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452A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452A
KR20080107452A KR1020087024054A KR20087024054A KR20080107452A KR 20080107452 A KR20080107452 A KR 20080107452A KR 1020087024054 A KR1020087024054 A KR 1020087024054A KR 20087024054 A KR20087024054 A KR 20087024054A KR 20080107452 A KR20080107452 A KR 2008010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housing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236B1 (ko
Inventor
야스요시 마쯔모또
쥰이찌 미야자와
미쯔히로 도미따
히사또 다까세
아야꼬 이다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드 커넥터는 대체로 직사각형인 카드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카드는 카드의 전방단에 인접한 제1 측면에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대체로 평행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접촉 패드를 가진다. 절결부는 제1 측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전방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짧은 길이부와, 상기 짧은 길이부로부터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견부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삽입 방향으로 카드를 수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는 상호 이격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을 가진다. 테이퍼진 표면은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잘못 삽입된 카드를 각도를 이루며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제2 측벽 리세스는 잘못 삽입된 카드의 모서리부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제2 측벽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전기 도전성 단자가 하우징에 장착되며 카드가 절연 하우징으로 바르게 삽입될 시에 카드의 접촉 패드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금속 쉘이 하우징에 장착된다.
카드, 카드 커넥터, 절연 하우징, 절결부, 전기 도전성 단자

Description

카드 커넥터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또는 이동식 전화, PDA(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뮤직 플레이어, 게임기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전자 장치는 미니 SD®카드, 트랜스플래시®카드, 마이크로SD®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카드용으로 구성된 카드 커넥터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의 급속한 소형화에 따라 메모리 카드 및 카드 커넥터도 급속도로 소형화되고 있다. 카드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작동 버튼 등의 부재가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한, 전자 장치의 측면과 하부면 등, 시각적으로 잘 확인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카드는 반전되어, 즉 잘못 삽입될 수 있다. 카드가 잘못 삽입되면, 카드의 패드 이외의 다른 외측 영역이 카드 커넥터의 접속 단자에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속 단자가 굴곡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4-335172호에는 카드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는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12는 종래의 카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2에서, 도면부호 301은 카드 커넥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섀시(chassis)를 지시한다. 섀시(301)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성형 부품인 기부(302)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부(302)에 고정된 커버(303)를 가진다. 카드가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삽입 공간이 섀시(301)에 제공되고, 카드 삽입 개구(304)는 케이싱(301)의 후방단에 형성된다. 카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305)은 기부(302)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다. 카드 삽입 개구(304)를 통해 삽입된 카드는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안내 홈(3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금속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단자(308)는 기부(302)의 전방단 근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단자가 섀시(301)의 내부로 삽입된 카드의 면형 전극과 접촉되어 이에 전기적 전도를 형성한다.
커버(303)에는 기부(302)의 개방 상부면을 커버링하기 위한 면판부(306)가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 면판부(306)에는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 돌출부(307)가 제공된다. 카드가 반전되어, 즉 잘못 삽입되면,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전방 상부 에지가 결합 돌출부(307)에 대해 접하게 되어 카드가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지된다. 이는 잘못 삽입된 카드로 인해 발생되는 단자(308)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카드가 바르게 삽입되면, 결합 돌출부(307)는 카드의 상부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리세스부로 수납된다. 따라서, 바르게 삽입된 카드는 섀시(301)의 내부에서 전방단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카드의 면형 전극이 단자(308)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전도를 설정한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카드 커넥터가 커버(303)에 형성된 결합 돌출부(307)를 가지고 있지만, 결합 돌출부(307)를 수납하기 위한 리세스부가 카드의 상부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크기 및 두께가 작은 카드에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소형 카드의 사용을 상당히 어렵게 한다. 또한, 결합 돌출부(307)는 정확하게 삽입된 카드를 보유하기 위한 우선 수단이면서 부정확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 돌출부의 일부는 카드와 접할 시에 카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영향을 받아, 돌출부(307)와 상기 돌출부(307) 주변의 커버(303)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카드가 잘못 삽입된 경우, 카드의 일부는 결합 돌출부(307)로부터의 반력에 영향을 받아, 카드의 외벽을 형성하는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카드 커넥터로 인해 발생된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의 잘못된 삽입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제1 측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테이퍼진 견부에 대해 접하는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제2 측벽부에 형성된 결합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이런 구조에서, 잘못 삽입된 카드는 돌출부의 테이퍼진 표면을 따라 이동하고, 카드의 견부는 제2 측벽부의 전방 측면에 대해 접하여 회전식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카드의 전방단의 제1 측면의 모서리부는 결합 리세스부로 삽입되어 수납부에 접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가 소형일지라도 카드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카드 커넥터의 복수의 위치는 잘못 삽입된 카드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되어, 카드는 카드 커넥터의 안쪽으로 추가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는 카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으며 카드는 손상으로부터 자유롭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단자 부재가 제공되고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카드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카드의 단자 부재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평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가 제공된다. 카드는 제1 측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제1 절결부와,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고 상기 전방단으로부터 후방단까지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과, 선형부의 후방단 측면에 연결된 테이퍼진 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결부는 상기 전방단의 제1 모서리부로부터 선형으로 연장되는 선형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카드의 올바른 삽입시에 삽입된 카드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와, 전술된 견부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측벽부로부터 제2 측벽부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제1 모서리부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제2 측벽부에 형성된 결합 리세스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바르게 삽입된 카드를 하우징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활주 부재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활주 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전술된 구조에서, 활주 부재가 잠금 위치에 정지되고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인가하는 가압 작동에 의해 활주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 지점에 도달되면, 활주 부재는 가압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단자 지점으로부터 이동하여 카드를 인출시킨다. 