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334A -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334A
KR20080102334A KR1020077029933A KR20077029933A KR20080102334A KR 20080102334 A KR20080102334 A KR 20080102334A KR 1020077029933 A KR1020077029933 A KR 1020077029933A KR 20077029933 A KR20077029933 A KR 20077029933A KR 20080102334 A KR20080102334 A KR 20080102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oppler compensation
doppler
spee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프 클로트쉐
클라우스 운스텔
토마스-롤프 반니자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8010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1Reducing phase shi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기차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이동체와 소정의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에 도플러 보상 방법이 이용되며, 이동체 및 기지국 모두 무선 송신을 위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트랜시버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활성 기지국, 즉 무선 송신 링크가 방금 확립된 기지국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상기 방법은 도플러 보상이 없는 경우에 사용된 무선 송신에 의해 품질 임계값에 도달되는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는 단계가 후속된다.
Figure P1020077029933
무선 송신, 도플러 보상, 한계 속력, 활성 기지국

Description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DOPPLER COMPENSATION CONTROL FOR RADI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이동체(mobile body)의 이동 방향이 활성 기지국(active base station)과 관련하여 결정되는,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radio transmission)을 위한 도플러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이 그들 사이에서의 무선 송신을 설정하기 위한 그러한 무선 주파수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및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 수단(이동체)과 지면에 고정된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플러 효과로부터 유래하는 소정의 변화를 겪는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효과는, 그와 같은 무선 링크로부터의 전자기파들이 이동체의 이동 방향이 전자기파의 전파 방향과 평행한 경우에 겪게 되는 위상 노이즈에 해당한다. 이러한 위상 노이즈 또는 신호 페이딩(signal fading)은, 양호하게 분리된 주파수 채널들에 기초하여 실제 사용되는 무선 송신 기술들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GSM 또는 UMTS 참조).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자신의 용량 전체의 사용을 시도하는 멀티캐리어 송 신에 기반한 기술의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모바일과의 양방향 통신에 있어서 현재 가장 전망있는 기술 중 하나로 보이는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 WIMAX에 대한 월드와이드 상호운용가능성, 약칭 WIMAX으로도 알려져 있는 IEEE 표준 802.16과 호환가능한 무선 송신에 사용되는 기술, 예컨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주파수 채널들이 매우 좁은 주파수 간격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도플러 효과에 대한 민감도는 더 이상 소홀하게 취급될 수 없다. 예를 들어, OFDM에서 주파수 간격은 멀티캐리어 송신의 제n 서브캐리어에 송신되는 변조 대역 신호와 제n+1 서브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변조 대역 신호 간에 상호관련성을 무효화하도록 배치된다.
OFDM에 따르면, 중첩 대역을 갖는 주파수 할당이 가능해짐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OFDM은, 자신의 캐리어들을 독립적으로 변조하는 다른 멀티캐리어 송신 스킴들과는 상이하며,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한 스트로크에서 변조/복조가 행해지기 때문에, 캐리어들 간에는 수직 관계가 성립된다. 또한, 송신측에 보호 구간 신호(guard interval signal)를 부가함으로써, 멀티패스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심볼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OFDM 심볼에 일치하는 IFFT 출력 신호가 하나의 유닛으로 채용되는 경우, 보호 구간의 삽입은 신호의 후단을 전단에 카피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OFDM에서는, 기본적으로 멀티패스 균등화(equalization)가 불필요하다. 그러나, 성능 저하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시스템 내에 계획된 멀티패스의 최대 지연 시간보다 큰 보호 구간이 심볼간 간 섭이 발생하지 않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보호 구간의 삽입이 멀티패스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의 영향을 제거가능하게 하지만, 보호 구간이 동시에 송신 효율을 동시에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포함된다. 송신 효율의 감소를 완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OFDM 심볼 구간을 넓게 만들 필요, 즉 가능한 한 보호비(guard ratio)를 작게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어진 대역폭 내의 캐리어 간격은 작게 만들어야 한다, 즉 캐리어들의 수는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페이딩으로 인해, 수신된 신호는 시간 방향뿐만 아니라 주파수 방향에 따라서도 변하는데, 후자는 도플러 변이이다. 이동체의 이동 속력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도플러 변이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생성된다. 캐리어 간격이 작은 경우, 이 변화는 하나의 캐리어보다는 크며, 수신측에 대한 캐리어 동기화는 어렵다. 결과로서, 유지되는 변화가 주파수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선택 페이딩이 발생하며, 수신기에서의 성능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캐리어로부터 캐리어로 (또는 구체적으로, 정합 대역폭 내에서의 캐리어 그룹으로부터 캐리어 그룹으로) 주파수 변동이 독립적이기 때문에 캐리어간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캐리어 간격을 가능한 한 넓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송신 효율과 관련하여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
