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489B1 -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489B1
KR100342489B1 KR1019990060874A KR19990060874A KR100342489B1 KR 100342489 B1 KR100342489 B1 KR 100342489B1 KR 1019990060874 A KR1019990060874 A KR 1019990060874A KR 19990060874 A KR19990060874 A KR 19990060874A KR 100342489 B1 KR100342489 B1 KR 10034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earphone
main body
mobile wireless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433A (ko
Inventor
진해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4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부호화기와 음성 복호화기를 내장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에 있어서,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를 동시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와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기와 연결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동작 여부를 제어하여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ING USING EARPHONE-MICROPHONE OF MOBILE WIRELESS PHONE}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의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마이크(Earphone-Microphone)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이동 무선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와 접속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소음이 많은 곳이나 정숙을 요하는 곳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통화를 할 수가 있다.
한편, 적어도 두 명 이상이 한 사람과 동시에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 유선전화기에서는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전화기들을 한 전화선에 연결하여 통화를 하면 된다. 그리고 이동 무선 단말기가 스피커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는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이동 무선 단말기 사용자들이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가 있다.
그런데 이동 무선 단말기들은 하나의 회선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동 무선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가 본체에 접속되면 본체의 마이크 및 스피커가 디스에이블되고 이어폰 마이크 만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동 무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가 없었다.
도 1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종래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본체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마이크(111)와 이어폰 마이크(112)는 마이크 연결부 (140)에 의하여 이동 무선 단말기 내부의 코덱(CODEC)(110)에 구비되는 음성 부호화기(Voice Encoder)(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 스피커(113)와 이어폰 스피커(114)는 스피커 연결부(150)에 의하여 코덱(110)에 구비되는 음성 복호화기(Voice Decoder)(130)에 연결된다. 즉, 본체 마이크와 스피커(111, 113) 또는 이어폰 마이크와 스피커(112, 114)는 교호하게(Alternately)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 연결부(140)와 상기 스피커 연결부(150)는 코덱(110)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부들(140, 150)의 동작은 종래의 코덱(110)에 의하여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현재 상용화된 코덱(110)은 이와 같이 교호하게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동 무선 단말기의 본체에는 상기 코덱(110) 이외에도 모뎀 칩, RF 처리부, 표시부, 메모리, 키입력부등의 구성이 구비되나, 이들 구성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종래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본체를 연결하는 구성은 이어폰 마이크 장치가 본체에 연결되지 않으면 본체 마이크(111)와 본체 스피커(113)를 각각 음성 부호화기(120)와 음성 복호화기(130)에 연결하였다. 그리고 이어폰 마이크가 본체와 접속되면, 코덱(110)은 이를 감지하고 절환 동작을 수행하여 이어폰 마이크(112)와 이어폰 스피커(114)를 음성 부호화기(120)와 음성 복호화기(130)에 각각 연결하였다. 즉, 종래의 이동 무선 단말기는 이어폰 마이크가 본체에 부착되었을 시에는 이어폰 마이크로만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할 수 있는 이어폰 마이크(Earphone-Microphone)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동 무선 단말기 본체의 마이크/스피커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이어폰 마이크/스피커를 동시에 이용하여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할 수 있는 통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화 장치는, 음성 부호화기와 음성 복호화기를 내장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에 있어서,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를 동시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와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기와 연결하는 제2연결부와,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 수행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동작시키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화 방법은 음성 부호화기와 음성 복호화기를 내장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가 수행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동시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를 동시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와 연결하고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기와 연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종래의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본체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본체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가 되면,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가 모두 이동 무선 단말기 내부의 음성 부호화기에 연결되고, 또한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가 모두 이동 무선 단말기 내부의 음성 복호화기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두 명 이상의 사용자들은 각각 상기 본체 마이크 및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마이크 및 이어폰 스피커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체 마이크/스피커 및 이어폰 마이크/스피커와 음성 부호화기/복호화기의 연결은 코덱의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별도의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는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마이크 장치와 본체의 연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기(280)는 상위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복수 통화모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1연결부(260) 및 제2연결부(270)를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60)는 코덱(2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제어기 (280)의 제어에 의해 본체 마이크(211)와 이어폰 마이크(212)를 코덱(210) 내부의 음성 부호화기 (220)에 연결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270)는 코덱(2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제어기(280)의 제어에 의해 본체 스피커(213)와 이어폰 스피커(214)를 코덱(210) 내부의 음성 복호화기(230)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본체 마이크(211)와 이어폰 마이크(212)가 동시에 연결되면, 두 마이크의 음성신호가 음성 부호화기(220)에 입력되어 두 사람의 음성신호가 동시에 상대방으로 전달된다. 