활주 부재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각각의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가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제2 측면과 견부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접촉부와 견부 접촉부를 삽입 방향에 따른 카드의 전방 측단부에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견부 접촉부로부터 결합 리세스부까지의 길이가 선형부의 길이보다 길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결합 리세스부가 제1 모서리부의 반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제2 측면 접촉부로부터 테이퍼진 표면까지의 길이가 선형부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하우징이 결합 리세스부보다 삽입 방향에 따른 보다 안쪽에 위치된 위치에 형성된 리세스부를 가지고 케이스는 리세스부와 결합되는 제1 지지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하우징이 제2 측면 접촉부와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가지고, 케이스는 리세스부와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단자를 구비하고 하우징에 삽입되는 카드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카드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평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한다. 카드는 제1 측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제1 절결부와,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고 전방단의 제2 모서리부로부터 후방단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을 가진다. 카드 커넥터의 제1 측면 에지부는 바른 자세로 삽입된 카드의 제1 절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결합부는 잘못 삽입된 카드를 카드 커넥터의 제2 측면 에지부로 이동시키도록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2 측면 에지부는 카드가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제1 절결부의 견부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견부 접촉부와, 카드의 전방단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수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카드 커넥터는 제1 측면 에지부가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제2 측면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더 구비하여, 카드가 수납부 및 유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제1 측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테이퍼진 견부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테이퍼진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제2 측벽부에 형성된 결합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잘못 삽입된 카드가 돌출부의 테이퍼진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 카드의 견부는 제2 측벽부의 전방 측단부에 대해 접하여 회전되고, 이에 따라 카드의 전방단의 제1 측면의 모서리부는 결합 리세스부로 삽입되어 수납부에 대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카드 커넥터의 복수의 위치는 잘못 삽입된 카드의 복수의 위치에 대해 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드는 추가의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카드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인한 카드 커넥터 및 카드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이 배제된다. 이에 따라, 소형 카드의 잘못된 삽입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명료함을 위해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이 제거되거나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전극 측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전극 측면의 배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로 잘못 삽입되기 전의 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이 제거되거나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로 잘못 삽입되는 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이 제거되거나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로 잘못 삽입되어 측방향으로 경사진 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이 제거되거나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카드 커넥터로부터 쉘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9는 제1 실시예의 커넥터에 쉘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8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10은 쉘이 카드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 서, 제1 실시예에 따라 잘못된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잘못된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12는 종래의 카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카드 커넥터(10)는 (도시되지 않은) 전자 장치에 제공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21)에 장착된다. 카드(31)는 카드 커넥터(10)로 삽입되어, 카드(31)는 카드 커넥터(10)를 거쳐 전자 장치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또는 이동식 전화기, PDA,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뮤직 플레이어, 게임기,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임의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카드(31)는 대체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이다. 카드(31)의 일 표면의 전방단(33) 근처 영역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부재로서 작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접촉 패드(32)가 배열되고 노출된다. 카드(31)의 다른 표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패드(32)가 배열되지 않는다. 카드(31)는 제1 측면(34)의 전방단(33) 근처 영역에 형성된 제1 절결부(36)와, 제1 측면(34)의 제1 절결부(36)보다 후방단(38) 근처 영역에 형성된 제2 절결부(37)를 가진다. 제1 측면(34)에 대향 및 평행한 제2 측면(35)은 절결부를 가지지 않으며 카드(3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표면상의 접촉 패드(32)로부터 관망했을 때 제1 측면(34)은 좌측 장측면에 해당하고, 제2 측면(35)은 접촉 패드(32)로부터 관망했을 때 우측 장측면에 해당한다.
제1 절결부(36)는 전방단(33)으로부터 후방단(38)으로 연장하는 선형부(36a)와, 상기 선형부(36a)의 후방단(38) 측에 연결된 테이퍼진 견부(36b)를 가진다. 선형부(36a)는 제2 측면(35)과 평행하다. 카드(31)의 선형부(36a)의 폭(도3 및 도4에서 측방향에 따른 치수)은 나머지의 폭보다 좁다. 카드(31)의 선형부(36a)와 전방단(33)이 상호 연결되는 구역과, 카드(31)의 제2 측면(35)과 전방단(33)이 상호 연결되는 구역, 즉 제1 측면(34)의 제1 모서리부로서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와, 전방단(33)의 제2 측면(35)의 제2 모서리부로서 제2 전방단 모서리부(33b)는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인 외부 원형면을 가진다. 나머지 부분보다 두께(도3 및 도4에서 수직 방향에 따른 치수)가 두꺼운 두께부(38a)는 카드(31)의 후방단(38) 근처 영역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31)는 예를 들면, 미니 SD®카드, 트랜스플래시®카드, 마이크로SD®카드 등과 같은 IC 카드인 임의 유형의 카드일 수 있고, 제1 측면(34)의 전방단(33) 근처에 형성된 테이퍼진 견부(36b)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카드(31)가 마이크로SD®카드임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커넥터(10)의 부품들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향, 하향, 좌측, 우측, 전방, 그리고 후방과 같은 각각의 방향성 용어는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이다. 즉, 이들 용어는 커넥터(10) 및 상기 커넥터 의 부품들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카드 커넥터(10) 및 상기 카드 커넥터 부품들의 위치가 변경되면, 카드 커넥터(10) 및 상기 카드 커넥터 부품들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이들 상세한 설명도 변경되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카드 커넥터(10)는 카드(31)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케이스로서 기능하는 쉘(12)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재료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쉘은 펀칭, 벤딩 등을 포함한 기계 가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쉘(12)의 평탄면으로서 제공된 상부면(12a)은 평판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드 커넥터(10)에 삽입된 카드(31)의 일부를 커버하며, 활주 부재(14)의 작동이 수행되는 범위 전체에 걸쳐 활주 부재(14)를 커버한다. 카드 커넥터(10)는 대체로 평탄한 직사각형 본체의 형상이고, 기판(21)의 표면에 장착된다. 카드(31)는 카드 커넥터(10)의 전방으로부터(도1에서는 우측에서 상향으로, 도2에서는 좌측에서 하향으로) 삽입된다. 이 단계에서, 이하는 표면에 아래로 향한 접촉 패드(32)를 구비한 카드(31)가 카드 커넥터(10)로 삽입된다는 가정하에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카드(31)가 삽입되면, 카드(31)의 제1 측면(34)과 제2 측면(35)은 카드 커넥터(10)의 제1 측면 에지(10a)와 제2 측면 에지(10b)를 따라 각각 이동한다.