유럽 제1460780B1호 공보에는 이동체에 인스톨 가능한,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안테나는 접속 상태와 비접속 상태 사이에서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 각각을 스위칭하기 위한 안테나 스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수신된 신호의 전파 방향에 대해 수송체가 이동하는 방향 및 속력 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회로가 상기 스위치들을 제어한다. 이 정보는 공지된 방송국의 위치 및 예컨대 GPS 등으로부터 유도된 현 수송체의 위치로부터 결정된다. 이는 수송체가 OFDM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도플러 효과를 방지하게 하며, 이에 따라, 수송체가, 안테나들 간에 반드시 상이한 것은 아닌, 신호 레벨보다는 도플러 효과의 발생에 기초하여 안테타들의 스위칭 제어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들(이동체)에 대한 양방향 통신에 대한 논의 하에서 현재 각광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인 IEEE 802.16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평가가 적용되는다: 100km/h까지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고, 200km/h까지는 신호 품질의 미미한 열화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허용범위 내이며, 200km/h를 초과한 경우에는 그 효과가 점점 중요시되고, 신호 품질은 매우 열화된다. 현대의 장거리 열차에 대한 목표 속력인 400km/h에서, 도플러 보상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은 더욱 나빠질 수 있다; 즉 사용되는 기술이 송신 용량을 증가시키는 저 주파수 채널 간격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도플러 효과가 더욱 중요하게 되는 속력의 한계가 작아질 수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에서의 도플러 보상을 위한 강력한 해결책 및 비용 절감을 찾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기차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이동체와 소정의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방법으로서, 이동체 및 기지국 모두 무선 송신을 위한 안테나에 연결되는 트랜시버를 각각 포함하는 도플러 보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활성 기지국, 즉 무선 송신 링크가 방금 확립된 기지국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상기 방법은 도플러 보상이 없는 경우에 사용된 무선 송신에 의해 품질 임계값에 도달되는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는 단계가 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플러 보상 방법의 일부 구현에서,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은 계단형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품질 임계값 및 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을 고정하는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의존한다. 도플러 보상의 값은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적용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증가된다. 이 경우, 적용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은,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의해 미리 정의된 품질 임계값에 도달되는 이동 한계 속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도록 증가되며, 이동 한계 속력은 n이 2×n×Vlimit 을 초과한 속력의 횟수에 대한 증분 지수인 초기의 미리 정의된 한계 속력 Vlimit의 (2×n+1)배이며, 한계 속력은 적용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한다. 도플러 보상의 변화는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 속력이 대칭률, 즉 이동 한계 속력의 2배 미만으로 떨어질 때마다, 이전 단계에서 증가된 것과 동일한 고정량만큼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바람직한 구현에서,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변화는,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한계 속력의 2배에 가까운 경우에 불안정한 상황을 회피시키는 소정의 이력 법칙을 따른다. 이러한 이력 법칙은, 이동 속력이 최대 이동 속력(Vmax)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증가하고,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최소 이동 속력(Vmin)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감소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최대 이동 속력 및 최소 이동 속력은 모두 Vmin > Vlimit > Vmax 를 만족하도록 한계 속력(Vlimit)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구현에서, 적용되는 도플러 보상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측에서 수행된다. 다른 대안적인 구현에서, 적용되는 도플러 보상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측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에 무선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장치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활성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는 판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무선 송신에 대해 소정의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기 위한 소정의 도플러 보상을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무선 주파수 장치와 관련된다. 