기의 후크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신호검출부와, 상기 제3전화단자의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기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검출부, 및 상기 후크신호검출부와 상기 링신호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링신호와 후크신호에 따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이동전화기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연결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광고를 부착할 수 있는 광고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치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는 축구공형상의 케이스(11)와, 스티커 등의 광고물을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평평하게 패여 형성된 광고부착부(12)와,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유선전화기(40)의 송수화기(42)와 연결되는 제1전화단자(21)와 상기 제1전화단자(21)에서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연결된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1전화단자(21)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전화기(40)의 송수화기단자(41)와 연결되는 제2전화단자(22)와 상기 제2전화단자(22)에서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연결된 제2연결배선과, 상기 케이스(11)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이동전화기(50)의 이어마이크폰단자(51)와 연결되는 제3전화단자(23)와 상기 제3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연결된 제3연결배선, 및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및 상기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치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30)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텍(tact)스위치인 통화버튼(31)과,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화버튼(31)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및 상기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통화버튼(31)의 클릭에 의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통화버튼(31)이 클릭되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전화기(50)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응용주문형집적회로(ASIC)인 연결제어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고부착부가 스위치부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평평한 홈으로 구성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의 변형에 있어서는 상기 광고부착부가 상기 통화버튼의 표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광고부착물을 끼울 수 있는 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전화단자(21)는 유선전화기(40)의 송수화기(42)에 연결되고, 제2전화단자(22)는 상기 유선전화기(40)의 송수화기단자(41)에 연결선으로 연결되며, 제3전화단자(23)는 이동전화기(50)의 이어마이크폰단자(51)에 연결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전화단자(21)와 상기 제2전화단자(22) 및 상기 제3전화단자(23)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서 연결제어부(32)의 각 단자에 연결되는 제1연결배선과 제2연결배선 및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제어부(32)는 상기 유선전화기(40)의 온후크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이동전화기(50)에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상기 통화버튼(31)을 클릭하고 상기 송수화기(42)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제어부(32)는 상기 통화버튼(31)을 클릭하여 발생한 접지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접지신호는 상기 제3연결배선을 통하여 상기 이동전화기(50)로 인가되어 상기 이동전화기(50)는 통화연결상태가 된다.
통화가 끝나면 사용자는 상기 통화버튼(31)을 클릭하거나 상기 유선전화기(40)를 온후크 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전화기(50)에 접지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이동전화기(50)가 통화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연결제어부(32)는 상기 통화버튼(31)을 클릭하여 발생한 접지신호 또는 상기 온후크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의 연결을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의 연결로 전환한다.
(실시예2)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11)가 컴퓨터용 마우스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11)의 상부 후방에 이동전화기(50)를 거치하는 거치대(1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거치대(13)는 이동전화기(5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패인 사각형 형상의 홈으로서, 상기 거치대(13)의 내부는 상기 이동전화기의 다양한 형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가 축구공 또는 마우스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의 변형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가 마스코트, 연예인, 또는 애니메이션 등의 캐릭터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시예3)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버튼(31)을 조작하지 않고도 유선전화기(40)의 송수화기(42)로 이동전화기(50)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스위치부(30)를 구성한 것이다.
본실시예에 따른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의 스위치부(30)는 통화버튼(31)과, 제2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유선전화기(40)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에 따라 상기 제2연결배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유선전화기(40)의 후크신호를 검출하는 후크신호검출부(33)와,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기(50)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검출부(34), 및 상기 통화버튼(31)과 상기 후크신호검출부(33) 및 상기 링신호검출부(34)에 연결되어 상기 통화버튼(31)의 조작 또는 검출된 후크신호와 링신호에 따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전화기(50)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연결제어부(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다른 작용을 설명한다.