또한, 도1은 설명을 위해 쉘(12)이 제거되거나 생략된 상태의 카드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카드(31)의 삽입 방향 에 대해 전방인(도1에서 볼때 우측 상향측의) 전방 에지 측이 대체로 U자 형상으로 절결된 형상을 갖는 바닥벽부(11a)와, 상기 바닥벽부(11a)의 후방의 후방 에지를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바닥벽부(11a)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는 후방벽부(11b)를 가진다. 바닥벽부(11a)의 상부면에는 전후 반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단자 장착 슬롯(11e)이 제공된다. 접속 단자로서 작동할 수 있는 단자(13)는 상기 단자 장착 슬롯으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각의 단자(13)의 근부(root part)는 단자 장착 슬롯(11e) 내의 바닥벽부(11a)의 전방측의 에지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단자의 선단(13b)은 경사를 이루며 후방벽부(11b) 쪽으로 상향 연장되어 하부벽부(11a)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단자(13)의 선단(13b)은 접촉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선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 패드(32)에 접촉된다. 각각의 단자(13)의 근부로부터 연장되는 납땜 미부(13a)는 바닥벽부(11a)의 전방측의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기판(21)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즉 대응 단자부(22)에 접속되도록 배치된 신호 라인, 접촉 패드 및 단자 등에 납땜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1)은 바닥벽부(11a)의 일측면 에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L"형상의 단면을 갖는 측부로서의 제1 측벽부(11c)와, 바닥벽부(11a)의 타측면 에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로서의 제2 측벽부(11d)를 가진다. 제1 측벽부(11c)와 제2 측벽부(11d)는 카드 커넥터(10)의 제1 측면 에지부(10a)와 제2 측면 에지부(10b)에 각각 대응한다.
카드 커넥터(10)는 카드를 카드 커넥터(10)로 삽입할 시에 그리고 카드(31) 를 카드 커넥터(10)로부터 제거할 시에 카드(31)를 가압해야 하는 소위 가압-가압 유형(push-push)이거나 가압/인출(push in/push out) 유형이다. 따라서, 카드(31)를 안내하기 위한 카드 안내 기구의 활주 부재(14)는, 상기 활주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즉 카드(31)의 삽입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제1 측벽부(11c)에 부착된다.
활주 부재(14)는 카드(31)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제1 결합부(14a)와 제2 결합부(14b)를 가진다. 제1 결합부(14a)는 경사면인 테이퍼진 표면(14c)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진 표면은 카드(31)의 제1 절결부(36)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제1 절결부(36)의 견부(36b)에 대해 접한다. 즉, 제1 결합부(14a)는 제1 측벽부(11c)로부터 제2 측벽부(11d)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테이퍼진 표면(14c)은 카드(31)의 삽입 방향에서 제1 결합부(14a)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선형부(36a)와 대향하는 평탄면(14f)은 테이퍼진 표면(14c)의 먼쪽에 형성된다. 평탄면(14f)은 카드(3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결합부(14b)는 카드(31)의 제2 절결부(37)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활주 부재(14)의 내부에서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카드(31)의 삽입 방향에서 제1 결합부(14a)보다 가까운 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활주 부재(14)는 제1 결합부(14a) 및 제2 결합부(14b)에 의해 카드(31)를 유지하여 카드(31)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가압 부재(15; urging member)는 활주 부재(14)를 전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부재로서 제공되고 제1 측벽부(11c)에 고정된다. 가압 부재(15)의 양 단부는 활주 부재(14)의 후방단과 후방벽부(11b)의 백스톱(backstop; 11f)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15)는 카드(31)의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즉 카드(31)의 인출 방향으로 활주 부재(14)를 가압할 수 있다.