후자는 이동체의 이동 속력과는 독립적으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일정한 도플러 보상은, 사용되는 송신 기술에 의해 품질 임계치에 도달되는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한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예 및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따르면,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적용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판정 유닛은,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사용되는 무선 송신 기술에 의해 미리 정의되는 품질 임계값에 도달되는 이동 한계 속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도록 증가되고, 이동 한계 속력은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한계 속력의 2배를 초과한 속력의 횟수의 증분 지수인 n을 갖는 초기의 미리 정의된 한계 속력 Vlimit 의 (2×n+1)배가 되도록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한다. 이동 장치의 이동 속력이,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대칭 거동이 적용된다. 이 경우, 판정 유닛은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하여,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대략 동일한 고정량만큼 감소시킨다.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이러한 변화는,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한계 속력의 2배에 가까운 경우에 불안정한 상황을 회피하는 소정의 이력 법칙을 따르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는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시킴으로써 수신측에 사용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는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측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모두는, 기지국 및/또는 이동체에 특히 적합하며, 상기 기지국은 그 기지국에 대한 방향 및 소정의 주어진 속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무선 송신을 통해 접속되도록 정의된다. 특히, 이와 같은 기지국 및/또는 이동체는 수신측 및/또는 송신측에서 도플러 보상 방법을 적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는 독립항들, 이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술되어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갖는 경우 및 갖지 않는 경우의 이동체의 속력과 관련된 도플러 변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상을 갖는 경우 및 갖지 않는 경우의 이동체의 속력과 관련된 링크 품질의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대안에 따른 이동체의 속력과 관련된 도플러 변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대안에 따른 이동체의 속력과 관련된 링크 품질의 저하를 나타내는 도면.
신호의 열화를 발생시키는 몇몇 상이한 효과들이 존재하는 이동 통신에 있어서, 도플러 효과는 이들 효과들 중 단지 하나일 뿐이다. 모든 효과들은 소위 "링크 버짓(link budget)"으로 요약되며, 총괄적으로 노이즈로 취급될 수 있다. 노이즈, 또는 더 정확하게는 신호 대 신호 잡음비는, 무선 송신 시스템의 한계를 발생시키며, 데이터 쓰루풋, 비트 에러율, 순방향 에러 보정 오버헤드, 커버리지, 송신 전력, 및 최소가 아닌 최후의 이송 속력의 균형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무선 기술(예컨대, WiMAX)에 의해 주어지는 한계들 내에서, 기지국의 안테나에 대한 이동체의 소정의 한계 속력 Vlimit까지는 소정의 도플러 변이가 허용될 수 있다. 상기 한계를 넘는 경우, 무선 송신의 노이즈는 허용가능한 한계를 정의하는 품질 임계값을 초과한다. 노이즈가 상기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송신은 현저하게 악화된다. 도플러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주파수 변이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이동 속력에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OFDM 신호들의 품질 저하를 증가시킨다. WiMAX에 있어서 그러한 한계 속력은 약 200km/h로 설정될 것이다. 그러한 손실이 허용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한, 이동체의 상기 이동 속력 아래의 도플러 변이를 보상할 필요가 없다. 한계 속력 Vlimit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적용함으로써, 본 무선 기술은 수송체(이동체) 내의 수신기가 무선 기술이 대처가능한 -Vlimit 로부터 Vlimit까지의 속력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2×Vlimit 의 상대 속력까지 대처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송신 링크에 포함되는 (활성) 기지국의 안테나와 이동체 간의 상대 이동 속력에 따른 도플러 변이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플러 변이는 품질 임계값의 절대값에 의해 정의되는 간격 내에 존재하는 도플러 변이값에 대해 허용가능하다. 도플러 보상이 없으면, 도플러 변이는 이하 이동 속력의 한계 Vlimit로서 정의되는 소정의 이동 속력으로의 임계값에 도달한다. 이 값은 주로 무선 송신 기술에 의존한다. 무선 송신에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 경우, 이동하는 통신 장치(이동체)의 입력에서 도플러 변이의 선형적인 거동은 특정량 Vlimit 만큼 변이된다. 이 한계 속력은, 이동하는 통신 장치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 한계 Vlimit 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한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는 적용되는 일정량의 도플러 보상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값이다. 도 1로부터,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 경우에, 도플러 변이는 2×Vlimit 에서 품질 임계값에 도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Wimax의 예에 있어서는, 예컨대 미래의 고속 열차의 속도를 충분히 커버하는 범위인 400km/h이 될 것이다.
