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335A - 내연 기관용 피스톤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용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335A
KR20080106335A KR1020087024485A KR20087024485A KR20080106335A KR 20080106335 A KR20080106335 A KR 20080106335A KR 1020087024485 A KR1020087024485 A KR 1020087024485A KR 20087024485 A KR20087024485 A KR 20087024485A KR 20080106335 A KR20080106335 A KR 2008010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kirt
piston skirt
reinforcing rib
reinforcing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샤르프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02F3/0076Pistons  the inside of the pistons being provided with ribs o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헤드(11, 111, 211, 311) 및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피스톤(10, 110, 210, 3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의 내측벽(22, 122, 222, 322)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용 피스톤{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피스톤 헤드 및 피스톤 스커트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용 피스톤은 가동 시 매우 큰 부하에 노출된다. 이는 특히 피스톤이 피스톤 직경에 비해 긴 피스톤 스커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러한 피스톤은 매우 큰 측력 부하에 노출된 비교적 넓은 피스톤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유럽 특허 EP 0 188 108 B1 및 일본 특허 2000-320 397 A에는 피스톤 스커트가 내측벽을 따라 방사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팽윤부를 갖는 내연 기관용 피스톤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팽윤부는 측력 부하에서 아무런 효과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측력 부하를 매우 신뢰성 있게 인내하는 피스톤 헤드 및 피스톤 스커트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피스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구비한 피스톤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피스톤 스커트의 내측벽에 제공된다.
종방향으로, 즉 피스톤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를 피스톤 스커트의 내측벽에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피스톤 스커트가 축방향에서 안정화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므로 피스톤 스커트가 가동 시 발생하는 측력 부하를 매우 신뢰성 있게 인내한다. 보강 리브(들)의 수량 및 배치는 가변적이며 오로지 피스톤의 응용 분야 또는 전체 구조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임의의 피스톤 구조 또는 원피스형 또는 멀티피스형 피스톤 또는 조립형 피스톤 등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개선된 형태는 종속항에 설명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피스톤 헤드의 구역에서부터 또는 피스톤 스커트의 상단 구역에서부터 피스톤 스커트의 자유 단부의 구역에까지 진행한다. 이로써 피스톤 스커트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되며, 이는 매우 신뢰성 있는 안정화에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가 연속적으로 피스톤 헤드의 구역 또는 피스톤 샤프트의 상단 구역으로 천이되므로, 피스톤 스커트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되고 원활하게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도 발생하는 부하의 유형 및 세기에 따라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보강 리브가 제공된다. 특히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게 두 개의 보강 리브를 배치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런 경우에는 피스톤의 중량이 현저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양측 보강 리브를 피스톤에 제공된 허브 구멍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는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피스톤 헤드에 개방된 하단면의 커버를 구비한 냉각 채널이 제공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는 피스톤 헤드와 피스톤 스커트 사이에서 연결 바를 형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개략도이며 현척이 아니다.
도 1a는 우측 부분이 좌측 부분에 비해여 90˚ 회전된 두 개의 부분으로 절개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라인 I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을 나타낸다.
도 2a는 도 1a에 따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라인 II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을 나타낸다.
도 3a는 도 1a에 따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라인 III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을 나타낸다.