고정 캠인 핀 부재(17)의 일 단부는 백스톱(11f)에 결합되고, 핀 부재(17)의 타 단부는 활주 부재(14)의 상부면에 형성된 활주 캠인 캠 홈(14e)에 결합되어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핀 부재(17)는 캠 홈(14e)과 협동하여 카드(31)와 함께 활주 부재(14)를 이동시켜 가압-가압 작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술된 카드 안내 기구는 카드(31)에 인가된 가압 작동에 의해 카드가 단자에 도달할 때까지 카드(31)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가압 부재(15)의 가압력에 의해 카드(31)가 카드 커넥터로부터 인출되도록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단자로부터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핀 부재(17)와 캠 홈(14e)에 의해 가압-가압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캠 기구는 종래 기술에 널리 공지되어 있기에, 본 명세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측벽부(11c)는 카드(31)를 인출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활주 부재(14)를 정지시키는 정지 부재로서 작동할 수 있는 정지부(11g)와 함께 이의 전방단에 형성된다. 정지부(11g)의 전방단 내부의 모서리부는 유지부로서 작동하는 제2 측면 접촉부(11h)이고, 카드(31)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잘못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측면 접촉부에 카드(31)의 제2 측면(35)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촉부(11h)의 전방단 측면에 제공된 리세스부는 제2 측면 접촉 지지부(11m)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면 접촉 지지부는 리세스부로서 작동하며, 상기 리세스부에는 쉘(12)의 일부가 결합되어,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 제2 측면 접촉 지지부(11m)는 제2 측면 접촉부(11h)가 카드(31)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쉘(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결합 리세스부로서 제공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는 제2 측벽부(11d)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부는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 카드(31)의 전방단(33)에 제1 측면(34)의 모서리부, 즉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가 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는 제2 측벽부(11d)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를 관통하는 개구로서 형성된다. 다르게는, 제2 측벽부(11d)의 내부의 측면이 외향으로 리세스되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부일 수 있다. 이 경우, 리세스부의 깊이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의 깊이는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의 외측면의 반경보다 크다. 또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길이, 즉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전방단 벽(11p)으로부터 수납부로서의 후방단 벽(11n)까지의 치수는 전방단 모서리부(33a)의 외측면의 반경보다 적어도 2배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는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로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카드(31)의 삽입 방향과 관련하여, 다른 리세스부가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 벽(11n)보다 안쪽 측면에 형성된다. 이 리세스부는 리세스부로서 제공된 전방단 접촉 지지부(11k)를 형성하고, 이에 쉘(12)의 일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 이 리세스부는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 벽(11n)이 카드(31)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쉘(12)에 의해 지 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측벽부(11d)의 전방단 내부의 모서리부는 견부 접촉부(11i)를 형성하고,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 카드(31)의 견부(36b)는 상기 견부 접촉부와 접한다. 이 단계에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쉘(12)의 일부에 결합되는 제2 측면 접촉 지지부(11m)가 필요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면, 이 지지부는 견부 접촉부(11i)가 카드(31)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쉘(12)에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가 배열되는 위치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배열되는 위치는 결합 리세스부(11j)의 전방단으로부터 견부 접촉부(11i)까지의 길이[보다 정확하게는, 카드(31)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전방 측면의 단부로부터 견부 접촉부(11i)까지의 길이]가 카드(31)의 선형부(36a)의 길이보다 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면, 카드(31)의 견부(36b)가 견부 접촉부(11i)와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가 전방단 결합 리세스(11j)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 접촉부(11h)와 견부 접촉부(11i)는 카드(31)의 삽입 방향을 따라 대체로 동일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활주 부재(14)의 테이퍼진 표면(14c)과 제1 결합부(14a)는 활주 부재(14)가 정지부(11g)와 접한 상태에서, 제2 측면 접촉부(11h)로부터 테이퍼진 표면(14c)까지의 길이가 카드(31)의 선형부(36a)의 길이보다 짧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드가 잘못 삽입되면, 카드(31)의 제2 전방단 모서리부(33b)는 테이퍼진 표면(14c)을 따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카드(31) 전체는 제2 측벽부(11d)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14a)와 테이퍼진 표면(14c)은, 활주 부재(14)가 정지부(11g)와 접한 상태에서 제2 측면 접촉부(11h)로부터 제1 결합부(14a)의 상부, 즉 테이퍼진 표면(14c)의 후방벽부(11b)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카드(31)의 선형부(36a)의 길이보다 짧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면, 제2 측벽부(11d)로의 전체 카드(31)의 이동은, 카드(31)의 견부(36b)가 견부 접촉부(11i)와 접하기 전에 완료될 수 있다.
또한, 활주 부재(14)의 평탄면(14f)과 제2 측벽부(11d)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는 카드(31)의 선형부(36a)의 폭보다 약간 크게, 그리고 카드(31)의 제1 측면(34)과 제2 측면(35) 사이의 거리보다는 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드(31)가 바르게 삽입되면, 활주 부재(14)의 제1 결합부(14a)와 카드(31)의 제1 절결부(36)의 결합은, 카드(31)의 선형부(36a)가 활주 부재(14)의 평탄면(14f)과 접촉되거나 또는 인접되도록 하며, 또한, 카드(31)의 제2 측면(35)이 제2 측벽부(11d)의 내측면과 접촉되거나 인접되도록 한다. 따라서, 카드(31)가 제2 측벽부(11d)를 따라 활주 부재(14)와 함께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전술된 구조의 카드 커넥터(10)의 작동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는 카드(31)가 카드 커넥터(10)에 바르게 위치되는 경우, 즉 카드(10)의 올바른 삽입의 경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카드 커넥터(10)의 전방측으로부터 카드(31)를 수동으로(손과 손가락으로 이용하여) 삽입한다. 카드(31)는 카드의 전방단(33)이 하우징(11)의 후방벽부(11b)로 향하도록 삽입되고, 접촉 패드(32)가 제공된 표면이 기판(21)에 대향하며 위치되고, 접촉 패드(32)가 제공되지 않은 표면이 쉘(12)의 상부면(12a)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카드(31)의 제1 측면(34)은 하우징(11)의 제1 측벽부(11c)를 따라 이동되고, 카드의 제2 측면(35)은 하우징(11)의 제2 측벽부(11d)를 따라 이동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카드(31)를 카드 커넥터(10)의 내부로 가압하면, 활주 부재(14)의 제1 및 제2결합부(14a, 14b)는 카드(31)의 제1 및 제2 절결부(36, 37)에 각각 결합되며, 이에 의해 카드(31)는 활주 부재(14)와 함께 후방벽부(11b)로 이동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 및 손가락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은 제1 결합부(14a)의 테이퍼진 표면(14c)을 통해 카드(31)의 견부(36b)로부터 활주 부재(14)로 전달된다. 다음, 활주 부재(14)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가압 부재(15)를 압축하고, 이에 따라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가압 부재(15)의 척력(repulsive force)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활주 부재와 카드는 척력이 사용자의 손 및 손가락 등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보다 작기 때문에 척력에 대항하며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활주 부재(14)는 제1 측벽부(11c)를 따라 활주하고, 카드(31)는 활주 부재(14)와 함께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카드(31)의 제1 측면(34) 및 제2 측면(35)은 하우징(11)의 제1 측벽부(11c) 및 제2 측벽부(11d)를 따라 각각 이동한다. 이후에,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완전 전진 위치에 있는 단자에 도달하여 완전 스트로크 상태로 삽입된다.