도 2는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 경우 간의 수송체 속력(이동체와 활성 안테나의 안테나 간의 속력)에 따른 링크의 품질 저하의 보상을 나타낸다.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 링크 품질 저하는 도 1의 도플러 변이 곡선에 대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이된다. 이는 [0, Vlimit]에서 [0, 2×Vlimit] 까지 허용가능한 속력 구간을 증가시키면서 실제 이득이 획득된다는 것을 명백히 나타낸다.
또한, 다른 무선 송신 기술은 200km/h 보다 현저히 작은 약 50km/h일 수 있는 Vlimit 를 부과할 수 있다. 이 경우, Vlimit 에 의해 정의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사용은 허용가능한 무선 링크에 대한 속력 구간인 [0, 2×Vlimit], 즉 이동 장치에 대한 최대 이동 속력으로서 100km/h까지 주어질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기차에 대해서조차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또는, Wimax가 비행기에 적용가능하도록 더 개발되는 경우, 400km/h가지의 속력 구간은 그러한 이동 장치의 속력 범위 전체를 커버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플러 보상은 약 (2×n+1)×Vlimit의 속력에 기초한 보상값으로 절환될 수 있으며, 이는 수송체의 [2×n×Vlimit, (2×n+1)×Vlimit]의 속력 범위 내에서의 이동을 허용할 것이다. 증분 지수 n은 속력이 2×n×Vlimit을 초과한 시간에 대응하며, 한계 속력은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한다. 그러한 방식 및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일정한 도플러 보상은 0km/h에서 출발하는 이동 장치에 적용될 것이며, 여기서, 일정한 도플러 보상은 이동 장치가 n=1이며 한계 속력 2×Vlimit을 초과할 때까지 적용되는 Vlimit에 의해 정의된다. 그 후, n=1 인 한계 속력 (2×n+1)×Vlimit , 즉 3×Vlimit 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다. 또한, 이동 장치가 한계 속력 4×Vlimit(n=2)을 초과할 때까지 더 가속되는 경우, 3×Vlimit에 의해 정의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될 것이다.