또한 본체 스피커(213)와 이어폰 스피커(214)가 동시에 연결되면, 음성 복호화기(230)로부터 출력되는 상대측의 음성신호가 두 스피커로 동시에 전달된다. 따라서, 한 사람은 이동 무선 단말기 본체를 이용하고 다른 한 사람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코덱(210)에 구비되는 마이크 연결부 (240)가 본체 마이크(211)와 이어폰 마이크(212)를 동시에 연결하고 스피커 연결부(250)가 본페 스피커(213)와 이어폰 스피커(214)를 동시에 연결할 수가 있다면, 상기 코덱(2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260) 및 제2연결부(270)는 생략될 수가 있다. 즉, 코덱(210) 자체가 본체 마이크와 스피커(211, 213) 또는 이어폰 마이크와 스피커(212, 214)를 동시에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면 상기 코덱(2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260) 및 제2연결부(270)는 생략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310단계에서 제어기(280)는 동시 통화 모드가 수행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동시 통화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시 통화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기 (280)는 상기 310단계의 제어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동시 통화 모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어기(280)는 본체 마이크(211)와 이어폰 마이크(212)를 동시에 음성 부호화기(220)와 연결한다. 이때, 제어기 (280)는 제1연결부(260)를 제어하여 상기 마이크들의 동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기(280)는 코덱(210) 자체에서 제공하는 동시 연결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마이크들의 동시 연결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어기(280)는 본체 스피커(213)와 이어폰 스피커(214)를 동시에 음성 복호화기(230)와 연결한다. 이때, 제어기(280)는 제2연결부(250)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동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기(280)는 코덱(210) 자체에서 제공하는 동시 연결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동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330단계에서 제어기(280)는 상기 연결을 유지하여, 두 사람이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한 사람은 이동 무선 단말기 본체를 이용하고 다른 한 사람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상대측과 통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성 부호화기와 음성 복호화기를 내장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에 있어서,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를 동시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와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기와 연결하는 제2연결부와,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 수행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동작시키는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이동 무선 단말기의 통화 장치.
  2. 음성 부호화기와 음성 복호화기를 내장하는 이동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방법에 있어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동시 통화 모드가 수행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사 결과 동시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본체 마이크와 이어폰 마이크를 동시에 상기 음성 부호화기와 연결하고 본체 스피커와 이어폰 스피커를 동시에 상기 음성 복호화기와 연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이동 무선 단말기의 통화 방법.
KR1019990060874A 1999-12-23 1999-12-23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34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874A KR100342489B1 (ko) 1999-12-23 1999-12-23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874A KR100342489B1 (ko) 1999-12-23 1999-12-23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433A KR20010057433A (ko) 2001-07-04
KR100342489B1 true KR100342489B1 (ko) 2002-06-28

Family

ID=1962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874A KR100342489B1 (ko) 1999-12-23 1999-12-23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47B1 (ko) * 2006-09-29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77A (ko) * 1999-09-21 1999-12-06 차창모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177A (ko) * 1999-09-21 1999-12-06 차창모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433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12041A (ja) 携帯電話機接続を有するスピーカホン
KR10034248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 마이크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및 방법
JPH03198436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0057084A (ko) 통화 기능을 구비한 사운드 카드
KR200189400Y1 (ko)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JPH09107328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システム
US7564963B2 (en)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KR200259991Y1 (ko) 이동전화와 유선전화송수화기 연결 어댑터를 구비한이동전화기용 충전기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20030069256A (ko) 다중 통화를 위한 이어폰 마이크 접속장치
KR200193536Y1 (ko) 인터넷 전화를 위한 컴퓨터와 전화기간의 연결장치
KR200287146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168870Y1 (ko) 오디오 청취 및 전화기능을 갖는 다기능 키보드
KR200254448Y1 (ko) 전화기 음량 조절 장치
KR19980057914U (ko) 인터넷 통화기능 전화기
KR2001001812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폰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방법
KR19990024862A (ko)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주변음 청취방법
KR200259992Y1 (ko) 이동전화와 송수화기의 연결어댑터를 구비한 전화기
JP2658698B2 (ja) 電話装置
KR20000036544A (ko) 전화기 인터페이스기능을 갖춘 컴퓨터 사운드카드
JPS6042969A (ja) 電話拡声器
JPH0329550A (ja) 電話装置
JPS62133845A (ja) デイジタル式電話機の受話音量制御回路
KR19990016321A (ko) 핸드셋과 스피커폰 동시 통화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