다음, 사용자가 카드(31)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카드(31)를 가압하는 작동을 중지하면, 가압 부재(15)의 척력은 활주 부재(14)와 카드(31)를 후방벽부(1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카드(31)가 카드 커넥터(10)의 잠금 상태에 유지되는 잠금 위치에 정지된다. 이는 활주 부재(14)의 캠 홈(14e)에 결합된 핀 부재(17)가 캠 홈(14e)의 일부와 결합되어, 활주 부재(14)의 운동을 중지시켜 잠금 위치에 활주 부재(14)를 정지시키기 때문이다.
다음, 카드(31)는 잠금 위치에 유지되고, 이에 의해 카드 커넥터(10)가 장착된 기판(21)이 제공된 작동 수단과 전자 장치 등으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가져온다. 카드(31)가 잠금 위치에 유지되면, 카드(31)의 접촉 패드(32)는 단자(13)의 선단(13b)과 접촉되어 전기적 전도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카드 커넥터(10)로부터 카드(31)의 인출 및 제거에 대해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 및 손가락 등으로 카드(31)를 가압하면,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잠금 위치로부터 후방벽부(11b)로 제거된다. 또한, 카드(31)에 대한 가압은 활주 부재(14)와 카드(31)를 완전 전진 위치에 있는 단자로 도달토록 하여 완전 스트로크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카드(31)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카드(31)를 가압하는 작동을 중지하면, 가압 부재(15)의 척력은 활주 부재(14)와 카드(31)를 후방 벽부(1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잠금 위치의 방향으로 되돌린다. 이 경우, 활주 부재(14)가 잠금 위치에 도달하더라도, 활주 부재(14)의 캠 홈(14e)에 결합된 핀 부재(17)는 캠 홈(14e)의 일부와 결합되지 않고, 이에 따라 활주 부재(14)의 작동이 제한될 수 없기에 잠금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잠금 위치를 지나 카드(31)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더 이동된다.
활주 부재(14)의 전방단이 정지부(11g)에 대한 접하게 되면, 활주 부재(14)와 카드(31)는 정지된다. 이때, 카드(31)의 제1 및 제2 절결부(36, 37)와 활주 부재(14)의 제1 및 제2 결합부(14a, 14b) 사이의 결합은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활주 부재(14)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더라도, 카드(31)는 카드 커넥터(10)로부터 이동되지 않을 것이며, 그 이유는 카드가 활주 부재(14)의 제1 및 제2 결합부(14a ,14b)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지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는 카드(31)의 손실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활주 부재(14)가 정지부(11g)에 대해 카드와 접한 상태로 정지되어 있는 경우, 활주 부재(14)의 제1 및 제2 결합부(14a, 14b)가 카드(31)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힘은 카드(31)를 해제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손 및 손가락 등으로 사용자가 카드(31)를 인출하는 힘보단 충분히 약하다. 따라서, 정지부(11g)에 대해 접한 상태로 정지되어 있는 활주 부재(14)의 제1 및 제2 결합부(14a, 14b)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지된 카드(31)는, 사용자의 손 및 손가락 등으로 이를 인출하여 활주 부재(14)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카드(31)가 뒤집혀서 삽입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
사용자가 카드(31)의 상태 또는 위치에 대해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카드 커넥터(10)의 전방으로부터 카드(31)를 삽입할 경우, 잘못된 삽입이 발생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카드(31)가 뒤집혀서 삽입된다. 즉, 접촉 패드(32)가 제공된 표면이 쉘(12)의 상부면(12a)에 대향하여 삽입되고, 접촉 패드(32)가 제공되지 않은 표면이 기판(21)에 대향하여 삽입된다. 도5에서, 쉘(12)은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카드 커넥터(10)로부터 제거되거나 생략된다.
카드(31)의 전방단(33)이 카드 커넥터(10)로 삽입되면, 전방단(33)의 제2 측면(35)의 모서리부인 제2 전방단 모서리부(33b)는 활주 부재(14)의 테이퍼진 표면(14c)과 접촉하게 된다. 테이퍼진 표면(14c)은 활주 부재(14)의 내부에 있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제1 결합부(14a)에서 카드(31)의 삽입 방향의 전방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카드(31)가 이런 상태로 이동하면, 제2 전방단 모서리부(33b)는 테이퍼진 표면(14c)에 의해 안내되고, 이에 의해 카드(31)는 제2 측벽부(11d) 쪽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즉, 카드(31)는 카드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측벽부(11d)에 도달한다.