이러한 거동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 후 소정의 톱니형 거동으로 반영된다. 4×Vlimit 까지의 범위에 걸쳐 수송체에 따른 도플러 변이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바로 위에 정의된 법칙에 따라 계단형으로 일정한(고정된) 도플러 보상이 적용되는다. 도 4는 링크 품질 열화에 대한 대응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플러 보상이 전체 속력 범위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변경하기 전에 소정의 유사한 이력 법칙을 여기서 고려할 수도 있다. 이는 주로 안정된 상황, 즉 이동 장치가 (2×n+1)×Vlimit 의 속력에 매우 근접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빠른 후퇴(fallback) 없는 스무스한 천이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플러 보상은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 링크를 거쳐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기지국측 뿐만 아니라 이동체측에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플러 보상은 신호를 송신하기 전, 즉 도플러 효과가 무선 링크를 통해 송신될 신호에 영향을 주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와 같은 절차를 기지국측 및 이동체측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체 및/또는 기지국은 활설 기지국과 무선 송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장치를 포함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는 활성 기지국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는 판정 유닛 및 안테나에 연결되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에 있어서 적절한 일정량의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기 위한 소정의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하는 것은 판정 유닛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도플러 효과 보상을 위한 폐쇄 루프 제어 등의 디바이스들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대신, 샘플링 회로를 위한 고정 주파수 클록 베이스에 의해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도플러 효과 보상의 구현에 소요되는 노력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Claims (14)

  1. 이동체와 기지국 간의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방법으로서,
    ㆍ활성 기지국(active base station)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ㆍ어떠한 도플러 보상도 없는 경우에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의해 품질 임계값에 도달하는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플러 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를 초과할 때마다, 신규로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미리 정의된 품질 임계값에 도달하는 이동 한계 속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한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거의 고정량만큼 증가시키며, 이동 한계 속력이 미리 정의된 한계 속력 Vlimit 의 (2×n+1)배인 도플러 보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변화는 가역적이며,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 미만으로 떨어질 때마다 상기 고정량과 동일한 양만큼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감소시키도록 대칭률(symmetric law)을 따르는 도플러 보상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의 변화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상기 한계 속력의 2배에 가까운 경우에 불안정한 상황(regime)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이력 법칙을 따르는 도플러 보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되는 도플러 보상은, 상기 이동체와 상기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측에서 수행되는 도플러 보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되는 도플러 보상은, 상기 이동체와 상기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 송신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측에서 수행되는 도플러 보상 방법.
  7. 이동체와 기지국 간에 무선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장치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활성 기지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판정하는 판정 유닛 -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무선 송신에 대해 소정의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기 위한 소정의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킴 -
    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는,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이, 어떠한 도플러 보상도 없는 경우에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의해 품질 임계값에 도달하는 미리 정의된 이동 한계 속력(Vlimit)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하여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이동 한계 속력의 2배를 초과할 때마다,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켜, 상기 신규로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이, 상기 사용된 무선 송신 기술에 의해 상기 미리 정의된 품질 임계값에 도달하는 이동 한계 속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대한 도플러 효과의 상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적용되 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거의 고정량만큼 증가시키며, 이동 한계 속력이 초기의 미리 정의된 한계 속력 Vlimit 의 (2×n+1)배인 무선 주파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이동 장치의 이동 속력이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정의하는 상기 이동 한계 속력의 2배 미만으로 떨어질 때마다 상기 고정량과 동일한 양만큼 상기 적용되는 일정한 도플러 보상을 감소시키도록 대칭률을 따르는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무선 주파수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이동체의 이동 속력이 상기 한계 속력의 2배에 가까운 경우에 불안정한 상황(regime)을 회피하기 위한 소정의 이력 법칙을 따르는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무선 주파수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수신측에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기지국 간의 상기 무선 송신을 통해 송신될 신호에 대해 상기 도플러 보상 유닛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측에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3. 기지국에 대해 소정의 주어진 속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와 무선 송신을 통해 접속되는 기지국으로서, 제6항에 따른 무선 주파수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14. 무선 송신을 통해 기지국과 접속되며, 상기 기지국에 대해 소정의 주어진 속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제6항에 따른 무선 주파수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체.
