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371A -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371A
KR20080105371A KR1020070052872A KR20070052872A KR20080105371A KR 20080105371 A KR20080105371 A KR 20080105371A KR 1020070052872 A KR1020070052872 A KR 1020070052872A KR 20070052872 A KR20070052872 A KR 20070052872A KR 20080105371 A KR20080105371 A KR 2008010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
vehicle
sensor
signal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054B1 (ko
Inventor
오주삼
장경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05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동하중 계측에 사용되는 빔형태의 피에조센서를 여러개로 분리하여 개개의 센서로 제작한 후 이를 다시 집합형태로 배열하여 도로의 교통측정구간에 설치함으로써 신호특성의 신뢰성을 제고시키고, 이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의 교통파라메타와 차량의 윤폭 및 주행하는 차량의 바퀴궤적, 좌우측 륜별, 축별 개별하중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및 그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분할되어 빔 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며,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차량의 바퀴하중을 각각 개별 신호를 출력하는는 피에조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신호변환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무게(하중)값으로 변환하는 무게환산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 파라메타를 추출하는 교통파라메타 추출수단; 및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의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터 추출수단으로부터 연산된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차량의 축별/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주행한 개별 차량의 제원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피에조센서, 교통 파라메타, 차량 하중, 집합형 센서

Description

집합형 피에조 센서와, 그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Clustered piezo sensor and traffic parameter measurement and weigh-in-mo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1은 차량정보수집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피에조센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집합형 피에조 센서의 제작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집합형 피에조 센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4a는 본 발명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가 도로에 설치된 평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가 도로에 설치된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수직으로 설치한 제1 실시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수직으로 설치한 제2 실시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경사방향으로 설치한 제3 실시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경사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한 제4 실시예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에 대하여 시간대별 차종별 속도, 축거, 윤거, 교통량, 점유시간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또 도로 포장의 설계 및 유지관리등에 이용되는 차량 중량조사를 위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정보에 활용되는 피에조(piezo) 센서의 배열구성을 집합형 구조로 하여 신호의 신뢰성을 제고시키고, 이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의 교통파라메타와 차량의 윤폭 및 주행하는 차량의 바퀴궤적, 좌우측 륜별, 축별 개별하중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와, 그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상황은 날로 급증하는 교통수요와 이를 수용하지 못하는 도로상황으로 인해 매우 열악한 상태에 처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 도로의 효율적인 운영관리 및 신설도로의 계획, 설계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인 교통정보(차량 통과대수, 속도, 중량, 차량점유시간 등)를 정확하고 안정 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통 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이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차종별 제원 및 중량조사를 의미하며, 차량중량 조사는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 차량의 차종별 중량분포를 시간대별로 조사하는 것이다. 교통파라메타에는 시간대별 차종별 속도, 축거, 윤거, 교통량, 점유시간등이 있으며, 차량하중은 차종별 축중량 및 총중량 분포, 차종별 과적률, 과적 차량의 시간대별 분포, 등가단축하중, 과적차량의 주요 이동경로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중량조사는 도로포장의 설계 및 유지관리, 과적차량의 단속, 화물차량 운행제한 기준설정, 정책부문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의 동하중계측(WIM ; Weigh-In-Motion)장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면에 빔(beam)형태의 피에조(piezo) 센서가 설치되어 주행중인 차량의 중량, 속도, 차종 등의 교통 매개변수를 측정하는 장비이다. 