여기서, 카드(31)의 폭은 선형부(36a)의 나머지 부분보다 좁고, 상기 선형부(36a)는 제1 결합부(14a)에 결합되는 제1 절결부(36)의 일부이다. 따라서, 선형부(36a)에서의 카드(31)의 폭과 나머지 부분에서의 카드(31)의 폭 간의 차이는 제1 결합부(14a)의 돌출된 크기와 대략 동일하다. 이는 카드(31)가 제2 측벽부(11d) 쪽으로 제1 결합부(14a)의 돌출된 크기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잘못 삽입된 카드(31)는 활주 부재(14)의 제1 결합부(14a)만큼 이격되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측면 접촉부(11h)로부터 테이퍼진 표면(14c)의 후방벽부(11b)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카드(31)의 선형부(36a)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벽부(11d)쪽으로의 카드(31)의 완전 이동은 견부(36b)가 견부 접촉부(11i)에 대해 접하기 전에 완료된다. 그 결과, 선형부(36a)는 제2 측벽부(11d)의 내측면에 접하거나 인접한다. 여기서, 카드(31)의 제2 측면(35)은 제2 측면 접촉부(11h)로부터 멀어진다.
이어서, 사용자가 삽입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카드(31)를 카드(31)의 후방단(38)으로 더 가압하면, 카드(31)는 후방단(38)이 하우징(11)의 제1 측벽부(11c)로 이동하는 방향, 즉 도6을 상부에서 관망했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이유는 카드(31)의 제2 전방단 모서리부(33b)가 활주 부재(14)에 대해 접하고, 테이퍼진 견부(36b)가 견부 접촉부(11i)에 대해 접하며, 제2 측면(35)이 제2 측면 접촉부(11h)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가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로 삽입되어 후방단 벽(11n)에 대해 접하면,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의 삽입이 정지되고 카드(31)의 전진이 제한되어,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야기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12)은 하우징(11)의 제2 측벽 부(11d)에 대응하는 측벽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지지부(12b)와, 하우징(11)의 제1 측벽부(11c)의 전방단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지지부(12c)를 가진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쉘(12)이 하우징(11)에 장착되면, 제1 지지부(12b)는 하우징(11)의 전방단 접촉 지지부(11k)와 접하여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벽(11n)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12c)는 하우징(11)의 제2 측면 접촉 지지부(11m)와 결합하여 제2 측면 접촉부(11h)를 지지한다.
도7 내지 도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드(31)는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위치를 취하게 된다. 도7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31)의 제2 측면(35)은 제2 측면 접촉부(11h)와 접한다. 이때, 도10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는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 벽(11n)에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잘못 삽입된 카드(31)는 하우징(11)의 복수의 위치와 카드의 복수의 위치의 접촉에 의해 추가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즉, 카드(31)의 추가적 이동은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벽(11n)에 대한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의 접촉과, 제2 측면 접촉부(11h)에 대한 제2 측면(35)의 접촉과, 견부 접촉부(11i)에 대한 견부(36b)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이때,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와, 제2 측면 접촉부(11h)와 하우징(11)의 견부 접촉부(11)는 카드(31)의 임의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잘못된 삽입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다음, 카드(31)는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에 대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접촉과, 제2 측면(35)에 대한 제2 측면 접촉부(11h)의 접촉과, 견 부(36b)에 대한 견부 접촉부(11i)의 접촉에 의해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정지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31)의 접촉 패드(32)가 제공된 표면에 대한 접촉이 없기 때문에 단자(13)의 선단(13b)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이 배제된다.
또한, 카드(31)는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와, 제2 측면(35)과, 견부(36b)를 통해 하우징(11)에 접한다. 카드(31)가 카드(31)의 추가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반작용력에 영향을 받지만, 반작용력은 카드(31)와 접촉하는 복수의 위치로 분산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11)으로부터의 반작용력의 영향을 받더라도 카드(31)에 대한 손상을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또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와, 제2 측면 접촉부(11h)와, 견부 접촉부(11i)에 대해 접하는 카드(31)는 합성 수지와, 금속과 같은 강성 재료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 또한 카드(31)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한편, 하우징(11)은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와 제2 측면 접촉부(11h)와, 견부 접촉부(11i)를 통해 카드(31)와 접한다. 하우징(11)이 카드(31)의 삽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상기 삽입력은 하우징(11)과 접촉하는 복수의 위치로 분산될 수 있다. 이는 카드(31)에 의해 인가된 힘에 영향을 받더라도 하우징(11)에 대한 손상을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또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벽(11n)이 전방단 접촉 지지부(11k)와 쉘(12)의 제1 지지부(12b)의 결합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카드(31)에 의한 삽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더라도 하우징(11)에 대한 손상 및 변형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측면 접촉부(11h)가 쉘(12) 의 제2 지지부(12c)와 카드(31)의 제2 측면 접촉 지지부(11m)의 접촉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카드(31)의 잘못된 삽입에 의한 삽입력의 영향을 받더라도 하우징(11)에 손상 및 변형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다르게는, 카드(31)가 쉘(12)의 모서리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1 지지부(12b)가 카드(31)의 전방단(33)을 직접 수용하고, 그리고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의 후방단벽(11n)이 제1 지지부(12b)를 지지하도록, 제1 지지부(12b)의 선단은 벤딩을 포함한 기계 가공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드 커넥터(10)가 카드 안내 기구를 가지고, 제1 측벽부(11c)로부터 제2 측벽부(11d)로 돌출된 돌출부가 활주 부재(14)의 제1 결합부(14a)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르게는, 카드 커넥터(10)에는 카드 안내 기구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는 카드(31)의 테이퍼진 표면(14c)과 견부(36a)를 포함하고 제1 측벽부(11c)로부터 제2 측벽부(11d)로 돌출된 임의 유형의 돌출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는 제1 측벽부(11c)에 부착된 돌출형 탄성 본체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커넥터(10)는 카드(31)가 삽입되는 하우징(11)을 가진다. 하우징(11)에는 바른 자세로 삽입된 카드(31)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34, 35)에 대향하며 카드(3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벽부(11c, 11d)가 각각 제공되고, 카드(31)의 견부(36b)에 대해 접하는 테이퍼진 표면(14c)을 포함하며 제1 측벽부(11c)로부터 제2 측벽부(11d)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제공되며,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제2 측벽부(11d)에 형성된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가 제공된다.