KR1020077029933A 2006-02-20 2007-02-12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 KR20080102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300147A EP1821427B1 (en) 2006-02-20 2006-02-20 Doppler compensation control for radio transmission
EP06300147.3 2006-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334A true KR20080102334A (ko) 2008-11-25

Family

ID=3639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933A KR20080102334A (ko) 2006-02-20 2007-02-12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53347B2 (ko)
EP (1) EP1821427B1 (ko)
KR (1) KR20080102334A (ko)
CN (1) CN101026403B (ko)
AT (1) ATE397330T1 (ko)
DE (1) DE602006001358D1 (ko)
WO (1) WO20070962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8617A (zh) * 2017-09-26 2017-12-22 洪清喜 一种450MHz数模兼容的机车综合无线通信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79678A0 (en) * 2006-11-28 2008-01-20 Israel Aerospace Ind Ltd Airport anti-collision system and method
US20090036144A1 (en) * 2007-07-31 2009-02-05 Wong Wendy C Techniques for mobility induced error correction
US20090268828A1 (en) * 2008-04-25 2009-10-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oppler shift compensation in ofdma communications
JP5169933B2 (ja) * 2009-03-24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周波数制御装置、周波数制御方法及び基地局装置
CN101867386B (zh) * 2009-04-20 2013-10-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频偏预校准的方法、系统及设备
US8599956B1 (en) * 2010-09-27 2013-12-03 Rockwell Collins, Inc. Doppler compensated communications link
WO2013043168A1 (en) 2011-09-21 2013-03-2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oppler-nulling traveling-wave antenna relays for high-speed vehicular communictions
WO2013082754A1 (en) * 2011-12-06 2013-06-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ppler shift compens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3580732B (zh) * 2012-08-08 2017-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频偏补偿方法、装置及系统
US9602973B2 (en) 2013-02-19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Applying error resiliency based on speed
DE112013007177B4 (de) * 2013-06-21 2020-02-20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Bandbreitensteuerung bei drahtloser Kommunikation
DE102015002245B3 (de) * 2015-02-21 2016-05-25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adiosystems, Radiosystem und Kraftwagen mit einem Radiosystem
CN107404447B (zh) * 2016-05-19 2020-01-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高速信道连接态下的频偏补偿方法、装置及终端
US20220173799A1 (en) * 2019-03-29 2022-06-02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for doppler shift compensation,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2449303A (zh) * 2019-08-30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443A (en) * 1970-09-03 1972-05-23 Aerospace Res Ultrasonic intrusion alarm
US4187491A (en) * 1978-08-07 1980-0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oppler compensated PSK signal processor
US4353068A (en) * 1980-05-23 1982-10-05 Fernandez Emilio A Method for calibrating beam emitter type speed sensor for railroad rolling stock
US4580249A (en) * 1984-11-26 1986-04-01 Gte Government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oppler motion detection with standing wave drift compensation
US4713664A (en) * 1985-05-24 1987-1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int clutter threshold determination for radar systems
FR2651393B1 (fr) * 1989-08-29 1994-04-08 Alcatel Espace Disposition de recuperation de porteuse a boucle de costas.
JP2687066B2 (ja) * 1992-04-13 1997-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ップラ式対地車速検出装置
FR2697700B1 (fr) * 1992-11-03 1994-12-16 Alcatel Radiotelephone Dispositif de correction d'un décalage de fréquence dû à l'effet Doppler dans un système de transmission.
US5581237A (en) * 1994-10-26 1996-12-03 Detection Systems, Inc. Microwave intrusion detector with threshold adjustment in response to periodic signals
US5854605A (en) * 1996-07-05 1998-12-29 Trimble Navigation Limited GPS receiver using data bit timing to achieve a fast time to first fix
US5703595A (en) * 1996-08-02 1997-12-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rratic doppler frequency shift compensation
US5809087A (en) * 1996-10-25 1998-09-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herent detection architecture for remote calibration of coherent systems
US6025795A (en) * 1996-12-18 2000-02-15 Raytheon Company Missile shield
DE69728659T2 (de) * 1997-02-04 2005-04-14 Nokia Corp. Adaptive kompensation der dopplerverschiebung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CN1215512A (zh) * 1997-02-04 1999-04-28 诺基亚电信股份公司 移动通信系统中的多普勒频移自适应补偿
CN1110147C (zh) * 1998-03-19 2003-05-28 高淑媛 补偿卫星通信的频率漂移的装置和方法
AU767658B2 (en) * 1998-08-21 2003-11-20 Evologics Gmbh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suitable system therefor