도 4a는 도 1a에 따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라인 IV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일체형 피스톤(1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스톤(10)은 연소 공동(12) 및 둘레로 진행하는 헤드 랜드(13) 및 둘레로 진행하는 링 지대(14)를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헤드(11)를 포함한다. 둘레로 진행하는 냉각 채널(15)은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0)은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17)을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스커트(16)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 헤드(1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핀의 수용을 위한 허브 구멍(21)을 포함하는 허브(19)와 허브 연결부(18)를 통하여 알려진 방식에 따라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 스커트(16)의 내측벽(22)에는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두 개의 보강 리브(25)가 배치된다. 보강 리브(25)는 축방향에서 피스톤 스커트(16)를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로써 가동 시 발행하는 측력 부하가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피스톤 스커트(16)가 더 큰 축방향 길이를 갖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10)에서 더욱 정숙한 저공명의 동작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보강 리브(25)는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11)의 하단면에서부터, 즉 연소 공동(12)의 아래에서부터 피스톤 스커트(16)의 자유 단부(23)의 구역에까지 진행한다. 이로써 피스톤 스커트(16)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안정화된다. 보강 리브(25)는 이 실시예에서 연속적으로, 즉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피스톤 헤드(11)의 구역으로 천이되므로, 피스톤 스커트(16)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되고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단 두 개의 보강 리브(25)의 배치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10)의 현저한 중량 증가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배치를 통하여 매우 효과적인 피스톤 스커트(16)의 안정화가 달성된다. 이는 특히 이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25)가 허브 구멍(21)의 종방향 중심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보강 리브(25)는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2a 및 도 2b는 조립된 피스톤(11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스톤(110)은 연소 공동(112) 및 둘레로 진행하는 헤드 랜드(113) 및 둘레로 진행하는 링 지대(114)를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헤드(111)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110)은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111)와 개별적으로 결합되며 접촉면(117)을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스커트(116)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 헤드(116)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핀의 수용을 위한 허브 구멍(121)을 포함하는 허브(119)와 허브 연결부(118)를 통하여 알려진 방식에 따라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 헤드(111) 및 피스톤 헤드(116)는 냉각 채널(115)를 감싼다.
피스톤 스커트(116)의 내측벽(122)에는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고 허브 구멍(121)의 종방향 중심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두 개의 보강 리브(125)가 배치되며, 이 보강 리브는 이미 설명한 기능을 갖는다. 보강 리브(125)는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스커트(116)의 상단 단부에서부터 피스톤 스커트(116)의 자유 단부(123)에까지 진행한다. 이로써 피스톤 스커트(116)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안정화된다. 보강 리브(125)는 이 실시예에서 연속 적으로, 즉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피스톤 스커트(116)의 상단 단부로 천이되므로, 피스톤 스커트(116)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되고 전달된다.
보강 리브(125)도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3a 및 도 3b는 일체형 피스톤(2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스톤(210)은 연소 공동(212) 및 둘레로 진행하는 헤드 랜드(213) 및 둘레로 진행하는 링 지대(214)를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헤드(211)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210)은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2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217)을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스커트(216)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 헤드(21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핀의 수용을 위한 허브 구멍(221)을 포함하는 허브(219)와 허브 연결부(218)를 통하여 알려진 방식에 따라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헤드(211)에는 링 지대(214)의 높이에서 둘레로 진행하는 아래로 개방된, 즉 피스톤 스커트(216)의 방향으로 개방된 냉각 채널(215)이 제공되며, 이 냉각 채널은 알려진 방식에 따라 커버(224)를 통해 밀폐된다.
커버(224)를 삽입하기 위하여 피스톤 헤드(211)와 피스톤 스커트(216) 사이에 홈(226)이 제공된다.
피스톤 스커트(216)의 내측벽(222)에는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고 허브 구멍(221)의 종방향 중심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두 개의 보강 리브(225)가 배치되며, 이 보강 리브는 이미 설명한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225)는 거의 허브 연결부(218)의 높이에서 피스 톤 스커트(216)의 상단 구역에서부터 그 자유 단부(223)의 구역에까지 진행한다. 이로써 피스톤 스커트(216)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안정화된다. 보강 리브(225)는 이 실시예에서 연속적으로, 즉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피스톤 스커트(216)의 상단 구역로 천이되므로, 피스톤 스커트(216)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되고 전달된다.