통화버튼(31)과 후크신호검출부(33) 및 링신호검출부(34)에 연결된 연결제어부(32)는 제1전화단자(21)와 제2전화단자(22) 및 제3전화단자(23)에 제1연결배선, 제2연결배선, 제3연결배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링신호검출부(34)에서 이동전화기(50)의 링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항상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이동전화기(50)에 전화가 걸려와서 상기 링신호검출부(34)에서 상기 이동전화기(50)의 링신호가 검출되고, 상기 후크신호검출부(33)의 검출신호가 온후크에서 오프후크로 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오프후크가 검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화버튼(31)의 클릭으로 발생하는 접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연결제어부(32)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전화기(50)는 통화연결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통화버튼(31)을 클릭하여 접지신호가 발생하거나 상기 후크신호검출부(33)에서 온후크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연결제어부(32)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본 고안은 이동전화기와 유선전화기 및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연결하여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상기 송수화기를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품질문제와 상기 이동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외측면에 광고부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동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상기 광고부착부의 광고를 보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와 연결되는 제1전화단자와 상기 제1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1연결배선;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단자와 연결되는 제2전화단자와 상기 제2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2연결배선;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이어마이크폰단자와 연결되는 제3전화단자와 상기 제3전화단자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배선된 제3연결배선; 및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통화버튼과, 상기 통화버튼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화버튼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제2연결배선 및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통화버튼의 클릭에 의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통화버튼이 클릭되어 발생하는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상기 이동전화기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연결제어부로 이루어진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유선전화기의 후크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신호검출부;상기 제3연결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전화기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검출부; 및상기 후크신호검출부와 상기 링신호검출부에 연결되어 검출된 링신호와 후크신호에 따라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2연결배선 또는 상기 제1연결배선과 상기 제3연결배선을 교번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접지신호를 상기 제3연결배선에 인가하여 이동전화기의 통화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연결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는 외측면에 광고를 부착할 수 있는 광고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2054U KR200262640Y1 (ko) | 2001-10-19 | 2001-10-19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2054U KR200262640Y1 (ko) | 2001-10-19 | 2001-10-19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2640Y1 true KR200262640Y1 (ko) | 2002-03-18 |
Family
ID=7307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2054U KR200262640Y1 (ko) | 2001-10-19 | 2001-10-19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2640Y1 (ko) |
-
2001
- 2001-10-19 KR KR2020010032054U patent/KR2002626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02461B2 (en) | Radiotelephone headset | |
US7433715B2 (en) | Mobile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 |
US7099706B2 (en) | Hands-free car kit | |
JP4099520B2 (ja) | 移動端末装置及びヘッドセット | |
US20070149262A1 (en) |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 |
KR200262640Y1 (ko)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 | |
KR101144271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 |
US20020110252A1 (en) | Microphone assembly | |
JPH05276587A (ja) | 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 | |
KR20020020394A (ko) | 휴대용 이동 전화기에서 이어 잭을 사용한 착신 경보장치 | |
JP2984599B2 (ja) | 電話機 | |
KR200259991Y1 (ko) |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 연결 어댑터를 구비한이동전화기용 충전기 | |
KR100893295B1 (ko) | 컨버터블 송수화기 및 이를 갖는 전화기 | |
KR200199111Y1 (ko) | 일반전화기에서 인터넷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접속장치 | |
KR200293071Y1 (ko) |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 |
US7003092B1 (en) | Automated microphone switch controlled by a CTI combo | |
KR200283780Y1 (ko) | 무압력 터치핸즈프리 | |
KR200287141Y1 (ko) | 듀얼 마이크 이어폰 | |
JPH11289370A (ja) | 電話装置 | |
KR200185020Y1 (ko) |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겸한 컴퓨터의 사운드카드 | |
JP3102201U (ja) | 通信回線確認装置 | |
KR100342489B1 (ko) |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 |
KR200183280Y1 (ko) |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1수화기) | |
KR200189841Y1 (ko) | 인터넷폰용 콘넥터 | |
KR200193791Y1 (ko) | 컴퓨터 사운드카드의 출력단자를 절환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