그러나, 상기 피에조 센서는 단순히 바퀴가 접촉할 때의 온/오프(on/off) 신호와 그 신호의 크기를 가지고 중량으로 환산하여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장비에 불과하다. 따라서, 교통 파라메타를 산출하는데에 매우 한계적이며, 교통파라메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2개 이상의 센서를 조합하여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특성상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 로서, 차량의 동하중 계측에 사용되는 빔형태의 피에조센서를 여러개로 분리하여 개개의 센서로 제작한 후 이를 다시 집합형태로 배열하여 도로의 교통측정구간에 설치함으로써 신호특성의 신뢰성을 제고시키고, 이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여러가지의 교통파라메타와 차량의 윤폭 및 주행하는 차량의 바퀴궤적, 좌우측 륜별, 축별 개별하중등을 측정할 수 있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와 그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설형 차량 검지기에 사용되며, 축의 개수를 계수하는 피에조 센서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센서가 소정 길이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센서는 빔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되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개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분할되어 빔 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며,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차량의 바퀴하중을 각각 개별 신호를 출력하는는 피에조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신호변환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무게(하중)값으로 변환하는 무게환산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 파라메타를 추출하는 교통파라메타 추출수단; 및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의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터 추출수단으로부 터 연산된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차량의 축별/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주행한 개별 차량의 제원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좌측 및 우측 바퀴가 각각 개별적인 피엔조 센서에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를 카운트하는 제3 단계; 피에조 센서의 번호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상기 좌, 우측 바퀴를 감지한 전기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제5 단계;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무게로 환산하는 제6 단계;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파라메타를 추출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타를 입력받아 축별/ 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차종 파라메타를 출력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10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집합형 피에조 센서와 그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은 개별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는 분할된 피에조 센서를 집합하여 빔형태로 차도에 소정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차량제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신뢰적으로 계측하여 여러가지의 교통파라메타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집합형 피에조 센서의 제작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가 도로에 설치된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수직으로 설치한 제1 실시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beam) 형태의 피에조(piezo) 센서가 소정 길이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센서는 빔 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되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개별신호를 출력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차량이 통과하는 바퀴를 각 개별 피에조 센서가 감지함으로써 기존의 동하중 계측(WIM) 시스템에서 얻을 수 없었던 차량 윤폭 및 주행하는 바퀴궤적, 좌우측 륜별, 축별 개별하중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집합형 센서를 수직으로 설치한 경우, 차량의 좌측바퀴 A는 4번째 개별 피에조 센서를 밟게 되고 우측바퀴는 8번째의 개별 피에조 센서를 밟게 된다. 따라서, 상기 4번째 개별 피에조 센서와 8번째 개별 피에조센서의 감지신호를 가지고 차량 바퀴의 괘적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좌, 우측 바퀴를 감지한 개별 피에조 센서 간의 거리를 통하여 차량의 좌,우측바퀴간의 폭인 윤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측정되는 하중은 오른쪽바퀴와 왼쪽바퀴가 구별되어 측정되므로 기존의 데이터에서 학술연구나 데이터분석에 향상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V)를 알고 있다면, 차량의 축간거리(P)는 하기의 [수학식1]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축간거리(P) = (V*(Tc-Ta) + V*(Td-Tb)/2
여기서, (Tc-Ta)는 좌측 뒷바퀴(Tc)와 앞바퀴(Ta)가 개별 피에조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이고, (Td-Tb)는 우측 뒷바퀴(Td)와 앞바퀴(Tb)가 개별 피에조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이다.