EP1041738A1 (en) * 1999-03-30 2000-10-04 ICO Services Ltd. Doppler correction for a high-speed mobile station in a satellite mobile telephone system
US6366762B1 (en) * 1999-03-31 2002-04-02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ound trip delay on the paging and access channels
DE60036482T2 (de) * 1999-08-31 2008-06-12 Qualcomm, Inc., San Diego Vorrichtung zur doppler-korrektur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FI20000819A (fi) * 2000-04-06 2002-01-2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vastaanottimessa ja vastaanotin
JP3782330B2 (ja) * 2001-09-14 2006-06-07 富士通株式会社 Ofdm受信方法及びofdm受信装置
WO2003067916A1 (fr) * 2002-02-07 2003-08-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de decision de debit de transfert
US6999724B2 (en) * 2002-06-20 2006-02-14 Lucent Technologies Inc. Slowing the observed rate of channel fluctuations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US7142562B2 (en) * 2002-07-01 2006-11-28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data rate control for mobile data transfer for high throughput and guaranteed error rate
US7224721B2 (en) * 2002-10-11 2007-05-29 The Mitre Corporation System for direct acquisition of received signals
JP2004282476A (ja) * 2003-03-17 2004-10-07 Sharp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40248519A1 (en) * 2003-05-19 2004-12-09 Kari Niemela Data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US7299013B2 (en) * 2004-06-04 2007-11-20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doppler shif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100713456B1 (ko) * 2005-01-2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어시스트 전세계 위치 확인 시스템 수신기에서 타임 동기유지 장치 및 방법
US7006034B1 (en) * 2005-03-10 2006-02-28 Raytheon Company Fast and slow time scale clutter cancellation
US7532161B2 (en) * 2005-09-22 2009-05-12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having L1/L5 bias estimation
KR20080066321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방법 및 장치
US7439906B1 (en) * 2007-01-25 2008-10-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oppler-compensated radar pulse compress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090003617A1 (en) * 2007-06-28 2009-01-01 Goldman Stuart O Noise cancellation for buildings and/or structures
CN101336830B (zh) * 2007-07-03 2012-07-0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超声诊断成像的正交多普勒信号间隙填充方法与装置
US20090036144A1 (en) * 2007-07-31 2009-02-05 Wong Wendy C Techniques for mobility induced error corr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8617A (zh) * 2017-09-26 2017-12-22 洪清喜 一种450MHz数模兼容的机车综合无线通信设备
CN107508617B (zh) * 2017-09-26 2023-03-17 洪清喜 一种450MHz数模兼容的机车综合无线通信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1427B1 (en) 2008-05-28
US7653347B2 (en) 2010-01-26
WO2007096262A1 (en) 2007-08-30
EP1821427A1 (en) 2007-08-22
DE602006001358D1 (de) 2008-07-10
CN101026403A (zh) 2007-08-29
US20070197165A1 (en) 2007-08-23
ATE397330T1 (de) 2008-06-15
CN101026403B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334A (ko) 무선 송신을 위한 도플러 보상 제어
EP2642675B1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IMO-OFDM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7826541B2 (en) Wireless relay system,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wireless relay method
US7672382B2 (en) OFDM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US7304939B2 (en) Communication using simultaneous orthogonal signals
US20140133598A1 (en) Transmiss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transmission signal generation method, recep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signal generation method
US7978780B2 (en) Adaptive cyclic delay diversity for mobile devices
KR1014590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94774B2 (en) Method of a receiver estimating a plurality of channels
US201401987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nging of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024342B (zh) 基于参数集选择的发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95933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보조대역을 이용한 양방향 통신 장치
US20070155333A1 (en) Doppler effect compensation for radio transmission
JP2017184031A (ja)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JP5310774B2 (ja) 基地局、移動局及び通信方法
KR101000115B1 (ko) 채널 예측 기반의 송신 채널 이득제어와 빔 포밍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089056B1 (ko) 광 중계기를 이용한 와이브로 서비스 시스템
Chang et al.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railway radio-over-fiber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033140A (ko) 차세대 휴대 인터넷에서의 적응형 다중 송수신 방법 및 그장치
Kamemura et al. DSRC using OFDM for roadside-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JP2015177211A (ja) デジタル無線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