이런 구조에서, 잘못 삽입된 카드(31)가 테이퍼진 표면(14c)을 따라 이동하면, 카드(31)의 견부(36b)는 제2 측벽부(11d)의 전방단에 대해 접하여 회전되고, 이에 의해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는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로 삽입된다. 따라서, 카드(31)의 복수의 위치에 대한 하우징(11)의 복수의 위치의 접촉은 카드(31)의 임의의 추가적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카드(31) 삽입력에 의한 하우징(11) 및 카드(31)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따라서, 소형인 카드(31)의 잘못된 삽입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간단한 구조가 카드(31)의 잘못된 삽입의 방지를 보장한다. 또한,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임의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부품의 개수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카드(31)는 손상되지 않는다.
카드 커넥터(10)는 활주 부재(14)에 달성된 카드 안내 기구와, 카드(31)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활주 부재(14)를 가압하도록 배열된 가압 부재(15)를 추가로 구비한다. 즉, 활주 부재(14)를 잠금 위치에 정지시키고 카드(31)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작용에 의해 활주 부재(14)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에 도달하면, 가압 부재(15)의 가압력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활주 부재(14)를 단자로부터 이동시켜 카드(31)를 인출시킨다. 전술된 돌출부는 활주 부재(14)의 제1 결합부(14a)에 대응한다. 가압-가압 작동은 카드(31)의 삽입 및 인출을 간단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는 작동 및 효과가 동일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잘못된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제1 실시예의 카드 커넥터(10)는 접촉 패드(32)가 제공된 표면이 기판(21)에 대향하고, 접촉 패드(32)가 제공되지 않은 표면이 쉘(12)의 상부면(12a)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카드(31)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제2 실시예의 카드 커넥터(10)는 접촉 패드가 제공된 표면이 쉘(12)의 상부면(12a)에 대향하고, 접촉 패드(32)가 제공되지 않은 표면이 기판(21)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카드(31)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실시예에서, 카드(31)는 카드 커넥터에 잘못 삽입된다. 즉 뒤집혀서 삽입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접촉 패드(32)가 위쪽을 향하고 절결부(36)가 도11의 좌측을 향하면서 바르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카드(31)의 삽입 방향과 관련하여 쉘(12)의 일부와 하우징(11)의 일부 사이의 위치 관계는 좌우측 방향으로 반대이다. 또한, 후방벽부(11b)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단자 장착 슬롯(11q)이 제공되고, 단자(13)의 근부는 상기 단자 장착 슬롯(11q)으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각의 단자(13)는 하우징(11)의 전방 에지 측부로 연장되고 단자의 선단(13b)은 하향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단자는 카드(31)의 상부면에 제공된 접촉 패드(3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외에,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 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카드(31)가 바르게 삽입되는 경우의 작동은, 카드(31)가 뒤집힌 상태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에 대한 작동 설명을 생략한다.
카드(31)가 잘못 삽입되는 경우의 작동은, 카드(31)가 뒤집힌 상태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다. 즉, 카드(31)의 회전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 카드(31)는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카드(31)의 제1 전방단 모서리부(33a)는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로 삽입되고, 제2 측면(35)은 제2 측면 접촉부(11h)에 대해 접하거나 충돌되며, 견부(36b)는 견부 접촉부(11i)에 대해 접하게되어, 카드(31)의 임의의 전진을 방지한다.
그 외에,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작동은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카드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단자(13)가 하우징(11)의 전방 에지 측면 쪽으로 연장하는 커넥터에서, 카드(31)가 잘못 삽입되어 단자(13)에 접촉되면, 단자(13)는 버클링(buckling)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견부 접촉부(11i)와, 전방단 결합 리세스부(11j)와, 제2 측면 접촉부(11h)는 카드(31)의 임의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잘못된 삽입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는 잘못 삽입된 카드(31)가 단자(13)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13)가 버클링에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 을 알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다.