단일센서일 경우는 평균 축간 거리값을 적용하여 하기의 [수학식2]를 통하여 차량 좌, 우측 바퀴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2]
V_Left = 평균축간거리 / (Ta - Tc)
V_Right = 평균축간거리 / (Td - Tb)
V = (V_Left + V_Right) / 2
L = 3.5 - (L1 + L2)
여기서, L은 차량의 윤거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수직으로 설치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1 및 2를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하고, 평균 축간 거리를 가정하는 경우 하기의 [수학식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3]
V_Left = P0 / (Ta - Tc)
V_Right = P0 / (Td - Tb)
V = (V_Left + V_Right) / 2
여기서, P0는 2개의 집합형 센서1 및 2의 이격거리(m)를 나타낸다,
상기한 [수학식3]에 따르면, 집합형 센서1에 의한 차량의 윤거값과 집합형 센서2에 의한 윤거값을 각각 산출후에 이를 평균해서 차량의 윤거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경사방향으로 설치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두개의 기준선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하기의 [수학식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각 기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차량 첫축의 좌측바퀴
B : 차량 첫축의 우측바퀴
C: 차량 둘째축의 좌측바퀴
D: 차량 둘째축의 우측바퀴
L1: 차량 좌측바퀴의 괘적이 안쪽 차선으로부터의 거리(m)
L2: 차량 우측바퀴의 괘적이 바깥 차선으로부터의 거리(m)
L: 차량의 바퀴폭 즉 윤거
P1: 기준선으로부터 우측바퀴의 주행거리(m)
P2: 기준선으로부터 좌측바퀴의 주행거리(m)
P: 차량의 첫축과 둘째 축 사이의 거리(m)
3.5: 차로의 폭을 3.5m로 가정
θ: Array Sensor센서의 설치 각도( 0 < θ < 90 )
S: Array Sensor 센서에 센서 6번과 11과의 거리(m)
V: 차량의 속도(m/sec)
T6: 첫축의 좌측바퀴가 Array 센서의 6번째 센서를 밟았을 때의 시각
T11: 첫축의 우측바퀴가 Array 센서의 11번째 센서를 밟았을 때의 시각
T7 : 둘째 축의 좌측바퀴가 Array 센서의 6번째 센서를 밟았을 때의 시각
T12: 둘째 축의 우측바퀴가 Array 센서의 11번째 센서를 밟았을 때의 시각
[수학식4]
tan(θ)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1
, tan(θ)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2
, tan(θ)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3
이고,
V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4
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5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6
따라서, 차량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V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7
이므로, (P2 - P1) 대신 V x (T11 - T6)를 대입하면,
V × (T11 -T6)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8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09
여기서, S와 ㅆ11, T6는 알고 있는 값이며, 그리고, L값은 윤거값으로 평균 윤거값을 적용한다.
P1 = V × T6, P2 = V × T11
PLeft = V ×(T7 - T6), PRight = V ×(T12 - T11)
P = PLeft + PRight / 2
L1 = P1 / tan(θ)
L = P2 - P1 / tan(θ)
L2 = 3.5 - (L1 + L) 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경사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한 제4 실시예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선으로 사용하는 센서도 어레이(Array)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이 기준선을 통과할 때 좌측바퀴가 밟는 L1과 우측바퀴가 밟는(L1+L) 의 값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기의 [수학식5]와 같이 차량의 속 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5]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거해
S62 = L12 + P12 이고, S62 = L12 + (V ×T6)2
VLeft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10
같은 방법으로 우측바퀴에 의한 차량의 속도를 구하면,
VRight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11
따라서, 차량의 속도 V = VLeft + VRight / 2 이다.
또한, P1 = V× T6 혹은 P1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12
P2 = V × T11 혹은 P2 =
Figure 112007039863594-PAT00013
차량의 축간거리 PLeft = V ×(T7 - T6), PRight = V ×(T12 - T11)
P = PLeft + PRight / 2 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분할되어 빔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며,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개별신호를 출력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와; 상기 집합형 피에조 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신호변환기와;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무게(하중)값으로 변환하는 무게환산장치와;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 파라메타를 추출하는 교통파라메타 추출/연산 장치; 및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기의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타 추출수단으로부터 연산된 파라메타에 차량의 축별/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주행한 개별 차량의 제원데이타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 즉 집합형 피에조 센서가 매설되어 있는 차도를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S12). 그리고, 차량의 좌측 및 우측 바퀴가 각각 개별적인 피엔조 센서에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차량의 통과가 감지되면,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를 카운트한다(S14, S15).
상기 집합형 피에조 센서의 차량 바퀴를 감지하는 각 개별 피에조 센서의 No.가 피에조 신호변환기에 입력되어 전기적 신호가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S16, S18).