보강 리브(225)는 마찬가지로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4a 및 도 4b는 일체형 피스톤(3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피스톤(310)은 연소 공동(312) 및 둘레로 진행하는 헤드 랜드(313) 및 둘레로 진행하는 링 지대(314)를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헤드(311)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310)은 이 실시예에서 피스톤 헤드(3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접촉면(317)을 구비한 알려진 방식의 피스톤 스커트(316)를 포함한다. 또한 피스톤 헤드(31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 핀의 수용을 위한 허브 구멍(321)을 포함하는 허브(319)와 허브 연결부(318)를 통하여 알려진 방식에 따라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헤드(311)에는 링 지대(314)의 높이에서 둘레로 진행하는 아래로 개방된, 즉 피스톤 스커트(316)의 방향으로 개방된 냉각 채널(315)이 제공되며, 이 냉각 채널은 알려진 방식에 따라 커버(324)를 통해 밀폐된다. 커버(324)를 삽입하기 위하여 피스톤 헤드(311)와 피스톤 스커트(316) 사이에 홈(326)이 제공된다.
피스톤 스커트(316)의 내측벽(322)에는 직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고 허브 구멍(321)의 종방향 중심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 두 개의 보강 리브(325)가 배치되며, 이 보강 리브는 이미 설명한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보강 리브(325)는 거의 허브 연결부(318)의 높이에서 피스톤 스커트(316)의 상단 구역에서부터 그 자유 단부(323)의 구역에까지 진행한다. 이로써 피스톤 스커트(316)가 그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안정화된다. 홈(326)의 구역에서 각 보강 리브(325)의 양측 측면에 개구(3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역에서 각각의 보강 리브(325)가 피스톤 헤드(311)와 피스톤 스커트(316) 사이에서 연결 바(328)를 형성한다. 보강 리브(325)는 이 실시예에서도 연속적으로, 즉 날카로운 모서리 없이 각 연결 바(328)의 단부에서 피스톤 헤드(311)의 하단 부분으로 천이되므로, 피스톤 스커트(316)에 작용하는 힘이 매우 신뢰성 있게 수용되고 전달된다.
보강 리브(325)는 마찬가지로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피스톤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피스톤 헤드(11, 111, 211, 311) 및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피스톤(10, 110, 210, 310)에 있어서,
    피스톤 중심축(A)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최소한 하나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의 내측벽(22, 122, 222, 32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피스톤 헤드(11, 111, 211, 311)의 구역에서부터 또는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의 상단 구역에서부터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의 자유 단부(23, 123, 223, 323)의 구역에까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연속적으로 피스톤 헤드(11, 111, 211, 311)의 구역으로 또는 피스톤 스커트(16, 116, 216, 316)의 상단 구역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5. 제4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6. 제5항에 있어서, 두 개의 보강 리브가 피스톤(10, 110, 210, 310)에 제공된 허브 구멍(21, 121, 221, 321)의 종방향 중심축(B)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보강 리브(25, 125, 225, 325)가 주로 사다리꼴, 부채꼴, 반원 형태 또는 직각형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보강 리브(325)가 피스톤 헤드(311)와 피스톤 스커트(316) 사이에서 연결 바(3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KR1020087024485A 2006-03-25 2007-03-23 내연 기관용 피스톤 KR20080106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3905.4 2006-03-25
DE102006013905A DE102006013905A1 (de) 2006-03-25 2006-03-25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35A true KR20080106335A (ko) 2008-12-04

Family

ID=3835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485A KR20080106335A (ko) 2006-03-25 2007-03-23 내연 기관용 피스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56534A1 (ko)
EP (1) EP1999360A1 (ko)
JP (1) JP2009531583A (ko)
KR (1) KR20080106335A (ko)
CN (1) CN101415928A (ko)
BR (1) BRPI0709177A2 (ko)
DE (1) DE102006013905A1 (ko)
WO (1) WO2007110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3469B2 (ja) * 2007-12-04 2012-01-1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内燃機関用ピストン及び内燃機関
US8807109B2 (en) * 2009-11-06 2014-08-19 Federal-Mogul Corporation Steel piston with cooling galler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E102015201633A1 (de) * 2015-01-30 2016-08-04 Federal-Mogul Nürnberg GmbH Kolbe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olben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20180230937A1 (en) * 2015-08-11 2018-08-16 Ks Kolbenschmidt Gmbh Method for Producing a Monoblock Piston, and Monoblock Piston
DE102015217911A1 (de) 2015-09-18 2017-03-23 Mahle International Gmbh Kolben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8109205A1 (de) 2017-04-19 2018-10-25 Ks Kolbenschmidt Gmbh Kolben in Strukturbauwei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05464A (en) * 1933-02-15 1934-02-08 Carlo Borgo Improvements in pistons with internal stiffening ribs
FR822409A (fr) * 1936-09-05 1937-12-30 Perfectionnements au moulage des pistons, à ces pistons et nouveaux pistons obtenus
US2136416A (en) * 1937-03-17 1938-11-15 Fairbanks Morse & Co Piston
US2195552A (en) * 1937-07-23 1940-04-02 Alexander M Alexandrescu Heavy duty piston
CH223131A (de) * 1940-11-29 1942-08-31 Schmidt Gmbh Karl Nach dem Spritz- oder Pressgussverfahren hergestellter Leichtmetallkolben.