Claims (12)

  1. 대체로 직사각형인 카드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로서, 카드는 상기 카드의 전방단에 인접한 제1 측면에 형성된 절결부를 갖는 대체로 평행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접촉 패드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제1 측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전방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짧은 길이부와, 상기 짧은 길이부로부터 제1 측면으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견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이며,
    삽입 방향으로 카드를 수납하기 위해 내부에 공동을 형성하는 상호 이격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잘못 삽입된 카드를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며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한 테이퍼진 표면과, 잘못 삽입된 카드의 모서리부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제2 측벽 리세스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과,
    카드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바르게 삽입될 시에 카드의 접촉 패드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장착된 복수개의 전기 도전성 단자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 바르게 삽입된 카드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활주 부재와,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활주 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 카드 안내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주 부재는 카드가 커넥터로 바르게 삽입될 시에 카드의 상기 절결부와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안내 기구는 활주 부재가 잠금 위치에 정지된 다음 카드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여 카드가 단자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활주 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활주 부재가 단자 지점으로부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드가 커넥터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카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카드의 잘못된 삽입시에 삽입된 카드의 제2 측면과 견부에 결합되는 제2 측면 접촉부와 견부 접촉부를 각각 삽입 방향의 전방 측단부에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견부 접촉부로부터 제2 측벽 리세스까지의 길이는 카드의 짧은 길이부의 길이보다 긴 카드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측벽 리세스의 깊이는 잘못 삽입된 상기 카드의 모서리부의 반경보다 큰 카드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제2 측면 접촉부로부터 테이퍼진 표면까지의 길이는 짧은 길이부의 길이보다 짧은 카드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리세스부보다 삽입 방향에 따른 상기 공동의 보다 안쪽에 위치된 위치에 형성된 쉘 리세스를 구비하며, 쉘은 상기 쉘 리세스 내에 위치한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2 측면 접촉부에 형성된 리세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쉘은 리세스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금속 쉘을 더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1. 카드 커넥터이며,
    단자 부재를 구비하고 하우징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카드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고 카드의 단자 부재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접속 단자와,
    하우징에 고정되고 평탄부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카드는 제1 측면의 전방단 근처에 형성된 제1 절결부와,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며 상기 전방단의 제2 모서리부로부터 후방단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카드 커넥터의 제1 측면 에지부는 바른 자세로 삽입된 카드의 제1 절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잘못 삽입된 카드를 카드 커넥터의 제2 측면 에지부로 이동시 키도록 구성된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에지부는 카드가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잘못 삽입된 카드의 제1 절결부의 견부에 대해 접할 수 있는 견부 접촉부와, 카드의 전방단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수납부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측면 에지부는 카드가 잘못 삽입될 시에 카드의 제2 측면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유지부를 더 구비하여, 카드가 상기 수납부 및 유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카드 커넥터.
KR1020087024054A 2006-03-02 2007-03-02 카드 커넥터 KR101057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6326 2006-03-02
JP2006056326A JP4789654B2 (ja) 2006-03-02 2006-03-02 カード用コネクタ
PCT/US2007/005487 WO2007103246A2 (en) 2006-03-02 2007-03-02 Car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452A true KR20080107452A (ko) 2008-12-10
KR101057236B1 KR101057236B1 (ko) 2011-08-16

Family

ID=3837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054A KR101057236B1 (ko) 2006-03-02 2007-03-02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94281B2 (ko)
JP (1) JP4789654B2 (ko)
KR (1) KR101057236B1 (ko)
CN (1) CN101432757B (ko)
FI (1) FI20085904A (ko)
SE (1) SE0802075L (ko)
WO (1) WO20071032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526B2 (en) * 2010-10-15 2014-01-28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s having contact protection during improper insertion of a card
JP5749589B2 (ja) * 2011-07-06 2015-07-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用コネクタ
US10374362B2 (en) 2017-06-05 2019-08-06 Apple Inc. Integrated protector for a connector
US11613821B2 (en) * 2018-07-13 2023-03-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6633B (ko) * 1993-05-26 1994-12-21 Monsanto Co
FR2803109B1 (fr) * 1999-12-22 2002-03-01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pour carte a microcircuit et procede de montage d'une telle carte dans ce connecteur
JP3530460B2 (ja) * 2000-04-27 2004-05-2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06143B2 (ja) * 2001-04-27 2009-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646449B2 (ja) 2001-06-29 2011-03-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コネクタ
TW557023U (en) 2002-12-31 2003-10-01 Lien Ta Technology Ltd Small-type memory card connector framework
JP2004220787A (ja) * 2003-01-09 2004-08-05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
TWI236633B (en) * 2003-04-03 2005-07-21 Egbon Electronics Ltd Memory card socket
DE202004008661U1 (de) 2004-06-02 2004-08-05 Wem Technology Inc. Verbinder für vier Speicherkarten
CN2757390Y (zh) * 2004-11-25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4332133B2 (ja) * 2005-05-12 2009-09-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CN2840388Y (zh) * 2005-10-13 2006-11-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85963B2 (ja) * 2005-12-06 2010-11-24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532420B2 (ja) * 2006-02-24 2010-08-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94281B2 (en) 2010-09-14
JP2007234465A (ja) 2007-09-13
CN101432757A (zh) 2009-05-13
JP4789654B2 (ja) 2011-10-12
WO2007103246A2 (en) 2007-09-13
SE0802075L (sv) 2008-10-02
CN101432757B (zh) 2012-10-03
WO2007103246A3 (en) 2007-11-08
US20090221184A1 (en) 2009-09-03
FI20085904A (fi) 2008-09-24
KR101057236B1 (ko)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CN107425312B (zh) 卡连接器和卡用连接器
JP469434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69836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M470406U (zh) 卡用托盤和卡用連接器
TW201622266A (zh) 卡保持構件以及卡用連接器
US6839431B2 (en) Card connector
KR101057236B1 (ko) 카드 커넥터
JP48087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70054526A1 (en) Connector which can be reduced in operating force and miniaturized
JP496480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211398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5186156B (zh) 卡保持构件以及卡用连接器
CN113439366A (zh) 卡保持元件以及卡用连接器装置
TWM521284U (zh) 卡托及卡連接器
TWI548147B (zh)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KR101076652B1 (ko) 커넥터 및 검출 스위치
TWM477689U (zh) 卡用連接器
JP2003317861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TWM519826U (zh) 卡用托架以及卡用連接器
JP487953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21414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