다음,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기에서 변환된 디지탈 신호는 무게환산장치를 통 하여 무게로 환산되어 출력되고, 또 상기 디지탈 신호는 콘트롤러에서 연산되어 교통파라메타를 추출하게 된다(S22, S24).
상기 콘트롤러에서는 무게값과 추출된 교통 파라메타를 축별/률별 하중값에 적용하여 차량구분 파라메타를 출력한다(S26, S28).
상기 S28 단계에서의 주행한 개별 차량 데이타는 차종, 속도, 축간거리, 윤간거리, 각 바퀴별 하중(무게), 단륜/복률 구분 및 주행 궤적등의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단순 온/오프(on/off) 신호에 비해, 피에조 센서를 분리배열 함으로써 측정하지 못했던 바퀴접촉 위치별 거리, 윤거, 주행궤적, 축별,륜별 중량(좌, 우측구분), 기타 측정에 따른 보정계수들이 추가적으로 측정되므로 데이터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기존의 피에조 센서는 최초설치 후 시간에 따른 도로변형 및 굴곡이 생기면 파손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는데 비해 본 발명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는 개 별로 동작하므로 물리적 내구성이 좋아진다.
셋째, 접촉위치별로 신호가 구분되어 거리값이 출력되므로 향후 측정파라메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매우 용이해진다.
넷째, 접촉위치별로 신호가 구분되어 센서 설치 후 아스팔트 포장 덧씌우기를 시행하여도 센서위치파악 및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매우 용이해진다.
다섯째, 2개조 이상 조합설치시 차로변경 여부를 판단이 가능하며, 2개의 집합형 피에조 센서의 반응 센서의 위치 변화를 갖고서 판단할 수 있다.
여섯째, 집합센서유닛의 크기조정(크기를 작게 설계할수록)으로 측정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타이어 접지 단면적 및 단륜, 복륜을 구분하기 때문에 파라메타 측정이 향상된다.
일곱째, 기존 센서에 비해 원재료의 가격변화가 거의 없다.

Claims (6)

  1. 매설형 차량 검지기에 사용되며, 축의 개수를 계수하는 피에조 센서에 있어서,
    상기 피에조 센서가 소정 길이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센서는 빔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되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개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 센서가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2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 센서가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분할 센서가 기준선에 대하여 경사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2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
  5. 소정 길이로 분할되어 빔 형태로 도로의 교통정보 측정구간에 매설되며, 도로의 기준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설되어 차량의 바퀴하중을 각각 개별 신호를 출력하는는 피에조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신호변환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무게(하중)값으로 변환하는 무게환산수단;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 파라메타를 추출하는 교통파라메타 추출수단; 및
    상기 피에조 신호변환수단의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터 추출수단으로부터 연산된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차량의 축별/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주행한 개별 차량의 제원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6.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좌측 및 우측 바퀴가 각각 개별적인 피엔조 센서에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교통정보 측정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우측 바퀴를 카운트하는 제3 단계;
    피에조 센서의 번호를 입력하는 제4 단계;
    상기 좌, 우측 바퀴를 감지한 전기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제5 단계;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무게로 환산하는 제6 단계;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연산하여 교통파라메타를 추출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무게값과 교통파라메타를 입력받아 축별/ 륜별 하중값을 적용하여 차종 파라메타를 출력하는 제8 단계
    를 포함하는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방법.