DE742969C (de) * 1942-04-05 1944-05-27 Schmidt Gmbh Karl Leichtmetallkolben fuer Brennkraftmaschinen
US2420474A (en) * 1943-07-19 1947-05-13 Specialloid Ltd Piston
US3091502A (en) * 1960-08-15 1963-05-28 Harvey Aluminum Inc Thermally balanced piston
SU1204767A1 (ru) * 1984-05-18 1986-01-15 Харьк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В.И.Ленина Поршень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GB8432015D0 (en) * 1984-12-19 1985-01-30 Ae Plc Pistons
JP2561798Y2 (ja) * 1989-05-22 1998-02-04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エンジン用ピストン
JPH04248068A (ja) * 1991-01-22 1992-09-03 Yamaha Motor Co Ltd ピストンの補強構造
DE19734654C1 (de) * 1997-08-11 1998-08-27 Ae Goetze Gmbh Kolben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015352C1 (de) * 2000-03-28 2001-07-19 Peter Rong Gebauter Ko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09177A2 (pt) 2011-06-28
CN101415928A (zh) 2009-04-22
DE102006013905A1 (de) 2007-09-27
WO2007110055A1 (de) 2007-10-04
US20090056534A1 (en) 2009-03-05
JP2009531583A (ja) 2009-09-03
EP1999360A1 (de)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41B1 (ko) 디젤엔진용 피스톤
KR100971562B1 (ko) 디젤엔진용 밀폐형 오일 갤러리 피스톤 및 디젤엔진용 밀폐형 오일 갤러리 피스톤의 제조방법
KR20080106335A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KR20040039364A (ko) 핀공윤활구조를 갖는 밀폐형 갤러리 피스톤
KR101369037B1 (ko) 내연 기관의 피스톤용 피스톤 핀 베어링
US8539928B2 (en) Piston assembly and connecting rod having a profiled wrist pin bore therefor
US8365696B2 (en) Pist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60096557A1 (en) Monosteel piston having oil drainage groove with enhanced drainage features
US7845269B2 (en) Piston with pin bore lubrication features
KR20040041583A (ko) 디젤엔진용 일체형 피스톤
US8662049B2 (en) Cast piston having supporting rib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piston
US5058489A (en) Piston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38876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light metal alloy engine block and cast iron cylinder liners
KR20050017118A (ko) 내연기관용 피스톤
US4207808A (en) Piston for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ypically diesel engines
US4817505A (en) Piston with stiffening structure for lower skirt regions
CA2299057C (en) Oil passage arrangement in a piston
WO2004044397A2 (en) Monobloc piston having open floor
CN114630953B (zh) 用于内燃机的具有摩擦损失降低的活塞
JPH09203463A (ja) ピストンリング
KR100333007B1 (ko) 대형선박용디젤엔진과같은내연기관용피스톤
KR101986059B1 (ko) 피스톤
JP2004225597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2003161203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2006016981A (ja) 内燃機関用ピス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