KR1020070052872A 2007-05-30 2007-05-30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KR10088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72A KR100883054B1 (ko) 2007-05-30 2007-05-30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72A KR100883054B1 (ko) 2007-05-30 2007-05-30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71A true KR20080105371A (ko) 2008-12-04
KR100883054B1 KR100883054B1 (ko) 2009-02-11

Family

ID=403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872A KR100883054B1 (ko) 2007-05-30 2007-05-30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0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49B1 (ko) * 2008-06-25 2010-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도로포장 위치별 단위면적당접지하중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KR101147723B1 (ko) * 2010-09-17 2012-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행중인 차량군의 특성을 통한 교통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7321B1 (ko)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20190048978A (ko) 2017-10-31 2019-05-09 (주)노바코스 온도센서를 이용한 동하중 계측장치
KR20190069175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동, 압력 측정을 위한 피에조 센서 및 그 피에조센서의 제조방법
KR20200098888A (ko) 2019-02-13 2020-08-21 (주)노바코스 교통량 조사용 동하중 계측장치
KR20200098887A (ko) 2019-02-13 2020-08-21 (주)노바코스 교통량 조사용 융복합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94B1 (ko) 2008-07-17 2013-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바퀴 괘적분포의 특성치 검출 및 분석장치와 그의분석방법
KR101837732B1 (ko) * 2017-01-20 2018-03-12 주식회사 와이투텍 고속 축중기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축중 검출시스템
CN108914815B (zh) * 2018-05-17 2020-09-29 中铁大桥科学研究院有限公司 桥面车辆荷载识别装置、桥梁及桥梁荷载分布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787A (ja) * 1994-06-14 1995-12-22 Toyota Motor Corp 車両判別方法
KR100666381B1 (ko) * 2005-04-06 2007-01-10 김함곤 차종분류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49B1 (ko) * 2008-06-25 2010-08-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도로포장 위치별 단위면적당접지하중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KR101147723B1 (ko) * 2010-09-17 2012-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행중인 차량군의 특성을 통한 교통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7321B1 (ko)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20190048978A (ko) 2017-10-31 2019-05-09 (주)노바코스 온도센서를 이용한 동하중 계측장치
KR20190069175A (ko) * 2017-12-11 2019-06-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진동, 압력 측정을 위한 피에조 센서 및 그 피에조센서의 제조방법
KR20200098888A (ko) 2019-02-13 2020-08-21 (주)노바코스 교통량 조사용 동하중 계측장치
KR20200098887A (ko) 2019-02-13 2020-08-21 (주)노바코스 교통량 조사용 융복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054B1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054B1 (ko) 집합형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및 차량하중 계측장치 및 방법
CN203349914U (zh) 用于测量双轮辙车辆的轴速和轴重的传感器模块
CN109855711B (zh) 一种车辆超载超限动态称重系统
KR100917051B1 (ko) 주행차량의 교통정보산출장치 및 그 산출방법
CN201936359U (zh) 高速公路入口发卡机专用自动车型识别系统
CN103196530A (zh) 车辆动态称重系统及其称重方法
KR101281131B1 (ko) 교통계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파라미터 획득방법
CN201181218Y (zh) 用于机动车辆轮轴识别的线阵压敏传感装置
CN104864949A (zh) 一种车辆动态称重方法及装置
Algohi et al. Detection of speed and axle configuration of moving vehicles using acoustic emission
EP3350553B1 (en) Weight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ing method
KR101247542B1 (ko) 속도 및 차선의 변경을 고려한 주행 차량의 무게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JP2009192347A (ja) 走行車両の軸重測定装置
KR100906432B1 (ko) 피에조센서를 이용한 교통량조사장비
KR101531034B1 (ko) 지자기 검지기와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차량검지시스템
CN112697248B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方法及判定系统
KR20190142216A (ko) 마킹의 딥러닝 인식을 이용한 차량 검지 시스템
JP7424945B2 (ja) 故障検知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故障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94591B1 (ko) 차량정보 자동계측시스템
KR101049739B1 (ko) 차량의 윤폭비를 이용한 차종분류 장치
CN214224320U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系统
KR101632406B1 (ko) 매설형 차량검지기를 이용한 센서신호 감응 식 교통 파라미터 산출 시스템
KR100854076B1 (ko) 단일의 축감지센서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 검출시스템 및방법
KR101267991B1 (ko) 차종 분류 방법
KR101734206B1 (ko) 고속축중기 차량정보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